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305Y1 -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305Y1
KR960003305Y1 KR2019930022276U KR930022276U KR960003305Y1 KR 960003305 Y1 KR960003305 Y1 KR 960003305Y1 KR 2019930022276 U KR2019930022276 U KR 2019930022276U KR 930022276 U KR930022276 U KR 930022276U KR 960003305 Y1 KR960003305 Y1 KR 960003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pitch
holder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774U (ko
Inventor
정환욱
문장수
음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건설
박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건설, 박정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건설
Priority to KR2019930022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305Y1/ko
Publication of KR950011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전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구 11 : 탭홀더
111 : 홀더피치의 내각 12 : 연결플레이트
121 : 장공 13 : 볼트
4 : 너트 15 : 와샤
2 : 보강철근 21 : 첨단수나사
211 : 수나사피치의 내각 3 : 벽체
본 고안은 조립식 벽체내에 매입되어 있는 보강철근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ㆍ하 조립식 벽체내에서 내진용(耐震用)으로 작용하는 보강철근간에 간편하고 견고한 연결을 도모하도록 하는 보조자재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조립식 공법으로 축조되는 고층건물의 경우 설계상 또는 사용상 자칫 상ㆍ하층의 보강철근이 서로 어긋나게 만나게 되어 보강철근의 연결이 힘들거나 어긋난 연결로 내진철근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는데 지장을 주어움을 해소코자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내진기능의 보강철근이 내설치되는데, 각 층마다 설치되는 보강철근의 연결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짐이 가장바람직하나 고층건물인 경우 자재차체의 오차와 시공오차등에 의하여 모든 층이 완전히 일직선을 이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오차하에서도 보강철근간을 긴밀히 연결시켜 주므로서 내진철근으로서의 충분한 기능과 아울러 조립식 벽체의 견고한 지지 확보를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보편적으로 보강철근의 연결을 다음과 같이 하였는데, 그 가장 일반적인 연결법은 용접에 의해 용착시켜 연결하는 것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것은 용접함에 따르는 시간의 과다 손실과 다수 용접인원의 소요 그리고 용접의 신뢰성 및 용접에 따른 열변형 등이 있으며, 작업시간의 단축을 기하여 서두르다보면 상ㆍ하 양철근이 정위치 용법보다는 엇갈려 용접되며 또한 충분히 용착시키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열변형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에 큰 헛점이 주어지는 것이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상ㆍ하 양철근을 결속선으로 묶어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상기의 용착방법보다도 그 기능유지 및 작업에 있어, 예컨데. 시간의 손실ㆍ강도저하등 더 큰 문제점을 야기하였으며, 그외에도 본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2-26536(92.12.26일 출원)호와 제 93-4124(93.3.19일 출원)호 및 93-18528(93.9.16일 출원)호 등이 있는데 이들의 경우 커플링이나 원형고리 및 지지바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수 있었으나 커플링 이용법의 경우 상ㆍ하 철근이 많이 어긋나는 경우 결속에 어려움이 있으며 원형고리 이용법은 U자형의 보강철근내에 원형고리를 삽입하여 P.C 벽체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벽체제작의 어려움 및 운반시 파손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지지바를 사용하는 경우는 결속이 번거로운점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목적을 갖는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은 보강철근의 끝단에 수나사의 탭을 형성하고 이에 나착 결합되는 암나사의 캡홀더와 장공홀이 천공된 플레이트 등으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이트를 각각 상하 구조용 철근에 결합하고 볼트 - 와샤 - 프레이트 - 프레이트 - 와샤 - 너트 순으로 고정하도록 하므로서 견고하고 간편하게 구조용 철근을 연결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따라서, 상ㆍ하 보강철근의 위치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효과적으로 이를 연결시켜 내진 기능유지가 가능하게 한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극히 용이할 뿐만아니라 재시공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본원은 현장에서 지지구ㆍ볼트ㆍ너트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간단히 설치할수 있으며 설치후는 이탈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규격을 다양하게 실시할수 있는 유용함도 함께 가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상태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철근(2)의 첨단 수나사(21)가 나착 결합되도록 일정직경과 피치를 가지는 암나사가 내설된 원통형의 탭홀더(11)와 상기 탭홀더(11)의 외주에 일체로 접합되고 하단에 가로방향의 장공(121)이 천공된 평판의 연결 플레이트(12)로 형성된 지지구(1)와, 상ㆍ하의 상기 첨단수나사(21)에 각각 상기 지지구(1)가 나착되게 각 연결플레이트(12)의 장공(121)들이 마주치도록하고 상기 장공(121)에 와샤(15)를 끼운 볼트(13)가 관통되도록 삽설되고 너트(14)로 체결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중 첨단수나사(21)와 이에 나착되는 탭홀더(11)는 일반적인 모든 나사구조를 가질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는 이들 피치의 내각(111)(211)이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은 이른바 조립식 건축공법(P.C 공법)에 필연적으로 설치가 요망되는 보강철근을 각층별로 견고히 연결시켜주어 고층화 되어도 그 내구성 유지 및 강도가 우수한 건축물이 제공되게 한 것으로 상ㆍ하 조립식 벽체(3)의 보강철근(2)이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대치될 때 각각의 보강철근(2)의 선단을 첨단수나사(21)로 형성시키고 이에다가 지지구(1)를 나착시키고 상,하 지지구(1)의 장공(121)부위에서 볼트(13)를 체결하여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지지구(1)간에는 볼트(13)와 너트(14)의 조임력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고 보강철근(2)과 지지구(1)간에는 탭과 스쿠류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지지를 하게되며, 특히 상기 구조에서는 상ㆍ하 보강철근(2)이 약간씩 어긋나도(조립사용시 보강철근의 한계오차는 2~3㎜이내임) 상ㆍ하 연결플레이트(12)의 사이에 와샤(15)나 천공된 플레이트를 끼우고 볼트(13) 너트(14)로 결합하므로서 공고히 결합시킬수 있으므로 자재오차를 자체 수용할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의 구조중 특히 보강철근(2)과 지지구(1)간의 큰 하중에서도 지지가 되도록 첨단수나사(21)와 탭홀더(11)의 피치 내각(111)(211)이 직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은 종래의 결착방법에 비하여 현저한 경제성 및 내구성 향상을 기할수 있는 제반 특징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보강철근(2)의 첨단 수나사(21)가 나착 결합되도록 일정직경과 피치를 가지는 암나사가 내설된 원통형의 탭홀더(11)와 상기 탭홀더(11)의 외주에 일체로 접합되고 하단에 가로방향의 장공(121)이 천공된 평판의 연결플레이트(12)로 형성된 지지구(1)와, 상ㆍ하의 상기 첨단수나사(21)에 각각 상기 지지구(1)가 나착된데 각 연결플레이트(12)의 장공(121)들이 마주치도록하고 상기 장공(121)에 와샤(15)를 끼운 볼트(13)가 관통되도록 삽설되고 너트(14)로 체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첨단수나사(21)와 이에 나착되는 탭홀더(11)가 피치의 내각(111)(211)이 직각이 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2019930022276U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60003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276U KR960003305Y1 (ko)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276U KR960003305Y1 (ko)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74U KR950011774U (ko) 1995-05-16
KR960003305Y1 true KR960003305Y1 (ko) 1996-04-19

Family

ID=1936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276U KR960003305Y1 (ko) 1993-10-28 1993-10-28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3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774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513A1 (en) Joint fitting between members and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upper and lower floor vertical frame members
KR960003305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JP4033340B2 (ja) 鉄骨柱と基礎コンクリートの主鉄筋との仲介連結部材
JPH10245856A (ja) 鋼管杭用鉄筋接続具
KR960003306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JP4081602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接合部構造
KR960003308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70004437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반원봉강
KR960003310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60003307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KR970004436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각강
JPH1129979A (ja) 柱・梁接合部における梁主筋の定着構造
JP404356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CN219118847U (zh) 一种预制混凝土空心楼板加固结构
CN218091268U (zh) 一种钢筋混凝土预制柱连接构造及其钢筋连接结构
KR960006898Y1 (ko) 조립식 구조물에서 수직결속근 연결장치
KR960003309Y1 (ko) 조립식 벽체의 보강철근 연결구
CN221095400U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的连接结构
CN213653774U (zh) 一种混凝土结构与型钢的连接节点
JP2004346614A (ja) 鉄骨柱又は鋼管柱と梁鉄筋との接合構造
JPH0139284Y2 (ko)
JP2536346B2 (ja) 鋼管コンクリ―ト柱の接合構造
JPH07173884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具
JPH0692673B2 (ja) 閉鎖形断面柱と梁主筋との接合構造
JP413620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柱と鉄骨造梁と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