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615Y1 - 에어백용 충격센서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충격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615Y1
KR960005615Y1 KR2019940002505U KR19940002505U KR960005615Y1 KR 960005615 Y1 KR960005615 Y1 KR 960005615Y1 KR 2019940002505 U KR2019940002505 U KR 2019940002505U KR 19940002505 U KR19940002505 U KR 19940002505U KR 960005615 Y1 KR960005615 Y1 KR 960005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ar
conductive
operator
cylindrica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849U (ko
Inventor
박병숙
정재훈
정재학
정은선
Original Assignee
박병숙
정재훈
정재학
정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숙, 정재훈, 정재학, 정은선 filed Critical 박병숙
Priority to KR2019940002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615Y1/ko
Publication of KR95002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에어백용 충격센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작동전 측면 단면의 상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 후 측면 단면의 상태도
제 3 도는 작동전 원주형 판 스프링과 원형 작동자를 위에서 본 상태도
제 4 도는 작동후 원주형 판 스프링과 원주형 작동자를 위에서 본 모습
제 5 도는 아래 덮개에 부착된 판스프링을 위에서 본 단면도
제 6 도는 원주형 판 스프링의 부분 입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주형작동자 2 : 스토퍼
3 : 판 스프링 4 : 원주형 판 스프링
5 : 조정볼트 6 : 몸체
7 : 아래덮개 8 : 스프링
9 : 전원단자 10 : 전원단자
11 : 원형요입홈 12 : 볼트
본 고안은 자동차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인명 보호용 에어백을 작동하기 위한 충격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가 전방 뿐만 아니라 삼백육십도의 임의의 방향에서 충돌 되어도 충돌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히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센서로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해질 수 있게 개선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에어백용 충격 감지 센서에는 기계식, 전기식 및 전자식등이 있으며 이들 센서는 전부 어느 특정한 방향의 충격에만 작동을 하는 일방향성 충격센서라는 단점이 있다. 현재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충격센서는 어느 것이나 대부분 일방향성이므로 여러 방향의 충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센서를 전면충격용, 좌우측면충격용으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충격센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로 자동차게 삼백육십도의 임의의 방향에서 충돌되어도 충돌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히 전기 접점을 이루어서 회로를 연결 구성하게 되는 전기 접점식 충격 센서로서 전기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든 에어백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제 1 도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도로서 평상시 작동 전의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의 구성내용은 몸체(6)(부도체)과 아래덥개(7)(부도체) 사이에 원주형의 공간을 만들고 원주 내벽에는 원주 모양의 도전성 판스프링(4)를 부착한다. 그리고 판스프링(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단자(9)를 부착시켜 외부에 전선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 원주형 판스프링(4)는 제 3 도와 같이 위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원주형 판을 한쪽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원둘레 전체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일부를 좁은 간격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들이 제 6 도와 같이 원 내부를 향하도록 하나 걸러 한부분씩 구부린다. 이때, 원둘레 내부를 향한 부분들은 원 내부의 모든 방향에 대하여 탄력을 가지게 된다.
원주형 공간의 중앙에는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도전성 원형작동자(1)를 내장한다. 원형작동자(1)의 중앙 상부에는 아래 끝이 둔각의 원뿔형을 갖는 뾰족한 요입형 홈(凹)을 만들고 그 주위에는 중앙의 요입형 홈의 깊이 보다 깊은 원형 요입형 홈(凹)(11)을 동심원으로 둥글게 제 1 도의 11과 같이 판다. 스톱퍼(2)의 아래 끝은 원형 작동자(1)의 중앙부의 요입홈과 서로 꼭 맞는 둔각의 원뿔형으로 만든다. 스토퍼(2)는 몸체(6)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위에서 스프링(8)에 의해 항상 눌려 있게 하며, 조정볼트(5)의 조정으로 스토퍼(2)의 눌림 압력을 조정하여 항상 원형작동자(1)을 적당한 압력으로 누르고 있다.
제 1 도에서 아랫 덮개(7)의 내면 중앙부에는 도전성 판스프링(3)을 외부 전원단자(10)과 연결하여 외부에 전선을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이 판스프링(3)은 제 1 도의 아래덮개(7)의 중앙부에 요입홈(凹)을 구성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다. 제 5 도는 이것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판스프링(3)의 중앙부 쪽은 항상 위로 향하여 원주형작동자(1)의 밑바닥에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게 한다. 이 충격센서는 볼트(12)로서 본 고안품을 자동차 차체에 밀착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자동차가 화살표 방향(→)으로 어느 임계 속도 이상으로 충돌하였다고 가정하면, 본 고안의 몸체(6)은 차체에 밀착, 고정되어 있음으로 관성력에 의하여 원주형작동자(1)은 스프링(8)과 스토퍼(2)의 임계 압력을 이기고 화살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제 2 도 및 제 4 도와 같이 원주형판스프링(4)와 판스프링(3)이 원형 작동자(1)을 매개체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단자(9), (10)의 전기적회로가 연결 된다.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에어백인 경우에 충격센서로 이용이 된다.
한편, 어느 임계 속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원주형작동자(1)은 스프링(8)과 스토퍼(2)의 압력으로 항상 눌려있기 때문에 원주형 작동자(1)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원주형작동자(1)이 충돌시 가지는 움직이려는 관성력과 스토퍼(2)가 누르는 압력은 서로 상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의 힘이 큰가에 의하여 원주형작동자(1)이 이동할 수 있는가는 또는 없는가가 정하여 지게 된다.
만일 차체가 충돌할 때 원주형작동자가(1)의 이동하려는 관성력이 스토퍼(2)의 누르는 압력보다 크면 원형작동자(1)은 스토퍼(2)를 위로 밀어 올리고 제 2 도 및 제 4 도와 같이 원주형공간에서 충돌 방향으로 이동하여 판스프링(3)과 원주형 판스프링(4)는 원주형작동자(4)에 의해 접점이 이루러지게 된다. 반대로 충돌시 원형작동자(1)의 이동하려는 관성력이 스토퍼(2)의 누르는 압력보다 적으면 원주형작동자(1)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판스프링(3)과 원주형판스프링(4)과 전기적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2)의 압력의 강약을 조절하는 조정볼트(5)로서 자동차의 충돌시 원주형 작동자(1)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자동차의 지정속도(임계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볼트(5)의 조절로서 자동차가 지정속도 이하에서 충돌시 본 고안은 작동하지 않으며, 지정속도 이상에서의 충돌시에만 작동하게 된다.
한편, 원주형작동자(1)는 임계 속도 이상으로 자동차가 충돌시 충돌 방향으로 이동할 원형요입홈(11)이 없다면 원주형작동자(1)은 몸체(6)내의 내벽에 순간적으로 부딪치고 이 충격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진동 운동을 하게 되어 전기 접점이 지속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원형요입홈(11)을 만들어서 원주형작동자(1)이 작동하는 즉시 위에서 스토퍼(2)가 순간적으로 원형요입홈(11)에 끼이게 되어 원주형작동자(1)는 작동후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전기적 접점상태도 지속될 수 있다.

Claims (2)

  1. 몸체(6) 내부에 원주형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 도전성 원주형작동자(1)을 내장하며 원주형 공간 내부의 원 둘레를 따라서 도전성 원주형판스프링(4)와 바닥에 원주형작동자(1)과 접촉되어 있는 도전성 판스프링(3)을 설치하고 차량이 충돌시 원주형작동자(1)의 관성력에 의한 작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2), 스프링(8) 및 조정볼트(5)를 몸체(6)의 원주형 공간 중앙상부에 구성함으로써 차량이 삼백육십도의 수평면 어느 방향에서나 지정된 속도 이상에서 충돌시 도전성 원주형작동자(1)이 충돌 방향으로 작동(이동)하여 순간적으로 도전성 원주형판스프링(4)에 연결된 전원단자(9)와 도전성 판스프링(3)에 연결된 전원단자(10)사이의 회로가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한 에어백용 충격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전성 원주형작동자(1)의 중앙에 둔각의 원뿔형 요입홈을 파고 그 주위에 동심원의 원형요입홈(11)을 두어 원주형작동자(1)이 작동하고 난후 원주형작동자(1)은 스토퍼(2)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서 전원단자(9), (10) 사이에는 도전성 원주형작동자(1)을 통하여 지속적인 전기적 접점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KR2019940002505U 1994-02-08 1994-02-08 에어백용 충격센서 KR960005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505U KR960005615Y1 (ko) 1994-02-08 1994-02-08 에어백용 충격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505U KR960005615Y1 (ko) 1994-02-08 1994-02-08 에어백용 충격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49U KR950024849U (ko) 1995-09-15
KR960005615Y1 true KR960005615Y1 (ko) 1996-07-10

Family

ID=1937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505U KR960005615Y1 (ko) 1994-02-08 1994-02-08 에어백용 충격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6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49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9524A (en) Sensor
GB2051482A (en) Inertia switch
US3812726A (en) Velocity responsive apparatus
US3835273A (en) Pendulum-type inertia sensor switch
US5756948A (en) Side-impact electro-mechanical accelerometer to actuate a vehicular safety device
KR960005615Y1 (ko) 에어백용 충격센서
US20040004344A1 (en) Horn switch integrated with airbag module
US3944764A (en) Inertia sensor switch
US3655929A (en) Device for detecting and signalling a change of more than a prescribed amount in the rate of movement of an object
EP0375154B1 (en) Acceleration sensor
EP0359288B1 (en) Collision detec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JPH03229159A (ja) 衝撃センサー
US3655928A (en) Device for detecting and signaling a change of more than a prescribed amount in the rate of movement of an object
US4104493A (en) Switch for detecting collision of vehicle
US6717078B2 (en) Collision detection apparatus designed to minimize contact chatter
KR100387825B1 (ko) 에어백 충돌 감지센서
KR100456568B1 (ko) 충돌량 센서와 일체로 된 자동차용 충돌 센서
KR100502454B1 (ko) 가속도 검출장치
KR19980025504U (ko) 차량용 에어 백의 충격 감지 장치
JP3577856B2 (ja) 衝突検知装置
US4890060A (en) Electromechanical abutment sensor with resilient damper plate for sensing sheets in a sheet folding machine
KR100559302B1 (ko) 운전자용 에어백모듈의 센터링 구조
GB2083706A (en) Electrical vibration sensor switch
KR940007463Y1 (ko) 자동차용 에어 백 센서
KR200141635Y1 (ko) 차량용 급감가속 감지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