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52Y1 -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52Y1
KR960004752Y1 KR2019940022933U KR19940022933U KR960004752Y1 KR 960004752 Y1 KR960004752 Y1 KR 960004752Y1 KR 2019940022933 U KR2019940022933 U KR 2019940022933U KR 19940022933 U KR19940022933 U KR 19940022933U KR 960004752 Y1 KR960004752 Y1 KR 960004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nclination angle
carriage
worm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665U (ko
Inventor
박기헌
최군호
이건환
Original Assignee
풍정산업 주식회사
김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정산업 주식회사, 김재석 filed Critical 풍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2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752Y1/ko
Publication of KR960010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전동식 미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리콘에서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바리콘의 경사각 검출상태의 요부단면도로써, 제3a도는 우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상태이고. 제3b도는 좌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상태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왕복대와 회전가이드의 요부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조립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워엄 12 : 모우터
14 : 본체 16 : 조정부
18 : 피보트 20 : 그라스홀더
22 : 왕복대 24 : 워엄휠
26 : 스크류 28 : 너트
30 : 고정돌기 32 : 고정구
34 : 결속돌기 36 : 결속편
38 : 회전가이드 40 : 안내홈
42 : 바리콘
본 고안은 차량의 전동식 미러의 경사각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외부잡음(NOISE)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대응하고 또한 주어진작동범위에서 정밀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견고함을 도모하고 운전자에게 안정된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주행시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백미러가 차량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운전자의 후방 주시 각도가 양호하도록 미러의 경사각이 조정되도록 만들어지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종래의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경사각 검출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국내 공개특허 93-8565를포함하여 기 알려진 바와 같이 위치센서 타입으로써 홀소자를 이용한 기술(일본실개소 60-130155, 60-134037)과 압전소자를 이용한 기술(일본특허공고 평 3-32496)이 있으며, 또한 포텐쇼미터타입(미국특허 4,915, 439)등이 소개된 바 있다.
즉, 모우터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운전자가 메모리한 미러경사각 위치를 즉각적으로 제공되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외부잡음을 전혀 고려치 않은 기술로써 그 신뢰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본원 출원인인 국내특허출원 제94-19594호를 안출한 바 있지만 좌우측 미러가 디지탈검출수단과 연결된 2절링크에 의하여 경사면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세한 경사각 조정이 미흡하게 되고 또한 2절링크 방식으로 각도조정이 미약한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잡음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미러 경사각 검출을 이루면서 미러경사 조정시 정확하면서 세밀한 작동으로 운전자의 시계에 알맞는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수단으로서 그라스홀더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가이드의 외면에는 굴곡의 안내홈을 다수개 마련하고 안내홈에 끼워진 결속돌기가 하단에 마련된 결속편이 왕복대에 형성되고 왕복대의 고정구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마련되어 결속부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10)을 구동하는 모추터(12)가 본체(14)에 장착되고 워엄(1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워엄휠(14)이 조정부(16)와 대응되고 피보트(18)와 결속되는 그라스홀더(20)의 일측에는 왕복대(22)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모우터(12)는 조정부(16)의 상하, 좌우를 위해 각각 설치되며 워엄(10)과 연결되어 워엄휠(24)을 구동하도록 본체(14)의 중앙에 내장된다. 그리고, 워엄휠(24)의 내부에는 스크류(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류(26)의 외연에는 조정부(16)의 너트(26)가 대응되어 있다.
조정부(16)와 결속되는 그라스홀더(20)의 중앙에는 피보트(18)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바리콘(30)과 연결된 왕복대(22)가 설치된다.
왕복대(22)의 상단에는 고정돌기(30)가 일측에 부착된 고정구(32)에 부착되고 하단에 결속돌기(34)를 보유하는결속편(36)이 왕복대(22)의 하단에 마련되고 결속돌기(34)는 회전가이드(38)의 외면에 굴곡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홈(40)에 끼워져 곡면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바리콘(42)을 회전가이드(38)에 연결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 44는 펄스발생기, 46은 프로세스, 48은 모우터 구동회로, 50은 키보작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고안은 전원을 공급하여 모우터(12)를 가동하면 모우터(12)와 연결되는 워엄(10)이 워엄휠(24)을 감속시키고 워엄휠(24)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26)의 회전은스크류(26)와 결속된 너트(28)에 의해 조정부(16)가 직선왕복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상대측방은 회전피보트(18)에 의해 조정부(16)의 상방향 작동시 반작용으로 하방향작동을 이루고 이러한 경사각 작동시 그라스홀더(20)와 연결된 조정부(16)의 상대측방에 돌설시킨 왕복대(22)는 상,하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회전을 이루지 못하도록 고정구(32)의 고정돌기(34)가 그라스홀더(20)와 결속되고 승하강은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가이드(38)의 안내홈(40)에 왕복대(22)의 하단에 형성된 결속돌기(34)가 끼워져 안해홈(40)을 따라 상하왕복운동을 실행한다. 그리하여 회전가이드(38)의 안내홈(40)에 유도되어 왕복대(22)의 상하 직선운동시 회전을 하게 되며 바리콘(42)이 회전가이드(38)의 결합으로 결국에는바리콘(42)의 정전용량 변화를 나타나게 한다.
따라서, 펄스발생기(44)에서 바리콘(42)으로 부터의 정전용량 값에 해당하는주파수의 펄스로 바꾸어 주고 프로세스(46)의 내부카운터에 의해 입력받은 펄스를 세어 일정시간 동안에 몇개의 펄스가 입력되었는지 인식하여 결과적으로 이 값은 측정된 각도의 디지탈화된 데이터가 된다. 또한 프로세스(46)의 외부 또는 내부의 메모리에 연결되어 각도에 대한 데이터로 각 운전자의 체형별또는고속도로 진입 및 주차시등 여러조건상의 후방시계조정각으로 저장하게 된다. 그리하여 저장된 위치데이터를 프로세스(46) 내부에서 연산된 값에 의해 모우터(12)를 회전시키는 전기적신호로 바꾸어주는 모우터 구동회로(48)를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현재의 미러의 경사각을 메모리시키거나 자신이 메모리시킨 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임의의 경사각을 변형시키고자 할때 이에 해당하는키조작부(50)를 통하여 조작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키조작부(50)로 부터 모우터 구동회로(48) 작동으로 프로세스(46)와 펄스발생기(44)에 의한 바리콘(42)을 작동시키고 회전가이드(38)의 구동으로 왕복대(22)가 그라스홀더(20)의 조정을 소음이 없도록 하며 정확하고 안전한 조정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후방시계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루는 신규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워엄(10)을 구동하는 모우터(12)와 워엄(10)을 보유하는 워엄휠(24)의 내부에 마련된 스크류(26)와 대응하는 너트(28) 상단에는 조정부(16)가 그라스홀더(20)에 결속되고 그라스홀더(20)는 피보트(18)와 결속되어 일측에 바리콘(42)과 연결된 결속부가 시이소오운동으로 경사각을 이루는 것에 있어서, 상기 그라스홀더(20)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가이드(38)의 외면에는 굴곡의 안내홈(40)을 다수개 마련하고 안내홈(40)에 끼워진 다수개의 결속돌기(34)가 하단에 마련된 결속편(36)이 왕복대(22)에 형성되고 왕복대(22)의 고정구(32) 일측에는 고정돌기(30)가 마련되어 결속부를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KR2019940022933U 1994-09-06 1994-09-06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KR960004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933U KR960004752Y1 (ko) 1994-09-06 1994-09-06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933U KR960004752Y1 (ko) 1994-09-06 1994-09-06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65U KR960010665U (ko) 1996-04-12
KR960004752Y1 true KR960004752Y1 (ko) 1996-06-08

Family

ID=1939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933U KR960004752Y1 (ko) 1994-09-06 1994-09-06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7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65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5155B1 (en) Multiplexing mirror
KR101266347B1 (ko) 차량 시트용 백 레스트
US6107713A (en) Drive assembly
CN101198500B (zh) 用于具有可选择的关断位置的转向轴在止动销装置沿松开末端位置方向运动的锁紧装置
EP1288074A3 (en) Exterior rearview mirror with automatically adjusted view angle
JP3882862B2 (ja) シェーバ
KR960004752Y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US6347482B1 (en) Safety device for power windows
KR960007598B1 (ko) 자동차용 전동식미러의 경사각 제어방법 및 그 장치
EP1027228B1 (en) Rear-view mirror apparatus for a road vehicle
KR960004751Y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US20040120059A1 (en) Electrically retractable outer mirror
KR200175599Y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KR20010006437A (ko) 차량용 내부 룸미러 및 내부 룸미러용 액튜에이터
KR960003459Y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백밀러(Out Side Back Mirror)의 경사각 조정장치
US5340010A (en) Bonding apparatus
JPH1067281A (ja) 自動車用ミラーの位置検出装置
JP2003200783A (ja) 電動ミラー制御装置
KR100250906B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조절제어장치
JP3581280B2 (ja) 自動車用電装品の制御装置
JPH0315435B2 (ko)
JPH0332496B2 (ko)
JPS59230839A (ja) 電動式バツクミラ−の角度検出装置
KR200257213Y1 (ko) 자동차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JPH07148649A (ja) 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