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015B1 -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015B1
KR960005015B1 KR1019920023718A KR920023718A KR960005015B1 KR 960005015 B1 KR960005015 B1 KR 960005015B1 KR 1019920023718 A KR1019920023718 A KR 1019920023718A KR 920023718 A KR920023718 A KR 920023718A KR 960005015 B1 KR960005015 B1 KR 96000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trobe
input
signa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837A (ko
Inventor
남병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015B1/ko
Priority to US08/022,197 priority patent/US5657070A/en
Priority to DE4308496A priority patent/DE4308496C2/de
Publication of KR94001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25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 H04N1/40031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for a plurality of reproducing element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3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 G06K15/124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on one main scanning line
    • G06K15/1247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e.g. a linear arr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3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 G06K15/1257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 G06K15/1261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simultaneously exposing more than one point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04N1/405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 H04N1/4056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the pattern varying in one dimension only, e.g. dash length, pulse width modulation [PW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제 1 도는 엘이디 프린터의 LED 헤드의 구성도,
제 2 도는 종래의 구동 방법에 의한 엘이디 헤드 구동 타이밍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따른 엘이디 헤드의 구동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헤드의 구동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사진 현상 시스템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LED 헤드(Light Emitting Diode-head)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사진 현상 시스템의 일종인 LED-프린터는 한 열의 LED 헤드에 인자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기록하여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위에 상기 기록된 데이터에 따른 빛을 조사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LED 헤드에 인자하고자 하는 데이타를 기록하여 감광체 위에 빛을 조사하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는 조사에 따른 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현상제를 상기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부착시킨 후 상기 감광체에 부착된 현상제를 종이 위에 전사, 정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 1 도에는 LED 프린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ED 헤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도중, 참조번호 10은 캐소드(Cathode)가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어 있으며 애노드의 싱크(Sink) 전류에 의해 발광되는 다수의 LED를 내장하는 LED 어레이이다. 참조번호 12는 클럭 CLK에 의해 입력되는 일 라인 데이터 PD를 일(ONE) 라인 프린팅 데이터로 시프트하여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이다. 참조번호 14는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2)로부터 출력되는 일 라인 프린팅 데이터를 래치 클럭 LC에 의해 래치 출력하는 래치회로이다. 참조번호 16은 상기 LED 어레이(10)의 각 LED의 애노드와 상기 래치회로(14)의 각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트랜지스터(TR)를 내장하고 있으며, 스트로브(Strobe) 신호 ST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된 프린팅 데이터에 대응한 싱크전류로 상기 LED를 구동하는 LED 구동회로이다. 이때 상기의 구성중 LED 어레이(10)는 감광체인 감광 드럼의 표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진다.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와 같은 LED 헤드로서 인자할 데이터를 프린팅 출력하는 LED 프린터의 출력 타이밍도이다.
상기 제 1 도와 같은 LED 헤드로서 일 라인의 데이터를 감광체에 조사(혹은 기록)하기 위해서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라인 기록 시간(T-record)의 주기내에 일 라인 분의 데이터 PD와 클럭 CLK을 LED 헤드 내의 시프트 레지스터(12)에 공급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일 라인 분의 데이터 PD와 클럭 CLK이 공급되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2)는 상기 클럭 CLK의 입력에 의해 상기 일 라인 데이터 PD를 시프트하여 병렬 테이터로 출력한다. 즉, 일 라인 프린팅 데이터로 변환 출력한다.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2)의 시프트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도와 같이 래치클럭 LC를 래치회로(14)의 클럭단자로 출력하여 상기와 같이 병렬로 변환된 일 라인 프린팅 데이터를 래치한다. 상기와 같이 래치된 일라인 프린팅 데이터는 LED 구동회로(16)의 각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래치클럭 LC의 공급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2)로 입력되는 클럭 CLK이 차단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공급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미리 결정되어진 주기를 갖는 스트로브 신호 ST가 상기 LED 구동회로(16)에 입력되면, 상기 LED 구동회로(16)내의 트랜지스터(TR)는 제 2 도와 같이 상기 스트로브 신호 ST가 입력되는 시간동안 "온" (LED ON)되어 각 콜렉터에 접속된 LED를 "온 또는 오프" 구동한다. 이때 상기 LED가 "온" 또는 "오프"구동되는 것은 프린팅 데이터의 로직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에 의해 LED 어레이(10)의 내부 위치딘 LED들중 프린팅 위치에 해당되는 LED들이 발광되면, 상기 발광에 의한 빛이 상기 스트로브 ST의 주기동안 감광드럼(도시하지 않았음)에 노광(T-expose)되어 짐으로써 정전 잠상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때 현상제를 상기 감광드럼에 부착하여 현상하고, 종이에 전사 및 정착하면, 프린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의 노광시간(T-expose)은 흑(Black)의 화상을 인자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도와 같은 LED 헤드를 제 2 도와 같은 방법으로 구동하는 종래의 구동 방법은 일 라인 데이터 기록 시간(T-record)에 프린팅 데이터를 한번만 기록하여 프린팅 함으로써 하나의 도트(Dot)에 대한 계조변화를 표현할 수 없었다. 즉, 하나의 도트의 변화는 도트의 유·무(LED의 "온" 또는 "오프")만으로 표현됨으로써 흑 또는 백의 명암으로만 표현되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연속된 도트로 이루어진 선과 글자, 도형의 계조를 표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 있어서, 2M계조를 가지는 화상을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 헤드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린팅 헤드를 가지고 전자사진 현상을 하는 페이지 프린터에 있어서, 2M계조를 가지는 화상을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 헤드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일 라인 프린팅 데이터를 프린팅하는 LED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 2M계조를 가지는 화상을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 헤드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린팅 데이터 입력단자, 클럭단자, 래치단자, 스트로브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클럭 단자로 입력되는 클럭에 의해 시프트하여 래치하고, 상기 스트로브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된 데이터를 감광드럼에 노광시키는 LED 헤드부를 가지는 프린터에 있어서, 계조 모드 프린팅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라인 동기신호 HSYNC를 출력함과 동시에 계조모드에 따른 갯수의 서브 동기신호 DSYNC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서브 동기신호 DSYNC에 대응된 갯수의 래치클럭 LT를 상기 LED 헤드부로 출력하는 계조 프린팅 제어수단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수의 비디오 클럭 CLOCK을 발생하는 비디오 클럭 발생수단과, 상기 서브동기신호 DSYNC의 입력에 동작되며, 입력되는 비디오 클럭 CLOCK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일 라인의 계조 프린트 데이터중 일 라인의 서브 데이터를 프린트 데이터 PD로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발생수단과, 상기 서브동기신호 DSYNC의 한 주기내에 입력되는 상기의 래치클럭 LT를 카운트하여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 M0~M3를 발생하는 계조 모드 디코딩수단과, 상기 계조 모드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인에이블 신호 M0의 입력에 응답하여 주기의 듀레이션이 서로 다른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발생하는 계조 스토로브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계조 모드 디코딩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 M1~M3와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논리 조합하여 계조 모드에 따른 스트로브 펄스를 상기 LED 헤드의 스트로브 단자로 드라이브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헤드의 구동회로도로서, 프린팅 데이터 입력단자, 클럭단자, 래치단자, 스트로브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프린팅 데이터를 상기 클럭 단자로 입력되는 클럭에 의해 시프트하여 래치하고, 상기 스트로브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라인 프린팅하는 LED 헤드(20)와, 계조 모드 프린팅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라인 동기신호 HSYNC를 출력하고, 계조 모드에 따른 갯수의 서브 동기신호 DSYNC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출력에 대응한 래치클럭 LT를 상기 LED 헤드(20)로 출력하는 계조 프린팅 제어부(22)와,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수의 비디오 클럭 CLOCK을 발생하는 비디오 클럭 발생부(24)와,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입력에 동작되며, 입력되는 비디오 클럭 CLOCK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알 라인의 계조 프린트 데이터중 하나의 서브 데이터를 프린트 데이터 PD로 출력하는 데이터 발생부(26)와,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한 주기내에 입력되는 상기의 래치클럭 LT를 카운트하여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 M0~M3를 발생하는 계조 모드 디코더(28)와, 상기 계조 모드 디코더(28)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인에이블 신호 M0의 입력에 응답하여 주기의 듀레이션이 서로 다른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발생하는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부(30)와, 상기 계조 모드 디코더(28)로부터 출력되는 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 M1~M3와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부(30)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논리 조합하여 계조 모드에 따른 스트로브 펄스를 상기 LED 헤드(20)의 스트로브 단자로 드라이브하는 구동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도의 구성중 계조 모드 디코더(28)는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의 래치클럭 LT의 입력을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래치 카운터(31)와, 상기 래치 카운터(31)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 M0~M3를 출력하는 디코더(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부(30)는 상기 디코더(34)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인에이블 신호 M0의 입력에 응답하여 노광 시간을 결정하는 클럭 TCLK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36)와, 상기 클럭 발생기(36)로부터 발생된 클럭 TCLK를 다운 카운트하여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발생하고, 바로우(Borrow) 신호 BW를 발생하는 다운 카운터(38)와, 상기 래치클럭 LT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 출력된 바로우 신호 BW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래치회로(40)와, 상기 래치클럭 LT과 상기 래치된 바로우 신호 BW를 논리합하여 상기 다운 카운터(38)를 리세트하는 오아 케이트(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조 인에이블 펄스 발생부(30)의 구성중, 상기 클럭 발생기(36)는 하나의 인자 단위인 하나의 도트(Dot)를 흑(Black)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LED의 총 발광 시간을 Texpose라 하였을때 2M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Texpose를 2M-1로 나눈 시간『Texpose/2M-1』을 기본 주기로 하는 클럭 TCLK를 발생한다. (상기에서 상첨자 "M"은 0이 아닌 자연수이다.) 그리고, 상기 다운 카운터(38)는 상기와 같은 시간『Texpose/2M-1』을 기본 주기로 하는 클럭 TCLK을 다운 카운팅하여 『1/2M-1』『2/2M-1』『4/2M-1』의 주기를 가지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발생한다.
또한, 제 1 도의 구성중 구동부(32)는 상기 디코더(34)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인에이블 신호 M1와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부(30)내의 다운 커운터(38)로부터 출력하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2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1 스트로브 펄스 T0를 게이팅하는 제 1 게이트와(44)와, 상기 제 3 인에이블 신호 M2와 상기 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1~T2를 논리곱하여 제 2 스트로브 펄스 T1를 게이팅하는 제 2 게이트(46)와, 상기 제 4 인에이블 신호 M3와 상기 제 3 스트로브 펄스 T2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3 스트로브 펄스 T2를 게이팅하는 제 3 게이트와(48)와, 상기 제1,제2,제 3 게이트(44~48)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계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는 오아 게이트(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중 계조 프린팅 제어부(22)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TTL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이하 "MPU"라함)을 사용하였다.
여기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은 "2M"를 "23"으로 하여 프린팅되는 계조를 8계조로한 예의 구성에 지나지 않으며, 이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보다 더욱 다계조의 프린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이다.
"a"는 MPU(22)로부터 출력되는 라인 동기신호이고, "b"는 상기 MPU(22)로부터 출력되는 서브 동기 신호이며, "c"는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일 라인의 프린트 계조 데이터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일 라인의 계조 프린트 데이터는 일 라인 프린팅의 계조도를 표현하기 위한 세개의 서브 데이터 PD1~PD3를 가지며, 서브 데이터 PD1은 최하위 데이터 비트, 서브 데이터 PD3는 최상위 데이터 비트이다. 상기와 같은 세개의 서브 데이터 PD1~PD3가 하나의 라인인 일 라인 계조 프린트 데이터이다. "d"는 비디오 클럭 발생부(24)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클럭(CLOCK)이고, "E"는 상기 MPU(22)로부터 출력되는 래치 클럭이다. "f~g"는 래치 카운터(31)의 카운트 출력이고, "h~k"는 디코더(34)의 출력 파형도이다. 그리고 "l"은 클럭 발생기(36)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TCLK이며, "m~p"는 다운 카운터(38)의 다운 카운팅 출력 파형도이다. "q"는 오아 게이트(42)의 출력 파형도이고, "r~t"는 제1~제 3 게이트(44~48)의 게이팅 출력이며, "u"는 오아 게이트(50)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로브 펄스의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도의 동작예를 제 4 도의 동작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제 1 도에 도시된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에는 적어도 일 라인 계조 프린트 데이터 이상의 계조 프린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하에 설명한다.
지금, 제 3 도의 MPU(22)에 계조 모드에 관한 프린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MPU(22)는 상기 입력된 명령에 응답하여 제 4(a)도와 같은 라인 동기신호 HSYNC 를 래치 카운터(31)의 클리어 신호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MPU(22)는 입력된 계조모드 명령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계조도에 따라 제 4(b)도와 제4(e)같은 서브 동기신호 DSYNC 및 래치클럭 LT를 비디오 클럭 발생부(24)와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 및 래치 카운터(31)의 클럭 단자, 오아게이트(42), LED 헤드(20)의 래치단자로 각각 공급된다.
이때, 상기 래치카운터(31)는 상기 라인동기 신호 HSYNC의 "하이"논리에 의해 제 4(f)도,제4(g)와 같이 클리어 된다. 상기 비디오 클럭 발생부(24)는 상기 제 4(b)도와 같은 서브동기신호 DSYNC의 하강 모서리에 의해 응답(또는 트리거)되어 미리 결정되어진 수(A4 용지에 300DPI로 인자하는 경우 2560클럭)의 비디오 클럭 CLOCK을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의 클럭 단자와 LED 헤드부(20)의 클럭단자로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와 비디오클럭 CLOCK를 입력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는 상기 서브 동기신호 DSYNC의 하강 모서리에 트리거되어 동작되며, 상기 입력되는 비디오 클럭 CLOCK에 동기하여 내부에 저장된 일 라인 계조 프린팅 데이터중 최하위 비트를 나타내는 서브 데이터 PD1를 프린트 데이터 PD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는 상기 MPU(22)로부터 출력되어 트리거 단자로 입력되는 서브 동기 신호 DSYNC의 갯수에 따라 일 라인 계조 프린트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서브 데이터 PD1~PD3를 순차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서브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클럭 CLOCK에 동기하여 제 4(c)도와 같이 프린트 데이터 PD로서 상기 LED 헤드부(20)의 데이터 입력단자로 전송한다. 예를들어, 서브 동기신호 DSYNC가 첫번째 20입력이면 서브 데이터 PD1를 선택하여 상기 비디오 클럭 CLOCK에 동기하여 출력하고, 서브 동기신호 DSYNC가 두번째 21입력이면 서브 데이터 PD2를 선택하여 상기 비디오 클럭 CLOCK에 동기 출력하며, 서브 동기신호 DSYNC가 세번째 22입력이면 서브 데이터 PD3를 선택하여 상기 비디오 클럭 CLOCK에 동기 출력한다.
이때 상기 LED 헤드부(20)는 제 1 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데이터 단자로 입력되는 일 라인의 서브 데이터 PD1(또는 PD2,PD3)를 클럭단자(CLK)로 입력되는 비디오 클럭 CLOCK에 의해 병렬 데이터로 시프트한다. 그리고, 상기 MPU(22)로부터 제 4(e)도와 같이 출력되는 래치클럭 LT이 상승 모서리(Rising Edge)로 천이될때 상기와 같이 시프트되어진 일 라인의 서브 데이터를 제 1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한다.
상기와 같이 서브 동기신호 DSYNC, 래치클럭 LT의 발생은 MPU(22)로 입력된 계조모드(mode)에 따라서 상기 MPU(22)로부터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3(8계조)의 예임으로서 상기한 서브 동기신호 DSYNC와 래치펄스 LT는 2M-1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일 라인 동기신호 HSYNC 주기내 3개의 동기신호와 클럭을 일정주기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일 라인 동기신호 HSYNC의 "하이" 논리에 의해 클리어된 래치 카운터(31)는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래치클럭 LT의 입력수를 업 카운팅하여 제 4(f)도, 제4(g)도와 같은 카운트 데이터를 디코더(34)의 입력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34)는 상기 래치카운터(31)가 카운트한 래치클럭 LT의 수를 디코딩하여 제 4(h)도,제4(i)도,제4(j)도,제4(k)도와 같은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Enable)신호 M0,M1,M2,M3를 클럭 발생기(36), 앤드 게이트로 각각 구성된 제1~제 3 게이트(44,46,48)에 각각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 4 인에이블 신호 M0~M3들중 제 1 인에이블 신호 M0을 제외한 그 이외의 인에이블 신호들은 각계조에 맞는 스트로브 시간을 결정한다.
상기 클럭발생기(36)는 상기 제 4(h)도와 같은 제 1 인에이블 M0의 논리 "로우"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노광클럭 TCLK를 제 4(l)도과 같이 발생한다. 상기에서 미리 설정된 노광클럭 TCLK라 함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 클럭이다. LED 헤드에서 하나의 도트 즉 화상을 흑 화상으로 프린팅하기 위한 노광시간을 Texpose라 하였을때, 상기 노광시간 Texpose을 계조모드 2M의 값에서 "1"이 감산된 "2M-1"로 나눈 시간를 갖는 펄스(Texpose/2M-1)이다.
이때 전술한 래치클럭 LT에 의해 클리어된 다운 카운터(38)는 상기 클럭 발생기(36)로부터 제 4(l)도과 같이 출력되는 노광클럭을 2M-1진 다운 카운팅하여 제 4(m)도,제4(n)도,제4(o)와 같은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1,T2를 출력한다. 그리고, 다운 카운팅이 완료되면, 상기 다운 카운터(38)는 제 4(p)도와 같은 바로우 신호 BW를 래치회로(40)의 클럭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래치회로(40)는 상기 바로우신호(BW)에 의해 논리 "하이"의 클리어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다운 카운터(38)를 클리어 한다. 이때 상기 래치회로(40)는 전술한 래치클럭 LT의 입력에 의해 클리어 됨으로써 상기 다운 카운터(38)는 래치클럭 LT의 입력주기에 전술한 바와같은 제1~제 3 스트로브 펄스 T0,T1,T3을 출력 일 라인 동기 신호 HSYNC의 주기내에 출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운 카운터(38)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제 3 스트로브 펄스 T0,T1,T2들 각각은 1/7×Texpose, 2/7×Texpose, 4/7×Texpose의 시간을 각각 갖는다.
한편 상기한 디코더(34)로부터 출력되는 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 M1~M3와 제1,제2,제3 스트로브 펄스 T0,T1,T2을 입력하는 제 1 게이트(44)는 상기 입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제 4(r)도와 같은 제 1 스트로브 펄스 T0을 게이팅 한다. 그리고 제 2 게이트(46)는 제 4 도 상기 제3,제 4 인에이블신호 M2,M3와 제2,제 3 스트로브 신호 T1,T2를 논리곱하여 제 4(s)도와 같은 제 2 펄스 T1을 게이팅 출력하며, 제 3 게이트(48)는 상기 제 4 인에이블 신호 M3와 제 3 스트로브 신호 T2를 논리곱하여 제 3 스트로브 신호 T2을 게이팅 출력한다.
따라서 계조명령에 따라 MPU(22)로부터 출력되는 서브동기 신호 DSYNC와 래치클럭 LT의 출력 갯수에 따른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1,T2가 상기 제1,제2,제 3 게이트(44~48)로부터 제 4(r)도,제4(s)도,제4(t)도와 같이 각각 게이팅 출력된다. 상기 게이트들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로브 펄스들은 게이트(50)에 의해 논리합되어 LED 헤드부(20)의 스트로브 단자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부(3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 4(r)도,제4(s)도,제4(t)도와 같이 출력되는 스트로브 펄스를 상기 MPU(22)로부터 출력되는 래치 클럭 LT의 갯수에 따라 게이팅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서브 데이터 PD1은 상기 게이트(44)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스트로브 펄스 T0에 의해 상기 LED 헤드부(20)내의 LED 어레이로부터 스트로브되며, 서브 데이터 PD2은 상기 게이트(46)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스트로브 펄스 T1에 의해 상기 LED 헤드부(20)내의 LED 어레이로부터 스트로브되고, 서브 데이터 PD2은 상기 게이트(48)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스트로브 펄스 T2에 의해 상기 LED 헤드부(20)내의 LED 어레이로부터 스트로브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8계조가 프린팅되는 과정을 요약하면 하기와 같다.
일 라인 프린팅의 계조도가 "0(백색)"인 경우 상기 일 라인 동기신호 HSYNC 기간내에 상기 비디오 발생부(26)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서브 데이터 PD1,PD2,PD3의 값은 전부 논리 "0"의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전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 3 도의 게이트(50)로부터 제 4(u)도와 같은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1,T2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LED 헤드부(20)로 공급되어도 상기 LED 헤드부(20)내의 LED 어레이는 스트로브되지 않는다.
즉, "온"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계조도가 "1"인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서브 데이터 PD1,PD2,PD3의 값은 "PD1=1, PD2=0, PD3=0"의 상태로 순차 출력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서브 데이터 "PD1=1, PD2=0, PD3=0"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이들의 데이터가 LED 헤드부(20)에 순차적으로 래치되어 진후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동작에 이한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 T0,T1,T2가 게이트(5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면, 서브 데이터 "PD=1"인 경우는 제 4(r)도과 같은 제 1 스트로브 펄스 T0에 의해 LED 헤드(20)의 LED 어레이가 스트로브되어 1/7×Texpose 시간 동안 "온"구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서브데이터가 "PD1=1, PD2=0, PD3=0"인 경우에는 화상에서 가장 낮은 레벨의 계조도가 표현된다. 계조도가 "2"인 경우에는 상기 서브 데이터 PD1,PD2,PD3은 "10"로 출력됨으로써 제 2 스트로브 펄스 T1에 의해 상기 서브 데이터 "PD2"가 스트로브되어 2/7×Texpose 시간 동안 LED 헤드부(20)내의 LED 어레이가 "온"구동되어 화상의 계조도를 표현한다.
따라서 상기 비데오 데이터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인 서브 데이터 PD1~PD3와 스트로브 펄스 ST와의 관계에 의한 프린팅의 계조도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따라서, 제4(c)도와 같은 일 라인의 각 계조도에 해당되는 서브 데이터 PD1,PD2,PD3를 제4(d)도와 같은 클럭에 의해 일 라인 프린팅 데이타를 시프트하고, 래치클럭 LT에 의해 래치한 LED 헤드부(20)는 계조모드에 따라 전술한 표와 같이 상기 구동부(32)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로브 펄스 ST에 의해 내부의 LED 어레이를 구동하여 감광체(도시하지 않았음)을 노광시킴으로써 해당 라인의 계조도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헤드의 구동을 23의 계조인 경우 설명하였으나 이 이상의 계조를 실현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예를들면, MPU(22)로부터 출력되는 서브 동기신호 DSYNC와 래치출력 LT의 출력수를 가감하여 소망하는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제 4(b)도와 제4(e)도의 신호중 최종 출력 22을 출력치 아니하면 제 3 도는 제 4 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스트로브 펄스를 자동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에 의해 LED의 발광시간을 조절하여 감광체의 노광시간을 변화시켰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프린터의 LED 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ED 헤드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서멀 헤드어레이를 갖는 프린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린팅 헤드의 구동 타이밍을 2M동작으로 변경하여 프린트 화상의 계조를 표현시킴으로서 보다 고해상도·고기능의 프린터를 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프린터 데이터 입력단자, 클럭단자, 래치단자, 스트로브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프린팅 데이터를 상기 클럭 단자로 입력되는 클럭에 의해 시프트하여 래치하고, 상기 스트로브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된 데이터를 감광드럼에 노광시키는 LED 헤드를 가지는 프린터에 있어서, 계조 모드 프린팅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라인 동기신호를 출력하고, 계조모드에 따른 갯수의 서브 동기신호로 래치클럭를 상기 LED 헤드로 출력하는 계조 프린팅 제어수단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수의 비디오 클럭을 발생하는 비디오 클럭 발생수단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의 입력에 동작되며, 입력되는 비디오 클럭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중 일 라인의 계조도를 나타내는 다수의 서브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발생수단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의 한 주기내에 입력되는 상기의 래치클럭을 카운트하여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계조 모드 디코딩수단과, 상기 계조 모드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인에이블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주기의 듀레이션이 서로 다른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발생하는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계조 모드 디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논리 조합하여 계조 모드에 따른 스트로브 펄스를 상기 LED 헤드의 스트로브 단자로 드라이브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계조 모드 디코딩 수단은 상기 서브 동기신호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의 래치클럭의 입력을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래치 카운팅 수단과, 상기 래치 카운수단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인에이블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노광 시간을 결정하는 클럭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클럭을 다운 카운트하여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발생하고, 바로우 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팅 수단과, 상기 래치클럭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 출력된 바로우 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래치수단과, 상기 래치클럭과 상기 래치된 바로우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카운팅 수단을 리세트하는 리세트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인에이블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노광 시간을 결정하는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래치클럭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클럭을 다운 카운트하여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발생하는 카운팅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은 하나의 인자단위인 하나의 도트(Dot)를 흑(Black)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LED의 총 발광 시간 Texpose을 2M-1로 나눈 주기의 펄스 『Texpose/2M-1』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수단은 상기의 펄스를 다운 카운팅하여 『1/2M-1』『2/2M-1』『4/2M-1』의 주기를 가지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카운팅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1 스트로브 펄스를 게이팅하는 제 1 게이팅 수단과, 상기 제 3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2 스트로브 펄스 T1를 게이팅하는 제 2 게이팅 수단과, 상기 제 4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논리곱하여 상기 제 3 스트로브 펄스를 게이팅하는 제 3 게이팅 수단과, 상기 제1,제2,제 3 게이팅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계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합 게이팅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구동회로.
  8. 프린팅 데이터 입력단자, 클럭단자,래치단자, 스트로브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프린팅 데이터를 상기 클럭 단자로 입력되는 클럭에 의해 시프트하여 래치하고, 상기 스트로브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된 데이터를 감광드럼에 노광시키는 LED 헤드를 가지는 프린터에 계조 표현방법에 있어서, 계조 모드 프린팅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라인 동기신호와, 선택된 계조도에 따른 갯수의 서브 동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LED 헤드로 계조도에 따른 갯수의 래치클럭을 출력하는 계조 프린팅 제어과정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수의 비디오 클럭 CLOCK을 발생하는 비디오 클럭 발생과정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와 상기 비디오 클럭에 동기하여 일 라인의 계조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상기 LED 헤드로 순차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출력과정과, 상기 서브 동기신호의 한 주기내에서 발생되는 상기의 래치클럭을 카운트하여 제1,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계조 모드 디코딩 과정과, 상기 제 1 인에이블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주기의 듀레이션이 서로 다른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발생하는 계조 스트로브 펄스 발생과정과, 상기 제2,제3,제 4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1,제2,제 3 스트로브 펄스를 논리 조합하여 스트로브 펄스를 상기 LED 헤드의 스트로브 단자로 드라이브하는 구동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023718A 1992-12-09 1992-12-09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KR96000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718A KR960005015B1 (ko) 1992-12-09 1992-12-09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US08/022,197 US5657070A (en) 1992-12-09 1993-02-25 Circuit for driving an LED print head of an electro-photography machine
DE4308496A DE4308496C2 (de) 1992-12-09 1993-03-17 Schaltung und Verfahren zum Treiben eines LED-Druckkopfes eines elektrofotografischen Gerä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718A KR960005015B1 (ko) 1992-12-09 1992-12-09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837A KR940013837A (ko) 1994-07-16
KR960005015B1 true KR960005015B1 (ko) 1996-04-18

Family

ID=1934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718A KR960005015B1 (ko) 1992-12-09 1992-12-09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57070A (ko)
KR (1) KR960005015B1 (ko)
DE (1) DE430849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375B2 (ja) * 1994-12-21 2004-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受容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DE19726273C2 (de) * 1997-06-20 1999-04-01 Oce Printing Systems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Lichtquellen in einem Druck- oder Kopiergerät und optischer Zeichen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319A (en) * 1976-12-13 1978-02-1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Light emitting diode array imaging system - parallel approach
US4455578A (en) * 1982-08-30 1984-06-19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s for arrayed photosources
US4689694A (en) * 1983-01-12 1987-08-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utilizing linearly arranged recording elements
JPS59163952A (ja) * 1983-03-08 1984-09-1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DE3610081A1 (de) * 1985-03-26 1986-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Kanagawa Thermokopf-treiberschaltung
JPH0686127B2 (ja) * 1986-06-23 1994-11-02 興 和 株 式 會 社 発熱型画像記録装置
US4855760A (en) * 1987-03-12 1989-08-08 Fuji Photo Film Co., Ltd. LED array with graduated quantity control
JPH029652A (ja) * 1988-06-29 1990-01-12 Minolta Camera Co Ltd 光プリンタヘッド
EP0416121B1 (en) * 1989-03-03 1997-06-04 Fujitsu Limited Printer that effects gradation recor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08496C2 (de) 2002-03-21
US5657070A (en) 1997-08-12
DE4308496A1 (de) 1994-06-16
KR940013837A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995A (en) Dot printer having means for correcting intensity variations
US6088050A (en) Non-impact recording apparatus operable under variable recording conditions
US5455681A (en) Low resolution grey level printing method from high resolution binary input file
US4835551A (en) Optical recorder with plural resolution recording
US5648810A (en) Printer which prints with a resolution exceeding led head resolution
US5255013A (en) Multiple address grey level LED printing with binary architectured printhead
US58092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ddress recording with brightness and exposure time control
US561493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image with multiple density levels of gray scale
US4905027A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printer head
US5327524A (en)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with multiple-bit grey level LED printhead with enhanced addressability
KR960005015B1 (ko) 프린팅 헤드를 갖는 프린터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구동회로
US4837587A (en) Non-impact printer with nonuniformity correction
US5111217A (en) Dot printer and method for grey level recording
JP2715411B2 (ja) レーザプリンタ
JPH0911527A (ja) 記録装置
JPS62261274A (ja) 画像デ−タ記録方式
JP273841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53878A (ja) 画像形成装置
KR940007680B1 (ko) 문자 및 화상기록용 전자사진기록장치 및 방법
JP2005022410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98958A (ja) Ledプリンタにおける高密度画像形成方法
JP3522289B2 (ja) 階調制御回路及びプリンタ
JPH0825300B2 (ja) 画像形成装置
JPS63179376A (ja) 光プリントヘツド駆動方式
KR100524060B1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