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558Y1 - 접지(摺紙)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접지(摺紙)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558Y1
KR960006558Y1 KR2019960014271U KR19960014271U KR960006558Y1 KR 960006558 Y1 KR960006558 Y1 KR 960006558Y1 KR 2019960014271 U KR2019960014271 U KR 2019960014271U KR 19960014271 U KR19960014271 U KR 19960014271U KR 960006558 Y1 KR960006558 Y1 KR 960006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mall bundle
turntable
small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오 야쯔카
타츠마사 오오츠키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하마로 요시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하마로 요시아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1Roller pairs with particular shape of cross profile
    • B65H2404/1415Roller pairs with particular shape of cross profile with male / female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접지(摺紙) 처리장치
제1도 (a)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도(b)는 안내규제구(案內規制具)의 대향 거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안내규제구의 폭 변경을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로울러 쌍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노즐 근방의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적중기(積重機)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적중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8도는 적중기에 구비된 바닥판의 평면도
제9도는 승강 테이블과 가로 이송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실린더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캠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11도는 푸셔의 이동 속도와, 원주체의 회전 각도와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2도는 턴테이블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3도는 턴테이블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4도는 턴테이블의 회전 구동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5도는 작은 다발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집적시키는 경우에 턴테이블을 전후로 동작을 구동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6도는 문을 개폐시키는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8도는 집적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9도는 집적기에 구비된 떠올린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0도는 종래의 접지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1도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작은 다발들을 결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반송기 3, 4, 5 : 안내규제구
6 : 로울러 7 : 노즐
10 : 적중기 20 : 승강 테이블
30 : 가로 이송 수단 33 : 캠 기구
40 : 턴테이블 42 : 승강부재
70 : 접적기
본 고안은 윤전기 등으로 부터 차례로 배출되어 온 접지를 다발을 지어서 결속기에 건네주기 위한 접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지 처리 장치로서는, 제20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윤전기 등에서 배출된 접지(A)를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등의 반송기(101, 102)와, 이 반송기에 의하여 반송되어 온 접지(A)를 일정한 매수의 작은 다발(B)로 쌓아올려, 그 후에 작하시키는 적중기(103)와, 이 적중기(103)가 접지(A)를 작은 다발(B)로 쌓아올리는 동안, 반송기(101, 102)에 의하여 반송되는 접지(A)를 일시 정지시키는 스톱퍼(도시되지 않음)와, 적중기(103)에서 낙하하여 온 작은 다발(B)을 수취하는 승강 테이블(104)과, 이 승강 테이블(104)위에 있는 작은 다발(B)을 가로방향으로 이송하는 가로 이송 수단(105)과, 상기 가로 이송 수단(105)에 의해 이송되어 온 작은 다발(B)이 쌓이는 동시에, 그 전후에 처리된 작은 다발(B)과 접지의 접은 금이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회동하는 턴테이블(106)과, 상기 턴테이블(106)상의 작은 다발(B)을 들어올려, 작은 다발을 일정한 매수까지 집적시키는 집적기(107)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집적기(107)에 의하여 집적된 복수의 작은 다발(B)은, 도시하지 않은 결속기에 의하여 밴드 등에 의하여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06)을 회동시키는 것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작은 다발(B)이 접은 금쪽이 반대측의 절단면쪽보다 높기 때문이다. 즉, 작은 다발(B)의 접은 금을 같은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하여 상기 집적기(107)에 의하여 집적되면, 집적되어 있는 것의 상부에 있는 작은 다발(B)이 기울어져서 안정성이 상실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접지 처리 장치의 경우는, 접지(A)를 반송하는 반송기(101, 102)에, 접지(A)가 반송기(101, 102)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판 형상의 안내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으나, 단순히 안내구를 설치하고 있을 뿐이므로, 적중기(103)에서 일정한 매수의 작은 다발(B)로 쌓인 접지(A)의 방향이 가지런히 맞춰지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었다.
또, 반송기(102)로 부터 적중기(103)로 이송할때, 단순히 접지(A)를 낙하시켰을 뿐이었으므로, 접지(A)가 낙하하여 적중기(103)에 공급된때, 접지(A)가 적중기(103)나 그 주위의 부재에 맞닿으면, 접지(A)의 단부가 쉽게 절곡되어, 그 절곡된 상태 그대로 다른 접지(A)와 더불어 적중기(103)에 의하여 적중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런 상태로 결속된 경우에는, 결속된 각 작은 다발(B)의 끝면이 곱게 일치되지 않고 보기 흉하게 되기도 하고, 또 그와 같은 작은 다발(B)이 제본용인 경우에는, 제본된 책의 일부 페이지가 절곡되어 있어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중기에서 끝면이 곱게 일치된 상태로 접지를 적중시킬 수 있는 접지 처리 장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윤전기 등으로 부터 차례로 배출되어 온 접지를 다발을 지어 결속기에 건네 주도록 상기 접지를 수취하여 반송하는 반송기와, 반송되어 온 접지를 수취하여 일정한 매수의 작은 다발로 쌓아 올리고, 그후 작은 다발을 낙하시키는 적중기와, 이 적중기가 접지를 작은 다발로 쌓아 올리는 동안, 반송기에 의하여 반송되는 접지를 일시 정지시키는 스톱퍼와, 상기 적중기에서 낙하하여 온 작은 다발을 수취하는 승강 테이블과, 이 승강테이블상의 작은 다발을 가로방향으로 이송하는 가로 이송 수단과, 이 가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작은 다발이 얹히는 동시에, 그 전후의 작은 다발과는 접지의 접힌 금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회동하는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상의 작은 다발을 들어올려, 작은 다발을 일정한 매수까지 집적하는 집적기로 구성되는 접지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반송기의 출구에, 접지를 상하방향에서 끼워잡도록 설치되어 있고, 적중기에 이송되는 접지의 중앙부를 반송기의 출구측에서 보아 산형상이 되도록, 한쪽 로울러의 중앙 둘레부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로울러의 중앙 둘레부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로울러를 구비하고 있음과 상기 적중기는 상기 1쌍의 로울러로부터 계속 보내어진 접지가 낙하하는 영역인 반송기 출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접지를 반송하는 반송기에 복수의 안내규제구가 마련되고, 더욱이, 그안내규제구가 안내규제판의 대향 간격을 반송되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좁은 폭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안내규제구에 의하여 방향이 일치된 상태로 접지가 반송되어 간다.
또, 로울러에 의하여 접지가 산형상으로 절곡되게 되므로, 접지의 중간 부위가 강해져서 적중기나 그 주위의 부재와 맞닿더라도 맞닿은 단부가 꺾이어 굽혀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A는 도시하지 않은 윤전기 등으로 부터 배출된 접지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반송기(1, 2)에 의하여 반송되어, 반송기(2)의 출구의 아래쪽에 설치된 적중기(10)로 낙하하게 함으로써 수납되고, 여기서 일정한 매수의 작은 다발(B)로 쌓아 올려진다. 이 쌓아 올려짐이 행하여 지는 동안, 반송기(2)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접지(A)는, 반송기(2)에 첨부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에 의하여 일시 정지된다.
적중기(10)에 의하여 쌓아 올려진 작은 다발(B)은, 그후 적중기(10)에서 낙하되어져, 아래쪽에 설치된 승강테이블(20)에 수취되고, 푸셔 등의 가로 이송 수단(30)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이송된 후, 턴테이블(40)상에 얹히고, 집적기(10)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일정한 다발수까지 집적되고, 그후 도시하지 않은 결속기에 의하여 결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지(A)는, 일예로써 종이 한장을 둘로 접은 상태나, 나아가서는 둘로 접은 상태로 윤전기 등에서 배출되고, 반송기(1, 2)상에서는 제1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이 약간 보이도록 쌓아 올려진 상태로 이송된다.
반송기(1, 2)상에는, 제1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개의 안내규제구(3, 4, 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안내규제구(3, 4, 5)는, 종래의 안내구와 같이 접지(A)가 반송기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내하는것 이외에 접지(A)의 위치, 방향을 규제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출구측의 안내규제구(5)에 구비된 2개의 안내규제판(5a, 5b)은, 제1도(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그의 대향 거리(L1)를 접지의 폭(W)(일점쇄선)과 거의 일치시켜 놓고 있다.
폭(W)은 제1도(a)의 도시와 같이 접지(A)의 양단(a, a) 사이의 길이이다. 중간에 있는 안내규제구(4)에 구비된 2개의 안내규제판(4a, 4b)은, 그의 대향 거리(L2)를 출구측의 안내규제구(5)의 경우의 대향 거리(L1)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고, 입구측의 안내규제구(3)에 구비된 2개의 안내규제판(3a, 3b)은, 그의 대향 거리(L3)를 중간의 안내규제구(4)의 경우의 대향 거리(L2)보다도 더 크게 하여, 접지(A)가 걸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안내규제구(3, 4, 5)는, 일예로써 중량이 있는 원판의 중심으로부터 변위시킨 위치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을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진동 부여 수단에 의해 각각에 구비된 안내규제판(3a, 4a, 5a)이 접지(A)의 끝단(a)에 대하여 닿고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진동에 더하여 접지(A)의 반송방향으로도 진동하도록 되고, 이른바 회전 진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안내규제판(3a, 4a, 5a)의 진동은, 상술한 회전 진동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접지(A)의 끝단(a)에 대하여 닿고 떨어지는 방향만을 채책하여도 무방하다.
또, 이들 안내규제구(3, 4, 5)는, 접지(A)의 사이즈에 따라 대향 거리를 바꿀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안내규제구(3)의 안내규제판(3a, 3b)은 제각기 지지체(81, 82)에 부착되어 있고, 안내규제구(4)의 안내규제판(4a, 4b)은 상기 지지체(81, 82)와 일체화된 지지체(83, 84)에 제각기 부착되고, 안내규제구(5)의 안내규제판(5a, 5b)은 제각기 지지체(85, 86)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81, 82)는 제각기 오른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너트부재(81a, 82a)를 1개씩 가지고 있고, 그 너트부재(81a, 82a)에 이송 나사봉(87)의 양측에 형성된 오른나사부(87a)와 원나사부(8b)를 나사로 끼우고, 지지체(81, 82)의 너트부재(81a, 82a) 보다도 왼측 부분을 윗면이 매끄러운 지지봉(90)위에 얹히게 하여 전체가 지지되어 있고, 이송 나사봉(87)의 회동에 의해 지지체(81, 82)가 지지봉(90)위를 미끄러져 닿고 떨어지도록 되어있다.
이 지지체(81, 82)의 동작에 수반하여 지지체(83, 84)도 마찬가지로, 닿고 떨어진다. 지지체(85, 86)는 각각 2개의 너트부재(85a, 85b), (86a, 86b)를 가지고, 한쪽의 너트부재(85a)와 (86a)에 이송 나사봉(88)의 양측에 형성한 오른나사부(88a)와 원나사부(88b)를 나사로 끼우고, 또 다른쪽의 너트부재(85b)와 (86b)에 이송 나사봉(89)의 양측에 형성한 오른나사부(89a)와 왼나사부(89b)를 나사로 끼워서 지지되어 있고 이송 나사봉(88, 89)의 회동에 의하여 닿고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이송 나사봉(87∼89)은, 반송기(1, 2)를 지지하는 프레임(91, 92)에 결쳐져 설치되어 있다.
중앙의 이송 나사봉(88)에는 핸들(93)이 부착되고, 이 핸들(93)을 회동시킴으로서, 이송 나사봉(88)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 핸들(93)의 회동력은, 양단에 기어(94a, 94b)를 구비한 연결봉(94)과, 기어(94a)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중앙의 이송 나사봉(88)에 마련된 기어(95a)와, 기어(94b)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우측의 이송 나사봉(89)에 마련된 기어(95b)를 개재하여, 우측의 이송 나사봉(89)에 전달되며, 이로써 이송 나사봉(89)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각 기어(94a, 94b, 95a, 95b)는 이송 나사봉(89)이 중앙의 이송 나사봉(88)과 같은 방향·속도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도록 치수(齒數) 등이 설계되어 있다. 방향과 속도가 상이하면 2개의 이송 나사봉(88, 89)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체(85, 86)는 이동 불가능하게 된다. 또, 핸들(93)의 회동력은 양단에 기어(96a, 96b)를 가진 연결봉(96)과, 기어(96a)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중앙의 이송 나사봉(88)에 마련된 기어(97a)와 기어(96b)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좌측의 이송 나사봉(87)에 마련된 기어(97b)를 개재하여, 좌측의 이송 나사봉(87)에 전달되고, 이로써 이송 나사봉(87)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각 기어(96a, 96b, 97a, 97b)는 이송 나사봉(87)이 중앙의 이송 나사봉(88)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만, 이들 기어(96a) 등에 대해서는, 이송 나사봉(87, 88)이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된다.
따라서, 핸들(93)을 정역 회전시키면, 2개의 이송 나사봉(88)과 (89)가 동일한 방향, 속도로 회전하고 안내규제판(5a, 5b)이 접근하고 멀어진다. 또, 이송 나사봉(87)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지지체(81)과 (82)가 지지봉(90)상을 미끄러져 가고, 지지체(81)과 (82)에 설치된 안내규제판(3a, 3b) 및 지지체(81)과 (82)에 일체화된 지지체 (83)과 (84)에 설치된 안내규제란(4a, 4b)가 접근하고 멀어진다.
이와 같은 접근하고 멀어지는 것에 관해서는, 반드시 상기 구조의 것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구조로 된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 핸들(93)의 조작에 의하여 대향 거리(L1, L2, L3)가 제각기 동일한 칫수만큼만 변화되도록 한다거나, 혹은 각 안내규제구(3, 4, 5)의 대향 거리(L1, L2, L3)를 상이한 변화량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상기 반송기(2)의 출구에는, 제1도(a)의 도시와 같이, 접지(A)를 위아래 방향에서 끼워잡는 1쌍의 로울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1쌍의 로울러(6)는 접지(A)가 자유롭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른바 빳빳한 성질을 부여하는 것이며, 제3도의 도시와 같이, 1쌍의 로울러(6)중 한쪽의 로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상측의 로울러(6a)는 폭방향 중앙부를 오목 형상으로 패이게 형성되고, 다른쪽(하측)의 로울러(6b)는 폭방향 중앙부를 반대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로울러(6a)의 오목 형상부에는 하측의 로울러(6b)의 볼록 형상부가 들어가도록 위치결정이 되어 있고, 또 오목 형상부의 패인 깊이와 볼록 형상부의 돌출 높이는 동일한 칫수로 형성되고, 그 칫수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A)에 빳빳한 성질을 부여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1쌍의 로울러(6)는 접지(A)를 양측에서 끼워 잡으면, 그의 폭방향 중앙부를 산형상으로 구부린다. 그리고, 제3도에서 번호 7은, 공기를 분출하는 노즐이고, 상측의 로울러(6a)와 하측의 로울러(6b) 사이의 4개소를 향하여 공기를 뿜어내어, 접지(A)가 로울러에 딸려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4도는, 노즐(7)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5도에서, 반송기(2) 출구의 아래쪽에는, 반송기(2)의 출구에서 낙하하여 오는 접지(A)를 수취하는 적중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중기(10)는,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접지(A)가 쌓아 올려지는 바닥판(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바닥판(11)은, 실린더(12)의 진출, 퇴입 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12)가 진출되어 있을때 접지(A)를 받을 수 있게 반송기(2) 출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실린더(12)가 퇴입하면 반송기(2)의 아래측으로 들어가고, 이 퇴입 동작에 의하여, 수취한 접지(A)를 아래쪽으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1)의 위쪽 주위에는, 접지(A)의 폭방향 양끝을 규제하는 2개의 측판(13a, 13b)과, 접지 접촉판(14)이 마련되고, 또한 제7도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지 접촉판(14)은,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판재(14a)를 복수로 구비한 것으로 되고, 반송기(2)의 접지 반송 방향측에 배치되고, 반송기(2)에서 낙하되는 접지(A)가 맞닿는다. 2개의 측판(13a, 13b)은, 상술한 대로 접지(A)의 양끝(a, b)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며, 양끝(13a, 13b)의 대향거리(L4)는 접지(A)의 폭과 거의 일치시켜 놓고 있다.
그리고, 수평이동하는 바닥판(11)에 대하여, 이 측판(13a, 13b)은 이동하지 않고, 측판(13a, 13b)의 하단과 바닥판(11)과의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고, 이 틈으로부터 접지(A)가 빠져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판(13a, 13b)의 하다에는 바닥판(11)에 도달하는 브러시(13c)(도면에는 한쪽만 나타나 있다)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5)는, 상하에 있는 2개의 로울러, 구체적으로는 상기 1쌍의 로울러(6)중 하측의 로울러(6b)와, 그 로울러(6b)의 하측에 있는 로울러(16)에 걸쳐 있는 무단벨트(17)로 되고, 이 무단 벨트(17)의 접지(A)측의 부분을 아래에서 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지(A)의 끝면이 가지런하게 맞춰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접지 접촉판(14)은, 도시하지 않은 진동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접지(A)의 끝면에 닿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전체가 진동하여 접지(A)의 끝면을 가지런하게 맞춘다. 또, 바닥판(11)은, 무단 벨트(17)나 접지 접촉판(14)의 핀재(14a)의 도중을 가로질러 진출, 퇴입할 수 있도록,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단 벨트(17)나 판재(14a)가 속으로 들어가는 슬릿(11a)이 소정의 수만큼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1)이 접지(A)를 수취가능한 상태, 즉 실린더(12)가 진출된 상태에서, 그 바닥판(11)의 아래쪽에는 승강 테이블(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테이블(20)은, 제9도의 도시와 같이 2개로 분할되고, 그 2개의 분할 테이블(20a, 20b)은 제각기 실린더(21a, 21b)에 의하여 동기하고, 또한 같은 동작으로 상하운동한다.
상기 승강 테이블(20)의 측방에는, 상기 가로 이송 수단(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로 이송 수단(30)은 실린더(31)를 구비하고, 그의 실린더 로드(31a)의 진출, 퇴출동작에 의해 실린더 로드(31a)의 선단에 부착된 푸셔(32)가 진퇴한다. 또, 실린더(31) 자체는, 제10도의 도시와 같이 직선 왕복운동을 부여하는 캠 기구(33)를 구비한다. 이 캠 기구(33)는, 실린더(31)에 부착된 발톱(34)과, 그 발톱(34)이 삽입되는 홈(35a)이 형성된 원주체(35)로 이루어지고, 원주체(35)가 모터(36)로 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면, 회전하는 홈(35a)에 대하여 발톱(34)이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홈(35a)은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운동이 가능하도록 원주체(35)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어 있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그 경사를 변화시켜 놓았으며, 상술한 발톱(34)의 직선 왕복운동과 실린더 로드(31a)의 진출, 퇴입 동작에 의하여, 푸셔(32)는 제11도의 도시와 같이, 퇴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출 한도(F)까지 진출하는 경우에는 서서히 동작을 하고, 진출된 상태에서 퇴입 한도(E)까지 퇴입할 경우에는 재빨리 동작을 하는 것과 같은 가변속도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테이블(20)이 2분할되어 있는 것은, 실린더 로드(31a)에 승강 테이블(20)이 접촉함이 없이 상승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다. 또,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상술한 분할 테이블(20a, 20b)과, 그것을 상하 동작시키는 실린더(21a, 21b)와의 조립은, 푸셔(32)가 끼워져 통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22)을 가진 틀조립 구조로 되고, 승강 테이블(20)이 상승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푸셔(32)가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푸셔(32)에 의해 가로 이송되어 정지한 작은 다발(B) 아래측에는, 턴테이블(40)이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40)은, 제12도(평면도) 및 제13도(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위치에서 회전하는 테이블 본체(41)와, 그 테이블 본체(41)에 대하여 상하 동작이 가능하고, 하단에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테이블 본체(41)에 형성된 구멍(41a)에 끼워져 면이 동일하게 되는 나무가지 형상으로 된 승강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42)는 접지(A)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교체되고, 예를 들면, JISA열 3번, A5.2페이지를 매긴 접지에 대해서는 제12도의 하반측에 나타낸 것을 선대칭으로 가지는 것으로, 그리고 JISA열 4번, A열 5번의 접지에 대해서는 제12도의 상반측에 나타낸 것을 선대칭으로 가지는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된다.
상기 테이블 본체(41) 및 승강 부재(42)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그 회전은 제14도의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 구동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회전 구동계는, 가역 회전형으로 브레이크부(付) 모터(43)와, 그모터(43)의 축(43a)에 부착된 기어(44a)와, 그 기어(44a)에 맞물린 기어(44a)를 구비한다. 이 기어(44b)의 상측에는 테이블 본체(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되고, 하측에는 실린더(4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린더(45)는, 그의 상측에 위치하는 실린더 로드(45a)가 기어(44b)를 관통하여 부착되고, 실린더 로드(45a)의 선단에는 상기 승강 부재(4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블 본체(41) 및 승강 부재(42)는 일체적으로 모터(43)에 의하여 회전하고, 승강 부재(42)는 회전의 유무에 관계없이 테이블 본체(41)에 대하여 상하 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 기어(44a)에는 캠형 스위치(49)의 기어(49a)가 맞물려 있다. 이 스위치(49)는, 턴테이블(40)을 바라는 각도만큼 회전시키며, 또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턴테이블(40)을 소정의 기준위치와 180도로 회전한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시킬 경우, 180도의 위치가 되도록, 또 상기 기준위치로 복귀되도록, 모터(4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개폐자(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또, 상기 제1개폐자에 더하여, 예를들면, 턴테이블(40)을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킬 경우, 기준위치 및 그 양측의 90도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제2개폐자(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들 제1, 제2 개폐자는, 텐테이블(40)의 회전이 정지되기 직전에 작동하고, 그 작동은 상기 기어(49a)의 회전수나 회전 위상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시에는 개폐자의 스위치-온 동작을 받아, 모터(43)의 인버터(43c)로 부터의 주파수는, 모터(43)를 정상 회전속도보다 가급적 저속의 회전으로 하기 위한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리고, 턴테이블(40)이 바라는 각도에 도달했을 때, 모터(43)로 흐르는 전류가 끊기고, 동시에 모터(43)의 브레이크가 작용하여, 모터(43), 환언하면, 턴테이블(40)이 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턴테이블(40)의 회전각도는, 접지(A)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선택된다. 180도 회전은, 예를들면 JISA열 4번의 접지(A)에 대하여, 또 양측의 90도 회전은, 예를 들면 JISA열 3번, A열 5번, 또는 이른바 A5.2페이지부(A열 3번의 시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둘로 접은 것에 상당함)의 접지(A)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선택할때, 180도 회전의 경우는 상기 캠형 스위치(49)의 제2개폐자에 속하는 회로가 닫히지 않도록 하고, 한편 양측 90도 회전의 경우는 상기 스위치(49)의 제1개폐자가 적용하지 않도록 해둔다.
이러한 턴테이블(40)은, 제15도의 도시와 같이, 실린더(46a)를 부착한 프레임(46)을, 실린더(46a)의 작동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2도의 접지를 받아들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동작을 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46)의 양측에 설치된 받침대(47a, 47b)의 한쪽 받침대(47a)상에 프레임(46)의 일단측이, 가이드 레일(48a)과, 그것에 끼워 맞추어진 미끄럼판(48b)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다른 한쪽의 받침대(47b)상에는 프레임(46)의 타단측이 바퀴(48c)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46a)의 실린더 로드(46b)를 전퇴시킴으로써, 턴테이블(40)은 전후 동작을 한다. 이 전후 동작은, 제21도의 도시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는 작은 다발(B)의 끝면을 조금 비키게 하여 집적기(70)에 의하여 집적하는 경우,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으로 집적할 경우에 사용한다.
그리고, 집적 상태로서는, 상기한 지그재그 경상 이외에, 작은 다발(B)의 끝면을 상하의 작은 다발(B)과 가지런히 맞춰놓은 상태 등이 있다.
턴테이블(40)에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 턴테이블(40)이 수취한 작은 다발(B)의 4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 설치된 착탈가능한 4개의 문(50, 50, 50, 50)과, 후술하는 작은 다발(B)을 받아들이는 방향(C)을 따라 병렬하는 문(50)과 문(50) 사이에 대응하는 개소에 마련된 2개의중간 펜스(51, 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문(50)은 각각, 제16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축(52)에 화살표 방향(D)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세트 나사(53)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기 축(52)에 구비된 커플링(52a)을, 피니온(55)을 가진 회전 커플링(54)에 삽입함으로써 세워 설치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커플링(54)은, 접지(A)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문(50)의 설치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으므로, 그 배치는 제17도의 도시와 같이 다수가 소정의 장소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7도에 나타내어진 위치 P3-1, P3-2, P3-3, P3-4가 A3 사이즈의 접지에 대한 상기 회전 커플링(54)의 배치 장소이다. 또, 위치 P4-1, P4-2, P4-3, P4-4가 A4 사이즈의 접지에 대한 배치 장소이며, 위치 P5-1, P5-2, P5-3, P5-4가 A5 사이즈의 접지에 대한 배치 장소이고, 위치 P2-1, P2-2, P2-3, P2-4가 A5.2페이지부의 접지에 대한 배치 장소를 나타내고 있다. A3의 접지에 대한 회전 커플링(54)은 또한 위치 P3-10, P3-20에도 배치된다.
상술한 문(50, 50, 50, 50)중, 개폐를 요하지 않는 문도 있다. 예를 들면, 제12도의 화살표 방향 C로 부터 턴테이블(40)로 이송되고, 또한 접지의 접힌 금이 상기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자세로 이송되는 작은다발(B), 구체적으로는 A3, A5, A5.2페이지부의 접지(A)의 경우에서, 턴테이블(40)의 상기 도면에서의 세로 중심선에서 좌측의 문이 해당한다. 즉, A3의 접지에 대하여, 위치 P3-3, P3-4에 대응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적용되는 문, A5의 접지에 대하여, 위치 P5-3, P5-4에 대응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적용되는 문, A5.2페이지의 접지에 대하여, 위치 P2-3, P2-4에 대응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적용되는 문이다. 개폐를 요하지 않는 문을 위한 커플링은 부호 54'로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개폐를 요하지 않는 것도 개폐가능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하여도 지장이 없다.
상기 회전 커플링(54)은 제각기, 피니온(55)을 가지고, 그 피니온(55)에는 랙(56a) 또는 (56b)와 맞물려 있다. 전자의 랙(56a)은 실린더(57)에 의하여 왕복 직선운동을 하고, 후자의 랙(56b)은 실린더(58)에 의하여 왕복 직선운동을 한다. 따라서, 랙(56a)을 작동시키면, 그것에 맞물리는 피니온(55)을 가진 회전 커플링(54)이 회전한다. 따라서, 이 회전 커플링(54)에 접속된 상기 축(52)을 가진 문(50)은 개폐된다.
한편, 랙(56b)을 작동시키면, 그것에 맞물리는 피니온(55)을 가진 회전 커플링(54)이 회전하고, 그것에 접속된 축(52)을 가진 문(50)은 개폐된다. 이 개폐는 모든 문(50)의 각각에 대하여, 또는 적어도 승강 테이블(20)측의 것에 대하여 가능하다면 좋다. 그리고, 상술한 랙(56a, 56b), 피니온(55), 회전 커플링(54), 커플링(54') 및 실린더(57, 58)는, 턴테이블(40)의 아래측에 부착된 박스(59a, 59b)에 적당히 배분되어, 소정의 동작을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40) 및 박스(59a, 59b)는 문(50)의 축(52)의 하단부가 끼어져 통과할 수 있는 구멍(15)을 가진다. (제12도참조)
상술한 중간 펜스(51)는,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좌우로 병렬하는 것을 1조로 하여, 상하 위치에 2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 중간 펜스(51)는, 제13도의 도시와 같이 지지체(60, 60)상에 부착된 브래킷(6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60, 60)는, 제17도의 도시와 같이 2개의 이송 나사봉(62, 62)으로 연결되고, 각 이송 나사봉(62, 62)의 양측에 형성된 오른나사부(62a, 62a)와 왼나사부(62b, 62b)에는 너트부(63, 63, 63, 6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송 나사봉(62, 62)은 턴테이블(40)에 고정된 프레임(64)에 걸쳐 설치되어, 체인 스프로켓 전동기구(65)에 의하여 연결되고, 한쪽 이송 나사봉(62)에 설치된 핸들(66)을 정역회전시키면, 양쪽의 이송 나사봉(62, 62)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지지체(60, 60)는 그의 대향 방향(제12도의 상하방향)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며, 이에 수반하여 각조의 중간 펜스(51)도 접근하거나 멀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문(50)과 중간 펜스(51)는 각각의 구동기구가 턴테이블(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40)의 회전시에 그것과 더불어 회전한다.
턴테이블(40)의 상측에는, 상술한 집적기(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집적기(70)는, 제18도의 도시와 같이, 승강 부재(42)가 상승하여 오면, 그 위의 작은 다발(B)을 떠내는 구성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점(71)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한 2개의 아암(72)과, 그 아암(72)의 하단에 설치된 떠올림판(73)을 구비한다. 떠올림판(73)은,제19도의 도시와 같이 상술한 나무가지 형상으로 된 승강 부재(42)의 간격이나 바깥측으로 들어가도록 갈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 부재(42)와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아암(72)은 승강 부재(42)가 상승하여 올 때, 2개의 떠올림판(73)을 떨어지게 하여 작은 다발(B)에 맞닿지 않도록 떠올림판(73)을 바깥측으로 넓힐 수 있게 바깥측으로 용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부재(42)가 떠올림판(73) 보다도 위쪽의 소정 높이인 상승 한도에 달하면, 아암(72)이 내측으로 요동하여 떠올림판(73)이 작은 다발(B)의 아래로 들어가고, 그후 승강 부재(42)가 내려가면, 작은 다발(B)이 떠올림판(73)에 의하여 떠올려진다.
그리고, 이때, 떠올림판(73)에 그 이전에 떠올려진 다른 작은 다발(B)이 있을 경우에는, 맨나중에 떠올려진 작은 다발(B)은 상기 다른 작은 다발(B)의 아래측에 집적된다. 제18도에서 번호 74는, 작은 다발(B)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유지하는 측판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윤전기 등으로 부터 접지(A)를 받아들이기에 앞서, 처리할 접지(A)의 사이즈에 따라 턴테이블(40)의 소정 장소에 문(50)을 마련되는 동시에, 중간 펜스(51)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문(50)은 접지(A)를 받아들이는 입구측(제4도에서 좌측)에서는 접지(A)를 받아들일 수 있게 개방 상태로 하고, 입구측과 반대측에서는 스톱퍼로서 가능하도록 폐쇄 상태로 한다. 또 턴테이블(40)의 회전각을 조정하는 제1, 제2 개폐자를, 처리하는 접지(A)에 따라 선택 사용한다. 이하, 접지(A)가 JISA열 3번, A열 5번 사이즈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하면, 윤전기 등으로 부터 접지(A)를 배출시킨다. 배출된 접지(A)는 먼저 반송기(1, 2)에 의하여 순차로 반송되어 간다. 이때 반송기(1, 2)에 마련된 안내규제구(3, 4, 5)에 의해 접지(A)는 서서히 방향이나 위치가 정해져 간다. 그리고 1쌍의 로울러(6) 사이로 들어가면, 여기서 산형상으로 절곡되어 빳빳한 성질이 부여된 후, 그 로울러(6)에서 배출된다. 이 배출된 접지(A)는 적중기(10)에 수취된다. 이때, 접지(A)는 빳빳한 성질이 주어져 있으므로, 접지 접촉판(14)등과 맞닿더라도 절곡되는 일이 없고, 바닥판(11)상애 얹힌다. 또, 고정된 2개의 측판(13a, 13b)과, 진동하는 접지 접촉판(14)과, 회전하는 무단 벨트(17)에 의하여 접지(A)의 끝면이 가지런하게 된다.
그후에, 바닥판(11)상에 접지(A)이 일정한 매수만큼 쌓아올려지면,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가 작동하여, 반송기(1, 2)상의 접지(A)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접지(A)가 일정한 매수만큼씩 구분된다. 그리고, 접지(A)가 일정한 매수 쌓아올려져 이루어진 작은 다발(B)은 바닥판(11)의 후퇴에 의해 낙하되어, 승강 테이블(20)상에 수취된다. 이때, 승강 테이블(20)은 바닥판(11)의 후퇴에 앞서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둔다.
이어서, 푸셔(32)가 작동하여 승강 테이블(20)상의 작은 다발(B)이 밀려가서, 턴테이블(40)상으로 이동한다. 턴테이블(40)에의 작은 다발(B)의 이송은, 접지(A)가 JISA열 3번, A열 5번 사이즈의 경우는 작은 다발(B)이 제12도에서의 세로 방향에 상당하는 자세로, 턴테이블(40)의 측방으로부터 화살표 방향(C)으로 향해서 간다. 그리고, 푸셔(32)에 의해 밀어져서 작은 다발(B)이 이동하는 동안에, 승강 테이블(20)은 다음의 접지(A)를 받기 위해 상승하고, 그후, 푸셔(32)는 대기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경우에, 승강 테이블(20)은 2분할되고, 또 내부 공간(2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푸셔(32) 및 실린더 로드(31a)는 승강 테이블(20)과는 접촉하지 않고 소망의 동작을 한다.
그리고, 상술한 작은 다발(B)의 이송 후에, 턴테이블(40)은 모터(43)에 의하여 제12도의 우회전(또는 좌회전)으로 90도 회전하여 정지한다. 그 회전시에는 필요에 따라 당초에 개방해 놓은 문(50, 50)은 탈락 방지를 위해 폐쇄된다. 또, 턴테이블(40)의 중간 펜스(51)는, 푸셔(32)에 의하여 승강 테이블(20)로 부터 밀리어 오는 작은 다발(B)을 받아 들일 때와 턴테이블(40)이 회전할 때의 측방 지지체로서 기능을 한다.
이어서, 턴테이블(40)은 회전 정지 상태인 채로 실린더(45)의 실린더 로드(45a)를 진출시켜, 승강 부재(42)를 필요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그후, 필요한 높이로 들어올려진 작은 다발(B)은, 집적기(70)에 집적된다.
집적기(70)에 의한 처리가 계속된 후, 승강 부재(42)는 정위치까기 하강되고, 턴테이블(40)은 다음의 접지(A)의 수취를 대비하여, 앞서와는 반대방향, 즉 제12도의 좌회전(혹은 우회전)으로 90도 회전하여 기준위치로 돌아간다.
이러한 첫번째의 작은 다발(B)의 처리중에, 두번째의 작은 다발(B)로 되는 접지(A)가 적중기(10)에 수취되어 적중기(10)에 접지(A)가 일정한 매수로 되면, 두번째의 작은 다발(B)로 하여 이것을 푸셔(32)가 승강 테이블(20)로 부터 턴테이블(40)로 이동시킨다.
이번에는, 턴테이블(40)은 첫번째의 작은 다발(B)과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을 한다. 그후, 두번째의 작은 다발(B)은 승강 부재(42)에 의해 들어올려진 후에, 집적기(70)에 의하여 집적된다. 이 집적은, 상기 첫번째의 작은 다발(B)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행해진다.
이하, 동일한 방법으로, 작은 다발(B)을 받아들인 턴테이블(40)은 각 작은 다발(B)의 수평방향 90도 반전작동이 반복된다. 또, 집적기(70)는 순차로, 작은 다발(B)을 접지(A)의 접힌 금을 반대쪽으로 가지런하게 집적한다. 그리고, 이 집적을 할때에, 상술한 실린더(46a)에 의하여 턴테이블(40)을, 작은 다발(B)의 집적순으로 교대로 소요 방향으로 소요량만큼 비키어놓음으로써,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작은 다발(B)의 집적 형상을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으로 집적할 수도 있다.
그후에, 집적기(70)에 집적된 복수의 작은 다발(B)은, 도시하지 않은 결속기로 이송되고, 여기서 밴드 등으로 결속된다.
또, 상기 동작 설명에서는, 접지(A)가 JISA열 3번, A열 5번 사이즈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접지(A)가 JISA열 4번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준비작업에서, 턴테이블(40)에 대한 작은 다발(B)의 이송 자세는 제12도에서의 가로 방향에 상당하고, 또 접지(A)의 크기가 JISA열 3번, A열 5번의 경우와는 상이하므로 문(50)을 설치할 위치나 중간 펜스(51)의 이격 거리를 조정한다. 또, 작은 다발(B)이 상술한 대로 가로 방향으로 이송되므로, 턴테이블(40)은 기준위치와 180도 회전한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정지하는 상태로 설정한다. 또, 안내규제구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당초 개방 상태에 있던 입구측의 문(50, 50)은, 턴테이블(40)의 회전시에는 폐쇄되도록 해둔다.
이러한 준비후에, 접지(A)를 받는다. 그후, 턴테이블(40)에 작은 다발(B)이 이송될 때까지는 상술한 대로 행해지나, 턴테이블(40)에서는, 첫번째의 작은 다발(B)에 대하여 기준위치(또는 180도 회전한 위치)에서 수취하고, 턴테이블(40)을 정지시킨채 집적기(70)로 작은 다발(B)을 집적한다. 두번째의 작은 다발(B)에 대해서는, 그 작은 다발(B)을 기준위치(또는 180도 회전한 위치)에서 수취한 후, 턴테이블(40)은 180도 회전하고, 그런 후에 집적기(70)에 의하여 첫번째의 작은 다발(B)과는 접힌 금을 반대측으로 하여 집적시킨다. 이하, 동일 방법으로 후속의 작은 다발(B)이 처리된다.
그리고, 접지(A)가 JISA열 4번인 경우에는, 상술한 대로 기준위치(또는, 180도 회전한 위치)에서 작은 다발(B)을 턴테이블(40)이 수취한 후, 첫번째(홀수번째)는 그대로 두고, 두번째(짝수번째)는 180도 회전되어 있는데, 이렇게 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두번째(짝수번째)의 작은 다발(B)을 턴테이블(40)이 수취할 때, 혹은 수취전에 미리 턴테이블(40)을 180도 회전시켜 놓고, 수취한 후에는 그대로의 상태로 집적기(70)에 의해 집적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접지(A)가 A5.2페이지부의 것인 경우에는, 승강 부재로서 부호 42를 붙인 것을 적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A열 3번, A열 5번 사이즈의 접지의 작은 다발 적중체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같은 작동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규제구(3,4, 5) 각각의 안내규제판(3a, 3b)(4a, 4b)(5a, 5b)의 양쪽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켜, 접지(A)에 폭(W)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만을 진동시켜도 좋다. 또, 양쪽 모두 진동시키는 것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송기에 대하여 3개의 안내규제구를 마련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라면 임의의 수 만큼 마련하도록 하여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쌍의 로울러(6)에 의하여 접지(A)가 산형상으로 절곡되는 부위를 접지(A)의 폭방향 중앙부로 하고 있으나, 접지(A)의 폭방향 전체를 산형상으로 절곡하여도 되고, 또, 산형상으로 절곡되는 부위는 1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우에는, 반송기에 안내규제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 안내규제구에 의하여 방향이 맞춰진 상태에서 접지가 반송되어 가고, 또, 로울러에 의하여 접지가 산형상으로 꺾이므로, 접지의 중앙부가 강해져서 적중기나 그 주변의 부재와 맞닿더라도 절곡되는 일이 없고, 작은 다발의 끝면이 가지런하게 맞춰진 상태가 되고, 그 작은 다발을 제본하여도 절곡된 페이지가 없고, 불량품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윤전기 등으로 부터 순차로 배출되어 온 접지(A)를 다발을 지어 결속기에 건네 주도록 상기 접지를 수취하여 방송하는 반송기(1, 2)와, 반송되어 온 접지를 수취하여 일정한 매수의 작은 다발(B)로 쌓아 올리고 그후 작은 다발을 낙하시키는 적중기(10)와, 이 적중기가 접지를 작은 다발로 쌓아 올리는 동안, 반송기에 의하여 반송되는 접지를 일시 정지시키는 스톱퍼와, 상기 적중기에서 낙하하여 온 작은 다발을 수취하는 승강 테이블(20)과, 이 승강 테이블상의 작은 다발을 가로방향으로 이송하는 가로 이송 수단(30)과, 이 가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작은 다발이 얹히는 동시에, 그 전후의 작은 다발과는 접지의 접힌 금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회동하는 턴테이블(40)과, 이 턴테이블상의 작은 다발을 들어 올려, 작은 다발을 일정한 다발수까지 집적하는 집적기(70)로 구성되는 접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의 출구에, 접치(A)를 상하방향에서 끼워잡도록 설치되어 있고, 적중기(10)에 이송되는 접지의 중앙부를 반송기 출구측에서 보아 산형상이 되도록, 한쪽 로울러(6a)의 중앙 둘레부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쪽 로울러(6b)의 중앙 둘레부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로울러(6)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적중기(10)는 상기 1쌍의 로울러(6)로 부터 계속 보내어진 접지(A)가 낙하하는 영역인 반송기 출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처리 장치
KR2019960014271U 1991-02-04 1996-05-31 접지(摺紙) 처리장치 KR96000655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3227 1991-02-04
JP3013227A JPH04253617A (ja) 1991-02-04 1991-02-04 折丁結束前処理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967 Division 1991-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58Y1 true KR960006558Y1 (ko) 1996-07-31

Family

ID=1182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271U KR960006558Y1 (ko) 1991-02-04 1996-05-31 접지(摺紙)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53617A (ko)
KR (1) KR9600065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3698A (ja) * 1995-11-30 1997-06-10 Sony Corp 収納装置
JP3857426B2 (ja) * 1998-07-23 2006-12-13 グンゼ株式会社 紙片供給装置
JP6853715B2 (ja) * 2017-03-29 2021-03-3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3421Y1 (ko) * 1965-11-21 1968-10-03
JPH0671964B2 (ja) * 1987-01-07 1994-09-14 グンゼ株式会社 折丁結束前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53617A (ja) 199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4888B1 (de) Produktstapelvorrichtung
EP0271042B1 (de) Verpackungsverfahren und Verpackungsautomat für Briefhüllen und Versandtaschen
DE69628589T2 (de) Lad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tapeln von dokumenten
US4477218A (en) Offset stacker and method
US4569620A (en) Book turn-around and stack accumulator apparatus
US6322315B1 (en) Web stacker an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EP3068712A1 (en) A palletizing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palletizing
US7607883B2 (en) Palletizing machine pusher with raised return rail
SE466701B (sv) Anordning foer stapling av satsvis anordnade foeremaal
US5628614A (en) Continuous motion stacking apparatus and methods
DE3321756A1 (de) Vorrichtung zum stapeln von zuschnitten
CA28598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cking items
US72434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 packaging station of an insulation batt packager
US4090441A (en) Apparatus for stacking and baling newspapers or the like
US6135705A (en) Product st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6106219A (en) Stack form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7828507B2 (en) Stack turning apparatus with multiple drive means to straighten and eject stack from turntable
KR960006558Y1 (ko) 접지(摺紙) 처리장치
US3420387A (en) Blank handling apparatus
EP1354797B1 (de) Vorrichtung zum Pack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 Transportbehälter, insbesondere von flach gefalteten Faltschachteln in Umkartons
US5788459A (en) Support shelf for vertical stacking system
US5507128A (en) Tray blank magazine and infeed for packaging machine
DE69709949T2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kartonzuschnitte
US638682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yers such as stack layers of paper
US20130051968A1 (en) Piling machine for flat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