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28Y1 - 낚시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28Y1
KR960006128Y1 KR2019930010280U KR930010280U KR960006128Y1 KR 960006128 Y1 KR960006128 Y1 KR 960006128Y1 KR 2019930010280 U KR2019930010280 U KR 2019930010280U KR 930010280 U KR930010280 U KR 930010280U KR 960006128 Y1 KR960006128 Y1 KR 960006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shing
supporting
pedest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052U (ko
Inventor
장영기
Original Assignee
장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기 filed Critical 장영기
Priority to KR2019930010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128Y1/ko
Publication of KR950000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낚시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구조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요부 발췌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조립 평면도.
제4도는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 받침대 10 : 본체
11 : 바닥면 12 : 확개단부
12a : 받침돌조 17 : 나사축
18 : 나비너트 19 : 받침봉
19a : 끼움요구 20 : 평면절삭면
21 : 경사절삭면 21a : 걸림돌조
22 : 연결관체 23 : 전방받침대
본 고안은 경사진곳, 축대, 바위등의 여러장소에서도 낚시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 받침대의 고정설치후에도 낚시대의 전방쪽을 받쳐주는 전방받침대의 받침방향을 좌, 우로 자유롭게 이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낚시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가 대부분 전방쪽을 받쳐주는 전방받침대와, 후방쪽 예컨대 손잡이부를 받쳐주는 후방받침대로 각각 분리 형성되었고, 또한 분리 형성된 각 받침대를 소정의 위치에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낚시대를 받쳐주었기 때문에 낚시대를 받쳐주기 위해서는 이를 전, 후방받침대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각각 분리 설치해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각 전, 후방받침대들은 받침대의 일단부를 뾰족하게하여 땅에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땅에 꼽아 사용할 수 없는 장소, 예컨데 바위, 축대등과 같은 곳에서는 별도의 받침대 예를들어 바위등에서 사용가능한 받침대가 필요하거나, 또한 이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 경우에는 설치된 받침대가 낚시대의 무개로인해 쓰러지거나 유동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낚시대의 받침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없었던 것이며, 이들 양받침대사이에 받쳐진 낚시대의 낚시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일일이 전, 후방 받침대를 전부 다시 설치하거나 또는 이들중 어느 하나를 다른 장소에 재설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전, 후방받침대 분리 형성하여 사용함에 따른 제반사정을 감안하여 하나의 받침구를 이용하여 낚시대의 전, 후방부를 동시에 받침할 수 있고 휴대하기에 간편하도록 절첩되는 낚시 받침구가 국내실용신안공개 제85-6952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낚시 받침구 역시 경첩수단등에 의해 절첩되는 양지지구 일측으로 통상의 낚시대 전방을 받침하여주는 다수개의 전방받침대(작동대)를 하나의 축상에 유설하고 각 전방받침대의 하부로는 괘지간을 설치하여 수개의 요조가 돌설된 각 괘지구에 대하여 상, 하로 높낮이가 조절되게 받쳐지면서 낚시대를 받쳐주도록 되어있는 것이어서, 단순히 낚시대의 전방쪽 높낮이를 상, 하로만 조절할 수 있고, 좌, 우 방향으로는 전혀 조절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낚시대의 낚시방향에 따라 좌, 우 조절이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낚시대를 설치하여 낚시할 수 밖에 없는 결점이 있으며, 낚시대의 좌, 우 조절을 위해서는 낚시 받침대의 전체를 최초 설치위치에서 소정의 다른 위치로 다시 고정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시대의 전방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전방받침대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낚시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설치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줌으로써 낚시 받침대의 전체를 옮기지 않고서도 낚시대의 낚시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켜 낚시대를 받침할 수 있도록 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낚시 받침대의 특징은, 낚시받침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대 및 후방받침대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공지의 낚시 받침대에 있어서, 부채꼴 모양을 갖는 낚시 받침대의 본체 일단으로는 다수개의 지지편을 일체로 형성하되 양측의 지지편으로는 보조지지편을 유설하고, 상기 본체에 단차 형성된 바닥면으로는 다수개의 나사축을 돌설하되 일단의 확개단부로는 받침돌조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나사축에 나비너트로서 상호 체결고정됨과 동시에 나사축을 중심으로 좌, 우 이동조절되는 받침봉으로는 일단에 연결관체를 나합하고, 하부면으로는 평면절삭면과 경사절삭면을 순차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절삭면으로는 걸림돌조를 확개단부의 받침돌조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조립시 상호 미끄럼짐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낚시대가 올려지는 받침봉을 나사축을 중심으로 좌, 우 이동가능하게 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받침대(1)의 전체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11)이 단차 형성된 본체(10)의 일측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확개단부(12)로는 삼각형상의 받침돌조(12a)가 만곡상태의 전체면에 걸쳐 돌출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타측단부로는 바위나 축대 설치시 모래주머니 또는 돌등의 하중체(26)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지지편(14)이 적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지지편(14) 상에는 일단부가 유설되게 끼워져 회동조절이 가능한 보조지지편(14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지지편(14) 및 보조지지편(14a)은 낚시 설치시 필요에 따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끝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확개단부(12) 중앙부위에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지지판(15)의 단부로는 양끝단부가 뾰족하게 절곡형성된 버팀대(16)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버팀대(16)의 전체길이는 예컨대 지지판(15)을 중심으로 접었을 경우 본체(10)의 타단 중앙부로 형성된 지지편(14)의 끝단부까지를 포함한 전체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하여 준다.
한편, 본체(10)의 바닥면(11)으로는 소정지점에 다수개의 나사축(17)이 각각 적정간격으로 돌설되어 있고, 각 나사축(17)으로는 나비너트(18)에 의해 받침봉(19)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 설치된다.
받침봉(19)의 일단으로는 나사축(17)에 끼워지는 끼움요구(19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로는 연결관체(22)의 일측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22a)가 상호 나합되는 나사봉(19b)이 단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봉(19)의 하단부는 나사축(17)에 조립시 본체(10)의 바닥면(11)과 확개단부(12)에 각각 대응 밀착되는 평면절삭면(20)과 경사절삭면(21)이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경사절삭면(21)으로는 확개단부(12)의 받침돌조(12a)와 동일한 형상의 걸림돌조(21a)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받침봉(19)을 이의 일단부로 형성된 끼움요구(18a)가 나사축(17)에 끼워지는 상태로 설치한 다음 이를 나비너트(18)로써 조여주면 평면절삭면(20)은 해방부위의 바닥면(11)에 평면적으로 안착되어지고, 경사절삭면(21)은 걸림돌조(21a)가 확대단부(12)의 받침돌조(12a)에 상호 걸어지게 밀착되는 것이어서 인위적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자체적으로는 전혀 미끄러지는 등의 유동발생없이 확실하게 고정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받침봉(19)은 나사축(17)에 끼움요구(19a)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의 상부면을 나비너트(18)로써 완전히 조여주기 때문에 더더욱 자체 유동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받침봉(19)의 나사봉(19b)에 상호 나합되는 연결관체(22)의 타단으로는 통상의 길이가 같거나 또는 다른 길이를 갖는 전방받침대(23)의 일단부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삽설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본체(10)내의 바닥면(11)에 돌설된 나사축(17)이 3개 정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또한 각 나사축(17)으로는 받침봉(19)이 전부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수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1도의 도면에서와 같이 3개의 나사축(17)이 나란히 돌출되어 있으나 이중에서 하나만의 나사축에 하나만의 받침봉(19)을 고정설치하고 이에 전방받침대(23)를 연결하였을 경우에는 확개단부(12)의 전체폭을 이용하여 전방받침대(23)의 설치방향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그만큼 조절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며, 각 나사축(17)에 받침봉(19)을 전부 설치한 경우라 하더라도 하나만이 받침봉을 설치했을 때 보다는 조절폭이 좁아지지만 좌, 우 받침봉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전방받침대(23)의 설치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0)에는 통상의 낚시대(25) 일단부 예컨대, 손잡이부를 받쳐주기 위한 후방받침대(24)가 하단의 힌지나사축(24a)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조절너트(24b), (24c)들에 의해 상, 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대(25)의 전방부를 받침하기 위한 전방받침대(23)를 나사축(17)을 중심으로 좌, 우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봉(19)을 상호 조립시켜 줌으로써 전방받침대(23)의 설치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최초에는 예를들어 제3도의 도시와 같이 각 나사축(17)에 받침봉(19)을 나비너트(18)로써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임의의 위치로 낚시대(25)를 옮겨야 할 경우에는 이에 해당되는 받침봉(19)의 나비너트(18)를 약간 푼다음 받침봉(19)을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나비너트(18)를 조여주면 받침봉(19)은 간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봉(19)은 이동설치되는 과정에서 경사절삭면(21)이 확개단부(12)에 위치되고 이에 형성된 각 받침돌조(12a)와 걸림돌조(21a)가 상호 치합되는 것에 의해 최초 고정상태와 동일하게 상호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내에 나사축(17)에 받침봉(19)이 하나가 설치되던 두개 이상이 동시에 설치되던 전혀 상관없이 확개단부(12)의 범위내에서 소정의 위치로 상호 간섭없이, 좌, 우 이동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손잡이부가 항상 후방받침대(24)상에 올려져 있는 낚시대(25)의 전방을 받침하는 전방받침대(23)의 위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그에 따른 낚시대(25)의 전방받침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낚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본체(10)의 확개단부(12)의 폭을 더 넓은 상태로 형성하여주면 그 만큼 받침봉(19)의 좌, 우 조절되는 폭을 더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제4도에서와 같이 전방의 절첩가능한 버팀대(16)를 이용하여 낚시 받침대(1)를 설치할 경우에는 본체(10)의 일단으로 끝이 뾰족하게 이루어진 지지편(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 받침대(1)를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단순히 올려놓고 버팀대(16)를 펼쳐 앞쪽을 받치게 하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면에 각 지지편(14)을 턱이진 경사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확개단부(12)가 상방으로 들려지도록 본체(10)의 각 지지편(14)을 평탄면의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꽂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전방의 버팀대(16)는 물론 지지판(15)을 중심으로 경사각에 알맞는 위치에 상호 버팀하여 줌으로써 어떠한 위치에서도 낚시 받침대(1)를 간편 용이하게 설치하여 낚시대(25)를 받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에서와 같이 축대나 바위의 평탄면에 버팀대(16)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할 경우에는 지지판(15)에 일단부가 유설된 버팀대(16)의 타단부를 본체(10)의 배면으로 접은 상태에서 즉, 상기와 같이 접으면 버팀대(16)의 타단부는 대략 지지편(14)의 하측부위에 위치 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낚시 받침대(1)를 소정위치에 설치한 다음 지지편(14)의 상면으로 돌이나 모래주머니등의 중량체(26)를 올려놓으면 앞쪽의 버팀대(16)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낚시 받침대(1)를 간편하게 설치고정하여 낚시대(25)를 받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상태로 설치될때 양측의 지지편(14)에 유설된 보조지지편(14a)을 평면상에서 볼때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설치해주면 낚시 받침대(10)는 중량체(26)에 의해 눌려지는 각 지지편(14)과 보조지지편(14a)에 의해 사방이 확실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전혀 움직이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낚시 받침대에 의하면, 낚시대의 전방을 받침하는 전방받침대가 연결설치되는 받침봉을 나사축에 대하여 좌, 우로 이동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줌으로써 낚시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본체의 확개단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전방받침대를 이동조절하여 낚시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받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면상에는 세개의 나사축이 돌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한개 또는 그 이상으로도 선택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받침봉의 끼움요구를 원형상의 구멍을 뚫어 설치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낚시 받침대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대(16) 및 후방받침대(24)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부채꼴 모양을 갖는 낚시 받침대(1)의 본체(10) 일단으로는 다수개의 지지편(14)을 일체로 형성하되 양측의 지지편으로는 보조지지편(14a)을 유설한 공지의 낚시 받침대(1)에 있어서 ; 상기 본체(10)에 단차 형성된 바닥면(11)으로는 다수개의 나사축(17)을 돌설하되 일단의 확개단부(12)로는 받침돌조(12a)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나사축(17)에 나비너트(18)로서 상호 체결 고정됨과 동시에 나사축(17)을 중심으로 좌, 우 이동조절되는 받침봉(19)으로는 일단에 연결관체(22)을 나합하고, 하부면으로는 평면절삭면(20)과 경사절삭면(21)을 순차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절삭면(21)으로는 걸림돌조(21a)를 확개단부(12)의 받침돌조(12a)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조립시 상호 미끄러짐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낚시대가 올려지는 받침봉(19)을 나사축(17)을 중심으로 좌, 우 이동 가능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KR2019930010280U 1993-06-12 1993-06-12 낚시 받침대 KR960006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280U KR960006128Y1 (ko) 1993-06-12 1993-06-12 낚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280U KR960006128Y1 (ko) 1993-06-12 1993-06-12 낚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052U KR950000052U (ko) 1995-01-03
KR960006128Y1 true KR960006128Y1 (ko) 1996-07-22

Family

ID=1935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280U KR960006128Y1 (ko) 1993-06-12 1993-06-12 낚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1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052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297B2 (en) Erectable shelter with three way awning
US6824297B1 (en) Portable worklight assembly
KR940702244A (ko)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Multi-level folding stage)
US4825781A (en) Collapsible table
KR200426550Y1 (ko) 낚시대 받침틀
KR960006128Y1 (ko) 낚시 받침대
JPH11117524A (ja) スタンドブラケット
US5025821A (en) Canopy for playpen
KR200156322Y1 (ko) 회화용 이젤
KR200364117Y1 (ko) 파라솔의 지주 구조
JPH0333222Y2 (ko)
KR20090093279A (ko)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KR200221902Y1 (ko) 파라솔지지장치
KR200275831Y1 (ko) 낚싯대 받침대
JPS6034208Y2 (ja) 花台の転倒防止装置
JPH09236287A (ja) エアコン室外機載置台装置
JP2597451Y2 (ja) 額縁支持具
KR102634046B1 (ko) 자립이 가능한 스탠드형 tv 거치대
EP4223959A1 (en) Camping accessory
KR0156235B1 (ko) 낚시대의 고정구 일체형 받침대
KR880000833Y1 (ko) 낚시 받침대 설치구
KR940002701Y1 (ko) 모니터용 이동식 스탠드
KR19980083984A (ko) 텔레비젼용 받침대
KR950004864Y1 (ko) 낚시대 받침구
KR200324686Y1 (ko) 진공 흡착 고정식 낚시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