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220Y1 -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220Y1
KR960003220Y1 KR2019930001802U KR930001802U KR960003220Y1 KR 960003220 Y1 KR960003220 Y1 KR 960003220Y1 KR 2019930001802 U KR2019930001802 U KR 2019930001802U KR 930001802 U KR930001802 U KR 930001802U KR 960003220 Y1 KR960003220 Y1 KR 960003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atch door
car
locking devic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675U (ko
Inventor
유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주현 · 박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주현 · 박규직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1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220Y1/ko
Publication of KR940020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4Door or gate operation of swing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제1도는 해치도어가 록킹되었을 때의 본 고안에 따른 해치 도어 록킹장치의 측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해치 도어 록킹장치의 정면도.
제3a 내지 제3c도는 본 고안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및 ,
제4도는 본 고안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에 적용되는 리타이어링 캠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 2 : 해치 도어
3 : 도어 프레임 4 : 케이스 부재
10 : 리타이어링 캠 부재 11, 11' : 스프링
12, 12' : 솔레노이드부 13, 13': 로드
14, 15 : 아암 17 : 캠
18 : 롤러 19 : 레버
20 : 록킹부 21 : 판형부재
22 : 상부측 23 : 스프링
24 : 마이크로 스위치 26 : 훅
27 : 작동편 28 : 제1캠
29 : 제2캠 30 : 하부축
32 : 컨넥터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가 힌지식 스윙도어(여닫이)인 해치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즉 엘리베이터카 (이하 "카"라고 칭함)가 탑승자가 목적하고자 하는 층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치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열리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실족사고와 같은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 도어와 해치 도어 사이에는 인터 록킹 장치가 제공된다.
카 도어와 해치 도어가 슬라이딩(미닫이) 형태인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입구 상측 중앙의 카 도어와 해치 도어 사이에 클러치와 같은 인터 록킹 장치가 설치되어 카가 제층에 도달하면, 카 도어와 해치 도어가 거의 동시에 열리고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치 도어와 카 도어가 슬라이딩 형태인 경우에는 해치 도어와 카도어의 개폐운동이 동일 방향이기 때문에 클러치와 같은 인터 록킹 장치에 의해서 해치 도어와 카 도어가 동시에 록킹될 수 있었다.
그러나, 해치 도어가 힌지식 스윙도어인 형태이며, 카 도어가 슬라이딩형태인 경우 카가 제층에 도달하면, 카 도어는 도어 오퍼레이터의 작동으로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지만, 해치 도어는 사용자가 직접 열고 카에 타거나 내려야만 한다.
이때, 카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하는 층에 있지 않고 다른 층에 있거나 또는 이동중에 있을때, 해치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열리게 될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므로, 카가 제층에 있지 않을 때에는 해치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열려지지 않고 항상 록킹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가 힌지식 스윙도어 일때, 카가 제층에 도달할때에만 사용자에 의해 해치 도어가 열려질 수 있게 하는 해치 도어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해치도어의 록킹장치는,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전후진 운동을 하며, 카에 설치되는 리타이어링 캠부재와, 프레임싱에 설치된 케이스 부재의 한쪽 측벽으로부터 다른쪽측벽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측과, 상기 리타이어링 캠 부재의 전후진 운동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도록 한쪽 단부가 상기 상부측의 자유 단부에 고정연결되며, 롤러가 다른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부에 위치되며, 카 구동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편을 가지며, 상기 레버의 선회운동에 따라 선회되도록 상기 상부측에 고정설치되는 훅과, 상기 훅의 작동편을 누르기 위하여 상기 작동편과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부벽 사이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 상부축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스 부재의 양쪽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축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훅을 결수 있는 부리부분을 가지는 제1캠과 , 상기 제 1캠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축에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가지는 제2캠과, 해치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캠의 상기 홈과 결합되는 걸림편을 가지는 컨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해치 도어의 록킹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장치는 크게 리타이어링 캠부재, 록킹부 및 도어부의 세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리타이어링 캠부재(10)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콘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때는 전원이 인가되어 로드(13)를 잡아당기는 솔레노이드부(12), 카(1)가 제층에 도달하여 솔레노이드부(12)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었을때 로드(13)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11), 솔레노이드부(12)와 스프링(11)의 작동을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캠(17)에 전달하는 아암(14, 15)들, 및 아암(14, 15)들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운동을 하는 캠(17)으로 구성된다.
카(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 때, 즉 솔레노이드부(12)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로드(13)는 솔레노이드부(12)의 작동으로 잡아당겨지고, 연결점(16)에 의해 로드(13)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14, 15)들이 후퇴되어 아암(14, 15)들에 연결되어 있는 캠(17)이 후퇴된다. 카(1)가 제층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부(12)로의 전원이 차단되고, 스프링(11)은 로드(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잡아당겨서, 로드(13)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14, 15)들의 작동으로 캠(17)은 전진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록킹부(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려 한다.
록킹부(20)는 도어 프레임(3)에 장착되는 케이스부재(4), 케이스부재(3)의 한 측벽(4a)으로부터 다른쪽 측벽(4b)을 관통 연장하며, 케이스부재(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측(22), 상부측(22)의 바깥쪽단부에 고정되는 레버(19), 및 케이스 부재(4)의 측벽 (4a, 4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측(30)을 포함한다.
상부측(22)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19)는 단부에 고무재로 만들어진 롤러(18)를 가지며, 훅(26)이 또한 상부축(22)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훅(26)은 카(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때 하부축(30)에 고정설치된 제1캠(28)의 부리부분(28a)과 결합되며, 케이스부재(4)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24)를 작동하는 작동편(27)을 가진다. 작동편(27)의 상부에는 작동편(27)을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24)를 작동하기 위한 스프링(23)이 위치된다.
하부축(30)에는 또한 제2캠 (29)이 제1 캠(28)과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며, 제2 캠(29)은 제 1캠 (28)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게 되고, 제1캠(28)이 훅(26)과 결합되어 있을때, 즉 카 (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때, 수직방향으로 아랫쪽을 향하도록 형성된 홈(29a)을 가진다.
해치 도어(2)에는 컨넥터(32)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컨넥터(32)가 해치 도어(2)에 설치되는 위치는 도어(2)의 상부측 힌지에 가깝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넥터(32)의 자유단에는 카(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 때 제2 캠(29)의 홈(29a)과 결합하는 걸림편(32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2a)이 평면 형상이고, 걸림편(32a)과 맞닿는 홈(29a)의 앞면(29b)또한 평면이어서, 걸림편(32a)과 홈(29a)이 결합되었을 때 걸림편(32a)이 홈(29a)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서 해치 도어(2)는 외부로 부터의 열림이 방지된다.
제3a 내지 3c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카(1)가 제층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부(12)로의 전원차단으로 스프링(11)에 의해 캠(17)이 전진하게 되고, 캠(17)은 레버(19)의 단부에 위치된 롤러(18)를 밀게되어 레버(1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또한 롤러(18)는 소음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로 만들어져서, 캠(17)과의 접촉시 약간의 롤링이 발생되어 롤러(18)의 외주면 전체가 캠(17)과 고르게 접촉하기 때문에 롤러(18)의 마모가 적개된다.
레버(19)가 상부측(22)의 바깥쪽 자유단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9)의 회전에 의해 상부측 (22)이 회전되고, 케이스부재(4)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축(22)에 고정설치된 훅 (26)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훅(26)의 뒷쪽에는 작동편(27)이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작동편(27)은 약간 야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장한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부는 스프링(23)과 맞닿는 제1부분(27a)과 마이크로 스위치(24)와 접촉하는 제2부분(27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한 바와 같이, 작동편(27)의 경사부 윗쪽에는 스프링(23)이 위치되어 있으며, 아래쪽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접점부가 위치되어 있다.
레버(19)의 작동으로 훅(2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편(27)의 제1 부분 (27a)은 스프링(23)을 누르고, 제2 부분(27b) 아래쪽면에 의해 눌려져 있던 마이크로 스위치(24)의 접점이 떨어져 마이크로 스위치(24)에 대한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카(1)의 구동전원이 차단된다.
카(1)가 제층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부(12)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부(12)의 자기력에 의해 후퇴되어 있던 캠(17)은 스프링(11)의 힘에 위해 전진하게 되고, 캠(17)은 레버(19)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던 롤러(18)를 밀게 된다. 따라서 레버(19)는 상부축(22)을 중심으로 캠(17)의 전진량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레버(19)가 상부축(22)에 또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축(22)도 회전하게 되어, 상부축(22)에 또한 설치되어 있는 훅(26)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훅(2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캠(28)과 훅(26)의 결합이 분리됨과 동시에 작동편(27)의 제2부분(27b)에 의한 마이크로 스위치(24)의 누름(접속)이 해제되어 카(1)를 운행하기 위한 전원이 차단된다.
훅(26)과 제1 캠(28)의 분리로 제1 캠(28)과 함께 하부축(30)에 나란히 고정 설치된 제 2 캠(29)은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통상 제 2캠 (29)의 형상으로 인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캠(29)의 홈(29a)과 결합되어 있는 걸림편(32a)이 홈(29a)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3b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해치 도어(2)를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의 출입이 완료되면, 해치 도어(2)는 일반적인 도어 체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제3c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닫혀지게 된다. 해치 도어(2)가 닫혀지면, 해치 도어(2)에 연결된 컨넥터(32)의 걸림편(32a)이 홈(29a)의 뒷면(29c)을 치게 된다. 따라서 제2 캠(29)과 제1 캠(28)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 제 1 캠(28)과 훅(26)이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재가동을 위해 메인콘트롤러로 부터 솔레노이드부(12)로 전원이 인가되면, 캠(17)이 후퇴되고, 훅(26)은 작동편(27)의 제1부분(27a)을 누르는 스프링(23)에 의해 제1 캠(28)과 결합됨과 동시에 제2 부분(27b)이 마이크로 스위치(24)를 작동하여서 카(1)는 다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해치 도어(2)가 닫히고 캠(17)이 후퇴되지 않았을 때, 해치 도어(2)가 사용자 또는 제3자에 의하여 다시 열리는 경우에 카 도어(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계속 닫혀있는 상태이므로, 탑승자가 탑승을 위해서는 버튼을 다시 누르고 탑승하기 전까지 솔레노이드부(12)에 전원은 차단되고, 탑승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부(12)에 전원이 인가되어, 카(1)는 다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캠(28)과 제2 캠(29)을 다시 설명하면, 이것들은 하부축(30)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며, 제1 캠(28)의 부리부분(28a)과 제2 캠(29)의 홈(29a)은 거의 90°의 각을 이룬다. 제1 캠(28)과 훅(26)이 결합되어 있을 때, 즉 카(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때, 부리부분(28a)은 중심선과 거의 일치하여 유지되고, 홈(29a)은 중심선 아래에서 거의 수직으로 유지된다. 해치 도어(2)가 열린 상태, 즉 제1 캠(28)과, 훅(26)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캠(28)과 홈(29a)은 시계방향으로 약 45°회전된 위치에 놓여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캠(29)은 제1도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 부분이 좌측 부분보다 중량이 무거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도를 다시 참조하여, 레버(19)에 연결되어 있는 판형부재(21)는 엘리베이터를 점검 또는 수리할 때 수동으로 해치 도어(2)를 여는데 사용된다.
점검 또는 수리를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차단하면, 이때 캠(17)이 전진한 상태에서, 판형부재(21)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전기된 바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여 록킹장치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타이어링 캠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카(1)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부(12')는 로드(13')를 통하여 캠(17)과 연결된다. 카(1)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때에는 솔레노이드부(12')에 전원이 인가되어, 캠(17)이 후퇴되도록 로드(13')가 당겨지고, 카(1)가 제층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부(12')로의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로드(13')둘레에 배치된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킴(17)이 전진하게 되어, 전기된 바와 같은 록킹장치의 해제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해치 도어의 록킹장치는 카가 운행중이거나 또는 제층이 아닐 때, 힌지식 스윙도어 형태의 해치 도어가 사용자에 의하여 열려지지않기 때문에, 운행중 해치 도어가 열리는 것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해치 도어가 힌지식 스윙 도어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부(12)에 의해 전후진 운동을 하며, 카(1)에 설치되는 리타이어링캠 부재(10)와 ; 도어 프레임(3)상에 설치된 케이스부재(4)의 한쪽측벽(4a)으로부터 다른쪽 측벽(4b)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케이스 부재(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축(22)과 ; 상기 리타이어링 캠부재(10)의 전후진 운동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도록 한쪽 단부가 상기 상부축(22)의 자유 단부에 고정 연결되며, 롤러(18)가 다른쪽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19)와 ; 상기 케이스 부재(4) 내부에 위치하며, 카(1)구동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24)와 ;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24)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편(27)을 가지며, 상기 레버(19)의 선회운동에 따라 선회되도록 상기 상부축(22)에 고정 설치되는 훅(26)과 ; 상기 훅(26)의 작동편(27)을 누르기 위하여 상기 작동편(27)과 상기 케이스 부재(4)의 상부벽 사이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23)과, 상기 상부축(22)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스 부재(4)의 양쪽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축(3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훅(26)을 걸 수 있는 부리부분(28a)을 가지는 제1 캠(28)과 ; 상기 제 1 캠(28)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축(30)에 고정설치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홈(29a)을 가지는 제2 캠 (29)과 ; 해치 도어(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캠(29)의 홈(29a)과 결합되는 걸림편(32a)을 가지는 컨넥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이어링 캠부재(10)는 전원이 인가되었을때 로드(13)를 잡아당기는 솔레노이드부(12), 전원이 차단되었을때 상기 로드(13)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한쪽 단부가 상기 로드(13)에 연결된 스프링(11). 상기 솔레노이드부(12)와 상기 스프링(11)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아암(14, 15)들, 및 상기 아암(14, 15)들의 운동으로 전후진하는 캠(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이어링 캠 부재(10)는 전원이 인가되었을때 캠 (17)에 연결된 로드(13')를 잡아당기는 솔레노이드부(12')와, 전원이 차단되었을때 상기 캠(17)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드(13') 외부에 배치된 스프링(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8)가 고무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의 부리부분과 상기 제2 캠의 홈이 9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KR2019930001802U 1993-02-11 1993-02-11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KR960003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802U KR960003220Y1 (ko) 1993-02-11 1993-02-11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802U KR960003220Y1 (ko) 1993-02-11 1993-02-11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675U KR940020675U (ko) 1994-09-17
KR960003220Y1 true KR960003220Y1 (ko) 1996-04-17

Family

ID=1935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802U KR960003220Y1 (ko) 1993-02-11 1993-02-11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2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675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1349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5876087A (en) Motor-vehicle sliding-door system
JPH082351Y2 (ja) 自動車用リッドの自動ロック装置
US5588258A (en) Power operator for pivotable vehicle closure element
US5829198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H0747585Y2 (ja) 自動ドア開扉装置
US6826869B2 (en) Powered sliding panel with secondary articulation for a motor vehicle
GB2374381A (en)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ed closure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KR960003220Y1 (ko) 엘리베이터의 해치 도어 록킹장치
JPH11200698A (ja) 扉開閉装置
KR101450814B1 (ko)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JP2002089109A (ja) 引き戸のロック装置
JP3799206B2 (ja) 車両用ロックのオープン及びクローズ装置
JPH0611341Y2 (ja) 扉開閉機構
JPH0420073B2 (ko)
JPH02233493A (ja) エレベータドアの解錠装置
JP2502689B2 (ja) エレベ―タ乗り場のドアの構造
JP3783997B2 (ja) 車両用ロックのオープン及びクローズ装置
JPH077505Y2 (ja) 電動スライドドアの強制開装置
JPH024744B2 (ko)
JPH0423716B2 (ko)
KR0133980Y1 (ko)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622001B2 (ja) エレベータ
JP2803122B2 (ja) ドア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