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279A -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279A
KR20090093279A KR1020080018720A KR20080018720A KR20090093279A KR 20090093279 A KR20090093279 A KR 20090093279A KR 1020080018720 A KR1020080018720 A KR 1020080018720A KR 20080018720 A KR20080018720 A KR 20080018720A KR 20090093279 A KR20090093279 A KR 2009009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caffold
upper plate
work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윤종철
Original Assignee
박영식
윤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윤종철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08001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279A/ko
Publication of KR2009009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27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이 작업용 발판은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그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판과, 이 상판의 하부쪽 네 모서리에 힌지를 매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판과의 연결부 외측에 각각 다리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로 다리 연결부재를 통해 한 쌍이 서로 연결되는 다리 및, 상기 상판의 배면 중앙부에 각각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됨과 아울러 그 선단부가 상기 다리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다리가 내측 및 외측으로 꺾여짐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시 발판의 다리가 안정되게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작업용 발판의 기능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용 발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A scaffold for an interior working}
본 발명은 건물의 내외장 작업을 위한 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펼쳐진 다리가 작업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발판의 기능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배 등과 같은 인테리어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높은 벽 또는 천정등에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이 편리한 작업용 발판을 이용하게 된다.
즉, 작업용 발판은 작업자가 높은 곳에 작업을 하면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 상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발판을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작업용 발판(100)은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판(110)과, 이 상판(110)의 하부쪽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다리 연결부재(120)를 통해 한 쌍이 서로 연결되는 다리(130) 및, 이 다리(130)와 상기 상판(11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여 다리(130)가 내측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다리(130)를 지지고정하는 지지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용 발판(100)의 다리(130)는 힌지(150)를 매개로 설치되어 절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40)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41)을 볼트(160)에 삽입하여 나비 너트(170)로 조여줌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용 발판(100)의 다리(130)가 외측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리(130)의 상부쪽에 별도의 다리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상기 다리(130)와 다리(130)를 연결하는 상기 다리 연결부재(120)를 와이어로 고정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발판(100)은 상기 상판(110)에 과다한 중량이 인가되거나 상기 와이어에 녹이 슬면 작업중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또는 상기 다리(130)를 지지하는 다리 고정부재가 파손되어 작업용 발판(100)이 외측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작업용 발판(10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작업용 발판(100)의 설치시 각각의 지지부재(140)를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용 발판(100)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종래의 작업용 발판(100)은 그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작업시 편의를 주는 기능이 미흡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작업용 발판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펼쳐진 다리가 작업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발판의 기능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그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판과, 이 상판의 하부쪽 네 모서리에 힌지를 매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판과의 연결부 외측에 각각 다리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로 다리 연결부재를 통해 한 쌍이 서로 연결되는 다리 및, 상기 상판의 배면 중앙부에 각각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됨과 아울러 그 선단부가 상기 다리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다리가 내측 및 외측으로 꺾여짐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작업용 발판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다리의 하단부에 체결홀이 관통형성되고 이 체결홀의 일측에 너트가 부착고정되고, 상기 다리의 내측에 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 조절부재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체결부 선단에 체결홈을 갖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 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나비 너트가 체결된 볼트가 설치되어 상기 후크의 체결홈을 볼트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비 너트를 조여 상기 지지부재를 다리 연결부재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에 의하면, 작업시 발판의 다리가 안정되게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작업용 발판의 기능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용 발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상판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다리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높이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지지부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지지부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발판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업용 발판 10 : 상판
11 : 미끄럼방지부재 20 : 다리
21 : 체결홀 22 : 너트
23 : 볼트 30 : 지지부재
31 : 체결홈 32 : 후크
33 : 나비 너트 34 : 볼트
40 : 힌지 50 : 다리 고정부재
60 : 다리 연결부재 70 : 높이조절부재
71 : 조립홀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올라가 인테리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을 도 3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작업용 발판(1)은 크게 상판(10)과 다리(20) 및 지지부재(30)로 구성됨과 아울러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그 하중을 줄여주고, 상기 각 부품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작업용 발판(1)의 상판(10)은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상판(10)의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부재(11)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판(10)에서 작업중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며, 또한 상기 다리(20)는 상판(10)의 하부쪽 네 모서리에 힌지(40)를 매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판(10)과의 연결부 외측에 각각 다리 고정부재(50)가 설치된 상태로 다리 연결부재(60)를 통해 한 쌍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용 발판(1)의 지지부재(30)는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상판(10)의 배면 중앙부에 각각 힌지(40)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30)의 선단부가 상기 다리 연결부재(60)의 중앙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다리(20)가 내측 및 외측으로 꺾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작업용 발판(1)은 상기 상판(10)에 설치된 미끄럼방지부재(11)를 통해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기 다리(20)의 외측에 설치된 다리 고정부재(50)를 통해 다리(20)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재(30)가 다리 연결부재(60)에 체결됨으로써 다리(2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펼쳐지는 것을 막아주어 상기 작업용 발판(1)이 상부의 하중에 대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업용 발판(1)을 구성하는 상판(10)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상판(10)의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재(11)가 삽입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상판(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1)의 외측은 라운딩처리를 하여 작업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11)의 하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다리 고정부재(50)를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다리 고정부재(50)는 ㄴ자형의 브라켓트로 제작되어 상기 상판(10)의 모서리에 부착고정되고, 상기 다리 고정부재(50)가 상판(10)에 설치되는 다리(20)의 상부를 외측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다리(20)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용 발판(1)의 다리(2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70)를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다리(20)의 하단부에 체결홀(2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홀(21)의 일측에 너트(22)가 부착고정되며, 상기 다리(20)의 내측에 다리(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부재(70)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7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립홀(7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21)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23)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재(70)는 작업용 발판(1)의 높이를 높여주기 위하여 상기 다리(20)에서 일정 길이 만큼 뽑아낸 상태로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위치의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70)를 적절히 인출한 후, 상기 다리(20)의 체결홀(21)과 높이조절부재(70)의 조립홀(7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23)로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부재(70)의 하단에는 작업용 발판(1)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받침판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작업용 발판(1)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30)를 도 8과 도 9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30)는 그 체결부 선단에 체결홈(31)을 갖는 후크(32)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 연결부재(60)의 중앙부에는 나비 너트(33)가 체결된 볼트(34)가 설치되어 상기 후크(32)의 체결홈(31)을 볼트(34)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비 너트(33)를 조여 상기 지지부재(30)를 다리 연결부재(6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작업용 발판(1)을 펼치는 경우 접혀진 상기 지지부재(30)를 힌지(40)를 매개로 회전시켜 상기 다리 연결부재(60)에 후크(32)가 접촉되도록 고정하면, 상기 후크(32)의 체결홈(31)이 다리 연결부재(60)에 설치된 볼트(34)에 삽입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34)에 체결된 나비 너트(33)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0)가 다리 연결부재(6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30)의 후크(32)가 다리 연결부재(60)를 잡아주는 상태로 체결되기 때문에 하중에 의해 작업용 발판(1)의 다리(2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는 작업용 발판(1)을 접을 경우 상기 상판(10)의 배면에 일렬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용 발판(1)을 보다 안정되게 접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다리(20)를 힌지(40)를 매개로 각각 상판(10)의 배면쪽에 근접되게 접어줌으로써 상기 작업용 발판(1)을 안정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업용 발판(1)의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기 때문에 작업용 발판(1)을 이용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작업용 발판(1)의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용 발판(1)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용 발판(1)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제품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그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미끄럼방지부재(11)가 설치된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쪽 네 모서리에 힌지(40)를 매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판(10)과의 연결부 외측에 각각 다리 고정부재(50)가 설치된 상태로 다리 연결부재(60)를 통해 한 쌍이 서로 연결되는 다리(20) 및,
    상기 상판(10)의 배면 중앙부에 각각 힌지(40)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됨과 아울러 그 선단부가 상기 다리 연결부재(60)의 중앙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다리(20)가 내측 및 외측으로 꺾여짐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20)의 하단부에 체결홀(21)이 관통형성되고 이 체결홀(21)의 일측에 너트(22)가 부착고정되고, 상기 다리(20)의 내측에 다리(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부재(70)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7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조립홀(7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21)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23)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그 체결부 선단에 체결홈(31)을 갖는 후크(32)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 연결부재(60)의 중앙부에는 나비 너트(33)가 체결된 볼트(34)가 설치되어 상기 후크(32)의 체결홈(31)을 볼트(34)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비 너트(33)를 조여 상기 지지부재(30)를 다리 연결부재(6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KR1020080018720A 2008-02-29 2008-02-29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KR20090093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20A KR20090093279A (ko) 2008-02-29 2008-02-29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20A KR20090093279A (ko) 2008-02-29 2008-02-29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279A true KR20090093279A (ko) 2009-09-02

Family

ID=4130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720A KR20090093279A (ko) 2008-02-29 2008-02-29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2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193A (zh) * 2015-10-26 2015-12-30 王军伟 脚手架
CN111287437A (zh) * 2020-03-03 2020-06-16 内江师范学院 一种可调节室内装修建筑的建筑平台
CN113463891A (zh) * 2021-07-14 2021-10-01 安徽森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室内装潢用具有保护功能的脚手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193A (zh) * 2015-10-26 2015-12-30 王军伟 脚手架
CN105201193B (zh) * 2015-10-26 2017-08-01 王军伟 脚手架
CN111287437A (zh) * 2020-03-03 2020-06-16 内江师范学院 一种可调节室内装修建筑的建筑平台
CN111287437B (zh) * 2020-03-03 2021-09-17 内江师范学院 一种可调节室内装修建筑的建筑平台
CN113463891A (zh) * 2021-07-14 2021-10-01 安徽森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室内装潢用具有保护功能的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836B1 (en) Truck rack apparatus
US6966406B2 (en) Step platform attachable to a ladder
US20080230315A1 (en) Ladder Security Bracket and Safety System
US5746405A (en) Water heater seismic support system
US20180340371A1 (en) Ladder support system and method
KR20090093279A (ko) 건물의 인테리어 작업용 발판
CA3101656A1 (en) Ladder stabilizer apparatus
US20070000725A1 (en) Ladder stabilizer apparatus
US8844677B1 (en) Expandable and collapsible platform system
JP2010126968A (ja) 可搬式作業台
KR200383698Y1 (ko) 인테리어 작업용 우마사다리
AU2008100429B4 (en) Work platform
JP4476044B2 (ja) 梯子用足場
KR200401969Y1 (ko) 우마 사다리
US6830129B1 (en) Drywall bench step
US20220010620A1 (en) Fold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ladder
JP2007263508A (ja) エアコン室外機の屋根置台
US20110278093A1 (en) Ladder stabilizing device
KR101561230B1 (ko) 전개 방향, 각도의 자유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주를 갖는 이젤
AU2021103715A4 (en) Fold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ladder
JP2001227155A (ja) 仮設足場用支持ブラケット及び仮設足場用踏み板並びに仮設足場支持構造
KR200340292Y1 (ko) 폴더형 작업 발판대
US20050194214A1 (en) Retractable stabilizer supports for stepladders
KR101587556B1 (ko) 건설중장비용 풋스텝 장치
JP2011102478A (ja) 梯子の転倒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