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306Y1 -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306Y1
KR960003306Y1 KR2019930022277U KR930022277U KR960003306Y1 KR 960003306 Y1 KR960003306 Y1 KR 960003306Y1 KR 2019930022277 U KR2019930022277 U KR 2019930022277U KR 930022277 U KR930022277 U KR 930022277U KR 960003306 Y1 KR960003306 Y1 KR 960003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s
holder
screw
bol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775U (ko
Inventor
정환욱
문장수
음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건설
박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건설, 박정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건설
Priority to KR2019930022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306Y1/ko
Publication of KR950011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전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구 11 : 삽입홀더
111 : 스쿠류홀 112 : 스쿠류볼트
12 : 연결플레이트 121 : 장공
13 : 볼트 14 : 너트
15 : 와샤 2 : 보강철근
3 : 벽체
본 고안은 조립식 벽체내에 매입되어 있는 보강철근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ㆍ하 조립식 벽체내에 내진용(耐震用)및 강도보강용으로 작용하는 보강철근간에 간편하고 견고한 연결을 도모하므로서 보강철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는 보조자재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조립식 공법으로 축조되는 고층건물의 경우 설계상 또는 사용상 자칫 상ㆍ하층의 보강철근이 서로 어긋나게 만나게 되어 보강철근의 연결이 힘들거나 어긋난 연결로 내진철근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는데 지장을 주어옴을 해소코자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내진기능의 보강철근이 내설치되는데, 각 층마다 설치되는 보강철근의 연결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짐이 가장 바람직하나 고층건물인 경우 자재차체의 오차와 시공오차등에 의하여 모든 층이 완전히 일직선을 이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오차하에서도 보강철근간을 긴밀히 연결시켜 주므로서 내진철근으로서의 충분한 기능과 아울러 조립식 벽체의 견고한 지지 확보를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보편적으로 보강철근의 연결을 다음과 같이 하였는데, 그 가장 일반적인 연결법은 용접에 의해 용착시켜 연결하는 것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것은 용접함에 따르는 시간의 과다 손실과 다수 용접인원의 소요 그리고 용접의 신뢰성 및 용접에 따른 열변형 등이 있으며, 작업시간의 단축을 기하여 서두르다보면 상ㆍ하 양철근이 정위치 용법보다는 엇갈려 용접되며 또한 충분히 용착시키지도 못할뿐만아니라 열변형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에 큰 헛점이 주어지는 것이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상ㆍ하 양철근을 결속선으로 묶어 연결하는 방법이있다.
이는 상기의 용착방법보다는 그 기능유지 및 작업에 있어, 예컨데 시간의 손실, 강도저하등 더 큰 문제점을 야기하였으며, 그외에도 본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2-26536(92.12.26일 출원)호와 제 93-4124(93.3.19일 출원)호 및 93-18528(93.9.16일 출원)호 등이 있는데 이들의 경우 커플링이나 원형고리 및 지지바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수 있었으나 커플링 이용법의 경우 상ㆍ하 철근이 많이 어긋나는 경우 결속에 어려움이 있으며 원형고리 이용법은 U자형의 보강철근내에 원형고리를 삽입하여 P.C벽체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벽체제작의 어려움 및 운반시 파손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지지바를 사용하는 경우는 결속이 번거로운점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목적을 갖는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은 보강철근의 빡빡히 삽입되는 삽입홀더와 일체로 된 장공홀이 천공된 플레이트 등으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이트를 각각 상하 구조용 철근에 결합하고 볼트 - 와샤 - 프레이트 - 프레이트 - 와샤 - 너트 순으로 고정하도록 하므로서 견고하고 간편하게 구조용 철근을 연결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따라서, 상ㆍ하 보강철근의 위치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효과적으로 이를 연결시켜 내진 기능유지가 가능하게 한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극히 용이할 뿐만아니라 재시공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본원은 현장에서 지지구ㆍ볼트ㆍ너트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간단히 설치할수 있으며 설치후는 이탈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규격을 다양하게 실시할수 있는 유용함도 함께 가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상태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철근(2)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홀더(11)는 일정부위에 다수개의 스쿠류볼트(112)가 삽설되는 스쿠류홀(111)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더(11)와 일체로되고 하단에 가로방향의 장공(121)이 천공된 평판의 연결플레이트(12)로 형성된 지지구(1)와, 상·하의 상기 보강철근(2)에 각각 상기 지지구(1)의 삽입홀더(11)가 삽입된후 각 스쿠류홀(111)에 스쿠류볼트(112)가 삽설되고 연결플레이트(12)의 장공(121)들이 마주치도록하고 상기 장공(121)에 와샤(15)를 끼운 볼트(13)가 관통되도록 삽설되고 너트(14)로 체결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중 스쿠류볼트(112)가 삽입되는 스쿠류홀(111)은 삽입홀더(11)의 중앙 4개소에 천공됨이 일반적이나, 하중에 따라 2개소나 2열로 8개소에 천공될수도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은 이른바 조립식 건축공법(P.C 공법)에 필연적으로 설치가 요망되는 보강철근을 각층별로 견고히 연결시켜주어 고층화 되어도 그 내구성 유지 및 강도가 우수한 건축물이 제공되게 한 것으로 상하 조립식 벽체(3)의 보강철근(2)이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대치될 때 각각의 보강철근(2)의 선단을 지지구(1)의 삽입홀더(11)에 끼우고 삽입홀더(1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스쿠류홀(111)에 스쿠류볼트(112)를 삽입 나착시키면 스쿠류볼트(112)의 첨단이 보강철근(2)에 파고들면서 보강철근(2)과 지지구(1)의 삽입홀더(11)를 견고히 결합시키게 되며, 상ㆍ하 보강철근(2)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구(1)는 서로 대향하여 장공(121)부위에서 볼트(13) 너트(14)에 의하여 견고히 결합되게되며, 특히 상기 구조에서는 상ㆍ하 보강철근(2)이 약간씩 어긋나도(조립사용시 보강철근의 한계오차는 2~3㎜이내임) 상ㆍ하 연결플레이트(12)의 사이에 와샤(15)나 천공된 플레이트를 끼우고 볼트(13) 너트(14)로 결합하므로서 공고히 결합시킬수 있으므로 자재오차를 자체 수용할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의 구조중 특히 보강철근(2)과 지지구(1)간의 하중의 경중에 따라 스쿠류홀(111)과 스쿠류볼트(112)수를 적절히 조절할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원은 종래의 결착방법에 비하여 현저한 경제성 및 내구성 향상을 기할수 있는 제반 특징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보강철근(2)의 삽입되는 원통형의 구조로서 일정부위에 다수개의 스쿠류볼트(112)가 삽입되는 스쿠류홀(111)이 천공된 삽입홀더(11)와 상기 삽입홀더(11)와 일체로 되고 하단에 가로방향의 장공(121)이 천공된 평판의 연결플레이트(12)로 형성된 지지구(1)와, 상ㆍ하의 상기 보강철근(2)에 각각 상기 지지구(1)의 삽입홀더(11)가 끼워지고 스쿠류볼트(112)로 나착되데 각 연결플레이트(12)의 장공(121)들이 마주치도록하고 상기 장공(121)에 와샤(15)를 끼운 볼트(13)가 관통되도록 삽섭되고 너트(14)로 체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2019930022277U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60003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277U KR960003306Y1 (ko)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277U KR960003306Y1 (ko)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75U KR950011775U (ko) 1995-05-16
KR960003306Y1 true KR960003306Y1 (ko) 1996-04-19

Family

ID=1936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277U KR960003306Y1 (ko)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3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75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6399B1 (en) Metal loadbearing structure having structural connections with no welding or drilling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960003306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60003307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60003305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100448443B1 (ko) 철근배근 및 단열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강재패널
KR960003308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70004437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반원봉강
JP3878662B2 (ja) 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960003310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JPH0680260B2 (ja) コンクリ−トブロツク組立壁板
KR960003309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70004436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각강
KR20010103324A (ko) 온실의 기초시공 시스템
KR960006898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수직결속근 연결장치
CN217974904U (zh) T型预制剪力墙的组装结构
KR970006704A (ko) 조립식 철근배근체를 이용한 내ㆍ외장재의 동시 시공구조
CN219653939U (zh) 一种预制剪力墙连接构件
JPH0514656Y2 (ko)
JP2004263556A (ja) せん断補強筋
JP2598154Y2 (ja) 仮設支柱
JP2875791B2 (ja) L形擁壁の構築方法
JP2784546B2 (ja) 支保工用の連結金具
KR20010103206A (ko) 철근정착장치
KR200237528Y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폼 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