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712Y1 -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12Y1
KR960005712Y1 KR2019930006121U KR930006121U KR960005712Y1 KR 960005712 Y1 KR960005712 Y1 KR 960005712Y1 KR 2019930006121 U KR2019930006121 U KR 2019930006121U KR 930006121 U KR930006121 U KR 930006121U KR 960005712 Y1 KR960005712 Y1 KR 960005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pile
pile cap
support ho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887U (ko
Inventor
황용우
Original Assignee
태원기계공업 주식회사
황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원기계공업 주식회사, 황용우 filed Critical 태원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6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712Y1/ko
Publication of KR940024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제 1 도의 (a)는 종래의 콘크리트파일의 정면도
제 1b 도는 제 1a 도의 파일캡의 확대 단면도
제 2a 도는 본 고안 콘크리트파일의 정면도
제 2b 도는 제 2a 도의 B 부 파일캡의 확대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파일캡의 평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파일캡의 강선고정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파일캡 40 : 강선고정구
42 : 인장고정공 44 : 강선고정공
46 : 둘레턱 50 : 지지공
본 고안은 지반층이 연약한 공사현장의 기초지반에 지반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콘크리드파일에 있어서, 파일의 상부에 형성된 파일캡의 강판 두께를 줄이 수 있도록 하여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연약한 지반강화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파일인 콘크리트파일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는 있으나. 파일의 사용목적상 지반속에 한번 설치되고 나면 재사용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선의 인장 및 파일의 타박수단으로 사용되는 파일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두께를 줄일수 있다면 비용의 절감은 물론 가공성의 향상을 기대할수 있다.
콘크리트파일은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파일 내부에 개재된 강선(주로 피아노선을 사용함)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시킴으로써 파일의 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일내부의 강선을 인장시키려면 파일슈와 상부의 형성된 파일캡에 강선을 걸어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시키게 되는데 이때 파일캡에 걸린 강선이 인장됨에 따라, 그 인장력으로 인한 파일캡의 두께는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인장강도를 지니고 있어야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장강도를 갖는 종래의 파일캡이 제 1 도에 도시된다.
파일캡(10)은 상부의 원판(12)과 이 원판(12)의 둘레에 원통형 측부(14)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원판(12)에는 복수개의 인장 고정공(16)과 강선고정공(18)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일캡(10)을 보면, 인장고정공(16)에는 나사(도시안됨)가 형성되어 나서고정이 가능하여, 나사를 이용한 인장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며, 강선고정공(18)에는 인장고정공을 통하여 삽입된 강선(20)을 걸어 인장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장고정공(16)과 강선고정공(18)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12)은 그 두께가 인장수단에 의한 인장력에 견딜수 있는 강도를 가지기 위하여 파일의 크기에 따라 보통 12mm이상의 두께를 준다.
종래의 파일캡(10)은 인장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12mm이상의 두께가 되므로, 재료의 낭비는 물론이거니와 원판(12)과 측부(14)를 용접시킴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파일캡의 강판두께를 종래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이를 프레스로 성형하며, 프레스로 천공된 파일캡의 지지공에 인장강도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강선고정구를 결합하여 인장시에 이 강선고정구에 의하여 충분한 인장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일캡에 소요되는 강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른 재료 절감의 경제적 잇점을 얻을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 내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의 두께가 4mm 정도로 하여 상부(32)와 측부(34)로 이루어져 일체로 된 파일캡(30)을 프레스(도시안됨)로 성형하고, 프레스성형시 상부(32)에 복수개의 지지공(50)을 천공하여, 이 지지공(50)에 강선고정구(40)가 삽입된다.
상기 강선구정구(40)는 파일캡(30)의 지지공(50)내에 삽입되도록 관통된 인장고정공(42)과 강선고정공(44)이 형성되고, 인장고정공(42)을 통해 안내된 강선(20)이 강선고정공(44)에 안내되어 걸릴수 있도록 서로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강선고정구(40) 상부가 지지공(50)에 삽입되어 지고, 강선고정구(40) 하부의 상단면이 지지공에 걸리도록 둘레턱(46)을 갖기 위해 강선고정구(40)의 하부를 상부보다 넓게 형성한다.
따라서 강선고정구(40) 상부를 지지공(52)에 삽입하여 강선고정구(40) 하부의 상단면인 둘레턱(46)이 지지공(50)의 하단면과 마주 접하게 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최소한의 용접을 실시하면, 본 고안인 강선고정구(40)가 결합된 콘크리트파일캡(30)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일캡(30)은 종래의 콘크리트파일제조에 사용된 파일켑(10)의 기능과 같이 적용하면 된다.
콘크리트파일(70)의 형상을 만들 형틀(도시안됨)의 하단에 강선(20)이 연결된 파일슈(60)를 장착하고, 파일슈(60)에 연결된 강선(20)을 형틀의 상단에 장착한 파일캡(30)의 인장고정공(42)을 통하여 안내하여 강선고정공(44)에 강선(20)의 머리부(22)가 걸리도록 한다.
인장장치(도시안됨)과 파일캡(30)의 인장고정공(42)에 나사고정시킨 나사를 물리어 인장압을 가해 주면, 파일캡(30)이 당겨지면서 강선고정공(44)에 결속되어 있는 강선을 팽팽히 인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장장치에 의해 팽팽히 인장된 강선(20) 주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회전시키면, 전단탄성계수가 향상된 중공형태의 고강도 콘크리트파일(70)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강선고정구가 결합된 두께를 4mm이내로 줄인 파일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파일을 제조하여도 별다른 문제가 없으므로, 종래의 파일캡 제조시의 가공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강판비용을 절약할수 있어 파일캡의 생산가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강선의 인장 및 파일의 타박수단으로 사용되는 파일캡에 있어서,
    상부(32)와 측부(34)로 이루어지고 상부(32)에 복수개의 지지공(50)을 프레스로 성형한 파일캡(30)과,
    상기 지지공(50)에 결합되는 강선고정구(40)는 강선고정공(44)이 서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그 상부는 지지공(50)에 삽입되고,
    그 하부는 지지공(50)에 걸리도록 둘레턱(46)을 갖기 위해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의 강선고정구(40)하부의 상단면인 둘레턱(46)이 지지공(50)의 하단면과 마주 접하게 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최소한의 용접을 하여 일체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고정구.
KR2019930006121U 1993-04-17 1993-04-17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KR960005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121U KR960005712Y1 (ko) 1993-04-17 1993-04-17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121U KR960005712Y1 (ko) 1993-04-17 1993-04-17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887U KR940024887U (ko) 1994-11-17
KR960005712Y1 true KR960005712Y1 (ko) 1996-07-12

Family

ID=1935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121U KR960005712Y1 (ko) 1993-04-17 1993-04-17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7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77B1 (ko) * 2009-10-14 2010-07-22 주식회사 제일산기 편심되지 않는 강선걸이부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파일용 헤드캡
KR101026674B1 (ko) * 2010-05-10 2011-04-04 주식회사 제일산기 플랜지형 강선걸이부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파일용 헤드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77B1 (ko) * 2009-10-14 2010-07-22 주식회사 제일산기 편심되지 않는 강선걸이부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파일용 헤드캡
KR101026674B1 (ko) * 2010-05-10 2011-04-04 주식회사 제일산기 플랜지형 강선걸이부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파일용 헤드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887U (ko)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0044B2 (ja) コンクリート節杭の製造方法
US5289626A (en) Foundation anchor and method for securing same to a foundation
KR1006536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KR101264918B1 (ko)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70003424A (ko) 다각기둥 형상의 섬유보강플라스틱 텐던 및 그 정착구
KR960005712Y1 (ko) 콘크리트파일캡의 강선 고정구
KR20170115254A (ko) 무슈판 선단 보강 phc 파일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050458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구조물
KR20060126200A (ko) 인장두 및 인장두가 형성된 섬유판을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외부 프리스트레싱 2중 보강공법
JP2002173939A (ja) 斜面安定化工法および斜面安定化構造
KR100837263B1 (ko) 강합성 말뚝 제작방법
KR100838739B1 (ko) 중력식 철도교각의 내진성능 보강구조 및 그를 이용한보강공법
KR200291492Y1 (ko)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66317B1 (ko) 외부 긴장재 플랜지 통과형 거더
KR100457398B1 (ko) 콘볼트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보강방법
JP2935656B2 (ja) 継ぎボルト受入空間形成用具
JP2528435B2 (ja) 平行に架設した桁材を有する構造物におけるプレストレス導入補強構造
JPH0258659A (ja) Pc構造におけるpc鋼材の端部定着装置
JPH10131397A (ja) せん断補強鉄筋の定着部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定着プレ−ト
JP2954523B2 (ja) プレテンション方式pc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216521B (zh) 一种带有预应力的钢筋连接结构
CN217802289U (zh) 一种提高t梁表面成型质量的预制模板
KR102239480B1 (ko) 프리플렉스 거더 빔
CN212671275U (zh) 一种预应力碳纤维板的张拉锚具单元
JP3063969B2 (ja) 支持体取り付け用埋め込みアン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側壁への支持体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