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971B1 -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971B1
KR960003971B1 KR1019930015451A KR930015451A KR960003971B1 KR 960003971 B1 KR960003971 B1 KR 960003971B1 KR 1019930015451 A KR1019930015451 A KR 1019930015451A KR 930015451 A KR930015451 A KR 930015451A KR 960003971 B1 KR960003971 B1 KR 96000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key input
axis
transmission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360A (ko
Inventor
백상주
Original Assignee
백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주 filed Critical 백상주
Priority to KR101993001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971B1/ko
Publication of KR95000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제 1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위치 변동부의 구조도이고,
제 2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제 3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공간좌표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4 도는 이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의 동작 흐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위치 변동부 11 : 구면체
13 : 자석체 20, 30 : X축 및 Y축 위치 검출부
40 : 키 입력부 50 : 제어부
70 : 표시부 80 : 유선 전송포트
90 : 무선 전송포트
이 발명은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사용자가 키 입력장치를 움직이게 됨에 따라 표시장치에 나타나게 되는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므로써 오동작 없이 키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고, 숫자 및 문자의 선택이나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키를 설치함으로써 외견상 복잡하여 보이지 않고 또한 제작하기에 간편한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나 각종의 전자기기용 리모콘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숫자 키와 문자 키 등이 배열되어 있는 키 입력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키 입력장치의 숫자 키 및 문자 키를 눌러서 전화를 걸거나, 리모콘에 설치되어 있는 키 입력장치의 숫자 키 및 문자 키를 눌러서 전자기기가 눌려진 키에 대응되는 특정의 동작모드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나 리모콘에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키 입력장치는 숫자 키와 문자키가 다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상 제작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키 입력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키를 누르는 도중에 실수로 주변의 다른 키를 누르게 되므로써 휴대용 전화기나 전자기기가 오동작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키 입력장치를 움직이게 됨에 따라 표시장치에 나타나게 되는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므로써 오동작 없이 키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고, 숫자 및 문자의 선택이나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키를 설치함으로써 외견상 복잡하여 보이지 않고 또한 제작하기에 간편한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서 자계가 변화되는 위치 변동부와, 상기위치 변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크기에 따라 X축 및 Y축의 공간좌표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신호로서 변환하여 출력하는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 신호 및 전송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신호를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의 위치 정보신호를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송모드 설정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포맷을 형성하여 전송신호로서 출력하는 제어부와,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표시신호에 따라 문자나 숫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송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포트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메모리내의 모든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X축과 Y축의 좌표값을 읽어들여서, 읽어들인 좌표값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선택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전송모드 설정키를 체크하여 전송모드 설정신호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전송모드 설정신호로부터 유선 전송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유선 전송모드인 경우에 직렬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모드 설정신호로부터 유선 전송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유선 전송모드가 아닌 경우에, 광 데이터 포맷이나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위치 변동부의 구조도이고, 제 2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서 자계가 변화되는 위치 변동부(10)와, 위치 변동부(1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와, 사용자에 의해서 동작되는 키 입력부(40)와,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와 키입력부(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50)와, 제어부(50)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60)와, 제어부(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70)와 유선 전송포트(80) 및 무선 전송포트(9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위치 변동부(10)의 구성은, 밀봉되어 있는 구면체(11)와, 구면체(11)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12)와, 액체(12)의 위에 뜨는 재료로 둘러싸인채로 액체(12)와 함께 구면체(11)의 내부에 봉입됨으로써 액체(12)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항상 중력에 대해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자석체(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 30)의 구성은, 위치 변동부(10)의 구면체(11)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홀소자(21,31)와, 홀소자(21,3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증폭부(22,32)와, 증폭부(22,3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비교부(23,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키 입력부(40)의 구성은, 제어부(50)의 입력단과 접지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선택키(SW41) 및 전송모드 설정키(SW4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키 입력부(40)는 위치 변동부(1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고, 또한 위치 변동부(10)를 보호하거나 외관을 위해서 부가될 수 있는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 될 수도 있다.
제 4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10)와, 메모리내의 모든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10)와, X축과 Y축의 좌표값을 읽어들이는 단계(S30)와, 읽어들인 좌표값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S40)와, 선택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선택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전송모드 설정키를 체크하여 전송모드 설정신호를 읽어들이는 단계(S60)와, 전송모드 설정신호로부터 유선 전송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와, 유선 전송모드인 경우에 직렬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80)와, 유선 전송모드가 아닌 경우에 광 데이터 포맷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9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50)에 의해서, 프로그램화 되어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있는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이 실행됨으로써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가 동작한다.
키 입력장치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50)는 메모리(60)내의 모든 변수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를 통해서 입력되는 현재의 X축 및 Y축 좌표값을 읽어들인다.
사용자는 위치 변동부(10)가 이리저리로 기울어지게 하여, 위치 변동부(10)의 자석체(13)가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의 홀소자(21,31)에 대하여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위치가 변동되도록 함으로써 X축 및 Y축 검출부(20,30)로부터 X축 Y축 좌표값에 관한 위치정보가 발생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한 위치 변동부(10)의 구조 및 동작원리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93-6735호(출원일 : 서기 1993년 4월 21일)의 "자기방식의 입력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의 홀소자(21,31)는, 금속 또는 반도체에 전류를 흘리면서 전류의 방향과 직각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전류의 방향 및 자기장의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되는 홀효과(Hall effect)의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자석체(13)가 구면체(11)의 내부를 이리저리로 움직이게 되면, 홀소자(21)에 의하여 자석체(13)의 X축 방향의 위치 변화가 감지됨과 동시에, 홀소자(31)에 의하여 자석체(13)의 Y축 방향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어 전압신호로서 출력된다.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의 홀소자(21,31)로부터 전압신호의 형태로 발생되는 자석체(13)의 위치변화에 관한 정보신호는 증폭부(22,32)를 각각 거치면서 신호가 증폭된 뒤에 비교부(23,33)로 입력된다. 비교부(23,33)에서는 상기한 증폭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X축 및 Y축의 위치에 관한 디지틀 신호로 변환한 후에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제 3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장치의 공간좌표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의 비교부(23,33)는 증폭부(22,3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이를 양자화한 뒤에 디지틀화함으로써 X1,X2,…, 또는 Y1,Y2,…,에 대응되는 디지틀 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제어부(50)는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20,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틀 신호를 메모리(60)에 저장한 뒤에, 표시부(7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한 디지틀 신호에 대응되는 문자나 숫자(제 3 도 참조)가 표시부(70)에 나타나도록 한다.
다음에 제어부(50)는 키 입력부(40)의 선택키(SW4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키(SW4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현재의 좌표값을 읽어들여서 이를 표시부(70)를 통해서 나타내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키 입력부(40)의 선택키(SW4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40)는 전송모드 설정키(SW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서 데이터를 무선 전송포트(90)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유선 전송포트(80)로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키 입력부(40)의 전송모드 설정키(SW42)가 유선 전송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50)는 상기한 위치좌표를 관한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뒤에 유선 전송포트(8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키 입력부(40)의 전송모드 설정키(SW42)가 유선 전송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50)는 상기한 위치좌표에 관한 데이터를 광 데이터 포맷 또는 전파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뒤에 무선 전송포트(90)를 통해서 데이터를 원격 송신한다.
데이터가 송신되면, 이를 수신하는 휴대용 전화기나 각종의 전자기기는 상기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다이얼이 되거나 특정의 동작모드로 동작하게 한다.
송신이 끝나면 제어부(50)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장치를 움직이게 됨에 따라 표시장치에 나타나게 되는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므로써 오동작 없이 키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고, 숫자 및 문자의 선택이나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키를 설치함으로써 외견상 복잡하여 보이지 않고 또한 제작하기에 간편한 효과를 가진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텔레비젼이나 VCR(Video Cassette Recorder)등의 각종 전자기기용 리모콘이나, 휴대용 무선 전화기 등의 키 입력장치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에 의해서 자계가 변화되는 위치 변동부와, 상기 위치 변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크기에 따라 X축 및 Y축의 공간좌표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신호로서 변환하여 출력하는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 신호 및 전송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신호를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키 입력부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X축 및 Y축 변위 검출부의 위치 정보신호를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송모드 설정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포맷을 형성하여 전송신호로서 출력하는 제어부와,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표시신호에 따라 문자나 숫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송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키 입력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송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 전송포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3.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메모리내의 모든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X축과 Y축의 좌표값을 읽어들여서, 읽어들인 좌표값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선택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전송모드 설정키를 체크하여 전송모드 설정신호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전송모드 설정신호로부터 유선 전송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유선 전송모드인 경우에 직렬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모드 설정신호로부터 유선 전송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유선 전송모드가 아닌 경우에 광 데이터 포맷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의 구동방법.
KR1019930015451A 1993-08-10 1993-08-10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96000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451A KR960003971B1 (ko) 1993-08-10 1993-08-10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451A KR960003971B1 (ko) 1993-08-10 1993-08-10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60A KR950007360A (ko) 1995-03-21
KR960003971B1 true KR960003971B1 (ko) 1996-03-25

Family

ID=1936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451A KR960003971B1 (ko) 1993-08-10 1993-08-10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9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60A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1542B1 (en) Wireless pager with separable receiver unit and transmitter unit
US6784872B1 (e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system
US4853682A (en) Data stored display device
JP2006279424A (ja) 電気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
CN103178866B (zh) 一种终端设备及其使用方法
US200501457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display and backlight in portable terminals
JP2002237878A (ja) 内部で変化することができる素子を備える通信ユニット
JP2006302184A (ja) 情報入力装置
JPH11196159A (ja) 携帯型通信装置および表示データ変換装置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20050060923A (ko)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960003971B1 (ko) 키 입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40184596A1 (en) Shortened dialing device and phone combined a frame
JP2003006570A (ja) 非接触通信システム
KR10079015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JPH10224441A (ja) ペンシル型携帯電話端末装置
KR1006823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20661B1 (ko) 원격 컴퓨터 단말기 제어 장치
JPH11239097A (ja) コードリーダ付き携帯電話
KR1007546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을 무선 마우스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JP3953258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6128788A (ja) 携帯情報端末
JPH06303298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605632B1 (ko) 이동단말기의 버퍼 메모리를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
JP200712934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