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07B1 -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07B1
KR960006107B1 KR1019920012367A KR920012367A KR960006107B1 KR 960006107 B1 KR960006107 B1 KR 960006107B1 KR 1019920012367 A KR1019920012367 A KR 1019920012367A KR 920012367 A KR920012367 A KR 920012367A KR 960006107 B1 KR960006107 B1 KR 96000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ource
semiconductor substrate
electrode
capacitiv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416A (ko
Inventor
다께시 노베
시게오 아끼야마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72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19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72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408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1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 H01L27/0629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resistors, o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MOSFET 실시예의 주요부분에서 확대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DMOSFET에 해당하는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DMOSFET 실시예의 주요부분에서 확대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DMOSFET에 해당하는 회로도,
제5도는 제3도의 DMOSFET가 파워 반도체 장치로 채택되는 고체 릴레이의 작용국면을 도시하는 회로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저출력용량을 갖는 파워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2중 확산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double-diffused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DMOSFET"라고 언급)에 관한 것이다.
언급되는 DMOSFET의 종류는 고체 릴레이등의 파워 반도체 장치와 같은 높은 브레이크 다운 전압, 고속 스위칭 및 고잡음 저항을 요구하는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관련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DMOSFET는 높은 브레이크다운 전압, 고속 스위칭 및 고잡음 저항의 특성을 보여주며, 그 구조로 인해 전류밀도는 높으나 비-DMOS형 FET의 경우보다는 ON-저항이 낮은 장점이 있다. 더우기 DMOSFET는 소위 오프된 전압을 갖지 않는 유니폴라 장치이며, 따라서 아무런 왜곡없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고체 릴레이에서 DMOSFET를 파워 반도체 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관심을 끌어왔다.
반면에 고체 릴레이에서 종래 DMOSFET가 파워 반도체 장치로 사용될 때에는 출력용량(COSS)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출력용량(COSS)은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용량(CGD)과 드레인과 소오스간의 용량(GS)의 총합, 즉, COSS=CGD+CDS′이며, 특히 고주파 신호가 DMOSFET에 의해 ON/OFF 제어되도록 되어있을 경우 상기 신호는 출력용량(COSS)을 통해 누설되어야 하는 위험이 발생한다.
예를들어 F. Barso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 461, 360호에는 DMOSFET의 기본 배열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하나의 컵 모양의 도전형 대역이 또다른 도전형 대역에 의해 둘러쌓이므로서 제공되며, 이 컵모양 도전형 대역은 반도체 기판 표면상에서 제공되는 절연막내에 만들어진 구멍을 따라서 형성된다. 또한 예를들면 R.J. Niebuis에 의한 미국특허 제3, 484, 365호에서처럼 기판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 전극에 부가해서 기판의 바닥 표면상에서 드레인 또는 소오스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DMOSFET가 제공된다.
A. M. Goodman 등에 의한 또다른 미국특허 제4, 455, 565호에 있어서는 차폐전극이 반도체 기판의 소오스 전극을 갖는 상부 표면상에서 드레인 대역상의 절연막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이 절연막상에서 형성되지만 단지 채널 영역위의 위치에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오직 채널 영역위에서 절연막상에 게이트 전극을 갖는 동일한 DMOSFET가 D. J. Coe에 의한 미국특허 제4, 466, 17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Goodman과 Coe의 DMOSFET에 따르면 그 배열이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용량(CGD)을 줄이도록해서 결과적으로 출력용량(COSS)을 낮추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Goodman과 Coe에 의한 DMOSFET에 있어서는 게이트 전극이 작용되어야 하며 게이트 전극에 있어서 이 작용의 정밀도가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용량(CGD)의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관건이 되어 왔다.
또한 S. Akiyama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 903, 636호에 따르면 절연막이 반도체 기판의 상부 표면상에서 드레인 대역위로 위치해 있는 한 부분에서 더 두껍게 만들어지므로서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용량이 낮추어 질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배열에 있어서는 게이트 전압을 가할때 축적층이 게이트 전극 아래 드레인 대역에서는 거의 형성될 수 없으며,ON 저항이 더 커진다는 단점이 대두한다. 또한 L.E CIark에 의한 미국특허 제4, 009, 483호에서도 가아드링 대역이 주요 PN 접합 주위에서 원주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브레이크다운 전압특성을 향상시키는 DMOSFET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주요 PN 접합으로부터 연장된 공핍층이 또한 가아드링을 향해 연장되도록 만들어지며 그 결과 공핍층이 그 기울기에 있어 가능한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DMOSFET에의 내부에서 전계세기가 감소될 수있다. 그러한 가아드링의 공급은 DMOSFET가 높은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갖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반면, 소오스 전극이 전기적으로 가아드링에 연결되고 이 가아드링과 드레인 사이에의 용량이 드레인과 소오스간용량(CDS)이 되도록 만들어지므로써 출력용량이 증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어떠한 왜곡도 없이 출력신호를 전달하고, ON-저항을 증가시킴없이 출력용량(COSS)을 낮추며, 고주파신호가 장치의 OFF상태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DMOSFET)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다음과 같은 구성 즉,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이 제1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의 두개의 주요표면중의 하나에 제공되고, 제2도전형의 웰 영역(Well regions)과 제1도전형의 소오스 영역이 반도체 기판의 나머지 주요표면내에서 2중 확산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채널 영역이 웰 영역의 표면내에서 반도체 기판의 제1도전형 대역과 소오스 영역 사이에 있도록 규정되며,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 전극에는 채널 영역위로 이들 사이에 위치한 절연막이 제공되며, 제2도전형의 가아드링 영역에 대해서 소오스 단자에 연결된 소오스 전극이 제공되며, 그리고 채널영역을 포함하는 웰 영역 밖으로 제2도전형의 가아드링이 제공되고 게이트 전극이 적어도 용량성분수단을 통해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DMOSFET)에 의해서 실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아래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진행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일반적으로 예를들어 DMOSFET가 고체 릴레이에서 파워 반도체 장치로서 채택될때, 출력용량(COSS)을 낮추기 위해서는 게이트(G)와 드레인(D)과 용량(CGD) 혹은 드레인(D)과 소오스(S)간의 용량(CDS)을 낮추는 것이 소망된다. 따라서 DMOSFET의 표면영역을 줄임으로써 출력용량(COSS)를 낮출 수는 있지만 ON-저항이 증가하는 바람직하지 않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ON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적어도 용량성분수단을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는 게이트 전극에 접속하는 수단에 의해 DMOSFET의 저출력용량이 실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저출력용량 DMOSFET를 설명하면, 제1도에는 실제적으로 제1도전형(여기서는 n-형 반도체 대역(2))과 제2도전형(여기서는 채널 영역
(CH)을 형성시키기 위해 n-형 반도체 대역(2)의 한 표면내에 형성되는 p-형 반도체 영역(3)), 및 제1도전형(여기서는 소오스 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p-형 반도체 영역(3)의 표면영역내에 형성되는 n-형 반도체 영역)으로 구성되는 반도체 기판(1)을 구비하는 DMOSFET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반도체 기판(1)의 n형 반도체 대역(2)과 소오스 영역을 형성시키기 위한 n-형 반도체 영역(4) 사이에 p-형 반도체 영역의 채널 영역(CH,3) 위로, 절연막(7)과 함께 그 사이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6)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소오스 영역을 형성시키기 위한 n-형 반도체 영역(4) 뿐만 아니라 채널을 형성시키기 위한 p-형 반도체 영역(3)이 마스크로서 만들어진 게이트 전극(6)으로써 수행되는 2중 확산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p-형 반도체 영역(3)의 외부측상에는 p-형 반도체 영역(8)이 브레이크다운 전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반도체 기판(1)의 n-형 반도체 내역(2)의 한 표면에는 소오스 전극(10)이 제공되며, 한편 반도체 대역(2)의 또다른 표면에는 드레인 전극(11)이 제공된다. 이들 게이트 전극(6), 소오스 전극(10),및 드레인 전극(11)에는 각각 게이트 단자(G), 소오스 단자(S) 및 드레인 단자(D)가 접속된다. 게이트 단자(G)에 게이트 전극들(6)을 접속할때, 이들 사이에는 다이오드(13,13a)를 역으로 병렬 접속시킴으로써 출력용량이 낮아질 수 있다. 제2도의 등가회로를 참고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 회로에서 출력용량(COSS1)은 아래식으로 표현된다.
COSS1=CDS+CP+{ CGDㆍ(CGS+CD)} / { CGD+CGS+CD}
다이오드(13,13a)의 용량(CD)이 극히 작으므로, 이 식은
COSS1 CDS+CP+(CGDㆍCGS) / (CGD+CGS)
으로 될 것이며,
여기서 종래 DMOSFET의 출력용량(COSS)는
COSS=CDS+CP+CGD
이며, 그 차는
COSS-COSS1=CGD{1-CGS/ (CGD+CGS)} > 0
이며, 출력용량이 종래 DMOSFET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DMOSFET의 또다른 실시예에 도시되며, 여기서도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l도에서와 같이 동일부재번호로 표시된다. 반면에 이 실시예에서는 접촉 전극(9)이 브레이크 다운 전압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형 채널-형성 반도체 영역(3) 외부에 형성된 p-형 반도체 영역(8)상에 형성됨으로써 소오스 전극(10)으로부터 분리되며 또다른 다이오드(14,14a)의 역병렬접속이 접촉 전극(9)과 소오스 전극(10)을 가로질러 접속된다.
또한 제4도의 등가회로를 참고로 이 실시예에서 출력용량을 낮추기 위한 동작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등가회로에서 출력용량(COSS2)은
COSS2=CDS+(CD·CP)/(CD+CP) +[{CGD·(CCS+CD)}/{CGD+CGS+CD}
되며, 다이오드 접속(13,13a 및 14,14a)의 출력용량이 극히 작으므로 이 식은
COSS2 CGS+(CGD·CGS)/(CGD+CGS)
되며, 종래 DMOSFET의 출력용량(COSS)과 비교하면
COSS-COSS2= CP+CGD[1- {CGS/ (CGD+CGS) } ] > 0
이며, 이 실시예의 출력용량이 종래 DMOSFET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도 및 제3도의 DMOSFET에서 다이오드(13과 13a) 또는 다이오드(13,13a와 14,14a)의 역병렬 접속은 용량 성분으로 작용하며, DMOSFET의 기생용량 성분에 직렬로 삽입되게 되어 있으므로 출력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역병렬 접속의 다이오드를 용량성분으로 이용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즉, 게이트 전극에 대해서 DMOSFET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더 높은 게이트 단자에 가해지는 전압을 제공하고 또한 DMOSFET를 ON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얻기 위해서 게이트 전극들과 이들의 공통 게이트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용량성분수단이 요구된다.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전압을 유지하기 의해, 접촉 전극과 소오스 전극 사이에 위치한 용량성분수단은 소오스 단자에 대해서 소오스 단자에 가해지는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역시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고려해보면, 다이오드의 정규방향을 용량성분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서 정규방향에서 이동된 다이오드는 예를들어 약 0.6V 이상까지 콘덴서로 동작하지만 더 높은 전압하에서는 단지 도체로 작용해서 원하는 동작이 실현될 수 있다. 다이오드의 역병렬 접속에 있어서 원하는 전하의 유출과 당김이 다이오드중의 하나를 통해 실행된다.
부언하면 게이트 전극은 보통 채택된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앞서의 다이오드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용되는 게이트 전극인 폴리실리콘막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 반도체 기판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다이오드가 채택된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될 경우, 이 다이오드는 극히 작은 접합 영역을 갖게 되고 그 결과 다이오드 용량(CD)는 극히 작아지므로 폴리실리콘은 본 발명에 채택됨으로서 그것의 유용성을 찾아야 한다.
제5도는 제3도의 DMOSFET가 파워 반도체 장치로 채택된 고체 릴레이(SSR)가 도시되며, 이 고체 릴레이는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서 광 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소자(21), 발광소자(21)로부터 방출된 광 신호를수신하면 광기전력을 발생하는 광기전력소자어레이, 광기전력을 게이트단자에 가하면 제1임피던스 상태에서 제2임피던스 상태로 구동되는 파워 DMOSFET(23,23a) 및 파워 DMOSFET(23)의 게이트 전하에 대한 방출수단을 구성하는 제어회로(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파워 DMOSFET(23,23a)는 양편 전압 블로킹 배열이 되도록 공통으로 만들어진 이들의 소오스(S)와 함께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5도의 고체 릴레이(SSR)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DMOSFET를 사용함으로서 릴레이(SSR)의 출력용량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고주파 컷-오프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릴레이는 고주파 신호의 제어능력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보통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DMOSFET는 브레이크다운 전압특성에서의 왜곡,ON 저항에서의 증가등과 같은 불리한 점이 발생하는 것없이 출력용량의 줄임을 효과적으로 허용한다는 것을 앞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실시예를 통해서 잘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내에서 실시가능한 모든 변형, 수정 및 등가 배열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두개의 주요표면을 갖는 제1도전형 반도체 기판(1) ;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상기 주요표면중의 하나위에 제공되고 드레인 단자(D)에 접속되는 드레인 전극(11) ;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상기 주요표면중의 나머지 하나에서 2중 확산에 의해 각각 형성된 상기 제1도전형의 소오스 영역(4) 및 제2도전형의 웰 영역(3) ; 상기 웰 영역(3)의 표면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제1도전형 반도체 대역(2)과 상기 소오스 영역(4) 사이에 있도록 규정되는 채널 영역(CH) ; 절연막(7)이 그 사이에 있으면서 상기 채널 영역(CH)위로 각각 제공되는 게이트 전극(6) ; 및 상기 채널 영역(CH)을 포함하는 상기 웰 영역(3) 외부에 있도록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 대역(2)에 위치하는 상기 제2도전형의 가아드링 영역(8)을 구비하며, 상기 소오스 영역(4)에는 그 위에 소오스 단자(S)에 접속되는 소오스 전극(10)이 제공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6)은 적어도 용량성분수단
    (13)을 통해 게이트 단자(G)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전계효과 트랜지스터.
  2. 제l항에 있어서, 상기 가아드링 영역(8)이 또다른 용량성분수단(14)을 통해서 상기 소오스 전극(S)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분수단(13)이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역병렬 관계로 상호 접속된 쌍(13,13a)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13)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분수단(13) 및 또다른 상기 용량성분수단(14) 각각은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량성분수단의 상기 다이오드가 역병렬 관계로 상호 접속된 쌍(13,13a;14,14a)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l3,14)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9.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수단(21), 상기 발광수단(21)으로부터 방사된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면 광기전력을 발생하는 광기전력수단(22), 상기 광기전력수단(22)에 접속되고 게이트 단자(G)를 갖는 파워 DMOSFET(23), 및 상기 게이트 단자(G)에 가해진 상기 광기전력에 따라서 제1임피던스 상태로부터 제2임피던스 상태로 상기 파워 DMOSFET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24)을 구비하며; 상기 파워 DMOSFET(23)는 두개의 주요표면을 갖는 제l도전형 반도체 기판(1),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상기 주요표면의 한면위에 제공되고 드레인 단자(D)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
    (11),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상기 주요표면의 나머지 면에서 2중 확산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제2도전형의 웰 영역(3) 및 상기 제l도전형의 소오스 영역(4), 상기 웰 영역(3)의 표면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제l도전형 반도체 대역(2)과 상기 소오스 영역(4) 사이에 있도록 규정되는 채널 영역(CH), 절연막(7)이 그 사이에 있으면서, 상기 채널 영역위로 각각 제공되는 게이트 전극(6), 및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 대역(2)에서 상기 채널 영역(CH)을 포함하는 상기 웰 영역(3) 외부에 있도록 위치된 상기 제2도전형의 가아드링 영역(8)을 구비하며, 상기 소오스 영역(4)에는 그 위에 소오스 단자(S)에 접속된 소오스 전극(10)이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6)은 제1용량성분수단(13)을 통해 상기 게이트 단자(G)에 접속되며, 상기 가아드링 영역(8)은 제2용량성분수단(14)을 통해서 상기 소오스 영역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릴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워 DMOSFET(23,23a)는 상기 소오스 단자(S)와 직렬로 접속될때 공통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1019920012367A 1991-07-12 1992-07-11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KR960006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72600 1991-07-12
JP3172600A JP2841936B2 (ja) 1991-07-12 1991-07-12 絶縁ゲート型電界効果半導体装置
JP3172601A JP2574082B2 (ja) 1991-07-12 1991-07-12 絶縁ゲート型電界効果半導体装置
JP91-172601 1991-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416A KR930003416A (ko) 1993-02-24
KR960006107B1 true KR960006107B1 (ko) 1996-05-08

Family

ID=2649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367A KR960006107B1 (ko) 1991-07-12 1992-07-11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96723A (ko)
KR (1) KR960006107B1 (ko)
DE (1) DE4222998A1 (ko)
GB (1) GB2257830B (ko)
HK (1) HK1007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40B1 (ko) * 2005-05-30 2008-06-30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8486B1 (fr) * 1992-11-24 1995-03-10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Structure de protection contre les surtensions directes pour composant semiconducteur vertical.
US5430403A (en) * 1993-09-20 1995-07-04 Micrel, Inc.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switchable body to source connection
DE19841754A1 (de) 1998-09-11 2000-03-30 Siemens Ag Schalttransistor mit reduzierten Schaltverlusten
US6429492B1 (en) * 1999-06-23 2002-08-0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Low-power CMOS device and logic gates/circuits therewith
JP3510546B2 (ja) * 1999-12-01 2004-03-2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Mosトランジスタのゲート酸化膜トンネル電流モデル
US6576962B2 (en) 2000-06-21 2003-06-1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s Systems Integration, Inc. CMOS SRAM cell with prescribed power-on data state
JP5756911B2 (ja) * 2010-06-03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リレ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1360A (en) * 1965-06-30 1969-08-12 Ibm Semiconductor devices with cup-shaped regions
NL152708B (nl) * 1967-02-28 1977-03-15 Philips Nv Halfgeleiderinrichting met een veldeffecttransistor met geisoleerde poortelektrode.
JPS5115394B1 (ko) * 1969-11-20 1976-05-17
US4009483A (en) * 1974-04-04 1977-02-22 Motorola, Inc. Implementation of surface 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JPS52132684A (en) * 1976-04-29 1977-11-07 Sony Corp Insulating gate type field effect transistor
US4705759B1 (en) * 1978-10-13 1995-02-14 Int Rectifier Corp High power mosfet with low on-resistance and high breakdown voltage
US4455565A (en) * 1980-02-22 1984-06-19 Rca Corporation Vertical MOSFET with an aligned gate electrode and aligned drain shield electrode
GB2100507A (en) * 1981-06-17 1982-12-2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Method of making a vertical igfet
US4902626A (en) * 1983-03-31 1990-02-20 Kone Oy Procedure and apparatus for assuring positive identification of samples for analysis
US5023678A (en) * 1987-05-27 1991-06-1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High power MOSFET and integrated control circuit therefor for high-side switch application
US5179034A (en) * 1987-08-24 1993-01-12 Hitachi, Ltd. Method for fabricating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40B1 (ko) * 2005-05-30 2008-06-30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214337D0 (en) 1992-08-19
HK1007632A1 (en) 1999-04-16
KR930003416A (ko) 1993-02-24
DE4222998A1 (de) 1993-01-21
GB2257830B (en) 1995-04-05
US5296723A (en) 1994-03-22
GB2257830A (en)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0062B2 (en) Transistor configuration with a shielding electrode outside an active cell array and a reduced gate-drain capacitance
US4626879A (en) Lateral double-diffused MOS transistor devices suitable for source-follower applications
US5973360A (en) Field effect-controllable semiconductor component
US4485392A (en) Lateral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JP4477406B2 (ja) 低オン抵抗の高電圧mosトランジスタ
US5146298A (en) Device which functions as a lateral double-diffused insu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or as a bipolar transistor
EP0656661B1 (en) DMOSFET with a resistance for improving the reverse bias conduction
US5306656A (en) Method for reducing on resistance and improving current characteristics of a MOSFET
US780801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S5710455A (en) Lateral MOSFET with modified field plates and damage areas
KR100398532B1 (ko) 절연 게이트 트랜지스터
US8022477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having lateral type MIS transistor
US20080143421A1 (en) Bidirectional switch and method for driving bidirectional switch
US6798040B2 (en) Power semiconductor switch
US7825467B2 (en) Semiconductor component having a drift zone and a drift control zone
EP0110331A2 (en) A MOS transistor
EP0114435A1 (en) Lateral DMOS transistor devices suitable for sourcefollower applications
KR960006107B1 (ko) 저출력-용량 2중 확산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US7423325B2 (en) Lateral field-effect-controllable semiconductor component for RF applications
CN110739345B (zh) 自偏置分裂栅沟槽型功率mosfet器件
US5371418A (en) Drive circuit for a power MOSFET with load at the source side
US6806482B2 (en) Photovoltaic solid state relay
US4942444A (en) Thyristor
US5440164A (en) MOS/bipolar device
JPH05315618A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