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488Y1 - 절첩식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488Y1
KR960006488Y1 KR2019930021504U KR930021504U KR960006488Y1 KR 960006488 Y1 KR960006488 Y1 KR 960006488Y1 KR 2019930021504 U KR2019930021504 U KR 2019930021504U KR 930021504 U KR930021504 U KR 930021504U KR 960006488 Y1 KR960006488 Y1 KR 960006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adhesive
folde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491U (ko
Inventor
배종수
Original Assignee
배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수 filed Critical 배종수
Priority to KR201993002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488Y1/ko
Publication of KR950011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4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3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 B65D5/364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the secured corners presenting diagonal, bissecting or similar folding lines, the central panel presenting no fold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절첩식 포장용 상자
제1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전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접은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으로 상자체를 형성하는 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으로 상자체를 형성한 사시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는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상자체를 형성하는 상태사시도이며
제7도는 상자체를 형성한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체 2 : 뚜껑체
11, 22 : 정면판 12, 23 : 배면판
14 : 우측면판 13, 24 : 좌측면판
15, 15a, 25, 25a : 접착판 16, 16a : 보강판
18, 18a, 18b, 18c : 절첩부
본 고안은 물건을 적재포장하는 상자체와 뚜껑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정면판과 배면판 일측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보관시나 운반시에 절첩하여 부피를 작게함으로 많은 양의 포장용 상자를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절첩식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물건을 적재하는 상자체를 형성하고 상자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체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왔으며, 제작시에 상자체 및 뚜껑체를 접어서 형성함으로 상자체 및 뚜껑체의 부피가 큰 상태로 사용자에게 운반하여 사용하게 하였던바 포장용 상자의 부피가 커서 많은양을 운반할 수 없어 운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포장용 상자의 부피를 적게한 사방인 정, 배면판 및 좌, 우측면판을 형성하고 그 상, 하부에 절첩이 되게 형성한 절첩판을 형성하여 운반시에는 부피를 작게 접어서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절첩판을 접어서 저면판과 평면판을 형성시켜 사용하게 하였던바, 저면판과 정면판을 형성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절첩판끼리 고정시켜야 함으로 별도의 접착데이프나 철심을 사용함에 불필요한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고, 접착테이프나 철심을 별도로 소모하게 되었으며, 물건을 포장적재한 포장용 상자를 적재하면 하부의 포장용 상자가 찌그러지게 되는 등 포장적재된 물건에 손상을 주게 되었었다.
그리고 실개소 54-10447호와 같이 포장용 상자를 운반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적게 함으로 많은 양을 운반할수 있으나, 포장용 상자를 펼쳐서 물건을 포장하게 되면은 뚜껑체의 일측이 외부로 처지게 되어 외견상 미려하지 못하게 되어 별도의 포장지로 물건을 포장한 포장용 상자를 다시 포장하여야만 함으로서 별도의 포장지가 더필요하게 되어 포장지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건을 적재하는 상자체와 상부를 덮는 뚜껑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정, 배면판의 일측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보관시나 운반시에 부피를 적게하여 보관비 및 운반비용을 줄이며, 정, 배면판의 일측에 형성한 접착판을 좌측면판에 부착하여 상자체를 형성함으로 상부로 포장용 상자를 적층하여도 접착판 및 보강판에 의해 여러겹으로 겹쳐져 있어 하부의 포장용 상자가 찌그러지지 않게 되고, 외견상 미려하게 하여 별도의 포장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여 포장지를 절약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판(10)의 양측에 접착부(3, 3a)를 형성한 좌측면판(13)과 우측면판(14)을 형성하고, 상, 하부에 접착판(15, 15a) 및 보강판(16, 16a)을 양측에 형성하며, 절첩부(18, 18a)를 갖는 정, 배면판(11, 12)을 형성하여 상자체(1)를 이룬다.
그리고 개공(21a)을 형성한 내측에 투명판(26)을 부착한 평면판(21)의 일측이 상기 우측면판(14)에 접하여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첩부(27, 27a)를 갖는 좌측면판(24)을 형성하며, 상, 하부에 접착판(25, 25a)과 절첩부(18b, 18c)를 갖는 정, 배면판(22, 23)을 형성하여 뚜껑체(2)로 이루어진다.
정면판(10)과 평면판(21)의 사방에 일체로 형성된 정, 배면판(11, 12, 22, 23) 및 좌, 우측면판(13, 14, 24)의 경계를 이루는 절첩부(17, 17a, 17b, 17c, 17d, 17e, 17f, 17g)를 형성하고, 정, 배면판(11, 12, 22, 23)의 양측에 형성된 접착판(15, 15a, 25, 25a) 및 보강판(16, 16a)의 경계를 이루는 절첩부(19, 19a, 19b, 19c, 19d, 19e)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 배면판(11, 12) 일측에 형성한 보강판(16, 16a)의 중간부분에 대각선의 절첩부(4, 4a)를 형성하여 일측에 접착부(6, 6a)를 형성하고, 우측면판(14)의 상, 하 부분에 상기 절첩부(6, 6a)와 상호 접착되는 접착부(5, 5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28, 28a는 절취부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상자체(1)와 뚜껑체(2)의 좌측면판(13, 24)과 정, 배면판(11, 12, 22, 23)을 절첩부(17, 17a, 17b, 17c, 17d, 17e, 17f, 17g) 부분을 내측으로 90도 각도인 수직으로 절첩하고, 정, 배면판(11, 12, 22, 2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판(15, 15a, 25, 25a)을 절첩부(19, 19a, 19d, 19e) 부분을 내측으로 절첩한 후 접착판(15, 15a, 25, 25a)의 외측과 좌측면판(13, 24)의 내측인 접착부(3, 3a, 27, 27a)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접착형성한 다음 정, 배면판(11, 12, 22, 23)에 형성한 절첩부(18, 18a, 18b, 18c) 부분을 외측으로 절곡하면 정, 배면판(11, 12, 22, 23) 및 좌측면판(13, 24)이 내측으로 절첩되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와같이 접어놓은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함에 있어 얇게 접어서 운반 및 적층 보관함으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고,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어 운반 비용이 적게들게 된다.
그리고 접혀진 상태에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 배면판(11, 12, 22, 23)을 절첩부(17, 17b, 17e, 17g)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펼치면 좌측면판(13, 24)이 절첩부(17a, 17f) 부분을 중심으로 펄쳐지고, 정, 배면판(11, 12, 22, 23)의 절첩부(18, 18a, 18b, 18c) 부분이 펼쳐지게 된 상태에서 보강판(16, 16a)을 절첩부(19b, 19c)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절곡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이같이 상자체(1)와 뚜껑체(2)를 형성시킨후 상자체(1)의 내부에 물건을 포장적재후 뚜껑체(2)를 우측면판(14) 양측에 형성된 절첩부(17c, 17d)를 절곡하여 상자체(1)의 상부에 덮으면 물건을 용이하게 포장하게 된다.
그리고 뚜껑체(2)의 평면판(21)에 형성한 개공(21a) 및 투명판(26)을 통하여 내부의 물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포장용 상자의 외측이 미려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별도의 포장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판(16, 16a)의 중간 부분을 지나도록 절첩부(4, 4a)를 형성하여 보강판(16, 16a)의 접착부(6, 6a)와 우측면판(14)의 접착부(5, 5a)를 상호 접착이 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되게 절첩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이를 펼칠때 정, 배면판(11, 12, 22, 23)을 펼치면 본 고안의 작동과 같이 작용을 하되 보강판(16, 16a)의 절첩부(4, 4a) 부분은 외측으로 절첩이 되면서 우측면판(14)의 절첩부(17c)가 내측으로 절첩되고, 절첩부(17d)는 외측으로 절첩이 됨으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며, 완전히 정. 배면판(11, 12, 22, 23)을 펼치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포장용 상자의 상자체(1)에 물건을 포장 적재하여도 우측면판(14)측으로 포장할 물건이 흐트러지지 않게 되어 사용하기에 펀리한 것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져 작용하는 본 고안을 접으면 포장용 상자의 부피가 적게 되어 보관할 장소를 적게 차지하게 되고, 운반시에도 많은양을 운반할 수 있어 보관비 및 운반비가 적게 들어가며, 사용자가 손쉽게 펼치면 포장용 상자가 이루어짐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등 물건을 포장시 포장용 상자의 외측이 미려하게 이루어져 별도의 포장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저면판(10)의 전, 후, 좌, 우로 정, 배면판(11, 12) 및 좌, 우측면판(13, 14)을 형성한 상자체(1)의 우측면판(14)으로 전, 후 좌측으로 각각 정, 배면판(22, 23)과 좌측면판(24)을 갖는 뚜껑체(2)의 평면판(21)이 일체로 형성된 절첩식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자체(1)의 정, 배면판(11, 12) 양측으로 각각 접착판(15, 15a)과 보강판(16, 16a)을 형성하고, 뚜껑체(2)의 정, 배면관(22, 23)의 좌측으로 접착판(25, 25a)을 각각 형성하며, 각각의 접착판(15, 15a, 25, 25a)을 좌측면판(13, 24) 내측의 접착부(3, 3a, 27, 27a)에 각각 부착하고, 정, 배면판(11, 12, 22, 23)의 접착판(15, 15a, 25, 25a)측에 각각 대각선으로 절첩부(18, 18a, 18b, 18c)룰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6, 16a)의 중간 부분에 대각선의 절첩부(4, 4a)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절첩부(4, 4a)를 중심으로 일측을 접착부(6, 6a)로 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우측면판(14)의 상, 하부에 접착부(5, 5a)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포장용 상자.
KR2019930021504U 1993-10-19 1993-10-19 절첩식 포장용 상자 KR960006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504U KR960006488Y1 (ko) 1993-10-19 1993-10-19 절첩식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504U KR960006488Y1 (ko) 1993-10-19 1993-10-19 절첩식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491U KR950011491U (ko) 1995-05-16
KR960006488Y1 true KR960006488Y1 (ko) 1996-07-29

Family

ID=1936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504U KR960006488Y1 (ko) 1993-10-19 1993-10-19 절첩식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4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491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351A (en) Compound packing container
US5029709A (en) Package for securely containing a generally rectanguloid article
US2981455A (en) Carton
US3658240A (en) Gift wrapper
US3894682A (en) Container with filling opening and closure means therefor
US3394867A (en) Prewrapped flat-folded carton
US3827552A (en) Reinforced package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JP2004018077A (ja) 紙製容器
KR960006488Y1 (ko) 절첩식 포장용 상자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JPH11236029A (ja) 簡易組立蓋付紙製容器
JPH07137752A (ja) 包装用袋
US1486234A (en) Box
KR100303739B1 (ko) 첨가제로사용되기전성분을개별적으로패키징하기위한다중챔버를가진컨테이너
CN209275080U (zh) 一种啤酒饮料多瓶/听装包装箱
KR200433576Y1 (ko) 종이상자
JP3162867B2 (ja) 包装体
KR200191530Y1 (ko) 연장부가 형성된 쇼핑 백
CN215972969U (zh) 一种可重复使用的箱子
KR0119180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상품의 포장박스
JP3019156U (ja) 小包用紙箱
KR200477582Y1 (ko) 양문형 종이상자
CN215753600U (zh) 一种包装纸箱
CN217049381U (zh) 一种可重复使用的箱子
JPS62139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