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34B1 -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34B1
KR960005134B1 KR1019910022519A KR910022519A KR960005134B1 KR 960005134 B1 KR960005134 B1 KR 960005134B1 KR 1019910022519 A KR1019910022519 A KR 1019910022519A KR 910022519 A KR910022519 A KR 910022519A KR 960005134 B1 KR960005134 B1 KR 96000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c
value
reception state
channel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179A (ko
Inventor
맹정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34B1/ko
Priority to JP4330566A priority patent/JPH0669710A/ja
Publication of KR93001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안테나 12 : 튜너
13 : A/D변환기 14 : 마이크로프로세서
15 : 메모리 16 : 뮤트회로
17 : 증폭회로 18 : 스피커
본 발명은 TV(Television)의 안테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의 수신상태가 가장 양호하도록 안테나의 위치가 조정될 때 소정의 신호음을 발생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안테나의 위치를 최적의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은 안테나를 통해서 TV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안테나는 TV본체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실내형 안테나와, TV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실외에 장착하는 실외형 안테나가 있다. TV화면의 화질은 실내 또는 실외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즉, 안테나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여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를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TV는 양호한 화질의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적의 위치로 조정된 안테나는 인위적이거나 또는 바람 등과 같은 자연적인 요인으로 인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안테나의 위치를 다시 조정하여 최적의 위치로 만들어 줌으로써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를 다시 양호하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 실내 안테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TV화면을 직접 보면서 안테나를 조정하므로 불편함이 없으나, 실외 안테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TV화면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안테나를 조정하게 되므로 상당히 불편한 점이 있다. 즉, 한 사람이 안테나를 조정하는 경우 TV본체와 안테나 간을 왕복하면서 그 수신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 사람이 안테나의 조정에 참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가 최적의 상태로 수신되도록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 수신상태가 최적으로 될 때 소정의 신호음을 발생함으로써, 안테나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고 최적의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TV방송신호의 다수의 채널 중 수신 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와, 이 선택단계에서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로 선택된 채널의 가장 양호한 수신상태를 기억하는 단계와, 안테나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동안 매 순간마다의 수신상태와 전술한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수신상태를 비교하는 단계와, 이 비교단계에서 임의의 순간의 수신상태가 상기 기억된 수신상태보다 양호한 상태일 때 안테나의 위치가 최적의 위치임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TV방송신호의 각 채널에 대한 수신상태를 소정의 데이타값으로 산출하는 수단과, 데이타산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수신상태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저장부와, 다수의 채널 중 한 채널의 현재 수신상태데이타와 상기 데이타저장부에 저장된 수신상태데이타를 공급받아, 현재의 수신상태가 상기 데이타저장부에 수신상태데이타가 저장된 다수의 채널 중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의 가장 양호한 수신상태와 같거나 그 보다 더 양호한 경우 소정의 사운드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신호를 공급받아 소정의 신호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 1 도의 장치는 TV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와, 안테나와 연결된 튜너(12)와, 튜너(1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AGC(Automatic Gain Control)신호(Sagc)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3)와, A/D변환기(13)에서 공급되는 AGC데이타를 소정의 프로그래밍된 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와,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서 처리되는 소정의 데이타가 저장되는 데이타저장부(15)와,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서 고급되는 뮤트신호(Smt)에 따라 TV사운드신호(SStv)를 뮤트시키기 위한 뮤트신호(16)와,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사운드신호(SS1 또는 SS2)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17)와, 증폭회로(17)에서 공급되는 사운드신호를 소정의 신호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8)로 이루어진다.
제 1 도에서,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가 안테나(11)로 인가되고, 튜너(12)는 일반적인 튜닝과정을 거쳐 채널을 선택하며, 그 선택된 채널의 TV방송신호가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전파 강도에 해당하는 AGC신호(AGC)를 출력한다.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가 양호하면 수신된 신호의 전파 강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AGC신호의 크기도 증가한다. 반면에,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가 불량하면 수신된 신호의 전파 강도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AGC신호의 크기도 감소한다. 이와 같이 튜너(12)에서 출력되는 AGC신호는 A/D변환기(13)로 공급되어 디지탈형태의 AGC데이타로 변환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외부의 모드선택키에서 공급되는 모드신호(Smod)에 따라 안테나탐색모드 또는 안테나조정모드로 설정된다.
먼저, 모드신호(Smod)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14)가 안테나탐색모드로 설정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뮤트신호(Smt)를 발생하여 뮤트회로(16)를 동작시킨다. 뮤트회로(16)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로부터 뮤트신호(Smt)가 인가되면, TV사운드신호(SStv)의 전송을 차단한다. 지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TV방송신호가 3개의 채널(A, B, C)을 갖는 경우, 각 채널의 AGC데이타가 마이크로프로세서(14)로 공급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3개 채널의 AGC데이타(AGCa, AGCb, AGCc)를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Register)로 구성되는 데이타저장부(15)에 저장한다. 데이타저장부(15)가 다수의 레지스터로 구성된 경우, 3개 채널의 AGC데이타(AGCa, AGCb, AGCc)는 제1 내지 제 3 레지스터(REG1~REG3)에 각각 저장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제1 내지 제 3 레지스터에 저장된 AGC데이타(AGCa, AGCb, AGCc)를 비교하여, 이들 중 최소값에 해당하는 AGC데이타를 제 4 레지스터(REG4)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 4 레지스터(REG4)에는 3개의 채널 중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의 AGC데이타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 4 레지스터(REG4)에 저장되는 AGC데이타는 안테나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그 데이타의 값도 변하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제 4 레지스터(REG4)에 저장되는 AGC데이타 중 최대값을 제 5 레지스터(REG5)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제 5 레지스터(REG5)에 저장된 AGC데이타에 해당하는 채널의 번호를 제 6 레지스터(REG6)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 6 레지스터(REG6)에는 3개의 채널 중 가장 수신상태가 불량한 채널로서 수신상태가 가장 양호한 경우의 AGC데이타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드신호(Smod)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14)가 안테나 조정모드로 변환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데이타저장부(15)의 제 6 레지스터(REG6)에 저장된 채널번호를 읽어내어 튜너(12)로 공급한다. 그러면, 튜너(12)는 이 채널번호에 맞는 TV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테나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튜너(12)에서 출력되는 AGC값도 변하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A/D변환기(13)를 거쳐 공급되는 현재의 AGC데이타와 데이타저장부(15)의 제 5 레지스터(REG5)에 저장된 AGC데이타를 지속적으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현재의 AGC데이타가 제 5 레지스터의 AGC데이타 보다 작은 경우, 즉 최적의 수신상태가 아닌 경우, 소정의 제 1 사운드신호(SS1)를 발생한 다음, 다시 비교한다. 이와 반대로, 현재의 AGC데이타가 제 5 레지스터의 AGC데이타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즉 최적의 수신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소정의 제 2 사운드신호(SS2)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서 출력되는 제1 또는 제 2 사운드신호는 증폭회로(17)에서 소정의 크기로 증폭된 다음 스피커(18)로 전송된다. 그러면, 스피커(18)는 증폭회로(17)에서 증폭되어 전송되는 제 1 사운드신호(SS1) 또는 제 2 사운드신호(SS2)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음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 1 사운드신호가 인가될 때 스피커(18)는 반복적으로 끊어지는 '단속음'을 발생하고, 제 2 사운드신호가 인가될 때 스피커(18)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연속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외에 장착된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할 때 연속음이 발생하는 순간의 안테나의 위치가 최적의 수신상태에 해당하는 위치임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안테나 탐색모드로 될 때 TV사운드신호(SStv)를 뮤트시키는 것은 제 1 사운드신호 또는 제 2 사운드신호에 의한 단속음 또는 연속음을 보다 명확하게 청취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그래밍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모드신호가 안테나탐색모드인가를 검사한다(단계 211). 검사결과 안테나탐색모드이면, 뮤트신호를 발생하기 TV방송신호에 의한 음을 뮤트시킨다(단계 212). 그런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별도로 구비된 레지스터들(REG1~REG6)을 "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213). 지금,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TV방송신호가 3개의 채널(A, B, C)을 갖는 경우, 채널 A의 AGC값(AGCa)이 제 1 레지스터(REG1)값보다 큰가를 검사한다(단계 214). 검사결과 채널 A의 AGC값(AGCa)이 제 1 레지스터값보다 크면 채널 A의 AGC값(AGCa)을 제 1 레지스터(REG1)에 저장한다(단계 215). 반면에, 검사결과 채널 A의 AGC값(AGCa)이 제 1 레지스터값보다 크지 않으면, 채널 B의 AGC값(AGCb)이 제 2 레지스터값보다 큰가를 검사한다(단계 216). 검사결과 채널 B의 AGC값(AGCb)이 제 2 레지스터값 보다 크면, 채널 B의 AGC값(AGCb)을 제 2 레지스터(REG2)에 저장한다(단계 217). 반면에, 검사결과 채널 B의 AGC값(AGCb)이 제 2 레지스터값 보다 크지 않으면, 채널 C의 AGC값(AGCc)이 제 3 레지스터값 보다 큰가를 검사한다(단계 218).
검사결과 채널 C의 AGC값(AGCc)이 제 3 레지스터값 보다 크면, 채널 C의 AGC값(AGCc)을 제 3 레지스터(REG3)에 저장한다(단계 219). 반면에, 검사결과 채널 C의 AGC값(AGCc)이 제 3 레지스터값 보다 크지 않으면, 제1, 제2 및 제 3 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AGC값을 비교하여, 그 중 최소값에 해당하는 AGC값을 제 4 레지스터(REG4)에 저장한다(단계 220). 그런 다음, 제 4 레지스터값이 제 5 레지스터값 보다 큰가를 검사한다(단계 221). 전술한 단계들(단계 214~단계 221)이 반복되는 경우, 제 5 레지스터(REG5)에는 제 4 레지스터값을 제 5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제 5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AGC값에 해당하는 채널의 번호를 제 6 레지스터(REG6)에 저장한다(단계 222). 반면에, 제 4 레지스터값이 제 5 레지스터값 보다 크지 않으면, 현재의 모드가 안테나조정모드인가를 검사한다(단계 223). 검사결과 안테나조정모드가 아니면, 전술한 채널 A의 AGC값(AGCa)과 제 1 레지스터값을 비교하는 단계(단계 214)를 피드백한다.
반면에, 검사결과 안테나조정모드이면, 제 6 레지스터(REG6)에 저장된 채널번호를 읽어내어, 그 채널로 선국한다(단계 224). 그런 다음,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AGC값이 제 5 레지스터(REG5)에 저장된 AGC값 보다 작은가를 검사한다(단계 225). 검사결과 현재 AGC값이 제 5 레지스터 보다 작으면, 제 1 사운드신호(SS1)를 발생하여(단계 226), 안테나의 최적상태가 아님을 알리는 단속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반면에, 겸사결과 현재 AGC값이 제 5 레지스터값 보다 작지 않으면, 제 2 사운드신호(SS2)를 발생하여(단계 227), 안테나의 위치가 최적상태임을 알리는 연속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현재의 모드가 안테나조정모드인가를 다시 검사한다(단계 228). 검사결과 안테나조정모드이면 전술한 현재 AGC값과 제 5 레지스터값을 비교하는 단계(단계 225)로 피드백한다. 반면에, 검사결과 안테나조정모드가 아니면, 전술한 안테나탐색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단계 211)부터 다시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최적위치조정 시스템은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다수의 채널 중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채널이 가질 수 있는 AGC값 중 최대 AGC값을 저장한다. 그런 다음,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안테나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동안,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AGC값과 앞에서 저장된 최대 AGC값을 지속적으로 비교한다. 비교결과,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AGC값이 저장된 최대 AGC값보다 크면, 그때의 안테나위치가 최적의 위치임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를 양호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할 때, 최적의 수신상태에서 소정의 신호음을 발생함으로써, 종래의 안테나위치조정시, 특히 실외 안테나의 위치조정시 수반되는 불편함을 배제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방송신호의 다수의 채널 중 수신 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단계에서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로 선택된 채널의 가장 양호한 수신상태를 기억하는 단계 ; 상기 안테나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동안, 매 순간마다의 수신상태와 상기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수신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임의의 순간의 수신상태가 상기 기억된 수신상태보다 양호한 상태일 때, 안테나의 위치가 최적의 위치임을 알리는 신호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V방송신호의 각 채널의 수신상태는 수신되는 신호의 전파강도에 해당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값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TV방송신호의 각 채널에 대해 상기 AGC값을 구하는 단계 ; 상기 각 채널에 대해, 이전의 수신상태와 현재의 수신상태 중 보다 양호한 수신상태의 AGC값을 기억하는 단계 ; 및 상기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다수의 채널의 각 AGC값 중 최소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GC값 기억단계는 다수의 채널 중 한 채널의 현재 AGC값과 그 채널의 이전 AGC값을 비교하는 단계 ; 상기 비교단계에서 현재 AGC값이 이전 AGC값 보다 크면, 이전 AGC값 대신 현재 AGC값을 기억하는 단계 ;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현재 AGC값이 이전 AGC값 보다 크지 않으면, 다른 채널의 현재 AGC값과 이전 AGC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의 가장 양호한 수신상태를 기억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채널의 각 AGC값 중 현재 최소값으로 선택된 AGC값과 이전에 최소값으로 선택된 AGC값을 비교하는 단계 ; 및 상기 비교단계에서 현재의 AGC값이 이전의 AGC값 보다 크면, 이전의 AGC값 대신 현재의 AGC값을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발생단계는 상기 임의의 순간의 수신상태가 상기 기억된 수신상태 보다 양호한 상태가 아닐 때, 안테나의 위치가 최적의 위치가 아님을 알리는 다른 신호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발생 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에, TV방송신호의 음성을 뮤트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8. 다수의 채널을 갖는 TV방송신호의 수신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TV방송신호의 각 채널에 대한 수신상태를 소정의 데이타값으로 산출하는 수단 ; 상기 데이타산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수신상태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저장부 ; 상기 다수의 채널 중 한 채널의 현재 수신상태데이타와 상기 데이타저장부에 저장된 수신상태데이타를 공급받아, 현재의 수신상태가 상기 데이타저장부에 수신상태데이타가 저장된 다수의 채널 중 수신상태가 가장 불량한 채널의 가장 양호한 수신상태와 같거나, 그 보다 더 양호한 경우 소정의 사운드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 및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신호를 공급받아 소정의 신호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소정의 뮤트신호를 공급받아, TV방송신호에 의한 음성의 출력을 뮤트시키는 뮤트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사운드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태 데이타 산출수단은 동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공급받아 그 신호의 전파강도에 해당하는 AGC신호를 출력하는 튜너 ; 및 상기 튜너에서 출력되는 AGC신호를 디지탈형태의 AGC데이타로 변환하는 A/D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12.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채널의 각 AGC값을 비교하여, 그 중 최소값을 선택하는 제 1 비교부 ; 상기 제 1 비교부에서 반복적으로 선택되는 AGC값을 공급받아, 현재 선택된 AGC값과 이전에 선택된 AGC값을 비교하여 더 큰 값을 선택하는 제 2 비교부 ; 상기 제 2 비교부에서 선택되는 AGC값과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AGC값을 공급받아, 이들 2개의 AGC값을 비교하는 제 3 비교부 ; 및 상기 제 3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른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제 3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현재 수신된 신호의 AGC값이 상기 제 2 비교부에서 선택된 AGC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운드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교부는 상기 TV방송신호의 채널수가 "N"개인 경우, 각 채널에 대해 현재 AGC값과 이전 AGC값을 비교하여, 보다 큰 값을 출력하는 "N"개의 비교기 ; 상기 "N"개의 비교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AGC값을 공급받아, 이들 AGC값 중 최소값을 선택하는 다른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14. 제 8 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저장부는 상기 제 1 비교부의 각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AGC데이타와 상기 제 2 비교부에서 선택되는 AGC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저장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장치.
KR1019910022519A 1991-12-10 1991-12-10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KR96000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519A KR960005134B1 (ko) 1991-12-10 1991-12-10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JP4330566A JPH0669710A (ja) 1991-12-10 1992-12-10 アンテナ最適位置調整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519A KR960005134B1 (ko) 1991-12-10 1991-12-10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179A KR930015179A (ko) 1993-07-24
KR960005134B1 true KR960005134B1 (ko) 1996-04-20

Family

ID=1932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519A KR960005134B1 (ko) 1991-12-10 1991-12-10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69710A (ko)
KR (1) KR960005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599B1 (ko) * 1998-12-24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조정을 위한 음향신호발생장치_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179A (ko) 1993-07-24
JPH0669710A (ja) 199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134B1 (ko) 안테나 최적위치 조정방법 및 장치
US64210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utomatic gain control points of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6519450B2 (en) Radio broadcasting receiver
JP3777003B2 (ja) 選局システム
KR200151591Y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자동음성뮤트장치
JPH11355684A (ja) 音量調整装置とその調整方法
CN111314825A (zh) 自动调节扬声器频响曲线的系统及方法
KR19980052942A (ko) 채널별 음량레벨 변동폭 자동 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JP2781450B2 (ja) 出力値調整装置
KR100216915B1 (ko) 텔레비전의 agc(automatic gain control)량 자동조정방법
JPH06253275A (ja) Catvシステムの端末装置
KR960005133B1 (ko) 안테나의 최적위치를 알리는 신호음 발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245123B1 (ko) 텔레비전 음량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S6367366B2 (ko)
KR20000000654A (ko) 자동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JPH0289486A (ja) 衛星放送受信装置
KR100266602B1 (ko) 티브이의옵션조절방법
KR100420138B1 (ko) 복합방송수신기의음량조절방법
KR0180677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편파 자동선택장치 및 방법
KR950011529B1 (ko) 수신기의 고주파 수신레벨 보상회로 및 보상방법
JPS6256714B2 (ko)
KR0172479B1 (ko) 청취력 테스트에 의한 자동음량조정장치와 방법
JPH05130674A (ja) 音量制御装置
JPH02166847A (ja) 受信偏波面制御装置
KR20000003689A (ko) 티 브이의 음성레벨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