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32B1 -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32B1
KR960005532B1 KR1019910000028A KR910000028A KR960005532B1 KR 960005532 B1 KR960005532 B1 KR 960005532B1 KR 1019910000028 A KR1019910000028 A KR 1019910000028A KR 910000028 A KR910000028 A KR 910000028A KR 960005532 B1 KR960005532 B1 KR 96000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air
opening
vehic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270A (ko
Inventor
바빙 자임
Original Assignee
화이브리 트랑스포트
알랭 보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브리 트랑스포트, 알랭 보델 filed Critical 화이브리 트랑스포트
Publication of KR91001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철도 차량 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차량의 길이를 따라 조절된 공기의 분배를 수행하는 도관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도관 상에 덮개를 고정하고 마무리하기 위한 외관 입면도.
제 4 도는 도관의 다른 횡단면도.
제 5 도는 공기 조절 장치의 도관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풍 장치 4 : 구멍
6 : 벽 9 : 덮개
11 : 견부 12 : 중간 부분
13 : 창 16 : 유입 오리피스
17 : 격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특히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프랑스 공화국 특허 출원 제2,632,593호에는 차량의 내부 측면의 하부 부분을 따라 연장된 도관 내에 냉동 또는 온풍을 송풍하는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도관은 두개의 공기 배출 통로 내로 개방되어 있는데, 제 1 공기 배출 통로는 차량의 내부에 인접한 도관의 측면에 대해 설치되어 차량의 바닥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공기를 분배하고, 제 2 공기 배출 통로는 차량의 내부 측면에 대해 도관 위에 설치되어 창문 높이에서 공기를 분배한다. 제 2 공기 배출 통로는 그 기저부에 대류에 의한 장치의 유동율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으로부터의 공기가 통로 내로 들어가도록 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바닥 방향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분배하는데 있어 여러결점들을 가지고 있다.
우선, 장치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어 지면 쪽으로 송풍해 주는 공기 통로는 도관에 대해 병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치수 문제를 가지고 있고, 특히 승객의 발의 충격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경질화된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량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장치는 지면 쪽으로 공기를 효과적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반사판의 사용이 필요하다. 송풍된 공기가 이들 판으로부터 반사될 경우에는, 공기 속도가 감소되고 유동이 감소된다.
더욱이, 이러한 유동은 공기 배출 구역의 단면에도 또한 좌우되는데, 미적 측면을 감안해서 종종 도관을 덮개로 덮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면은 상기 덮개의 두께, 특히 파일 직물(pile fabric)인 경우에 그 두께만큼 감소된다.
끝으로, 이러한 장치가 바닥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할 때, 한편으로는 공기의 분배, 특히 차량 중간 쪽으로의 공기의 분배가 불충분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바닥으로부터 반사하게 된다. 이러한 반사는 도관의 상부 부분의 방향으로, 특히 통상적으로 차량의 주위 온도에서 공기를 수용하는 개구 쪽으로 공기를 돌려보내는 결과를 초래해서, 효율의 손실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승객에게 최대의 편안함을 주는 동시에 치수 및 중량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장치의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결점들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장치는, 차량 내부의 하부 측면을 따라 연장된 도관 안으로 냉풍 또는 재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 장치를 구비하고, 이 도관은 차량의 내부를 향한 공기의 분배 수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수단은 차량 내부에 인접한 도관의 측면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개구가 도관의 상기 측면과 일치하는 평면내에 제공되고, 도관의 내부는 상기 개구와 대면하여 도관의 상기 측면과 예각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의 상부에 위치된 한 지점에서 상기 측면에 연결되는 벽을 구비하고, 상기 벽은 상기 개구와 대면해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와 상기 개구의 중심들을 통과하는 축은 차량의 내부 및 바닥 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조절된 공기가 바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송풍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 결과, 승객은 공기의 통과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바닥에 대해 공기 제트가 낮게 깔리는 것으로 인한 효율 손실의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공기 조절된 차량의 특징들은 도관 측면 상의 개구의 높이 및 횡단면과, 도관 내에 위치된 벽의 상기 측면에 대한 각도 선택에 의해 용이하게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치는 분배 수단이 도관의 표면 상에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도관의 외부 덮개가 장치에 쉽게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큰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면, 송풍 장치(1)는 공기 조절된 차량의 하부 내부 표면의 기저부에 위치된 분배 도관 내로 미리 재가열된 공기를 주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량 내부로의 공기의 분배는 차량 내부에 인접한 측면(5) 상의 도관(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일련의 개구(4)에 의해 달성된다.
정확하게 도관의 개구(4)들중 하나의 높이에서 취한 제 2 도의 횡단면도에서, 상기 개구들은 도관(2)의 외부 표면에 돌출부 또는 굴곡부가 전혀 없도록 도관(2)의 상부면에 대해 사실상 수직인 측면(5)의 평면에서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도는 도관(2)의 내부에서 개구(4)와 대면해서 위치된 벽(6)을 도시하고 있다. 이 벽(6)은 도관(2)의 측면(5)과 예각(α)을 형성하고, 개구(4)의 상부에서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양호하게는, 경사진 벽(6)은 도관(2)의 내부에서 일련의 개구(4)의 이면측으로 도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부(8)의 일부이다.
벽(6)은 개구(4)와 대면하는 오리피스(7)를 구비하는데, 이 오리피스(7)와 개구(4)의 각각의 중심들을 통과하는 축(X-X')은 차량의 내부 및 바닥(P) 쪽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벽(6)을 포함하는 형상부(8)는 개구(4)와 대면해서 일정한 각격으로 위치되고 개구(4)의 단면보다 사실상 작은 단면을 갖는 일련의 오리피스(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도는 또한 예를 들어 도관(2)에 부착되는 파일 직물로 구성된 외부 덮개(9)를 도시하고 있다. 이 덮개(9)는 공기 배출 통로를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해 개구(4)의 양 측면에서 불연속이 된다. 이 덮개(9)의 가장자리부(9a)는 고정 및 마무리 수단인 형상부(10)에 의해 도관(2)의 벽에 대해 유지된다. 제 2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고정 및 마무리 수단은 제 3 도에 상세 입면도로 도시된 형상부를 포함한다.
도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 형상부(10)는 일련의 개구(4)의 상하부에서 덮개(9)를 지탱하도록 되어 있는 두개의 평행 견부(11)와, 개구(4)의 둘레에서 도관(2)의 측면(5)을 지탱하는 중간 부분(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 부분(12)에는 개구(4)를 통하여 조절된 공기가 자유롭게 배출되도록 마련된 개구(4)의 단면과 적어도 동일한 단면으로 된 일련의 창(13)이 천공되어 있다.
실시예로서 제 4 도를 참조하면, 형상부(10)의 고정은 도관(2)의 측면(5)과 접촉하고 있는 중간 부분(12)에서 형상부(1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된 일련의 나사(20)와 케이지형(caged) 너트(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나사(20)는 원형 구멍(14)에 의해 형상부(10)의 중간 부분(12)을 통과하고, 형상부(10)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관(2)내에 위치된 케이지형 너트(21)와 협력하는 구멍에 의해 측면(5)을 통과한다.
개구(4)의 이면측에서 경사진 벽(6)이 갖는 오리피스(7)의 구조는 차량의 내부 및 바닥(P) 쪽을 향하는 X-X' 방향으로 조절된 공기를 주입하게 해준다. 이러한 공기 주입 방법은 사실상 수평으로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승객이 다리에 공기를 쐬어서 느끼는 불쾌함과, 사실상 수직으로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바닥에 대해 공기 제트가 낮게 깔리는 것으로 인한 효율의 손실을 회피해 준다.
오리피스(7)가 개구(4)의 단면보다 작을 때, 상기 장치는 공기가 바닥에 충돌한 후에 바닥의 보다 큰 표면을 덮는 분산된 공기 제트를 생성시키며, 이는 공기 조절의 균질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형상부(10)로 인해, 도관의 외부 덮개는 본 발명의 장치와 용이하게 일체로 구성된다. 형상부(10)는 또한 소망하는 미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형상부(10)를 고정하는 시스템은 형상부(10)를 고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긴 형상의 구멍으로 인해 조정과 관련된 성가신 문제가 회피된다면, 용이한 조립을 허용해 준다.
제 5 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배 도관(2)은 또한 그 상부 부분에 조절된 공기를 상향으로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도관(2)의 상부 표면은 주위 공기 유입 오리피스(16)와 협력해서, 차량의 내부 측면(3)에 인접한 격실(17)내에서 최종적으로 개구(18)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 쪽으로 방출되는 공기 흐름을 생성시키는 방출 오리피스(1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성질의 장치는 본 출원인의 프랑스 공화국 특허 출원 제2,632,593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16)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대체로 주변 대기로부터 취해지는 것이며, 상기 장치의 하부 부분에 의해 생성된 공기 제트가 바닥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두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도관(2)의 측면(5)상의 일련의 개구(4)는 도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슬롯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관의 측면(5)상에 수 개의 평행한 열로 된 개구(4)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Claims (9)

  1. 차량의 내부 측면(3)의 하부 부분을 따라 연장된 도관(2)을 통하여 냉풍 또는 재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 장치(1)를 구비하고, 상기 도관(2)은 차량의 내부를 향한 공기의 분배 수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분배 수단은 차량 내부에 인접한 도관(2)의 측면(5)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차량용, 특히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4)는 도관(2)의 상기 측면(5)과 일치하는 평면내에 배치되고, 도관(2)의 내부는 상기 개구(4)와 대면해서 도관(2)의 상기 측면(5)과 예각(α)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4)의 상부에 위치된 한 지점에서 상기 측면에 연결되는 벽(6)을 구비하고, 상기 벽(6)은 상기 개구(4)와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7)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7)와 상기 개구(4)의 중심들을 통과하는 축(X-X')은 차량의 내부 및 바닥(P) 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4)와 대면하는 상기 벽(6)은 도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부(8)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개 벽(6)의 오리피스(7)는 이 벽(6)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일련의 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2)의 측면(5)상에 마련된 상기 개구(4)는 도관(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일련의 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2)의 측면(5)을 따라 배치된 구멍과 도관(2)의 내부에 위치된 벽(6)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구멍들은 서로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2)의 내부에 위치된 벽(6)을 따르는 구멍은 도관(2)의 측면(5) 상에 위치한 구멍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2)은 도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관(2)의 측면(5)에 있는 일련의 구멍의 양 측면에서 상기 덮개(9)의 가장자리를 지탱하고 그 중간 부분(12)에서 도관(2)의 상기 측면(5)을 지탱하는 형상부(10)를 구비하는 도관(2)의 외부 덮개(9)의 마무리 및 고정 수단을 개구(4)에 인접하여 포함하고, 도관(2)의 측면(5)에 존재하는 구멍의 단면과 적어도 동일한 단면으로 된 일련의 창(13)이 상기 구멍과 대면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덮개(9)를 마무리하고 고정하기 위한 상기 형상부(10)는 도관(2)의 측면(5)을 따라 마련된 긴 형상의 구멍을 통과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도관(2)의 측면(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도관(2)은 그 상부 부분에 공기 통로인 격실(17)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부 쪽으로 공기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는 그 기저부에 차량으로부터의 주위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오리피스(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KR1019910000028A 1990-01-05 1991-01-04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KR960005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00081A FR2656839B1 (fr) 1990-01-05 1990-01-05 Dispositif de climatisation, notamment pour vehicules ferroviaires.
FR9000081 1990-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270A KR910014270A (ko) 1991-08-31
KR960005532B1 true KR960005532B1 (ko) 1996-04-26

Family

ID=939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028A KR960005532B1 (ko) 1990-01-05 1991-01-04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84976A (ko)
EP (1) EP0436519B1 (ko)
KR (1) KR960005532B1 (ko)
AT (1) ATE107585T1 (ko)
CA (1) CA2033612C (ko)
DE (2) DE69102544T2 (ko)
ES (1) ES2023632T3 (ko)
FR (1) FR2656839B1 (ko)
MA (1) MA22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735B2 (en) * 2000-12-01 2004-10-26 Alfa Leisure, Inc. Method of fabricating a motorhome
US6776451B2 (en) * 2000-12-01 2004-08-17 Alfa Leisure, Inc. Motorhome HVAC system
US7338109B1 (en) 2000-10-13 2008-03-04 Alfa Leisure, Inc. Motorhome with increased interior ceiling height
US6540285B2 (en) * 2000-10-13 2003-04-01 Alfa Leisure, Inc. Motorhome with increased interior ceiling height
US20070199196A1 (en) * 2000-12-01 2007-08-30 Johnnie Crean Method of fabricating a motorhome
FR2830503B1 (fr) * 2001-10-04 2003-12-12 Alstom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air conditionne dans une salle de voyageurs de vehicule ferroviaire
CA2421876A1 (en) * 2002-03-13 2003-09-13 Alvin D. Mccauley Mass transit vehicle air distribution assembly
FR3041289B1 (fr) * 2015-09-22 2017-10-20 Alstom Transp Tech Dispositif perfectionne de climatisation, notamment pour une salle de vehicule ferroviaire
FR3052731B1 (fr) * 2016-06-16 2018-07-13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Systeme de ventilation de plateforme de vehicule ferroviaire et voiture associe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4227A (en) * 1953-07-23 1956-12-18 Gen Motors Corp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buses and the like
AT350622B (de) * 1977-07-25 1979-06-11 Friedmann Kg Alex Klima- oder luftheizungsanlage fuer fahrzeuge,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FR2461606A1 (fr) * 1979-07-23 1981-02-06 Air Ind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installations de climatisation pour vehicules de transport en commun
DE3408104A1 (de) * 1984-03-05 1985-09-12 Aurora Konrad G. Schulz Gmbh & Co, 6933 Mudau Vorrichtung zur belueftung von raeumen
FR2632593B1 (fr) * 1988-06-14 1996-02-09 Faiveley Ets Dispositif de climatisation, notamment pour vehicules ferrovia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3632A4 (es) 1992-02-01
ES2023632T3 (es) 1994-08-16
CA2033612C (en) 1996-04-02
EP0436519A1 (fr) 1991-07-10
KR910014270A (ko) 1991-08-31
FR2656839A1 (fr) 1991-07-12
CA2033612A1 (en) 1991-07-06
US5184976A (en) 1993-02-09
FR2656839B1 (fr) 1992-04-24
ATE107585T1 (de) 1994-07-15
EP0436519B1 (fr) 1994-06-22
DE69102544D1 (de) 1994-07-28
DE436519T1 (de) 1991-12-19
MA22035A1 (fr) 1991-07-01
DE69102544T2 (de)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532B1 (ko) 철도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US6616522B2 (en) Ventilating,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S5815204Y2 (ja) 車両用空気吹出し装置
JPS6338021A (ja) 自動車の換気装置
US4864919A (en) Vent for aerating windows
EP3059105B1 (en) Moving vehicle
GB2336656A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JPH03235741A (ja) 自動車の側部窓での曇りおよび氷の形成を阻止する装置
US6709327B2 (en) Method for circulating an air flow in a passenger compartment by soft diffusion and device therefor
JPH068617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EP06941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air to a ventilated space
KR101000377B1 (ko) 냉난방 공기 덕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철도차량 중천장 구조
US9505498B2 (en) Aircraft cabin airflow nozz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6184251B (zh) 一种送风装置
US4805522A (en) Cross member structure for automobile
US3329077A (en) Air conditioning on motor vehicles
CA1235327A (en) Air drape
JP7132709B2 (ja) 鉄道車両
JP4106322B2 (ja) 鉄道車両
RU2721150C1 (ru) Воздухораздаточный короб воздушной тепловой завесы и воздушная тепловая завеса с ним
JPH05270403A (ja) 鉄道車両のダクト構造
JP4525248B2 (ja) 自動車の空気調和システム
JPS58194616A (ja) 自動車用送風システム
CN110920340B (zh) 车辆座舱出风结构
HU213283B (en) Top channel arrangement for vehicless with a big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