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445Y1 -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445Y1
KR960006445Y1 KR2019930013415U KR930013415U KR960006445Y1 KR 960006445 Y1 KR960006445 Y1 KR 960006445Y1 KR 2019930013415 U KR2019930013415 U KR 2019930013415U KR 930013415 U KR930013415 U KR 930013415U KR 960006445 Y1 KR960006445 Y1 KR 960006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ection point
portions
load
shell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81U (ko
Inventor
정래훈
문익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아정기
마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아정기, 마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아정기
Priority to KR2019930013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445Y1/ko
Priority to JP074888U priority patent/JPH078137U/ja
Publication of KR950003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부우스터의 반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다른 실시상태의 외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쉘 12 : 후면쉘
18 : 보강플레이트 30, 30a : 원통부
32, 32a : 원추부 34, 34a : 중앙부
G : 변곡점 P1 : 하중작용부
P2 : 하중지지부
본 고안은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굽힘 변형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쉘전체의 고른 응력분포가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배력장치는 자동차 엔진 매니폴드의 공기흡입에 의한 진공을 배력원으로 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답력이 오퍼레이팅로드로 전달되면 포핏밸브가 움직여 외부공기를 변압실로 도입시켜 파워 피스톤에 의해 배력된 힘을 푸시로드를 통하여 매스터 실린더로 전달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배력장치가 작동되면 배력된 힘(F)은 제2도의 부우스터의 형상에서 매스터실린더의 플랜지부와 볼트로 체결되는 곳에 각각 F/2로 작용하여 쉘의 형상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때에 중앙부(34)의 하중작용부(P1)와 변곡점(G) 사이에서 큰 응력과 변형이 발생된다.
그런데 쉘(10), (12)의 축방향 변형 양이 크면 클수록 출력손실과 브레이크 감각이 나빠지므로 진공식 배력장치는 쉘(10), (12)의 변형 양을 일정한 크기 이하가 되도록 규제하고 있고, 발생되는 응력이 크면 쉘의 내피로성이 저하되어 배력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런 문제점 때문에 기존의 배력장치에서는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제품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쉘(10), (12)의 두께를 키우거나 쉘(10), (12)의 중앙부(34), (34a)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추부(32), (32a)의 경사각(θ)을 키워 셀(10), (12)의 강성저하를 막았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전자는 배력장치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후자는 전장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배력장치의 소형 경량화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중앙부(34), (34a)와 원통부(30), (30a)사이의 원추부(32), (32a) 형상을 특수하게 구성하여 강성저하를 막는 것에 있어서도 복잡한 형상을 취하게 될 경우가 많으므로 금형 제작의 어려움 및 제작비가 고가인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일본 특개평 4-121263 호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연통연장부에 2개의 정압실 연결통로를 형성하고 전방의 변압실과 후방의 정압실 사이를 밀봉하는 원통상연장부와 변압실에 배치되는 압력발생장치와 전방 공간가동벽을 마스터실린더에 부착하고 가동벽 후방 이동장치는 마스터실린더내에 배치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변곡점의 위치 및 보강판의 형상과 원곡부 경사각도가 소·중량형으로 형성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굽힘 변형에 대한 강성향상과 쉘 전체에 고른 응력분포를 미를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쉘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금형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한 제작비로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진공식 배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부의 끝단과 원통부의 끝단 사이의 원추부를 직선으로 형성하고 이때에 형성된 중앙부와 원추부가 만나는 변곡점을 하중작용부 및 쉘의 장착을 위한 하중지지부에 최대한 근접시키고 원통부의 축방향 길이를 내장부품의 작동상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의 길이를 유지토록 하고 응력분포 및 변형량 관계를 고려하여 후면쉘에 비해 응력집중과 큰 변형 양이 생기는 전면쉘에서의 원추부 경사각을 후면 쉘의 원추부 경사각보다 크게 하여 쉘에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로 하여 강성향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기술 수단이 제공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됨 일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부우스터의 반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태의 외관도로써,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일측에 오퍼레이팅로드(14)가 타측에는 푸시로드(16)가 일직선상으로 전후면 쉘(10), (12)의 중앙에 조합되어 장착되고 상기 전후면 쉘(10), (12)을 형성하는 중앙부(34), (34a)와 원추부(32), (32a) 및 원퉁부(30), (30a)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상 구조에서 중앙부(34), (34a)와 원통부(30), (30a)를 잇는 원추부(32), (32a)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중앙부(34), (34a)와 원추부(32), (32a)가 만나는 변곡점(G)을 하중작용부(P1)와 통상의 판넬에 장작을 하기 위한 하중지지부(P2)에 소정거리를 두고 근접시키고 원통부(30), (30a)의 축방향 길이는 내장부품의 작동상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공간부를 보유하는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고 전면쉘(10)에서의 원추부 경사각(θ1) 후면쉘(12)의 원추부 경사각(θ2)보다 크게 하여 각각의 쉘(10), (12)에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면쉘(10)위 하중작용부(P1)에 근접된 변곡점(G)에서 원추부(32)를 따라 연장된 보강플레이트(18)를 내장하여서 구성시킨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 14는 오퍼레이팅로드, 16은 푸시로드, 20, 20a, 20b는 스테이볼트, 22는 리턴스프링, 24는 밸브바디(Valve Body)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변곡점(G)을 하중작용부(P1)와 하중지지부(P2)에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굽힘 변형을 받는 중앙부(34), (34a)의 가장 자리인 평면부가 인장변형을 받는 부분이 되므로 쉘(10), (12)의 강성향상을 도모한다.
그리고, 쉘(10), (12)의 변형을 주도하며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이 전면쉘(10) 보다 분산이 되어진 후면쉘(12)의 원추부 경사각(θ2)을 전면쉘(10)의 원추부 경사각(θ1)보다 작게 하여 전체 쉘(10), (12)에 고른 응력분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쉘(10), (12)의 강성향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중앙부(34), (34a)의 형상은 하중작용부(P1)와 하중지지부(P2)를 고려하여 대칭성을 가진 형상을 취하여 오퍼레이드로드(14)의 작용이 중앙부(34), (34a) 응력이 취약한 부분으로 몰리지 않게 되어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한다.
또한, 전면쉘(10)의 하중작용부(P1)에 근접된 변곡점(G)에서 원추부(32), (32a)를 따라 연장된 보강플레이트를 전면쉘(10)의 내면에 부착하여서 전면쉘(10)의 하중작용부(P1)에 의해 변곡점(G)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탱함으로 쉘(10), (12)의 강성을 도모하게 되고 쉘(10), (12)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브레이크 답력에 의한 배력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원통부와 원추부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변곡점을 하중작용점과 하중지지부에 근접되도록 마련하여서 쉘의 강성을 도모하면서 금형 제작이 용이함과 동시에 저 가격으로 소형, 경량화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신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쉘(10), (12)의 중앙부(34), (34a)와 원추부(32), (32a) 및 원통부(30), (30a)을 연속적으로 잇는 원추부(32), (32a)가 직선으로 형성되면서 변곡되는 변곡점(G)이 마련된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곡점(G)이 하중작용부(P1)와 하중지지부(P2)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중앙부(34), (34a)에서 하중작용부(P1)와 하중지지부(P2)보다 바깥에 있는 가장자리 부는 스테이볼트(20), (20a), (20)의 머리부로 부터 변곡점의 위치를 결정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34), (34a)의 길이는 대칭이 되도록 하고 반경방향의 최대거리는 변곡점(G)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
KR2019930013415U 1993-07-20 1993-07-20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KR960006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415U KR960006445Y1 (ko) 1993-07-20 1993-07-20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JP074888U JPH078137U (ja) 1993-07-20 1993-12-30 車両用真空式ブースターの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415U KR960006445Y1 (ko) 1993-07-20 1993-07-20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81U KR950003581U (ko) 1995-02-17
KR960006445Y1 true KR960006445Y1 (ko) 1996-07-25

Family

ID=1935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415U KR960006445Y1 (ko) 1993-07-20 1993-07-20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8137U (ko)
KR (1) KR9600064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3394U (ko) * 1977-02-17 1978-09-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81U (ko) 1995-02-17
JPH078137U (ja) 199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9316B2 (ja) 車両用負圧ブースタ
JP4649085B2 (ja) 壁への取付け手段を備えたブレーキブースタ
KR920700133A (ko) 브레이크 파워 부스터
KR960006445Y1 (ko) 차량용 진공식 배력장치의 구조
US7318370B2 (en) Tie rod for booster and booster comprising such a tie rod
SU1187711A3 (ru) Вакуумный усилитель тормоза
GB2089916A (en) Vacuum vehicle brake booster
JP2552043Y2 (ja) 負圧ブースタ
GB2216210A (en) Tandem-type vacuum booster
US4566276A (en) Inlet assembly for a brake master cylinder
US4489556A (en) Tandem brake master cylinder
GB2133098A (en) A master cylinder
US4583366A (en) Vacuum brake booster
US6301886B1 (en)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KR970000414Y1 (ko) 탠뎀형 부압 부스터
JP2004511393A (ja) 自動車のブレーキ装置に用いられる操作装置
IT8323264A1 (it) Disposizione servofreno di potenza-cilindro principale, per autoveicoli
US4807521A (en) Actuator casing
US5211018A (en) Pedestal mount for brake
EP0090536B1 (en) Vacuum operated brake booster
JPH0544220Y2 (ko)
JP2518362Y2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0152209Y1 (ko) 차량용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 고정구조
KR200155777Y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작동시 소음발생 방지를 위한 푸쉬로드 구조
KR950007003B1 (ko) 마스터백의 프론트쉘 보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