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180Y1 -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 Google Patents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180Y1
KR960007180Y1 KR2019940001458U KR19940001458U KR960007180Y1 KR 960007180 Y1 KR960007180 Y1 KR 960007180Y1 KR 2019940001458 U KR2019940001458 U KR 2019940001458U KR 19940001458 U KR19940001458 U KR 19940001458U KR 960007180 Y1 KR960007180 Y1 KR 960007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rigerator
center
fixture
cooking utens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592U (ko
Inventor
우종락
Original Assignee
우종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락 filed Critical 우종락
Priority to KR201994000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180Y1/ko
Publication of KR950022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33Mechanical arrangements not covered by the following sub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사시도.
제2도는 (가)(나)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요부의 작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요부의 작용상태도.
제4도의 (가)(나)도는 제3도의 일요확대 작용도.
제5도의 (가)(나)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요부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케이스
3 : 보냉실 4 : 냉장장치
5 : 상판 6 : 통공
7,7' : 안내홈 8,8' : 개폐덮판
9 : 승강판 12,23 : 체인
13,13',18,18' : 링크 14,14',20,20' : 고정구
15,15',26 : 가이드레일 16 : 이동자
17,17' : 이동판 19,19' : 고정봉
25 : 조리기구 28 : 좌판
29 : 개폐문 30 : 축핀
본 고안은 식품의 보냉을 위한 냉장고와 가열, 조리를 위한 조리지구를 부설한 식탁에 관한 것으로, 본원 출원인이 기 출원한 199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3755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출원은 단순히 냉장고만이 부설됨으로서 식품을 데우거나 증숙하여야 할 경우에는 식탁을 부터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음은 물론, 냉장고의 승강판 및 상부 개폐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다수개의 체인과 모우터 및 실린더(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서 제작비와 전력이 과다하게 소요되었고, 개폐판이 식판 표면과 평면을 이루지 못하므로서 그릇등을 옮기기가 불편하였으며, 구동부가 복잡한 관계로 소음 또한 상당히 발생되어 쾌적한 식사 분위기를 기대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선출원의 결함을 개량한 것으로, 조리기구를 식탁에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구동수단을 최소화함으로써 동선(動線)과 제작비 및 전력소모와 소음을 최소화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탁 본체(1)의 저부에 케이스(2)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냉장장치(4)를 갖는 보냉실(3)을 형성하여 본체(1)에 스위치(SW)와 통공(6)을 갖는 상판(5)을 복개하므로서 양측에 형성되는 안내홈(7)(7')상에서 개폐덮판(8)(8')이 출몰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냉실(3) 내부의 승강판()이 승강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승강판(9)의 저부에 한개의 모우터(10)로 스프로킷(11)(11')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12)을 설치하여 이에 승강판(9)을 유설한 링크(13)(13')의 고정구(14)(14')를 설치하되, 일측의 고정구(14)는 중심 상측에 고정하고 타측의 고정구(14')는 하측에 고정한다.
본체(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15)(15')을 설치하여 이동자(16)로 안내되는 이동판(17)(17')을 설치하되, 이동판(17)(17')과 개폐덮판(8)8')을 링크(18)(18')로 연설하며, 이동판(17)(17')의 저부에는 고정봉(19)(19')을 설치하여 이 고정봉(19)(19')을 고정구(20)(20')로 하부에 설치된 체인(23)에 고정하되 일측 고정구(20)는 중심상측에 고정하고, 타측 고정구(20')는 중심 하측에 고정하며, 체인(23)은 모우터(21)로 스프로킷(22)(22')(2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체인(23)의 저부에는 처짐방지를 위한 로울러(24)(24')를 설치한다.
본체(1)의 저부 일측에는 조리기구(25)를 설치하되, 이는 양측의 가이드레일(26)에 좌판(28)이 안내되도록 하고, 좌판(28)에는 축핀(30)으로 개폐문(29)을 유설하며, 개폐문(29)에는 손잡이(31)를 설치하고, 가이드레일(26)에는 돌턱(27)을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는 식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면 제2도의 (나)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SW)를 조작하게 되면, 먼저 상측의 모우터(21)가 구동되어 체인(23)을 회전시킴으로서 이에 고정구(20)(20')로 고정된 고정봉(19)(19')이 이동판(17)(17')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와 링크(18)(18')로 연설된 개폐덮판(8)(8')이 안내홈(7)(7')내로 장입됨과 동시에 하부의 오우터(10)가 구동되어 체인(12)을 회전시킴으로서 이에 고정구(14)(14')가 외측으로 이동하며 링크(13)(13')가 직립되어 승강판(9)을 밀어올려 상판(5)의 표면과 일치시키게 되므로 보냉실(3)내에 보관되었던 식기(32)로부터 음식을 곧바로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보냉실(3)내의 음식물중 가열이나 증숙을 필요로하는 음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도면의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25)의 손잡이(31)를 앞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개폐문(29)이 축핀(30)을 지점으로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좌판(28)이 가이드레일(26)에 안내되어 본체(1)의 측방으로 노출되므로 이에 식기(32)를 상치한 후 개폐문(29)을 다시 밀어서 폐쇄하고 전원을 접속시켜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 또는 증숙시켜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조리기구(25)의 좌판(28)은 개방시 가이드레일(26)의 돌턱(27)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며, 조리기구(25)는 전기를 이용한 전자레인지가 바람직할 것이나, 가스레인지등의 어떠한 가열기구를 이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식사를 마친 다음에는 스위치(SW)를 조작하여 각 모우터(10)(21)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도며 제2도의 (가)도 및 제4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역순으로 먼저 승강판(9)이 하강하고 난 다음 이동판(17)(17')이 중앙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덮판(8)(8')을 함께 이동시켜 통공(6)을 폐쇄하게 되는데, 일단 개폐덮판(8)(8')이 만아게 되면 링크(18)(18')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표면이 상판(5)의 표면과 일치되는 것으로, 계속해서 별도의 콘트롤회로에 의해 냉장장치(4)가 가동하여 보냉실(3)내의 음식물을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식사에 필요한 모든 행위를 식탁에 앉은 자세에서 행할 수 있어 간편, 신속한 식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동선을 최소화하게 되고 쾌적한 식사분위기를 제공케 되는 등의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식탁 본체(1)의 저부에 케이스(2)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냉장장치(4)를 갖는 보냉실(3)을 형성하여 본체(1)에 스위치(SW)와 통공(6)을 갖는 상판(5)을 복개함으로써 양측에 형성되는 안내홈(7)(7')상에 개폐덮판(8)(8')이 출몰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냉실(3) 내부의 승강판(3) 내부의 승강판(9)이 승강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일측 저부에 조리기구(25)를 부설하여서 된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판(9)의 저부에 한개의 모우터(10)로 스프로킷(11)(11')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12)을 설치하여, 이에 승강판(9)을 유설한 링크(13)(13')의 구정구(14)(14')를 설치하되, 일측의 고정구(14)는 중심상측에 고정하고 타측의 고정구(14')는 중심 하측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의 양측에 가이드레일(15)(15')을 설치하여 이동자(16)로 안내되는 이동판(17)(17')을 설치하고, 이동판(17)(17')과 개폐덮판(8)(8')을 링크(18)(18')로 연설하며, 이동판(17)(17')의 저부에는 고정봉(19)(19')을 설치하여 하부에 스프로킷(22)(22')(22)으로 설치된 체인(23)에 고정구(20)(20')로 설치하되, 일측 고정구(20)는 중심 상측에 고정하고, 타측의 고정구(20')는 중심 하측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4. 제1항에 있어서,
    조립기구(25)는 내부 하측에 돌턱(27)을 갖는 가이드레일(26)을 설치하고 이에 좌판(28)이 안내되도록 하며, 좌판(28)의 선단에는 축핀(30)으로 손잡이(31)를 갖는 개폐문(29)을 유설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KR2019940001458U 1994-01-26 1994-01-26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KR960007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458U KR960007180Y1 (ko) 1994-01-26 1994-01-26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458U KR960007180Y1 (ko) 1994-01-26 1994-01-26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592U KR950022592U (ko) 1995-08-18
KR960007180Y1 true KR960007180Y1 (ko) 1996-08-22

Family

ID=1937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458U KR960007180Y1 (ko) 1994-01-26 1994-01-26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83Y1 (ko) * 2012-09-24 2013-02-15 김태균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83Y1 (ko) * 2012-09-24 2013-02-15 김태균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WO2014046402A1 (ko) * 2012-09-24 2014-03-27 Kim Tae Gyoon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592U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043A (en) Power operated adjustable oven rack
CN110664270A (zh) 空气炸锅
DE50209109D1 (de) Hocheinbaugargerät
KR200465383Y1 (ko)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KR960007180Y1 (ko) 냉장고와 조리기구를 부설한 식탁
KR100702181B1 (ko) 후드의 무빙그릴
CN214595575U (zh) 节能型食品烘焙装置
CN114135910A (zh) 一种可自由调节的电磁炉桌
KR950006195Y1 (ko) 냉장고가 부설된 식탁
JPH07116033A (ja) 調理台ユニット
CN108382171B (zh) 一种房车用自动关闭天窗
JP4393122B2 (ja) 電動昇降吊戸棚
CN215016363U (zh) 一种自动型防烫手烤箱
CN213119238U (zh) 一种嵌入式隐藏烟灶一体机
JP3077774U (ja) 冷蔵庫を付設した食卓
KR920008629Y1 (ko) 소형 냉장고를 부설한 식탁
CN215372609U (zh) 一种智能灶台
CN2227410Y (zh) 水煮面机
CN214548013U (zh) 一种基于嵌入式智能家居的书桌台
KR200145589Y1 (ko) 다용도 식탁
CN218651485U (zh) 餐桌
CN218515588U (zh) 可升降调节的多层蒸饭箱
CN215456287U (zh) 一种可升降茶盘茶几
CN2377915Y (zh) 全自动热炉冰箱桌
KR200272113Y1 (ko) 음식물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