KR830001580B1 -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 Google Patents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580B1
KR830001580B1 KR1019810003908A KR810003908A KR830001580B1 KR 830001580 B1 KR830001580 B1 KR 830001580B1 KR 1019810003908 A KR1019810003908 A KR 1019810003908A KR 810003908 A KR810003908 A KR 810003908A KR 830001580 B1 KR830001580 B1 KR 83000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loudspeaker
output
diode
cal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태
이용주
정유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기통신 연구소
최순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기통신 연구소, 최순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기통신 연구소
Priority to KR101981000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A측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B측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각부신호 파형도.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송수화기를 들지않고 확성기와 스피커, 마이크로폰등을 사용하여 음성을 확성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수화기를 들지않고 통화하려면 종래 송수화기를 사용할때 보다 입과 귀에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간의 거리가 훨씬 멀어지게 되므로 송화음압의 전송손실을 보상하여 적절한 선로송출레벨과 청취음압을 얻으려면 송수화기 양쪽 모두에 확성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단순히 종래의 전화기에 확성기스피커 마이크로폰을 설치하면 스피커에서 나온 음성이 마이크로폰으로 들어가 송화측 확성기에서 확성된 후 다시 전화기 내부에서 수화측 확성기의 입력으로 궤환되게 되어 하울링이 일어나게 되므로 통화가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음성스위칭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이 장치는 무선기에서 사용되는 프레스토크(Press-Talk)의 원리를 전자회로로 바꾼것으로 송수스위치의 전환시 화두(話頭)가 절단되고 화미(話尾)가 길어지며 또 송수화음성이외의 잡음에 의해 스위칭되기도 하며 특히 쌍방 동시통화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신호가 가지는 포락선(包絡線)을 이용하여 음성신호에 극성(Polarity)을 부가하도록 하여 2선식으로 동시통화가 가능하고 잡음에 강하며 완전하게 하울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A측의 회로도로써 공지의 송신확성기(TA1)의 출력에 트랜지스터(TR3)와 결합콘덴서(C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TR1)의 출력은 결합콘덴서(C2)를 통해 트랜지스터(T2)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TR3)의 출력은 결합콘덴서(C4)를 통해 트랜지스터(TR4)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 (TR2)의 부하저항(R4)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2)의 출력은 다이오드(D1)을 통해 통신선로(C)의 A1단자에 연결된다. 수선확성기(RA1)의 입력은 다이오드(D2)를 통해 통신선로(C)의 A1단자에 연결되며 출력은 스피커(SP1)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는 B측의 회로도로써 A측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단지 트랜지스터(TR5,TR6,TR7,TR8), 다이오드(D3,D4) 및 전원전압의 극성이 A측과 반대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R1,R10은 바이어스저항 R2,R3,R5,R6,R7,R8,R9,는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부하저항 C3,C5,C6,C7,C9,C9,C10,C13,C15,는 전원 바이패스 콘덴스 C8,C11,은 적분용 콘덴서 C12,C14,C16은 결합 콘덴서MIC1,MIC2는 마이크로폰 SP2는 스피커 TA2는 B측 송신확성기 RA2는 B측 수신확성기 +VCC,-VCC는 전원 전압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상히세 설명하면 제1도의 송신확성기(TA1)의 출력은 결합콘덴서(C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되어 증폭되고 다시 트랜지스터(TR2)에 연결되어 있다.
또 송신확성기(TA1)의 출력은 바로 트랜지스터(TR3)로 연결되어 있는데 바이어스가 걸려있지 않으므로 검파되어 증폭된다. 후단 트랜지스터(TR2,TR4)는 모두 에미터 폴로워(Emjtter Follower)로 동작하는데 트랜지스터(TR4)에서는 부하저항이 저항(R5)과 콘덴서 (C8)로 되어있으므로 전단 트랜지스터(TR3)에서 검파된 신호는 다시 적분되어 제3도 나와 같은 포락선파형으로 된다.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TR2)의 부하저항(R4)의 한쪽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점의 파형은 양쪽 트랜지스터의 출력이 가산되어 제3도 다와 같은 파형이 된다. 따라서 (가)점의 파형은 (+)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이 신호는 다이오드(D1)을 통과하여 통신선로(C)를 지나 다이오드(D4)를 통해 B측의 수신확성기(RA4)에서 증폭되어 스피커(SP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그런데 원래의 음성신호와 여기에 포락선파형을 가산하여 얻은 새로운 음성신호의 양자사이에는 청각상 차이가 전혀없다. 이때 A측의 수신증폭기(RA1)에는 다이오드(D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A측의 송신증폭기(TA1)에서 나온 음성신호가 자기측 수신증폭기(RA1)으로 궤환되지 못하므로 하울링 현상은 완전히 방지된다.
제2도의 B측의 송신부에서도 A측과 같은 작용이 일어나지만 트랜지스터(TR5,TR6,TR7,TR8)가 PNP형이며 전원전압이 (-)이므로 (나)점의 파형은 제3도 라와 같이 포락선이 되고 (다)점의 출력파형은 제3도 마와 같게되어 A측과는 반대극성을 가진 음성신호가 된다.
이 신호는 다이오드(D4)에 의하여 자기측 수신확성기(RA2)로 궤환되지 않게되며 통신선로(C)를 통해 A측 수신확성기(RA1)에서 확성되어 스피커(SP1)에서 출력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성신호에 극성을 부가하여 하울링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였으며 동시에 2선식에서의 동시통화도 가능하도록 하였고 확성기를 사용하였으므로 원거리 통화시에도 깨끗하고 자연스러운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며 선로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른 영향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며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전화기의 소형화, 경량화, 저가격화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A측은 공지의 송신확성기(TA1)의 출력에 트랜지스터(TR3)와 결합콘덴서 (C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1)의 출력을 결합콘덴서(C2)를 통해 트랜지스터(TR2)에 가해지며 트랜지스터(TR3)의 출력은 결합콘덴서(C4)를 통해 트랜지스터(TR4)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4)와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는 저항(R4)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2)의 출력은 다이오드(D1)을 통해 통신선로(C)의 A1단지에 연결되고 수신확성기(RA1)의 입력은 다이오드(D2)를 통해 통신선로(C)의 A1단지에 연결되며 출력은 스피커(SP1)에 연결되며 B측은 A측과 같은 구성으로 하되 트랜지스터(TR5,TR6,TR7,TR8) 다이오드(D3,D4) 및 전원전압의 극성을 A측과 반대가 되도록 한 확성전화기의 트랜지스터2선식 동시통화장치.
KR1019810003908A 1981-10-14 1981-10-14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KR83000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908A KR830001580B1 (ko) 1981-10-14 1981-10-14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908A KR830001580B1 (ko) 1981-10-14 1981-10-14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80B1 true KR830001580B1 (ko) 1983-08-12

Family

ID=1922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908A KR830001580B1 (ko) 1981-10-14 1981-10-14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58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ja) 送受信機
US4346261A (en) Speaker phones
US3708630A (en) Telephone circuits utilizing active elements
US3789155A (en) Side-tone reducing circuit for a telephone subscribers instrument
US3823273A (en) Subscriber's telephone circuit
KR830001580B1 (ko) 확성전화기의 음성용 트랜스레스 2선식 동시통화장치
KR100459565B1 (ko) 전화기의 에코 및 노이즈 감소장치
US4518829A (en) Two terminal microphone active load gain regulation circuit
US3939311A (en) Muting circuit for subscribers telephone
KR830001579B1 (ko) 확성전화기의 2선식 동시통화장치
US4523057A (en) High gain cascode amplifier with negative feedback
KR960009436A (ko) 수신 신호 경로에서의 측음 감소 회로 및 방법
JP3061733B2 (ja) 同時通話インターホン装置
KR830001578B1 (ko) 확성 전화기의 2선식 동시통화 방법
KR860001397Y1 (ko) 전화기용 보청장치
KR900002476Y1 (ko) 측음방지 회로
JPH0311984Y2 (ko)
JPS62172853A (ja) 防側音回路
KR900003665B1 (ko) 측음 방지회로를 이용한 컨퍼런스 통화 보상회로
JPS63272254A (ja) 電話装置
KR820001745B1 (ko) 스피커폰의 하이브리드 회로
GB2261576A (en) Telephone operable in a hands-free mode
KR920001541Y1 (ko) 4선식 도어폰 회로
KR810000706B1 (ko) 전전자식 전화기
KR200203370Y1 (ko) 통신 단말기의 이중 송화기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