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909B1 - 섬유가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가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909B1
KR960004909B1 KR1019940003024A KR19940003024A KR960004909B1 KR 960004909 B1 KR960004909 B1 KR 960004909B1 KR 1019940003024 A KR1019940003024 A KR 1019940003024A KR 19940003024 A KR19940003024 A KR 19940003024A KR 960004909 B1 KR960004909 B1 KR 96000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drum
processed material
holding
drum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688A (ko
Inventor
타카시 카타오
Original Assignee
코토부키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카시하라 토시유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토부키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카시하라 토시유키 filed Critical 코토부키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1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4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가열처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섬유가열처리장치를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2 도는, 가이드 플레이트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3 도는, 수취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4 도는, 스토퍼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5 도는, 흡착드럼(drum)장치를 표시하는 종단정면도.
제 6 도는, 휘감김 방지용 노즐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 7 도는,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suction box)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8 도는, 슬라이드 댐퍼(slide damper)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 9 도는, 완축(緩縮)검지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긁기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가열처리장치 2 : 공급장치
3 : 입구보류장치 4 : 흡착드럼(drum)장치
5 : 출구보류장치 6 : 배출장치
7 : 회전구동장치 8 : 충돌장치
9 :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10 : 스위블 텐션(swivel tension)
11 : 클로스 가이더(cloth guider) 12 :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13 : 피이드 롤러(feed roller) 14 : 닙롤러(nip roller)
15 : 가이드 스크레이퍼(guide scraper)
16 :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장치
17,30,40,70,78 : 베어링(bearing) 18,31,71,79 : 샤프트(shaft)
19 : 플레이트(plate) 20 : 색조(索條)
21 : 감기 풀리(pulley) 22,59,66 : 워엄(worm)감속기
23,60,67 : 핸들(handle) 24,73 : 독크(dock)
25,74 : 리밋스위치(limit switch) 26 : 입구 스크레이퍼(scraper)
27 : 수취장치(受取裝置) 28 : 파이프(pipe)
29 : 와이어 32 : 스토퍼(stopper)
33 : 레버(lever) 34,85 :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35,86 : 실린더 유지구 36 : 중간보류장치
37 : 케이싱(casing) 38 : 석션드럼(suction drum)
39 : 고정축 41 : 구동축
42 : 시일(seal) 43 : 시일유지구
44 : 시일 고정용 플랜지(flange) 45 : 고정축 유지구
46 : 석션박스(suction box) 47 : 팬(fan)흡입구
48 : 팬(fan) 49,84 : 모터(motor)
50 : 필터(filter) 51 : 가열기
52 : 정류판 53 : 배기덕트
54 : 휘감김 방지용 노즐(nozzle) 55 :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
56 : 노즐본체 57,64 : 연결 덕트(duct)
58,65 : 댐퍼(damper) 61 : 석션덕트(suction duct)
62 : 슬라이드 댐퍼(slide damper) 63 : 댐퍼레일(damper rail)
68 : 중간스크레이퍼 69 : 완축(緩縮)검지장치
72,81 : 플래퍼(flapper) 75 : 출구 스크레이퍼
76 : 긁기장치 77 : 출구 가이드 파이프
80 : 아암(arm) 82 : 스프로킷(sprocket wheel)
83 : 체인(chain) 87 : 출구롤러
88 : 절첩(折疊)장치 89 : 충돌스크레이퍼(scraper)
90 :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A : 처리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섬유직물이나 편물등의 직물을 연속적으로 건조 또는 열처리할 때에 사용되고, 특히 열풍흡인식(熱風吸引式)의 섬유가열처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섬유가열처리장치로서는, 노즐을 사용하여 열풍을 분사시키는 열풍분사식(일본국 실공평 1-29506호, 특개평 2-25683호, 특공평 2-45109호등)과 석션드럼을 사용하여 열풍을 흡인하는 열풍흡인식(일본국 실공소 59-22151호등)이 알려져 있다.
후자는 전자에 비하여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처리시간이 극히 적고, 비용감소와 에너지 소비절약에 크게 공헌할 수가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것은, 석션드럼을 단지 가열시간에 따라서 정전송(正轉送)하는 것 뿐이었으므로 섬유의 다듬질상태가 일정했었다. 즉, 직물의 성질을 바꿀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섬유의 다듬질상태에 변화를 줄 수가 있는 섬유가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섬유가열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처리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공급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시키는 입구보류장치와 입구보류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전단(段)하방으로부터 후단 하방까지 흡착하면서 회전하여 가열하는 흡착드럼장치와 흡착드럼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시키는 출구보류장치와 출구보류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와 흡착드럼장치를 고속으로 정역전(正逆轉)시키면서 정전송(正轉送)하는 회전구동장치와 흡착드럼장치와 인접하는 보류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흡착드럼장치의 정역전에 의하여 이들 처리물을 충돌시키는 충돌장치로 구성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처리물은, 공급장치에 의해 서서히 공급되며 입구보류장치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된다.
입구보류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은, 흡착드럼장치에 의해 그 전단하방으로부터 후단하방까지 흡착되어 회전되면서 가열된다.
흡착드럼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은, 출구보류장치에 의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되며 배출장치에 의해 서서히 배출된다.
그리하여, 흡착드럼장치는 회전구동장치에 의해 고속으로 정역전(正逆轉)되면서 정전송(正轉送)되므로 흡착드럼장치에 흡착된 처리물이 고속으로 왕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흡착드럼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은, 왕복운동을 할 때마다 각 보류장치에서 꺾여 구부러졌다가 펴지는 상태를 반복하므로서 굴곡변형이 실시되는 동시에 충돌장치에 의하여 충돌되어서 충돌변형이 실시된다. 그리고, 회전구동장치에 의해 흡착드럼장치의 정역전 속도를 가변으로 하면 이들 변형효과가 변화하여 섬유의 성질을 바꿀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섬유가열처리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제 2 도는, 가이드 플레이트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3 도는, 수취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4 도는, 스토퍼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5 도는, 흡착드럼장치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제 6 도는, 휘감김 방지용 노즐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 7 도는,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를 표기하는 사시도. 제 8 도는, 슬라이드 댐퍼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제 9 도는, 완축검지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긁기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섬유가열처리장치(1)는, 공급장치(2), 입구보류장치(3), 흡착드럼장치(4), 출구보류장치(5), 배출장치(6), 회전구동장치(7), 충돌장치(8)로 그 주요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공급장치(2)는, 처리물(A)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늘어뜨려진 섬유직물이나 편물등의 처리물(A)을 안내하는 가이드 파이프(9), 스위블 텐션(10), 폭방향위치를 결정하는 클로스 가이더(11), 가이드 롤러(12), 피이드 롤러(13), 닙롤러(14), 가이드 스크레이퍼(15), 가이드 플레이트장치(16)로 구성되어서 처리물(A)을 서서히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장치(16)는, 공급장치(2)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된 처리물(A)을 입구보류장치(3)에서 적은 면적에 많은 양을 보류(保留)시키기 위하여 처리물(A)의 종류에 따라서 지그재그형상(파상상태)의 크기를 바꾸는 것으로서, 베어링(17), 샤프트(18), 플레이트(19), 색조(索條) (20), 감기풀리(21), 워엄감속기(22), 핸들(23), 독크(24), 리밋 스위치(25)로 구성되며 핸들(23)을 동작하여 플레이트(19)와 입구보류장치(3)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처리물(A)의 속도 이상(異狀)에 의해 플레이트(19)가 들어 올려졌을때에는 리밋 스위치(25)가 작동하여 공급장치(2)를 비상정지 또는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입구보류장치(3)는, 공급장치(2)로부터의 처리물(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입구 스크레이퍼(26) (다른스크레이퍼도 동일함)는, 파이프(28), 와이어(환봉) (29)로 구성되어서 공급장치(2)를 경유한 처리물(A)의 공급량과 흡착드럼장치(4)를 고속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양(정전(正轉)시의 이송량과 역전(逆轉)시의 복귀량)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수취장치(27)는, 흡착드럼장치(4)의 정역전에 의하여 이때부터의 처리물(A)을 일정량 보류하며 공급하므로써 입구 스크레이퍼(26)의 처리물(A)의 보류상태를 조절하여 직물의 주름등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베어링(30), 샤프트(31), 스토퍼(32), 레버(33), 에어 실린더(34), 실린더유지구(35)로 구성되며 스토퍼(32)를 에어 실린더(34)에 의해 흡착드럼장치(4)의 정전(正轉) (제 1 도에 있어서 반시계회전)시에는 몰입시키고, 역전시에는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각 스토퍼(32)를 샤프트(31)에 대하여 적당히 조정하여 동작하므로서 처리물(A)을 구부러뜨리거나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착드럼장치(4)는, 입구보류장치(3)를 경유한 처리물(A)을 전단(제 1 도에서 우측)하방에서 흡착하면서 회전하여 가열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전후 2개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처리물(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중간보류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
흡착드럼장치(4)는, 보온판과 저변판을 구비하고 가열실을 형성하는 케이싱(37)다수의 투공을 구비한 석션드럼(38), 고정축(39), 베어링(40), 구동축(41), 석션드럼(38)의 하부에 있는 투공을 항상 차폐하는 시일(42), 시일유지구(43), 시일고정용 플랜지(44), 고정축 유지구(45), 석션박스(46), 팬흡입구(47), 팬(48), 모터(49), 필터(50), 가열기(51), 정류판(52), 배기덕트(53), 휘감김 방지용 노즐(5),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55)으로 구성되며, 팬(48)에 의해 석션드럼(38)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동시에 열풍이 처리물(A)을 통하여 투공으로부터 흡인되어서 처리물(A)이 건조 또는 열처리된다. 팬(48)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가열기(51)로 재가열되어서 석션드럼(38)로 보내진다. 석션드럼(38)내의 흡입방지용 시일(42)에 의해 처리물(A)이 석션부분에서 건조 또는 열처리된다.
휘감김 방지용 노즐(54)은, 석션드럼(38)의 아랫쪽에 설치되어서 이것의 표면으로부터 처리물(A)를 확실하게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노즐본체(56), 연결덕트(57), 풍량조절용 댐퍼(58), 댐퍼용 워엄감속기(59), 개폐조절용 핸들(60)로 구성되고, 팬(48)을 이용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되어있다.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55)는, 휘감김 방지용 노즐(54)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이것으로부터 분출한 바람을 회수하는 것으로서 석션덕트(61), 슬라이드 댐퍼(62), 댐퍼레일(63), 연결덕트(64), 풍량조절용 댐퍼(65), 댐퍼용 워엄감속기(66), 개폐조절용 핸들(67)로 구성되며, 팬(48)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인하도록 되어있다.
중간보류장치(36)는, 중간스크레이퍼(68), 완축검지장치(69)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스크레이퍼(68)는, 흡착드럼장치(4)를 경유한 처리물(A)을 지그재그 상태로 보류시키는 장치이다.
완축검지장치(69)는, 중간스크레이퍼(68)의 처리물(A)이 수축하여 긴장한 것을 검지하는 것이며, 베어링(70), 샤프트(71), 플래퍼(72), 독크(73), 리밋 스위치(74)로 구성되며 처리물(A)에 의해 플래퍼(72)가 들어올려지면, 리밋 스위치(74)가 작동하여 섬유가열처리장치(1)전체를 비상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출구보류장치(5)는, 흡착드럼장치(4)로부터의 처리물(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출구스크레이퍼(75)와 긁기장치(76)와 출구가이드 파이프(77)로 구성되어 있다.
출구스크레이퍼(75)는 흡착드럼장치(4)를 경유한 처리물(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시키는 장치이다.
긁기장치(76)는, 처리후 처리물(A)의 지그재그 형상이 처리전 수분을 함축했을 때에 비하여 크기가 커지는 일이 많다는 것을 감안하여 정확한 크기로 꺼내기 위한 것으로서, 베어링(78), 샤프트(79), 아암(80), 플래퍼(81), 스프로킷(82), 체인(83), 모터(84), 에어 실린더(85), 실런더 유지구(86)로 구성되며 흡착드럼장치(4)의 정전(正轉)시에는, 플래퍼(81)로 처리물(A)을 일정량이 보류될 때까지 정지한 다음 모터(84)에 의해 90도 회전시켜서 하부로 송출하므로써 출구스크레이퍼(75)의 처리물(A)의 보류상태를 좋게 하고, 역전(逆轉)시에는 에어 실린더(85)로 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배출장치(6)는, 출구보류장치(5)를 경유한 처리물(A)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이예에서는 출구보류장치(5)로부터의 처리물(A)을 연속적으로 서서히 꺼내는 출구롤러(87)와 이것을 차례로 개는 절첩(折疊)장치(88)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구동장치(7)는, 흡착드럼장치(4)를 고속으로 정역전시키면서 정전송시키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각 석션드럼(38)을 회전구동하는 감속기가 부설된 모터로 되어 있고, 대략 200m/min의 고속으로 정역전하도록 되어있다.
충돌장치(9)는, 흡착드럼장치(4)와 이것에 인접하는 보류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흡착드럼장치(4)의 정역전에 의해 이것으로부터의 처리물(a)을 충돌시키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수취장치(27)와 제 1 석션드럼(38)의 사이, 제 1 석션드럼(38)과 중간스크레이퍼(68)의 사이, 중간스크레이퍼(68)와 제 2 석션드럼(38)의 사이, 제 2 석션드럼(38)과 출구스크레이퍼(75)의 사이에서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55)의 근방에 설치된 충돌스크레이퍼(89)와 각 석션드럼(38)을 경유한 처리물(A)을 충돌스크레이퍼(89)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90)로 구성되고, 각 석션드럼(38)의 석션방지부분으로 중력에 의한 낙하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처리물(A)이 가이드플레이트(90)에 의해 안내되어서 각 석션드럼(38)의 정전시에는 후단의 충돌스크레이퍼(89)에 충돌되는 동시에, 역전시에는 전단의 스크레이퍼(89)에 충돌되어서 소위 충돌변형이 실시된다. 이때 휘감김 방지용 석션박스(55)에 의한 흡입도 기여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처리물(A)은, 공급장치(2)에 의하여 서서히 공급되고 입구보류장치(3)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된다.
입구보류장치(3)를 경유한 처리물(A)은, 흡착드럼장치(4)에 의해 그 전단하방으로부터 후단하방까지 흡착되면서 회전되어 가열된다.
흡착드럼장치(4)를 경유한 처리물(A)은 출구보류장치(5)에 의해 지그재그형상으로 보류되며, 배출장치(6)에 의해 서서히 배출된다.
이리하여, 흡착드럼장치(4)는 회전구동장치(7)에 의하여 고속으로 정역전하여 정전송되므로 흡착드럼장치(4)에 흡착된 처리물(A)이 고속으로 왕복운동한다. 그러므로, 흡착드럼장치(4)를 경유하는 처리물(A)은, 왕복운동을 할 때마다 각 보류장치(3,5,36)에 의하여 꺾여 구부러졌다가 펴지는 상태를 반복하므로써 굴곡변형이 실시되는 동시에 충돌장치(8)에 의해 충돌죄어서 충돌변형이 실시된다. 그리고, 회전구동장치(7)에 의해 흡착드럼장치(4)의 정역전속도를 변화시키면 이들 변형효과가 변화하여 섬유의 성질을 바꿀 수가 있다. 특히, 초(超)소프트가공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드럼장치(4)를 2개로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처리물(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중간보류장치(3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만큼 처리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입구보류장치(3)에는 흡착드럼장치(4)의 역전시에는, 이것으로부터의 처리물(A)을 받아들이고 정전시에는 공급하는 수취장치(27)를 설치하는 동시에, 출구보류장치(5)에서는 정전시에는 흡착드럼장치(4)로부터의 처리물(A)을 수취한 다음에 강제적으로 송출하고 역전시에는 공급하는 긁기장치(7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흡착드럼장치(4)가 회전구동장치(7)에 의해 고속으로 정역전되어도 입구보류장치(3)와 출구보류장치(5)로 처리물(A)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보류할 수가 있다.
회전구동장치(7)의 제어방법으로서는 정역회전시간을 타이머에 의해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특히, 역전타이머설정(3 내지 5초)을 입구보류장치(3) 및 출구보류장치(5)에서의 처리물(A)의 보류상태에 의해 결정한다. 정역회전수는, 처리물(A)의 마무리상태를 확인하여 선택한다. 정전송속도는, 처리물(A)의 필요처리시간에 따라 설정한다. 정전송 속도를 변경하면 자동적으로 정전시간이 변경되도록 하는 동시에 정역회전수를 변경하면 자동적으로 정전시간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흡착드럼장치(4)는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2개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입구보류장치(3)는,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수취장치(27)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것을 생략해도 된다.
출구보류장치(5)는,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긁기장치(7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생략해도 된다.
충돌장치(8)는,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충돌스크레이퍼(89)와 가이드 플레이트(90)로 구성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90)를 가이드 롤러등으로 해도 된다.
수취장치(27)와 긁기장치(76)는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조로 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같은 구조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1) 공급장치, 입구보류장치, 흡착드럼장치, 출구보류장치, 배출장치, 회전구동장치, 충돌장치로 구성하고, 특히 흡착드럼장치의 전단하방과 후단하방에 입구보류장치와 출구보류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회전구동 장치에 의해 흡착드럼장치를 정역전시키면서 정전송하고, 흡착드럼장치와 이것에 인접하는 보류장치의 사이에 흡착드럼장치로부터의 처리물을 충돌시키는 충돌장치를 설치했으므로 처리물의 굴곡변형과 충돌변형을 할 수 있으므로 섬유의 마무리상태에 변화를 줄 수가 있다. 즉, 섬유의 성질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2) 흡착드럼장치를 복수로 하고, 이들 사이에 중간보류장치를 설치했을 경우에는 그만큼 처리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3) 입구보류장치에 수취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출구보류장치에 긁기장치를 설치했을 경우에는 흡착드럼장치가 회전구동장치에 의해 고속으로 정역전되어도 입구보류장치와 출구보류장치로 처리물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보류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처리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공급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입구보류장치와 입구보류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전단하방으로부터 후단하방까지 흡착하면서 회전하여 가열하는 흡착드럼장치와 흡착드럼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출구보류장치와 출구보류장치를 경유한 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와 흡착드럼장치를 고속으로 정역전시키면서 정전송하는 회전구동장치와 흡착드럼장치와 이것에 인접하는 보류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흡착드럼장치의 정역전에 의해 이것으로부터의 처리물을 충돌시키는 충돌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열처리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드럼장치를 복수로 하는 동시에 이들사이에 처리물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류하는 중간보류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열처리장치.
제 1 항,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착드럼장치의 역전시에는 이것으로 부터의 처리물을 받아들이고, 정전시에는 공급하는 수취장치를 입구보류장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흡착드럼장치의 정전시에는 이것으로부터의 처리물을 받아들인 다음에 강제적으로 송출하고, 역전시에는 공급하는 긁기장치를 출구보류장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드럼장치.
KR1019940003024A 1993-10-20 1994-02-21 섬유가열처리장치 KR960004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1984 1993-10-20
JP5261984A JPH07119020A (ja) 1993-10-20 1993-10-20 繊維加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88A KR950011688A (ko) 1995-05-15
KR960004909B1 true KR960004909B1 (ko) 1996-04-17

Family

ID=1736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024A KR960004909B1 (ko) 1993-10-20 1994-02-21 섬유가열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19020A (ko)
KR (1) KR960004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804199A2 (tr) * 2008-06-10 2009-12-21 Entema Endüstri̇yel Tesi̇sler Ve Maki̇na Sanayi̇ Li̇mi̇ted Şi̇rketi̇ Dokunmuş ve örülmüş kumaşlar için yumuşatma ve hacimleme makinası
JP5308596B1 (ja) * 2012-11-06 2013-10-09 株式会社ワコール 衣類用生地片及び衣類用生地片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88A (ko) 1995-05-15
JPH07119020A (ja) 199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1854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both an open width fabric and a fabric in rope form
DE69630567T2 (de) Trommelwaschtrockner
EP1951948B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05026636A1 (ja) 編織物の乾燥装置。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EP2628846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exchanger cleaning
KR960004909B1 (ko) 섬유가열처리장치
CN114576962A (zh) 具有选择性干燥功能的布料收缩干燥机
KR101758243B1 (ko) 텀블러장치
CN101988263B (zh) 具有液体喷射喷嘴的干衣机
EP0538209B1 (en) A device for hot-air drying of a film printed in a rotogravure machine
WO1989002003A1 (en) Casing-loadable washing machine/drier
KR100538921B1 (ko)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JPS5928654B2 (ja) 筒状布帛の湿潤処理装置に使用する膨らみ制御装置
SE518860C2 (sv) Presenningtvättmaskin med flera valsar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CN109790676A (zh) 干衣机
US1157844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984756B1 (ko) 직물 방축가공 장치
DE19615823A1 (de) Trommelwasch- und Trockenmaschine
GB2042004A (en) Steamer for textile webs
NL8702088A (nl) Borstelmachine.
US3521375A (en) Dryer
KR200256178Y1 (ko) 원단 건조장치
JP2000033199A (ja) 衣料品の仕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