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676Y1 - 휴대용 교통 신호등 - Google Patents

휴대용 교통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676Y1
KR960005676Y1 KR2019930001328U KR930001328U KR960005676Y1 KR 960005676 Y1 KR960005676 Y1 KR 960005676Y1 KR 2019930001328 U KR2019930001328 U KR 2019930001328U KR 930001328 U KR930001328 U KR 930001328U KR 960005676 Y1 KR960005676 Y1 KR 960005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ube
cap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970U (ko
Inventor
이동필
Original Assignee
정명산업 주식회사
김재혁
이동필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산업 주식회사, 김재혁, 이동필, 이승준 filed Critical 정명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1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676Y1/ko
Publication of KR940020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휴대용 교통 신호등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상부 전구캡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예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스위치캡에 결합되는 외부관의 구조를 보인 단면예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구캡 101 : 암나사부
102 : 걸림턱 150 : 수납캡
153 : 결착홈 154 : 결착돌기
20 : 외부관 210 : 형광막
220 : 형광막지지관 230 : 발광신호부지지관
203 : 지지환체 30 : 보호관하부지지체
301 : 재치돌기 302 : 지지홈
303 : 내측벽 304 : 외측벽
40 : 스위치캡 401 : 지지체수용홈
410.420.430 : 스위치 50 : 손잡이
60 : 발광신호부
본 고안은 휴대용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에 정전으로 인한 교통신호등의 불능시, 가로등이 없는 교외나 차량정체가 심한 곳에서 교통요원이 필요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며 손으로 간단히 선회되게 흔들어서 차량의 통제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단일 색상의 즉 적색만이 점멸되는 휴대용 신호등이 개발상용되고 있는데, 이 휴대용 신호등은 교통원이 야간에 손에 잡고 선회되게 흔들어서 차량의 통제, 소통을 하고 있으나 현실정에 따른 교통신호 체계상 정지 또는 경고의 표시로 적색이 사용되고 있으며 진행이나 안전의 표시로 녹색이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 통념으로 볼때 적색만이 점멸되는 휴대용 신호등으로 수신호를 행한다 해도 운전자에게 순간적인 당혹감을 주게 되며, 더욱이 초보운전자들은 진행하라는 수신호를 받아도 휴대용 신호등이 항상 적색이므로 거의 반사적 동작에 의해 가속페달에서 브레이크 페달로 발이 옮겨지며 이에 따른 전, 후 차량과의 추돌 및 접촉사고가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교통신호를 무시하고 도주하는 차량이나 검문에 응하지 않는 차량이 발생할시에는 별도의 램프기능이 없어 도주차량의 번호, 차종, 색상의 확인을 못한채 도주를 방치해야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용 신호등 내로 적색관 녹색이 각기 점멸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 수신호를 행할때, 진행은 녹색이 점멸되고 정지(경고)시 적색이 점멸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체중으로 부터 원활하게 차량이 소통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교통 신호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신호등 최상부로 전구를 설치결합하여 수신호나검문을 무시하고 도주하는 차량이 발생할시 전구를 점멸하여 조광함으로써 도주차량의 차번호, 차종, 차색상을 확인할 수 있어 차후 수배나 벌과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야간 검문시 차량의 검색이 가능한 휴대용 교통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진행시, 녹색, 정지(경고)시 적색을 점멸 수신호함으로써 운전자 특히 초보운전자에게 주는 순간당혹감을 해소 시킬 수 있어 전,후 차량의 추돌이나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교통 신호등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정지(경고)시 적색을 진행시 녹색을 점멸하면서 수신호를 행할 수 있으면서도 최상부로 전구를 설치결합하여 도주차량의 식별이나 차량의 검문시 검색을 할 수 있는 휴대용 교통신호등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하 본 고인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교통 신호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휴대용 교통 신호등은 녹색과 적색의 발광다이오드가 점멸 발광되어 신호가 발산되는 외부관(20) 상부로 전구(130)가 수용 결합되는 전구캡(10)이 결합되고 하부로 다수의 스위치(410) (420) (430) 가 설치된 스위치캡(40)이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캡(40) 하부로는 밧데리를 수납하는 손잡이(50)가 결합된다.
상기 전구캡(10)은 내측 암나사부(101)와 원통체의 수납캡(150)의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부(151)가 결합되며 그 내부로 유리판(110), 반사경(120), 전구홀더(140)에 결합된 전구(1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리판(110)은 전구캡(10)에 형성된 걸림턱(102)과 반사경(120) 전면부에 게재된다.
상기 수납캡(150) 중단부의 걸착돌기(154) 내부에 형성된 걸착홈(153)에 상기 외부관(20)의 최상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외부관(20) 내부로는 형광막(210),형광막지지관(220)이 수용되고 형광막지지관(220) 내부로 적색발광다이오드(601)와 녹색발광다이오드(602)가 도선(603)에 의해 접속 연결된 발광신호부(60)가 수용되는 발광신호부보호관(230)이 수용되는데 발광신호부보호관(230) 중단에 형성된 지지환체(203)에 의해 형광막지지관(220) 내부에서 유동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관(20)내로 수용결합되는 형광막(210), 형광막지지관(220), 발광신호부보호관(230)의 하부는 다수의 스위치(410) (420) (430) 가 구비된 스위치캡(40)의 지지체 수용홈(401)에 수용되는 보호관하부지지체(30)의 재치돌기(301)와 지지홈(302)에 의해 결하되는데, 상기 외부관(20), 형광막(210), 형광막지지관(220)은 재치돌기(301)에 재치되어 보호관하부지지체(30)의 외측벽(304)과 스위치캡(40)의 내측벽 사이에 게재되어 결합되고 발광신호부보호관(230)은 보호관하부지지체(30) 지지홈(302)의 내측벽(303)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밧데리수납홈(501)이 형성되고 외부로 숫나사부(502)가 형성된 손잡이(50)와 상기 스위치캡(40)을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부호 310은 PCB기판, 431은 적색점멸스위치이고 432는 녹색점멸 스위치이며 610은 발진부이다.
그러면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용 교통 신호등의 작용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본 고안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병렬 접속하여 한두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단락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수신호가 가능하며, 발광다이오드가 반영구적이며 저전류에 의해 점멸이 가능해 저전압 일때까지도 신호행위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위치(410)를 점멸하면 상부의 전구(130)가 점멸되고, 스위치(420)를 점멸하면 스위치(430)의 적색점멸스위치(431)가 점멸되어 발광신호부(60)의 적색발광다이오드(601)만을 점멸하며 다시 스위치(430)를 점멸한면 적색점멸스위치(431)가 단락되고 녹색점멸스위치(432)가 점멸되어 발광신호부(60)의 녹색발광다이오드(602)만을 점멸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교통 신호등은 녹색과 적색의 신호를 필요(정지,경고, 진행)에 따라 조작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또는 보행자에게 수신호 함으로써 차량을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신호를 무시하거나 도주하는 차량의 식별을 전구의 불빛으로 가능하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정정)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601) (602)로 구성된 발광신호부(60)가 발생신호부 보호관(230)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발광신호부 보호관(230) 외측으로 형광막 지지판(220), 형광막(210)이 삽치되며, 그 외측으로 내측면에 파형무늬를 갖는 외부관(20)이 삽치되며, 상기 외부관(20) 상단에 나사부(101) (151)에 의해 결합되는 전구캡(10)의 내부로 유리판(110), 반사경(120), 전구(130), 전구홀더(140)가 순차적으로 적재된 후 수납캡(150)의 결착돌기(154)에 형성된 결착홈(153)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관(20) 하단은 다수의 스위치(410) (420) (430)가 구비되고, 지지체 수용홈(401)이 형성된 스위치 캡(40)내로 삽치되는 한편, 상기 스위치 캡(40) 내측에 끼워지는 보호관 하부지지체(30)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302) 및 내측벽(303)으로 상기 발광신호부 보호관(230)이 재치 결합하며, 상기 보호관 하부지지체(30) 하단에 형성된 재치돌기(301) 위에 상기 외부관(20), 형광막(210), 형광지지판(220)이 함께 재치되어 결합하며 상기 스위치 캡(40)과 손잡이(50)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 신호등.
KR2019930001328U 1993-02-03 1993-02-03 휴대용 교통 신호등 KR960005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328U KR960005676Y1 (ko) 1993-02-03 1993-02-03 휴대용 교통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328U KR960005676Y1 (ko) 1993-02-03 1993-02-03 휴대용 교통 신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970U KR940020970U (ko) 1994-09-17
KR960005676Y1 true KR960005676Y1 (ko) 1996-07-11

Family

ID=1935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328U KR960005676Y1 (ko) 1993-02-03 1993-02-03 휴대용 교통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6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970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141A (en) Roadside emergency security flashlight
CN1039561A (zh) 机动车辆用告警三角
US8523398B2 (en) Gravity controlled lighting device
CN1081783A (zh) 信号装置
US6678980B2 (en) Traffic safety sign apparatus
KR960005676Y1 (ko) 휴대용 교통 신호등
KR200420047Y1 (ko)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US4257085A (en) Warning lantern adapter
KR200449725Y1 (ko) 엘이디 경광등
JPH07230702A (ja) 合図灯兼用懐中電灯及び合図灯
JPH11158824A (ja) 発光標識体、発光標識体保持装置、携帯用信号表示灯
KR920001832Y1 (ko) 자전거의 안전표시와 점멸신호장치
JPH11158824A6 (ja) 発光標識体、発光標識体保持装置、携帯用信号表示灯
KR200188674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시등의 구조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JP3086483U (ja) 工事用保安灯
KR200207415Y1 (ko) 경광등용 난반사체 고정장치
KR920001860Y1 (ko) 자기양보 및 우선램프
KR200379688Y1 (ko)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점멸등
KR20060012508A (ko)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JP3036052U (ja) 内照式道路標識
JP2003184037A (ja) 発光式三角停止表示灯
JP3010482U (ja) 信号表示器
KR20000015465U (ko) 자동차용 사고표시등
KR200216006Y1 (ko) 비상신호 알림 및 후방시야 확보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