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937B1 -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937B1
KR960003937B1 KR1019870015261A KR870015261A KR960003937B1 KR 960003937 B1 KR960003937 B1 KR 960003937B1 KR 1019870015261 A KR1019870015261 A KR 1019870015261A KR 870015261 A KR870015261 A KR 870015261A KR 960003937 B1 KR960003937 B1 KR 96000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lange
coke
coke dru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161A (ko
Inventor
제이. 말스버리 알렌
디. 메하스 스티브
크로처크 마이론
Original Assignee
포스트 휠러 유에스에이 코오포레이션
잭 이. 데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트 휠러 유에스에이 코오포레이션, 잭 이. 데온즈 filed Critical 포스트 휠러 유에스에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87001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937B1/ko
Publication of KR89001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분리가능한 하부 헤드장치가 있는 딜레이드 코우크스 드럼(delayed coking drum) 및 드럼하단부에 설치된 플랫포옴 지지장치의 외관도.
제 2 도 다수의 패스너 장치에 의해서 드럼 하단부에 부착된 코우크스 드럼 헤드장치와 헤드장치 아래에 설치된 리프트 플랫포옴 장치의 확대 정면도.
제 3 도 제 2 도의 3-3′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 및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플랜지에서 다중 패스너를 제거하기 위한 디텐션(detensioning) 및 작동기 장치의 단면도.
제 4 도 제 2 도 4-4′선을 따른 헤드분리 장치의 평면도.
제 5 도 제 2 도의 5-5′선을 따른 헤드분리를 장치를 관통시킨 단면도 및 헤드 리프트 플랫포옴 지지체로 연결하기 전의 코우크스 헤드 장치의 단면도.
제 6 도 제 5 도의 6-6′선을 따른 한 플랜지 클램프 패스너 장치의 평면도.
제 7 도 제 6 도의 7-7′선을 따른 한 플랜지 클램프 패스너 장치를 관통시킨 단면도.
제 8 도 제 6 도의 8-8′선을 따른 한 플랜지 클램프 패스너의 단면도.
제 9 도 리프트 플랫포옴 장치가 헤드장치에 접해지고 플랜지 패스너 클램프가 풀린후의 제 2 도와 동일한 평면도.
제 10 도 리프트 플랫포옴 장치가 코우크스 헤드장치에 접해진 후의 제 2 도와 동일한 도면.
제 11 도 코우크스 헤드장치가 코우크스 드럼으로부터 내려지는 것을 보여주는 제 9 도와 동일한 도면.
제 12 도 제 11 도의 12-12′선을 따른 헤드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 13 도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로부터 옆으로 이동된 후의 코우크스 헤드장치의 평면도.
제 14 도 제 13 도의 14-14′선을 따른 헤드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 15 도 청소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한 후의 헤드장치와, 코우크스 드럼내의 코우크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슈트의 평면도.
제 16 도 제 15 도의 16-16′선을 따른 코우크스 플랜지와 연결된 슈트와 확대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딜레이드(delayed) 코우크스 드럼 11 : 프레임 구조체
12 : 플랫포옴 구조체 13 : 하부 플랜지
14 : 헤드장치 14b : 개구부
15 : 플랜지 16 : 슈트
18 : 도관 20 : 패스너장치
24,36,38 : 피스톤 작동기 26 : 볼트
27 : 슬롯 28 : 볼트 텐션장치
30 : 리프트 플랫포옴 지지장치 31 : 상부 플레이트
32,33 : 링크장치 34 : 하부 플레이트
37 : 브래킷
본 발명은 원격조작으로 코우크스 드럼에서 헤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딜레이드 코우크스 드럼용 하부 헤드장치를 옮기고 원위치시킬 수 있는 헤드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 정제 과정에서 여러 가지 탄화수소 공급 스트림을 코우크스로 만들기 위하여 딜레이드 코우크스 드럼 또는 장치를 조작하는 동안에, 얻어진 코우크스는 드럼의 내벽에 쌓이게 되므로 이를 통상 36-48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제거해야만 된다.
그러한 코우크스의 제거는 수직으로 뻗은 드럼의 하단부에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하부 헤드 장치를 손으로 옮겨서 슈트를 설치하여 호퍼 또는 레일 차량 같은 소정의 장소로 제거된 코우크스를 옮길 수 있게 한다.
코우크스 드럼은 500-900˚F의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 다루어지므로, 수동 장치로 고온의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헤드를 옮길려면 속도가 느리고 다소 위험하므로 바람직스럽지 않다.
본 발명은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헤드장치를 원격으로 안전하게 옮기고 원위치시켜서 코우크스 제거과정에서 드럼으로부터 코우크스를 더 빨리 제거할 수 있는 헤드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우크스 드럼이나 또는 용기로부터 헤드장치를 원격으로 풀어서 옮기고 드럼을 원위치시킬 수 있는 헤드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플랜지에 꽉 죄기에 적합한 헤드장치 ; 헤드장치를 아래로 옮길 수 있도록 볼트를 방사상으로 밖으로 및 위로 돌리고, 플랜지에 있는 다수의 볼트를 풀기 위한 볼트디텐션(detension)장치 및 피벗 가능한 클램핑 장치 ; 드럼 플랜지부터 헤드장치를 지지하여 내려서 옆으로 옮기기에 적합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포옴 장치 ; 및 청소하기 위하여 헤드장치를 수평면에 대해 20-60℃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기 위한 피스톤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플랫포옴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슈트를 포함하며, 슈트를 올려서 헤드장치가 경사짐에 따라서 코우크스 용기의 플랜지에 닿게한다.
헤드분리 장치는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용기 하부 플랜지와 수직으로 일렬이 되도록 옆으로 옮겨서 코우크스 하부 플랜지에 맞물리게 들어올려주며, 그후에 헤드장치 패스너로 원위치로 다시 조이게 된다.
헤드분리 장치의 패스너는 코우크스 용기 하부 플랜지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용기에 부착된 수직 방향의 피스톤 작동기에 의해서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위로 돌릴 수 있어서 헤드장치를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랫포옴 장치는 이중 리프트 레버 링크장치가 중간에 설치된 상부 및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플랫포옴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부착된 이중 유압식 피스톤 작동기에 의해서 작동된다.
슈트는 플랫포옴 상부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코우크스 드럼으로부터 코우크스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플랜지에 연결된 헤드장치를 푼 후에, 플랫포옴 장치는 피스톤 작동기를 작동시켜서 헤드장치를 내리고, 헤드장치의 하부를 통해서 뻗어있는 다른 피스톤 작동기로 코우크스 드럼 아래에서 헤드장치를 옆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플랫포옴이 움직이면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에 코우크스 슈트가 코우크스 제거 위치까지 올라가고, 플랫포옴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수직 피스톤을 작동시키면 청소하기 적합한 위치로 헤드장치가 경사지게 된다.
코우크스 드럼에서 코우크스 제거를 끝낸후에, 플랫포옴을 조절하여 슈트를 내리고 헤드장치를 드럼 하부 플랜지 아래로 가도록 옆으로 움직이고, 드럼 하부 플랜지를 다시 죄기위하여 결합위치까지 헤드장치를 올린다.
헤드와 코우크스 슈트에 대하여 볼트디텐션 및 리프트 메카니즘은 원격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피스톤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들 리프트 및 슈트 배치를 신규이거나 있는 그대로의 딜레이드 코우크스 드럼에 사용하면 드럼에서 더 많은 양의 코우크스를 빠른 속도로 제거할 수 있고, 36-48시간의 시간동안 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우크스를 제거 및 청소하기 위하여 코우크스 하부 헤드장치를 제거하고, 코우크스 드럼 또는 용기상의 헤드장치를 원위치로 돌리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패스너 볼트를 디텐션하기 위하여 원격조작되는 유압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볼트 패스너를 풀고 볼트를 밖으로 위로 돌려서, 딜레이드 코우크스 용기의 하부 플랜지와 이동가능한 헤드장치 사이에 있는 플랜지 조인트를 풀어주고, 헤드장치를 내려서 옆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장치를 청소하기 위하여 헤드장치를 수평면에 대하여 20-60˚의 각도로 기울이고, 그동안 용기로부터 코우크스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코우크스 용기 하부 플랜지에 슈트를 연결한다.
헤드장치를 청소하여 코우크스를 제거한 다음, 슈트를 내리고 헤드장치를 옆으로 이동시켜서 코우크스 용기 하부 플랜지와 수직으로 일렬이 되게 하고, 용기 플랜지로 올린다.
그다음, 패스너 볼트를 돌려서 다시 조이게 하여 코우크스 용기 하부 플랜지에 헤드장치를 재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장점은 원격조작되는 헤드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볼트 패스너를 풀고 패스너를 밖으로 돌리고, 헤드장치를 내리고, 옆으로 이동시켜서 코우크스 드럼으로부터 코우크스 드럼 하부 헤드장치를 편리하게 옮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헤드분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하면 더 빠르고 안전하게 코우크스 드럼내에 있는 코우크스를 제거하여 드럼의 유효 작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헤드분리 작업동안 고온의 탄화수소, 스팀 및 물이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도에서, 딜레이드 코우크스 드럼(10)은 인접 프레임 구조체(11)로 지지되어 수직으로 뻗어있으며, 또한 드럼(10) 아래에 설치된 플랫포옴 구조체(12)에 의해서 지지된다.
석유를 정재하는데 사용되는 딜레이드 코우크스 드럼(10)은 통상, 직경이 20-60ft이고, 길이가 80-100ft이고, 직경이 5-7ft인 하부 플랜지(13)에 부착된 테이퍼된 하부(10a)를 가진다.
분리 가능한 헤드장치(14)는 다수의 클래픔 패스너 장치(20)에 의해서 압력이 새지않게 플랜지(13)에 부착되어 있다.
코우크스 드럼(10)내에 부착된 코우크스를 주기적으로 드럼으로부터 옮기기 위해서는 헤드장치(14)를 옮기고 용기내의 코우크스를 제거하여 코우크스를 슈트(16)을 통해서 저장고나 저장용 궤도차량(도시하지 않음)으로 내려 보내야 한다.
제 2 도에서, 피벗한 다중 클램프 패스너 장치(20)에 의해 하부 플랜지(13)상에 죄여지는 헤드장치(14)는 코우크스 용기(10)내로 탄화수소, 스팀 및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면 도관(18)을 포함한다.
또한, 도관(18)은 드럼(10)에서 물을 빼내는데도 사용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16-18 스윙 타잎(swing type)패스너(20)는 용기(10)의 플랜지(13)상에 헤드장치(14)의 상부 플랜지(15)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플랜지(13) 원주 둘레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래핑 장치(20)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작동되며, 플랜지 바깥원주 근처에서 플랜지(13) 상면에 피벗하게 죄여지는 피벗 핀(Pivot pin)(22)에 의해서 그 상단부(21a)에 플랜지(13)가 피벗하게 부착되는 클래프 아암(21)을 포함한다.
클램프 아암(21)의 하단부(21b)는 피스톤 작동기(24)의 하단부에 피벗하게 부착되어 있고, 작동기(24)의 상단부 "25"에서 코우크스 드럼(10)의 외벽에 피벗하게 부착된다.
또한 각 클램프(21)의 하단부(21b)는 피벗 핀(22)을 거쳐서 볼트(2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용기(10)의 하부 플랜지(13)와 헤드장치(14)의 상부 접합플랜지(15) 양쪽에 설치된 수직 슬룻에 설치된다.
또한, 원격조작되는 텐션장치(28)는 플랜지(15) 아래에서 각 볼트(26)에 부착 설치된다.
볼트 텐션장치(28)는 미합중국 특허 제3015975호에 기술된 것과 같을 수 있다.
텐션장치(28)는 통상 적당한 유압원에 의해 작동된다.
접합플랜지(13)(15)사이의 조인트를 풀려면, 먼저 볼트 텐션장치(28)를 원격조작하여 볼트(26)를 풀어서, 플랫포옴 지지장치(30)의 상단 플레이트(31)상에서 0.25-1인치 간격으로 헤드장치를 내린다.
그다음, 회전 작동기 피스톤(24)을 수축시켜서 제 9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되지 않거나 풀린상태가 되게 밖으로 위로 볼트(26)를 회전시킨다.
코우크스 용기 하부 플랜지(13)로부터 헤드장치(14)를 지지 및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 2 도,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헤드장치(14) 아래에 리프트 플랫포옴 지지장치(30)를 설치한다.
플랫포옴 장치(30)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장치(14)의 하부 지지 플레이트(17)에 접합기에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플랫포옴 장치(30)는 상부 플레이트(31)와, 상부 플레이트(31)와 하부 플레이트(34)에 피벗하고 미끄러질 수 있게 부착된 피벗한 리프링 레버(32)(33)를 포함한다.
패스너 볼트(26)를 풀고 플랜지(13)(15)와 헤드장치(14) 사이에 갭(19)을 만들어 0.25-1인치 내려진 헤드장치를 플랫포옴(30)의 상부 플레이트(31)로 지지한 후에 볼트(26)를 플랜지(13)(15)로부터 밖으로 위로 돌린다.
그다음, 제 9 도, 제 11 도 및 제 13 도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장치(14)를 더 내려서 한쪽 옆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헤드장치(14)의 수직 및 측면 이동은 상부 플레이트(31)와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34) 사이에 피벗 할 수 있게 부착 설치된 이중 토글 커넥터(32)(33)로 플레이트(31)를 수직으로 이동시켜서, 수직방향의 피스톤 작동기(38)와 협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1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 작동기(38)를 조작하여 헤드장치(14)를 내린 후에, 헤드장치를 수평피스톤 작동기(36)를 조작하여 이동시키며, 바람직하기로는 그 둘중 하나는 헤드지지부(14a)내의 개구부(14b)를 통하여 뻗어서, "36"에서 헤드장치(14)의 한쪽끝에 연결되어 있다.
리프팅 플랫포옴 장치(30)의 부분들의 방향 및 그에 따른 위치는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10 도에는 헤드장치(14)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잇으며, 헤드장치(14)의 하부 플레이트(17)에 접합위치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31)가 도시되어 있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랫포옴 장치(30)의 상부 플레이트 (31)는 링크장치(32)(33)를 조작하여 플레이트(17)에 접한 0.25-1인치내가 되게 올려지고, 그 하단부에서 플레이트(34)에 미끄러질 수 있게 부착된다.
먼저,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31)상의 볼트 텐션장치(28)를 사용해서 볼트(26)을 풀어서 헤드장치(14)를 0.25-1인치 내리고, 다음에, 플랫포옴 장치(30)의 링크 장치(32)(33)를 움직여서 더 내린다.
그렇게하여 헤드장치(14)를 내린 다음에, 제 13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 작동기(36)을 수축시켜서 헤드장치를 오프셋(offset) 위치까지 옆으로 이동시킨다.
헤드장치(14)의 하부 플레이트(17)를 이중 브래킷(37a)(37b)으로 유지하여 상부 플레이트(31)의 선단부(31a)에 고정시킨다.
헤드장치(14)를 한쪽옆으로 이동시키고 브래킷(37)으로 유지한 후에, 제 15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38)을 움직여서 피벗(35)에서 수평면에 대해 30-50˚의 각도로 위로 더 경사지게 한다.
이렇게 헤드장치(14)를 경사진 위치에서 두면 헤드 내부를 손으로 청소할 수 있고, 또한 헤드에 부착된 도관(18)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포옴 장치(30)의 상부 플레이트(31)의 경사지지 않은 부분(31b)에 부착된 슈트(16)는 링크장치(32)(33)와 피스톤 작동기(38)의 작동과 동시에 올려져서 슈트(16)가 코우크스 용기(10)의 하부 플랜지(13)에 접하게 된다.
제 16 도에는 코우크스 용기(12)의 하부 플랜지(13)에 접한 슈트(16)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코우크스는 드럼(10)으로부터 제거되어 슈트(16)를 통해 저장고 또는 레일 차량(도시않됨)으로 떨어진다.
코우크스 드럼(10)에서 코우크스 제거작업이 끝난후에 헤드장치(14)를 내리고 원위치로 되돌려서 드럼 플랜지(13)상에 재결합시킨다.
이러한 복귀 작업은 먼저, 피스톤 작동기(38)로 플랫포옴(31)을 내리고, 다음으로 피스톤 작동기(36)를 뻗어서 헤드장치(14)를 옆으로 움직여서 플랜지(13) 아래에 수직으로 일렬로 하고, 그 다음으로 플랫포옴(31)을 올려서 헤드장치(14)를 다시 플랜지(13)쪽에 배치한다.
다음, 회전 작동기(24)를 뻗어서 슬롯(27)내로 아랫쪽으로 볼트(26)를 돌린다.
그다음, 다중 텐션장치(28)를 조작하여 결합플랜지(13)(15)를 다시 서로 꽉죈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석유공급-저장시에 딜레이드 코우킹에 사용되는 코우크스 드럼에 있어서, 작동시키고 36-48시간 후에 충분한 코우크스가 드럼 내벽에 쌓이게 되면 계속해서 작동시키기 전에 코우크스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조작되는 하부 헤드장치를 구비한 코우크스 드럼은 내려져서, 압력이 떨어지고, 하부 헤드장치가 분리된다.
코우크스 드럼의 헤드장치 및 헤드 분리장치의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코우크스 하부 플랜지 직경 (in.) 72
헤드장치 플랜지 직경 (in.) 72
헤더 길이 (in.) 18
패스너 스윙 볼트의 수 36
스윙 볼트 직경 (in.) 2
볼트 슬롯폭 (in.) 2.5
리프트 플랫포옴의 수직이동거리 (in.) 12
헤드장치의 측방향 이동거리 (in.) 84
리프트 작동기의 유압 (psig.) 1500
탄화수소공급, 스팀, 수(水)급냉 및 코우크스 장치의 배출 스위치를 돌리고, 하부 헤드장치를 분리시켜, 다음 과정을 사용하여 교체한다 :
a) 유압으로 조작되는 볼트 텐션장치를 늦추어 패스너를 스윙 볼트를 풀어서, 하부 헤드장치를 리프트 플랫포옴상으로 0.25-1인치 내려서 플랜지 주변으로부터 볼트를 밖으로 돌릴 수 있게 한다.
b) 스윙 작동기의 압력을 유지하고 패스너 볼트를 밖으로 위로 돌려서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로부터 헤드장치를 자유롭게 한다.
c) 리프트 플랫포옴 작동기의 압력을 내리고 헤드장치를 내려서, 측방향 작동기 피스톤의 압력을 유지하고 수축시켜서 헤드장치를 옆으로 이동시킨다.
d) 다시 리프트 작동기의 압력을 유지하여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코우크스 슈트를 위로 이동시켜서 코우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헤드장치를 경사지게 하여 장치를 손으로 청소하기가 편리하게 한다.
e) 축적된 코우크스를 코우크스 드럼으로부터 제거하고 코우크스 슈트를 낮추고, 헤드장치를 옆으로 이동시켜서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와 수직으로 일렬이 되게하고, 헤드장치를 올려서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와 결합시킨다.
f) 다시 스윙 작동기 피스톤의 압력을 유지하여 볼트를 볼트 슬롯내로 아래로 돌리고, 텐션장치를 조작하여 플랜지 볼트를 다시 죄어서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플랜지상에 견고하게 꽉 조인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음 특허청구 범위로 정의되는 범위내에서 변형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플랜지에 죌 수 있도록 된 헤드장치 ; 헤드장치의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볼트를 디텐션하고 피벗하게 제거하여 하부 플랜지로부터 헤드장치를 풀기 위하여 헤드장치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디텐션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8개의 피벗한 클램핑 장치 ; 헤드장치의 아래쪽이 접하게 수직으로 이동시켜 헤드장치를 내려서, 하부 플랜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플랫포옴 장치 ; 헤드장치를 수평면에 대하여 20°-60°의 각도로 한쪽으로 경사지게 하는 장치 ; 및 헤드장치를 내리고, 옆으로 이동시키고,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에 접하게 헤드장치를 들어올리고,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드럼의 제위치에 다시 조여주는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헤드장치를 옮기고 원위치시키기 위한 헤드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장치는 코우크스 드럼 하부플랜지에 피벗하게 부착되고, 각각의 볼트는 각각의 클램핑 장치에 부착되어서 볼트를 방사상으로 밖으로 위로 돌려서 플랜지 결합을 풀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 디텐션장치는 볼트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유압장치로 조작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장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 플레이트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피벗할 수 있는 링크 장치로 지지되며, 링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연결된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피스톤 장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장치를 옆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는 한쪽끝이 헤드장치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뻗어있는 유압 작동기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는 헤드장치를 수평면에 대해 20°-60°의 각도로 경사지게 할때 헤드장치를 붙잡기 위한 이중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으로부터 코우크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코우크스 드럼 하부 헤드 플랜지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플랫포옴 장치의 상부 플랜지에 부착된 코우크스 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 디텐션장치가 부착된 16-48 클램핑 장치가 헤드장치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플랜지에 원격으로 조일 수 있도록 된 헤드장치 ; 각 클램핑 장치의 하단부가 그 상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헤드장치의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를 디텐션하고 피벗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헤드장치의 원주 둘레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적어도 8개의 피벗 가능한 클램핑 장치 및 그에 따른 디텐션 장치 ; 헤드장치의 하부에 접하도록 수직 이동시킬 수 있고, 헤드장치를 내려서 하부 플랜지에 대해 한쪽 옆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설치된 링크장치에 의해서 분리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랫포옴 장치 ; 헤드장치를 수평면에 대하여 30°-50°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는 장치 ; 및 헤드장치를 내려서 옆으로 이동시키고,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드럼의 제위치에 다시 조이기 위하여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에 접하도록 헤드장치를 올리는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뻗은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 헤드장치를 옮기고 원위치 시키기 위한 헤드 분리장치.
  10. 코우크스 드럼용 하부 헤드장치를 옮기고 원위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피벗 가능한 볼트를 디텐션하고 볼트를 플랜지 조인트에 대해 밖으로 위로 돌려서 코우크스 드럼의 하부헤드와, 그에 부착된 제거 가능한 헤드장치 사이의 플랜지 조인트를 풀고 ;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드럼으로부터 내려서 드럼의 개구부 한쪽 옆으로 이동시키고 ;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에 수직으로 정렬되게 헤드장치를 옆으로 이동시키고, 코우크스 드럼 하부 헤드의 플랜지로 헤드장치를 올리고 ; 및 헤드장치와 코우크스 드럼 사이의 결합 플랜지의 피벗 가능한 볼트를 다시 죄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플랜지 조인트의 볼트는 원격으로 조작되는 각 볼트에 부착된 유압 장치에 의해서 각각 디텐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코우크스 헤드장치는 헤드장치에 부착된 유압 피스톤 작동기에 의하여 내려지고, 한쪽 옆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용기에 재결합시키기 위하여 헤드장치를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로 올리기전에,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로 슈트를 올리면서 동시에 하부 헤드장치를 수평면에 대하여 20˚-60˚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결합 플랜지내의 슬롯에 들어가게 볼트를 아래로 원격으로 돌려서 플랜지 조인트내의 볼트를 다시 죄고, 헤드장치와 코우크스 용기 사이의 플랜지내에 볼트를 다시 텐션지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수직으로 뻗은 코우코스 드럼에 사용되는 하부 헤드장치를 옮기고 원위치 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에 각각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다수의 피벗 가능한 볼트를 디텐션하고 볼트를 플랜지 조인트에 대해 방사상으로 밖으로 위로 돌려서, 코우크스 드럼의 하브 헤드와 그곳에 부착된 제거 가능한 헤드장치 사이의 플랜지 조인트를 풀고 ; 유압식을 조작되는 플랫포옴으로 코우크스 드럼 플랜지로부터 헤드장치를 내리고, 드럼 개구부의 한쪽 옆으로 헤드장치를 이동시키고 ;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에 접하게 슈트를 올리면서 헤드장치를 경사지게 하고 ; 헤드장치를 내려서 코우크스 드럼 하부 플랜지와 수직으로 일렬이 되게 옆으로 이동시키고 ; 코우크스 드럼 하부 헤드의 플랜지로 헤드장치를 올리고 ; 및 피벗 가능한 볼트를 플랜지에 물리게 아래로 돌리고, 코우크스 드럼과 헤드장치 사이의 플랜지를 볼트로 다시 텐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70015261A 1987-12-30 1987-12-30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96000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261A KR960003937B1 (ko) 1987-12-30 1987-12-30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261A KR960003937B1 (ko) 1987-12-30 1987-12-30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161A KR890010161A (ko) 1989-08-07
KR960003937B1 true KR960003937B1 (ko) 1996-03-23

Family

ID=1926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261A KR960003937B1 (ko) 1987-12-30 1987-12-30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9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161A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6637B2 (ko)
US4960358A (en) Bottom-unheading device and method for vertical vessels
EP0912657B1 (en) Coking vessel unheading device and support structure
US5092963A (en) Automated top head and stem guide assembly for coking drums
US5581864A (en) Coke drum deheading system
JPH0840564A (ja) 容器の底ヘッド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AU614110B2 (en) A rail pulling and shifting unit
US20020166862A1 (en) Modular pressure vessel unheading and containment system
KR960003937B1 (ko) 코우크스 드럼용 헤드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960013602B1 (ko) 직립 용기용 하부 헤드 분리 방법 및 장치
US5628603A (en) Automated chute system
US5259930A (en) Method for operation of automated top head and stem guide assembly for coking drums
US4111319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working machine to and from main equipment
US5671799A (en) Low-pressure casting machine hold-down system
US1433600A (en) Clamping mechanism
US6363564B1 (en) Three-piece bridge joint
US7189310B2 (en) Coke chute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JPS5929939Y2 (ja) 漏斗型コ−クドラム支持装置
CN215326655U (zh) 绞车刹车限位装置
EP1796982B1 (en) Coke drum bottom unheading system and method
JPH1192768A (ja) ドラム用ライン導管着脱装置
US2390197A (en) Method of removing coke
SU1370169A1 (ru) Машина дл смены шпал
SU169613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тделени отливки от литниковой системы
CA2092483A1 (fr) Enceinte contenant plusieurs lits de matiere solide separes et dechargeable par gravite sans melange de mati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