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687B1 - 제지용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제지용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687B1
KR960004687B1 KR1019920015601A KR920015601A KR960004687B1 KR 960004687 B1 KR960004687 B1 KR 960004687B1 KR 1019920015601 A KR1019920015601 A KR 1019920015601A KR 920015601 A KR920015601 A KR 920015601A KR 960004687 B1 KR960004687 B1 KR 96000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apermaking
chamber
screen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581A (ko
Inventor
요시히꼬 아이까와
Original Assignee
아이까와뎃꼬 가부시끼가이샤
요시히꼬 아이까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220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468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3244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9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1740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9793A/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까와뎃꼬 가부시끼가이샤, 요시히꼬 아이까와 filed Critical 아이까와뎃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6Rotary screen-dr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23Stationary screen-drums
    • D21D5/026Stationary screen-drums with rotating cleaning f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지용 스크린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제지공정의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용 스크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직부분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용 스크린장치의 한 배치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용 스크린장치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용 스크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와 유사한 수직 부분측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IX-IX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제1 및 제2스크린실 14, 34 : 수평드럼
16 : 드럼스크린 18, 36 : 제1 및 제2섬유 회수실
20 : 이물질 회수실 22 : 원료공급구
24 : 이물질 배출구 26, 44 : 로우터
28, 48 : 메서레이팅 블레이드 35 : 스크린
38 : 잔류물 회수실 40 : 잔류물 배출구
54 : 유출 파이프 55 : 분사노즐
56 : 배관 60 : 레벨탱크
64 : 경사기구
본 발명은 재생펄프 생산처리, 훼손지 처리 또는 신문, 잡지 등의 폐지처리에 사용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매서레이트되지 않은(unmacerated) 섬유편을 포함하는 제지용 원료를 처리하여 매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의 매서레이션 작용과 회수를 행하고 잔류물을 제지시스템 밖으로 배출하는 제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생펌프 생산처리, 훼손지처리, 폐지처리 등의 제지공정에 있어서는, 제1도의 도시처럼 펄퍼(pulper)에서 매서레이트된 제지용 원료는 1차 환공 스크린과 슬릿 스크린을 사용하여 스크린처리된 다음 탈수기에 의해 탈수처리된다. 1차 환공 스크린을 통한 원료의 처리후에 남은 잔류물 중에는 다량의 매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잔류물을 매서레이터로 보내어 더 매서레이트한 다음 체스트에 저장한다. 이어서 매서레이트된 잔류물을 펌프에 의해 2차 환공스크린으로 송입하여 매서레이트된 잔류물에서 유효섬유분을 회수한다. 그후에 유효섬유분이 분리된 매서레이트된 잔류물을 최종 스크린으로 보내어, 잔류물에 여전히 함유되어 있는 유효섬유분을 추가로 회수하고 잔류물에 남아있는 메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을 매세레이트 및 회수함과 아울러 불순물 또는 잔류물을 제지시스템 밖으로 배출한다. 그러나 최종 스크린을 통해 배출되는 불순물의 농도는 1-3% 정도로 낮고 다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처리·처분전에 불순물을 더 탈수하여야 한다.
또한, 1차 환공스크린을 사용한 스크린처리로 얻은 잔류물에 함유된 매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의 매서레이션 작용 및 회수를 촉진하기 위해, 전술한 매서레이터, 체스트, 펌프, 2차 환공스크린, 최종 스크린, 밸브, 배관 등의 부속장치를 필요로 하여 제지용 설비가 크게 복잡해지고 설비면적도 증대하고 조작도 번잡해진다. 또 전술과 같이 최종 스크린을 사용한 스크린처리로 얻은 잔류물에 다량의 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그 처리 처분도 크게 번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매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의 매서레이션 및 회수, 잔류물의 탈수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지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지용 설비를 상당히 간소화할 수 있는 제지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한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지를 간단한 조작과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지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지용 스크린 장치는 제1스크린실을 형성하는 제1수평드럼; 상기 제1스크린실에 배치되고 외측을 제1섬유 회수실로 만든 드럼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실에 형성되고 드럼스크린 내부에 위치하는 원료공급구; 드럼스크린에 근접하여 제1스크린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 제1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 제2스크린실을 형성하는 제2수평드럼; 제2수평드럼의 저면측에 위치하여 제2스크린실에 배치되고 외측을 제2섬유회수실로 만든 스크린; 제2스크린실에 형성되고 스크린의 내부에 위치하는 잔류물 배출구; 그리고 스크린에 근접하여 제2스크린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으로 구성된다. 제1스크린실의 드럼스크린과 제2스크린실의 스크린은 그 내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잔류물 배출구는 고정 배치되어도 무방하고, 이와달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스크린실과 제2스크린실은 동축으로 서로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고 또 경사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섬유 회수실들은 서로 별도의 섬유 회수구를 가져도 무방하고 또 공통의 섬유 회수구를 가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메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은 일렬로 배치되는 다단 블레이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각 단의 블레이드는 2종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스크린실은 세척수용 분사노즐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하 제2 내지 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지용 스크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지용 스크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4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장치는 제1스크린실(10)과 제2스크린실(12)을 포함한다. 제1스크린실(10)은 수평드럼(14)안에 형성되며, 수평드럼(14)은 상하방향으로 두부분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스크린실 또는 수평드럼(14)에는 스크린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드럼스크린(16)이 배치된다. 이 드럼스크린은 상하방향으로 분할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 환공 또는 환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스크린(16)의 외측에는 제1섬유 회수실(18)이 형성되고 드럼스크린(16)의 내측에는 이물질 회수실(20)이 형성된다. 이물질 회수실(20)에는 제지원료가 이물질 회수실(20)안으로 공급되는 원료공급구(22)와 이물질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물질 회수실(20)에는 드럼 스크린(16)에 근접하여 위치한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를 이송각도를 두고 방사상으로 고정된 로우터(26)가 배치된다. 이 로우터(26)는 수평드럼(14)을 관통하여 베어링(30)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 회전축(32)에 지지되고 있다. 이렇게 배치된 회전축(32)은 구동유니트(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3도의 도시처럼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는 로우터(26)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부에 로우터(26)의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탈착가능하게 체결되고 필요에 따라 교화가능한 역 T자형의 직선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제1스크린실(10)의 제1섬유 회수실(18)에는 섬유 회수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제2스크린실(12)은 상하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수평드럼(34)에 형성된다. 제2스크린실(12) 또는 수평드럼(34)에는 드럼(34)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반원형단면의 스크린(35)이 배치된다. 이 스크린(35)은 환공 도는 환슬릿이 형성된 스크린 플레이트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에따라 스크린(35)의 외측에는 제2섬유 회수실(36)이 형성되고 스크린(35)의 내측에는 잔류물 회수실(38)이 형성된다. 잔류물 회수실(38)에는 잔류물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잔류물 배출구(40)는 고정되게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잔류물 배출구(40)에는 상하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댐플레이트(42)가 설치되며, 이 댐플레이트는 잔류물 회수실(38)내의 수위를 조절하여 잔류물 배출구(40)의 배출높이를 제어한다. 또한 제2스크린실(12)에는 스크린(35) 내부에 위치하는 로우터(4)가 설치된다. 루우터(44)는 드럼(34)을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 회전축(46)상에 장착된다. 로우터(44)상에는 스크린(35)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이송기구를 가진 다수의 매서레이팅 블레이드(48)가 방사상으로 장착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매서레이팅 블레이드(48)는 로우터(44)의 외주상에 고정된 지지부재(50)에 스크린(35)과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고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섬유 회수실(36)에는 섬유 회수구(52)가 형성된다.
제2스크린실(12)의 상부에는 가요성의 세척수용유출관(54)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매서레이팅 블레이드(48)에 의한 매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의 매서레이션 작용과 이물질과 섬유의 분리를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장치는 제1스크린실(10)의 드럼스크린(16)의 내부(이물질 회수실 120)와 제2스크린실(12)의 스크린(35)의 내부(잔류물 회수실(38))가 서로 연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스크린실(10)과 제2스크린실(12)은 제2도의 도시처럼 예컨대 회전축(32 및 46)을 동축으로 하거나 공동으로 하여 서로 직접 동축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와는 달리, 제1 및 제2스크린실들(12 및 14)은 제5도의 도시처럼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6도의 도시처럼 두 스크린실은 서로 경사져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제5도 및 제6도의 각 구성에서 스크린실들의 내부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유량조절 밸브(58)가 설치된 배관(56)에 의해 서로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제5 및 제6도에 도시된 각 구성에서, 제1스크린실(10)의 제1섬유 회수실(18)에는 스크린실(10)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벨탱크(60)가 설치된다. 이와달리 레벨탱크(60) 대신 밀페 파이프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장치는 경사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실시예는, 스크린장치가 지지프레임(62)을 경사지게 하는 경사기구(64)가 설치된 지지프레임(62)상에 지지되어 전술한 바와같이 경사기구(64)에 의해 지지 프레임(62)을 통해 경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여 제1 및 제2스크린실들(10 및 12)은 경사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스크린실(12)은 제1스크린실(10)에 비해 상승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잔류물 회수구(40)로부터 배출되는 잔류물의 높일 수 있고 또한 잔류물의 배출량도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장치에서, 제1스크린실(10)의 제1섬유 회수실(18)과 제2스크린실(12)의 제2섬유 회수실(36)에는 서로 별도의 섬유 회수구(33 및 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섬유 회수실들(18 및 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섬유 회수실들(18, 및 36)은 양자사이에 아무런 격막도 설치하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면 양 섬유 회수실에는 하나의 공동섬유 회수구가 형성된다.
전술한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장치의 작동법을 설명한다.
먼저, 원료가 원료공급구(22)에서 제1스크린실(10)의 드럼스크린(!6)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회전하는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에 의해 원료중의 매서레트되지 않은 섬유편이 풀어져 단섬유화된 다음, 드럼스크린(16)을 통과하여 제1섬유 회수실(18)을 통해 회수된다. 드럼스크린(16)에 의해 통과되지 못한 재료는 드럼스크린(16)의 내측에서 제2스크린실(12)의 스크린(35)의 내측으로 보내지며, 매서레이팅 블레이드(48)와 필요하면 세척수용유출관(54)에서 유출하는 세척수를 사용하여 재료중에 여전히 남아있는 메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이 매서레이트된다. 이어서 매서레이트된 섬유편은 스크린(35)을 통과하여 제2섬유 회수실(36)을 통해 회수된다. 그 뒤에, 매서레이트된 섬유편이 분리된 잔류물은 제2스크린실(12)의 스크린(35)의 내측에서 잔류물 회수구(40)를 통해 탈수된 상태로 배출되어 후속처리를 받는다.
이와 같이, 원료는 2단계의 매서레이션작용 및 2단계의 스크린처리를 받음과 아울러 드럼스크린(16) 및 스크린(35)은 각각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와 매서레이팅블레이드(48)에 의해 세척되므로, 원료중의 섬유편은 효과적으로 회수되고 잔류물만이 실절적으로 섬유편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된다.
또한 제1스크린실(10)의 드럼스크린(16)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에 의해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가 마모 및 파손되는 우려가 있으나,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가 교환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수평드럼(14)과 드럼스크린(16)이 경사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마모 및/또는 파손된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것은 매서레이팅 블레이드(28)에도 해당된다. 또한 스크린(16 또는 35) 및 블레이드(28 또는 48)간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28 및 48)에 의한 매서레이션작용 및 스크린(16 및 35)에 의한 세척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스크린실(12)의 잔류물 회수구(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스크린(35)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섬유편의 회수율과 배출되는 잔류물의 탈수정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1스크린실(10)에서 제2스크린실(12)로의 원료이동은 자연하향유동에 의해 일어나며 제2스크린(12)의 수위는 원료공급구(24)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량, 레벨탱크(60)의 수위, 잔류물배출구(40)의 높이, 스크린실들(10 및 12)의 경사각도 및 배관(35)의 유량 제어밸브(458)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7 내지 9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2스크린실(12)에 변경된 블레이드(148) 및 분사노즐(53 및 55)이 설치되는 점이 다르다. 3단 블레이드(148)가 로우터(44)에 장착된다. 예컨대, 각 단의 블레이드(148)는 그 전면에 잔류물을 희석하도록배치되는 4개의 혼합블레이드(148a) 및 이것의 뒷쪽에 배치되는 8개의 매서레이팅 블레이드(148b)를 포함한다. 각 블레이드(148a 및 148b)는 제8 및 9도의 도시처럼 로우터(44)의 외주에 고정된 각 지지부재(150a 및 150b) 상에 블레이드(148a,148b) 및 스크린(35)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각 블레이드(148a 및 148b)는 0-5°의 이송각도로 설치된다.
제2스크린실(12)의 상부에는 인접한 블레이드 단들 사이에 1쌍의 분사노즐(55)이 설치되며, 이 분사노즐은 섬유편과 잔류물을 세척 및 희석하여 섬유편이 스크린(35)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각 분사노즐(55)은 바람직하게 유동제어밸브(도시생략)를 통해 유출배관(54)에 연결된다. 세척용 분사노즐로서, 분사방향이 기계적인 부분의 이동없이 컨트롤분사 및 와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빔편향증폭기타입의 유체장치를 채용하여 분사수의 방향 및 유속을 변화시켜 잔류물의 유동을 부분적으로 중단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매서레이팅 작용효과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잔류물 배출구(40)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잔류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달리, 잔류물 배출구(40)와 근접한 최종단의 혼합블레이드(148a)와 매서레이팅 블레이드(148b)는 교대로 배치되는 2종의 블레이드 즉, 잔류물을 전방 방향으로 이송하는 정이송각도를 갖는 블레이드와 잔류물을 후방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이송각도를 갖는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 양 브레이드는 제2스크린실(12)안의 잔류물의 체류시간이 효과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모든 제2블레이드에 배치되는 역이송각도를 갖는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제2스크린실(12)의 상부에는 잔류물배출구(40)의 반대편에 있는 제1단의 블레이드(148)와 대향하는 위치에 추가의 분사노즐(53)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전술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는 제1스크린실에서 매서레이트되지 않은 섬유편의 매설레이션 작용 및 회수를 실시하고 제2스크린실에서 섬유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섬유가 효과적으로 최대한 회수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섬유가 거의 없는 잔류물이 탈수된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잔류물의 후속처리 또는 처분이 크게 용이해지며, 스크린장치의 구조가 크게 단순화되고 조작도 간단하며 설치면적 역시 축소된다.
본 발명을 몇개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경향을 벗어남없이 많은 변경 변화가 가능하다.

Claims (26)

  1. 제1스크린실을 형성하는 제1수평드럼과, 상기 제1스크린실에 배치되고 외측을 제1섬유 회수실로 만든 드럼스크린과, 상기 제1스크린실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스크린 내측에 위치하는 원료공급구와, 상기 드럼스크린에 근접하여 상기 제1스크린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 제2스크린실을 형성하는 제2수평드럼과, 상기 제2스크린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평드럼의 저면측에 위치하며 외측을 제2섬유회수실로 만든 스크린과, 상기 제2스크린실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 위치하는 잔류물 배출구와, 상기 스크린에 근접하여 상기 제2스크린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스크린실의내부와 제2스크린실의 내부가 서로 연통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물배출구는 고정되게 배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물배출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실의 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척수용 유출 파이프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은 다단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단의 블레이드는 그 앞쪽에 잔류물을 희석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와 이것의 뒷쪽에 섬유편을 매서레이트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파이프수단은 상기 블레이드의 각 단 사이에 배치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빔편향 증폭기타입의유체장치로 구성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들은 각각 잔류물을 전방방향으로 이송하는 정이송각도를 갖는 블레이드와 잔류물을 후방방향으로 이송하는 역이송각도를 갖는 블레이드의 2종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파이프수단은 상기 잔류물배출구의 반대편에 있는 제1단의 블레이드와 대향하여 상기 제2스크린실에 배치되는 추가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평드럼 및 드럼스크린은 상하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은 교환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매서레이팅 블레이드 수단은 상기 스크린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물배출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린실의 내측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척수용 유출 파이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지용 스크린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실은 서로 직접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실은 서로 직접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실은 경사가능하게 배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실은 경사가능하게 배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섬유 회수실에는 각각 서로 별도의 섬유 회수가 형성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섬유 회수실에는 공동의 섬유 회수구가 형성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실은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린실은 서로 경사져서 연결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 및 스크린의 내부는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의내부 및 스크린의 내부는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유공제어밸브가 설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유동제어밸브가 설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실의 제1섬유 회수실에는 상기 스크린실의 수위를 조절하는 레벨탱크가 설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의 제1섬유 회수실에는 상기 스크린실의 수위를 조절하는 레벨 탱크가 설치되는 제지용 스크린장치.
KR1019920015601A 1991-08-30 1992-08-28 제지용 스크린장치 KR960004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44046 1991-08-30
JP3244046A JP3059544B2 (ja) 1991-08-30 1991-08-30 製紙用スクリーン
JP4217404A JPH0649793A (ja) 1992-07-24 1992-07-24 製紙用スクリーン
JP92-217404 1992-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81A KR930004581A (ko) 1993-03-22
KR960004687B1 true KR960004687B1 (ko) 1996-04-11

Family

ID=2652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601A KR960004687B1 (ko) 1991-08-30 1992-08-28 제지용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43213A (ko)
EP (1) EP0529548B1 (ko)
KR (1) KR960004687B1 (ko)
CA (1) CA2076740C (ko)
DE (1) DE692122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6623B4 (de) * 1996-04-25 2004-12-23 Der Grüne Punkt - Duales System Deutschland Ag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zähelastischen Materialien wie Kunststoffen und von unter mechanischer Beanspruchung zerfasernden Stoffen wie Papier
US5954956A (en) * 1997-07-22 1999-09-21 J&L Fiber Services Modular screen cylinder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DE19736127A1 (de) * 1997-08-20 1999-03-04 Voith Sulzer Stoffaufbereitung Verfahren und Sieb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nassen schmutzstoffhaltigen Faserstoffen
US6138838A (en) * 1998-05-29 2000-10-31 J&L Fiber Services, Inc. Screen media and a screening passage therefore
GB2468481A (en) * 2009-03-06 2010-09-15 Vernacare Ltd Macerator using high pressure water jets to macerate
FI123000B (fi) * 2011-04-19 2012-09-28 Metso Paper Inc Rumpupulpperi, pulpperijärjestelmä ja menetelmä kuitumateriaalin hajottamiseksi
CN103711018B (zh) * 2012-09-29 2017-12-22 冯秀娟 一种可去除纤维中杂质的分散机
EP3754106B1 (en) * 2019-06-20 2021-11-24 Cellwood Machinery AB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or refining of organic material, such as cellulose fiber and organic waste
CN112892723A (zh) * 2021-01-15 2021-06-04 傅翔 一种自动粉碎装置用自动筛分粉碎机构
KR102380287B1 (ko) * 2021-08-24 2022-03-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식 섬유 분리장치
CN114534859A (zh) * 2022-02-28 2022-05-27 安徽理工大学 一种井下破碎筛分煤矸分离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3864A (en) * 1931-09-05 1934-09-18 Biffar Andreas Centrifugal sieving machine
US2142649A (en) * 1937-03-13 1939-01-03 Indiana Canning Machinery Comp Pulping and finishing machine
GB1149613A (en) * 1965-04-15 1969-04-23 Masuo Hosokawa Powder sifting machine
US3973735A (en) * 1974-04-01 1976-08-10 Keishin Matsumoto, President of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sorting municipal waste
US4076177A (en) * 1975-06-24 1978-02-28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Pulverizing method and apparatus
DE2701737B2 (de) * 1977-01-18 1980-03-20 Hermann Finckh Maschinenfabrik Gmbh & Co, 7417 Pfullingen Verfahren zum Aufbereiten und Reinigen von Fasermaterial sowie Anlage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GB1576012A (en) * 1977-01-18 1980-10-01 Midland Electric Mfg Co Ltd Mounting of electrical units
US4440635A (en) * 1979-03-29 1984-04-03 Haigh M. Reiniger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cellulose fibers from paper-plastic mixtures
DE2918228A1 (de) * 1979-05-05 1980-11-13 Dieter Reusch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faserhaltigen beimengungen und feststoffen in pumpfaehigen medien, insbesondere strohhaltigem stallmist und pflanzlichen abfaellen
SU988316A1 (ru) * 1981-04-27 1983-01-15 Ворошиловградский Филиал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По Автоматизации Уго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Гипроуглеавтоматизаци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дисковым вакуум-фильтром
US4374728A (en) * 1981-07-29 1983-02-22 Gauld W Thomas Apparatus for screening fibrous stock
CH658874A5 (de) * 1982-10-15 1986-12-15 Escher Wyss Gmbh Verfahren zum sortieren von faserstoff, insbesondere fuer die herstellung von papier, sowie sortiervorrichtung zur ausfuehrung des verfahrens.
DE3238742A1 (de) * 1982-10-20 1984-04-26 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Verfahren zum sortieren von faserstoff, insbesondere fuer die herstellung von papier sowie sortiervorrichtung zur ausfuehrung des verfahrens
DE3322578C2 (de) * 1983-06-14 1986-01-16 Sulzer-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Sortiervorrichtung
DE3475540D1 (en) * 1984-06-09 1989-01-12 Finckh Maschf Apparatus for pulping and sorting waste paper
DE3762896D1 (de) * 1986-02-18 1990-06-28 Voith Gmbh J M Sortiereinrichtung fuer fasersuspensionen.
DE3703831A1 (de) * 1987-02-07 1988-09-08 Voith Gmbh J M Spuckstoffsortierer
FI80735B (fi) * 1988-08-04 1990-03-30 Tampella Oy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ortering och behandling av massa.
US5141650A (en) * 1989-10-04 1992-08-25 County Line Sand & Gravel, Inc. Pressure screen
SE466708B (sv) * 1990-07-27 1992-03-23 Celleco Hedemora Ab Anordning foer separering av suspensioner, varvid suspensionen sprutas direkt paa en filtertrumma, utifraan eller inifra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3213A (en) 1995-08-22
EP0529548A1 (en) 1993-03-03
CA2076740C (en) 1996-08-06
KR930004581A (ko) 1993-03-22
DE69212255T2 (de) 1997-02-06
DE69212255D1 (de) 1996-08-22
CA2076740A1 (en) 1993-03-01
EP0529548B1 (en) 1996-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687B1 (ko) 제지용 스크린장치
EP0515502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US5296143A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US5124029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fractionating suspensions
GB2025249A (en) Screening fibre suspensions
CZ20004467A3 (cs) Rozvlákňovací zařízení
NO159737B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behandling av en suspensjon.
US5421176A (en) Drum washer
KR20000022399A (ko) 고형체를 세정, 농후화 및 분류하는 제지 원료 세정기
JP2542206B2 (ja) 繊維懸濁液の選別装置
US2802572A (en) Screen unit for treating solid matter of a suspension
NO128122B (ko)
CN110396848B (zh) 一种废纸制浆系统
EP1076734B1 (en) Screening device
EP04787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a fibre suspension
CN210797084U (zh) 一种废纸制浆粗筛选系统
US3525477A (en) Device for fine screening of paper stock
JP3059544B2 (ja) 製紙用スクリーン
JP3410668B2 (ja) 縦型濃縮洗浄機
SU17475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ртировани волокнистой суспензии
JPH0649793A (ja) 製紙用スクリーン
KR200317326Y1 (ko) 외부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드럼식 필터
CN214802198U (zh) 一种切片蔬菜用清洗杀菌装置
US20070102373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sions
JP2544589Y2 (ja) 製紙用溶解離精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