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71Y1 - 쇠톱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쇠톱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71Y1
KR960007071Y1 KR2019930015554U KR930015554U KR960007071Y1 KR 960007071 Y1 KR960007071 Y1 KR 960007071Y1 KR 2019930015554 U KR2019930015554 U KR 2019930015554U KR 930015554 U KR930015554 U KR 930015554U KR 960007071 Y1 KR960007071 Y1 KR 960007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fixing
hacksaw
saw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827U (ko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김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삼 filed Critical 김용삼
Priority to KR2019930015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071Y1/ko
Publication of KR950005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23D49/12Hack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1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hand-held or hand-opera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쇠톱용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 쇠톱의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요부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쇠톱의 전체외형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장치 전체의 작동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7도의 (가)는 인장고정전 상태도
제7도의 (나)는 인장구정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톱날2, 3 : 고정자
2a, 3a : 고정핀4 : 톱대
11 : 힌지부13 : 가압단부
15 : 커버체17 : 나사부
19 : 손잡이21 : 나사봉
본 고안은 손잡이를 조이거나 풀어 톱날을 장착 또는 분리가 용기하도록 한 쇠톱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국내실용공고 제86-3442호나 제90-2392호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 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쇠톱(10)의 톱날(1)을 장착하고자 할때 외측고정자(2)와 내측고정자(3) 사이로서 고정핀(2a, 3a)에 톱날(1)의 양측을 끼워결합하고 내측고정자(3)의 나사봉(3b)에 결합되어 있는 나비너트(3c)를 조여서 사용하며, 반대로 분리시엔 나비너트(3c)를 풀어 내측고정자(3)가 이완된 상태에서 톱날(1)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때 톱날(1)을 장착하는 경우 나비너트(3c)를 조여야 하는데 조이는데 과도한 힘이 소요되기도 하고 소정 이상으로 조이지 아니하면 사용시에 톱날(1)과 고정핀(2a, 3a)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면서 톱날(1)이 쉽게 부러지기도 하며, 톱날(1)이 유격되면서 절단부에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게다가 톱날(1)의 장착시 고정핀(2a, 3a)과 톱날(1)이 맞닿게 되는 표면부(2d, 3d)가 수평면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상 고정핀(2a, 3a)의 지름과 톱날(1)에 있어서, 장착공(1a, 1b)의 지름이 상호 달라 약간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므로, 톱날(1)의 장착시엔 톱날(1)이 당겨지고 약간씩 뒤틀리거나 하여 톱날(1)의 일측면이 표면부(2d, 3d) 전체에 걸쳐 맞닿는 압접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통상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만이 상호접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시 문제점인 톱날(1)의 부러짐현상이나 절단오차의 발생과 같은 문제점과 함께, 사용시에 톱날(1)의 불안정한 현상을 야기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측에 고정핀이 마련된 내측고정자를 중간부가 톱대에 힌지축설되게 힌지부를 형성하고 대향단엔 가압단부를 형성하며, 톱대의 연장커버체 내측엔 나사부를 형성하고, 손잡이엔 상기 나사부에 나합될 수 있도록 나사봉을 고정설치하여 톱날을 내측고정자에 일측을 끼우고 손잡이의 나사봉을 나사부를 통하여 조이면 나사봉의 선단이 내측고정자의 가압단부를 가압상승시키며 내측고정자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핀과 함께 후진되도록 구성하여, 톱날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용중에 톱날이 부러지거나 오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는 쇠톱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고정장치는 톱대(4)의 하부에 내, 외측 고정자(3, 2)를 설치하고 내, 외측 고정자(3, 2) 사이에 톱날(1)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쇠톱에 있어서, 선단부 일측에 고정핀(3a)을 설치한 내측고정자(3)는 ㄱ자형태로서 중간부가 톱대(4)에 축설되게 힌지부(11)를 마련하고 타측엔 가압단부(13)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톱대(4)의 후부에 위치한 커버체(15) 내측엔 나사부(17)를 고정형성하며, 손잡이(19)내측엔 나사부(17)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봉(21)을 고정설치하여 이루어져 손잡이(19)에 의하여 나사봉(21)을 나사부(17)에 나사결합하여조이면 나사봉(21)이 상승하면서 나사봉(21) 선단이 가압단부(13)를 가압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내, 외측 고정자(3, 2)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3a, 2a)중 고정핀(3a)은 후방으로 고정핀(2a)은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경사설치되고, 톱날(1)이 접하게 되는 내, 외측 고정자(3, 2)의 표면부(23)(25)는 만곡요홈(23a, 25a)을 갖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손잡이(19)의 외형은 원통형이나 원통형에 가까운 다각통형으로 이루되, 다수의 요철부(19a)를 표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로서 27, 29는 개방홈을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인 쇠톱용 고정장치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적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종래와 같이 톱날(1)을 내, 외측 고정자(3, 2)의 고정핀(3a, 2a)에 끼워 장착사용하면 된다.
이때 톱날(1)을 완전히 장착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고정설치된 나사봉(21)을 손잡이(19)를 이용하여 커버체(15)의 나사부(17)를 경유 회전시키면 나사봉(21)의 선단은 내측고장자(3)의 가압단부(13)를 가압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내측고장자(3)는 힌지부(11)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약간씩 회전하며 고정핀(3a)이 설치된 선단부는 서서히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내, 외측 고정자(3, 2)의 고정핀(3a, 2a)에 설치된 톱날(1)은 보다 완전히 장착고정되게 된다.
특히 톱날(1)의 경우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엔 단순히 내, 외측 고정자(3, 2) 고정핀(3a, 2a)에 양측이 끼워 결합되어, 제7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날(1)이 표면부(23, 25)의 일측에만 접힐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9)의 회전에 의한 내측고장자(3)의 후퇴시 고정핀(23, 25)은 전,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경사상태로 고정설치되므로 톱날(1)은 자연적으로 표면부(23, 25)에 보다 근접하게 되는 동시에 표면부(23, 25)의 단면형상이 만곡요홈(23a, 25a)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톱날(1)은 약간 굽혀지는 듯 하면서 상, 하부 양측 모두가 밀착되어 보다 완전한 고정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톱날(1)의 분리시엔 전술한 장착순서와는 반대로 손잡이(19)를 역으로 회전시키면 내측고장자(3)의 선단부에 위치한 고정핀(3a)이 전진하면서 이완되어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고정장치는 고정핀(3a)의 설치된 선단부, 힌지부(11)는 가압단부(13)가 조합구성된 내측고장자(3), 커버체(15)의 나사부(17), 나사봉(21)을 갖는 손잡이(19)의 결합구성과 고정핀(2a, 3a)과 표면부(23, 25)의 만곡요홈(23a, 25a)의 구성에 의하여 부러지거나 절단부위에 오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어 쇠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톱대(4)의 하부에 내, 외측 고정자(3, 2)를 설치하고 내, 외측 고정자(3, 2) 사이에 톱날(1)을 고정설치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쇠톱에 있어서,
    선단부 일측에 고정핀(3a)을 설치한 내측고장자(3)는 ㄱ자형태로서 중간부가 톱대(4)에 축설되게 힌지부(11)를 마련하고 타측엔 가압단부(13)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톱대(4)의 후부에 위치한 커버체(15) 내측엔 나사부(17)를 고정형성하며, 손잡이(19) 내측엔 나사부(17)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봉(21)을 고정설치하여 이루어져 손잡이(19)의 회전에 따라 가압단부(13)를 가압이동시킬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톱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 외측 고정자(3, 2)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2a, 3a)중 고정핀(3a)은 후방으로 고정핀(2a)은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경사설치하고, 톱날(1)이 접하게 되는 내, 외측 고정자(3, 2)의 표면부(23, 25)에 만곡요홈(23a, 25a)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톱용 고정장치
KR2019930015554U 1993-08-13 1993-08-13 쇠톱용 고정장치 KR960007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554U KR960007071Y1 (ko) 1993-08-13 1993-08-13 쇠톱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554U KR960007071Y1 (ko) 1993-08-13 1993-08-13 쇠톱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27U KR950005827U (ko) 1995-03-20
KR960007071Y1 true KR960007071Y1 (ko) 1996-08-19

Family

ID=1936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554U KR960007071Y1 (ko) 1993-08-13 1993-08-13 쇠톱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27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013A (en) Portable hacksaw
EP0161369A1 (fr) Equerre de liaison pour réaliser l'assemblage de deux profilés
EP0275793A1 (fr)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émontable d'une plaquette de coupe sur un porte-outil
KR950006963Y1 (ko) 드로우어웨이팁의 크램프기구
KR960007071Y1 (ko) 쇠톱용 고정장치
EP0309344B1 (fr) Dispositif d'accouplement pour une colonne de direction et véhicul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FR2733395A1 (fr) Fermeture reglable pour chaussure
EP0072282A1 (fr) Scie sauteuse
JP3868151B2 (ja) 調節可能な締付け固定部品用の固定装置
KR950011678B1 (ko) 조임 밴드 및 그 조임 공구
FR2801863A3 (fr) Ensemble de manivelles pour bicyclette
EP1125687B1 (fr) Ecrou de serrage et de blocage d'un outil, tel qu'un disque d'une machine d'usinage sur l'arbre de ladite machine
JP4586847B2 (ja) 携帯用丸のこ機
EP0196969B1 (fr) Outil à fonctions multiples, apte notamment au perçage et au découpage
JPS6353002B2 (ko)
KR19980042290U (ko) 드라이버(driver)
KR910002404Y1 (ko) L자형 레버가 설치된 조임구
KR950003392Y1 (ko) 관리기용 핸들 고정축의 손잡이 결합구조
JP4067464B2 (ja) 携帯用丸のこ機
JPH058857Y2 (ko)
JP2546165Y2 (ja) チェーンソーのブレーキレバー
KR200211490Y1 (ko) 목공톱을 겸할 수 있는 쇠톱
KR0126491Y1 (ko) 스톡레버의 취부구조
KR0136134B1 (ko) 자동차의 부싱 탈거용 공구
FR2547873A1 (fr) Moyen de fixation pour des elements de construction susceptibles d'etre reun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