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965B1 -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965B1
KR960002965B1 KR1019910016578A KR910016578A KR960002965B1 KR 960002965 B1 KR960002965 B1 KR 960002965B1 KR 1019910016578 A KR1019910016578 A KR 1019910016578A KR 910016578 A KR910016578 A KR 910016578A KR 960002965 B1 KR960002965 B1 KR 96000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oxide
olefin
weight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093A (ko
Inventor
홍대환
장석기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재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1001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965B1/ko
Publication of KR93000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유동성 및 탄성적 성질을 가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교구조를 가지면서 유동특성이 우수하고, 영구신율성질, 압출영구왜곡성질, 내열성 및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수지(PP)는 탄성 및 내충격성 등이 좋지 않지 못하기 때문에 고무성분을 용융혼합하여 이의 성질을 높일 수 있다. PP수지의 탄성 및 내충격성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고무성분을 용융 혼합시키면 유동성, 내면성 및 기계적 성질 저하되며, 특히 사출성형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반면에 앞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성분을 비교적 적게 하면 탄성 및 내충격성이 떨어지게 되어 유용하게 사용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고무성분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삼원공중합체(EPDM ), 폴리이소부틸렌(PIB),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SIS),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SBS) 및 수소화 공정을 거친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SEBS)과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SEPS)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PP 수지의 탄성 및 내충격성을 비롯한 기타의 기계적 성질을 높이기 위한 EPDM 고무성분이 혼합이 있어서 효율적인 물성 증진을 위해 퍼옥사이드와 같은 가교제를 이용한 열처리 과정에서 분자구조가 딱딱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을 가지고 있는 IPNS 형태인 SEBS 나 SBS 등과 같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도입함으로써 가교반응 단계에서의 전단력 효과 등을 상승시켜 효과적인 가교반응을 유도하며, 용융상태에서 유동성을 갖는 스티렌 블록에 의하여 성형 가공성이 대폭 향상된 열가고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247,645호에서 제시한 방법은 미리 가교된 EPDM 고무를 유동성이 양호한 PP 수지에 희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어느 정도의 유동성 및 기계적 성질을 높일 수 있으나 가교밀도를 충분히 올릴 수 없어 탄성 및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며, 가교 공정 및 희석 공정에 따른 설비문제 및 생산가격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희석 공정에서 혼련성이 극히 우수한 설비가 요구되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본 특개소 48-26835호에서는 PP 수지와 EPDM 고무를 미리 온전히 용융혼련한 후, 퍼옥사이드를 사용한 열처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의 PP 수지 함량이 비교적 적을 경우에는 저유동 물질이 얻어지고, PP 수지 함량이 많을 경우에는 퍼옥사이드에 의한 과다한 PP 분해반응으로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고, 사출 및 압출성형성이 나쁜 점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11,528호에서는 페놀 가교제를 이용하여 EDPM 고무를 완전 가교반응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퍼옥사이드 가교제를 사용한 가교반응에 비해서 가교반응시 우수한 전단력 효과로 인해서 양호한 가교도 및 가교고무입자가 형성됨에 따라 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나, 가교반응시간이 증가하는 가교 공정상의 문제점 및 가교제가 고가인 까닭으로 최종생성물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212,787호에서는 EPDM/PP 조성물에서 퍼옥사이드에 의한 가교반응 단계에서의 전단력 효과를 보다 높게 부여하기 위해 비가교고무 성분인 폴리이소부틸렌(PIB), 부틸 고무(BR)를 일정량 혼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어느 정도의 균일한 EPDM 가교밀도는 보이나, 최종 생성물의 가교밀도가 충분하지 않아 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EPDM/PP 조성물에서 퍼옥사이드를 사용한 가교반응시 분자구조가 INPS 형태인 스티렌계 탄성체를 혼합하여 전단력하에서 열처리하여 주면,
1) EPDM-EPDM의 공유결합에 의한 가교구조 중 일부가 비가교형 INP′S 형태의 가교구조로 대체됨에 따른 유동성 증진.
2) 전단력 향상에 따른 탄성 및 기계적 성질의 대폭적인 증가
3) 제조공정이 단순화 및 안정화에 의한 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EPDM 가교시스템에 포함되는 스티렌계 탄성체 수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IPNS 형태의 가교결합(Physical crosslinking)효과, 스티렌 도메인(domain)의 보강효과 및 고무상의 탄성효과로 인하여 보다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은 올레핀계 탄성체 시스템에 스티렌 탄성체를 도입함으로서 스티렌계 탄성체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압축 영구왜곡성, 히트에징(heat aging) 특성 및 히트새깅(heat sagging) 특성저하, 공정 영역이 좁음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기존이 희석에 의해 유동성을 조절하던 것을 가교반응 과정 단계에서 일어나는 PP 분해반응을 조절하여 목적하는 유동성을 얻을 수 있으며, EPDM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도 스티렌계 탄성체를 혼합할 경우에는 PP 수지와 함께 열처리 단계에서 유동성 및 혼련상태가 매우 우수하며 제반물성의 균형이 양호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처리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불균일한 가교 조성물은 가교되지 않은 스티렌계 탄성체 성분들의 유동 역할로 인하여 혼련 과정에서 다시 균일하게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혼련압출장치는 밴버리 니더, 트윈스크류 익스트루더(Twin screw extruder), 부스 니더(Buss Kneader) 등과 같이 혼련 효과가 비교적 우수한 설비가 가능하지만 연속적인 제조 방법이 최종 제품에 적용하는 요인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배치(Batch)형 혼련 장치보다는 연속압출설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즉, 본 발명은 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기 위해 EPDM/PP/스티렌계 탄성체로 구성된 조성물을 퍼옥사이드를 사용하여 혼련효과가 비교적 좋은 연속압출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매우 균일한 가교고무입자를 형성시켜, 제반 물성이 우수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A)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40-90중량부
B) 스티렌계 탄성체 10-60중량부
C) 상기 (A),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 50중량부 이하
D) 상기 (A),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프로세스오일로서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100중량부 이하
E) 상기 (A),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0.05-5중량부
F) 상기 (A),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조제 5중량부 이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성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이소텍틱 또는 신디오텍틱 폴리프로필렌, 결정성 프로필렌호모 폴리머, 프로필렌과 α- 올레핀 모노머와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 제조된 결정성 폴리올레핀수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로 변성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로서 α- 올레핀 모노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이 사용되어진다.
사용가능한 PP 수지의 용융지수는 230℃, 2160g 조건하에서 측정한 값으로 0.1에서 40정도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5-20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이 좋다. 이보다 유동성이 높으면 제품중 부분 가교되어진 마이크로 겔탄성체의 바람직한 균일성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로서는 무정형으로서 2종 또는 그 이상의 모노올레핀을 공중합시킨 랜덤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공중합된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3원 공중합체 고무가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불포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디시클로펜타디엔, 14-헥사디엔, 메틸렌노보낸, 메틸리덴노보넨, 시클로헥사디엔과 그 유도체가 삼원 공중합체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에틸리덴 노르보덴 공중합체가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가교결합체로서 유기 퍼옥사이드의 예를 보면,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도, 2,5-디메틸 2,5-디(t-부틸퍼옥실)헥산, 2,5-디메틸-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3, 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실), 발리레이트, 벤졸 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졸 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퍼벤조에이트 라우릴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취급상 안전하게 제조되어진 미네랄 충진제에 분산된 분말 형태의 퍼옥사이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냄새 및 스코치 안정성(Scorch stablilty) 측면에서는 1,3-비스(t-부틸 퍼옥실 이소프로필) 벤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최종제품의 가교정도 및 유동성에 따라 함량이 조절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효과적인 첨가량은 0.05-2부까지 사용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퍼옥사이드와 함께 가교효율을 상승시키며 열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교조제로서 불포화 단량체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데 가교반응시 PP 수지의 과도한 분해 반응방지 및 생성된 라디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디비닐 벤젠,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에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 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트리알리시아누레이트가 효과적이며 탄화수소 용매에 녹여서 사용할 수 있으며 퍼옥사이드와 같이 미네랄 충진제에 분산시킨 분말 형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불포화 단량체들은 퍼옥사이드에 의해서 주로 활성화 되기 때문에 가소제 커프링제 등과 같이 기능기(Functional group)를 포함하며 상용성이 있는 액체를 사용하면 분산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을 목적으로 하는 가소제로서는 프탈레이트 계통의 DOP 등이 좋으며, 커플링제로서는 실란 계통의β-(3,4-에폭시 시클로헥실) 에틸 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메타클릴옥실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등이 목적에 따라 수분제거 및 분산 목적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사용한 스티렌계 탄성체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와 중합된 공유 디엔을 포함한 A-B-A 및 A-B 형의 블록 공중합체 탄성체이다. 여기서, A성분의 예로서는 스틸렌, α -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자일렌, 에틸 비닐자일렌, 비닐나프탈렌과 그 유도체 등으로 구성된 열가소성 호모폴리머 또는 열가소성 코폴리어이며, B성분의 예로서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 부타디엔, 이소프린, 1, 3-펜타디엔과 그 유도체이다.
현재 상품화된 수소화된 스티렌계 탄성체로서는 쉘 화학(Shell chemical company)의 Kraray D-series(SBS, SIS), Kration G-series(SEBS) 및 구라레이 (Kuraray company)의 SEP-1000, SEPS-2000 series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기계적 성질 및 탄성적 성질을 고려해 볼 때 Kraton G-series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들이 약 170-280℃로 가열된 단축 또는 쌍축 압출기, 부스 니더(Buss Kneader) 등의 높은 전단응력하에서 훈련, 열처리되면 원하는 물성 및 균일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00-250℃ 이내에서 체류시간을 고려하여 완전히 일으킬 수 있도록 온도조절을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일반 고분자 가공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열안정제, 칼라런트(Colorant), 무기 충진재등의 일반 첨가제들을 퍼옥사이드의 열분해와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고무 가공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정제, 가소제 등이 적절하게 배합되어져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앞서 시편 준비 방법 및 시험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1) 200℃에서 압축성형으로 ASTM 규격에 맞는 물성 측정용 시편을 준비하였다.
2) 물성시험 항목으로서는 인장강도, 신율, 쇼(Shore)경도, 영구신율, 유동성 등을 ASTM 규격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3) 최종 생성물에 대한 가공성 평가를 위하여 용융상태에서 신율 및 강도(Melt elongation) 성질을 다음의 기준에서 평가하였고, 평가방법은 용융압출(200℃) 상태에서 관능적인 방법을 행하였다.
(가공성) (용융신장 및 강도)
1 불 량
2 다소양호
3 양 호
4 우 수
[실시예 1]
에틸렌 프로필렌의 비율이 70/30인 에틸렌 프로필렌 에틸리덴노보넨이 6% 공중합된 EPDM (ML 1+4 125℃ = 50) 53.5중량부, 스티렌계 탄성체인 SEBS(kraton G-1650) 10중량부, 결정성 PP 수지(230℃, 2160g에서의 MI : 2.09/10min) 36.5중량부,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점도 SUS/100℉ = 2907) 50중량부, 60% CaCO에 희석된 Perkadox 14-40B 1.25중량부 및 50% 실리카(Silica)에 희석된 Perkalink 301-10 D 0.6중량부를 200-220℃로 미리 가열된 밴버리 니더(banbury kneder)를 사용하여 열처리 과정을 거쳐 생성물을 얻은 후 200℃에서 압축성형하여 ASTM 규정에 의하여 물성측정을 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EPDM/SEBS 조성비를 각각 43.5/20.0, 33.5/30.0중량비로 하였고, PP 36.5중량부 프로세스오일 50중량부, Perkadox 14-40B 1.25중량부 및 Perkalink 301-50D 0.6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6]
EPDM/SEBS 조성비를 각각 53.5/10.0, 43.5/20.0 33.5/30.0중량비로 하였고, PP 36.5중량부, 프로세스오일 50중량부, Perkadox 14-40B 2.5중량부 및 Perkalink 301-50D 1.2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EPDM 58.5 중량부, SEBS 10중량부, PP 31.5중량부 프로세스오일 50중량부, Perkadox 14-40B 및 Perkalink 301-50D 1.2중량부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EPDM 38.5 중량부, SEBS 30중량부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EPDM 63.5 중량부, SEBS 10중량부, PP 26.5중량부 프로세스오일 50중량부, Perkadox 14-40B 2.5중량부 및 Perkalink 301-50B 1.2중량부를 한 것을 제외하고는 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EPDM 43.5중량부, SEBS 30중량부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
퍼옥사이드 Perkadox 14-40B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EPDM/PP 조성비를 63.5/36.5 68.5/31.5, 73.5/26.5로 하였고, 퍼옥사이드를 제외한 조성으로 하였으며, 기타 성분의 구성비 및 제조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6]
실시예 4-6에서 퍼옥사이드인 Perkadox 14-40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퍼옥사이드를 제외한 조성으로 하였고, 제조공정은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9]
실시예 4-10에서 SEBS(Kraton G-1650)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SEB를 제외한 조성으로 하였고, 제조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14]
① 1단계 제조공정(가교반응 공정)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하였으며, EPDM/PP 조성비를 40.0/0, 40.0/5.0, 40.0/10.0 및 40.0/15.0으로 하였고 SEBS 23.5중량부와 기타 성분인 프로세스 오일, Perkadox 14-40B 및 Perkalink 301-50는 100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50중량부, 2.5 중량부 및 1.2중량부로 하였다.
② 2단계 제조공정(희석공정)
1단계 제조공정에서 생성된 펠렛(pellet)과 PP의 조성비틀 63.5/36.5 68.5/31.5, 73.5/26.5 및 78.5/21.5로 하며, 헨셀믹서에서 30초 동안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들의 건조 혼합물을 200-220℃로 실린더 온도가 조정된 코-니더 (Buss MDK-E-46)를 사용하여 용융혼합시키면서 200℃에서 압축성형하여 시편을 얻은 후 ASTM 규정에 의하여 물성측정을 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EDPM/PP 조성비를 53.5/10.0, SEBS 10중량부, 기타 성분의 구성비 및 제조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 하게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18]
EDPM/PP 조성비를 46.5/0, 46.5/5.0 및 46.5/10.0, SEBS 27중량부, 기타 성분의 구성비 및 제조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20]
EDPM/PP 조성비를 46.5/5.0, 46.5/10.0, SEBS 15중량부, 기타 성분의 구성비 및 제조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12]
실시예 12-14에서 SEBS(Karton G-1650)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1단계 제조 공정에서 SEBS를 제외하였으며, 제공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14]
실시예 17-20에서 SEBS (Karton G-1650)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1단계 제조 공정에서 SEBS를 제외하였으며, 제공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2]
[표 3]
[표 4]

Claims (7)

  1. (A) 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40-90중량부, (B) 스티렌계 탄성체 10-60중량부, (C) 상기 성분 (A)(B) 100중량부에 대하여,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 이하, (D) 상기 성분 (A)(B) 100중량부에 대하여, 파라핀계 미네랄오일 100중량부 이하, (E) 상기 성분 (A)(B) 100중량부에 대하여,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0.05-5중량부, (F) 상기 성분 (A)(B)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조제 5중량부 이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3원 공중합체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탄성체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A) 와 중합된 공유디엔(B) 이 A-B-A나 A-B형의 블록 공중합체 탄성체로서 A 성분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자일렌, 에틸비닐자일렌, 비닐 나프탈렌으로 열가소성 호모 폴리머나 열가소성 코폴리머이고 B성분은 1,3-부타디엔 2, 3-디메틸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탄성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는 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결정성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프로필렌과 α-올레핀 모노머와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 제조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α-올레핀 모노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디-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실)-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 3,1,3-비스(t-부틸 퍼옥실 이소프로필)벤젠,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실)발리레이트, 벤졸퍼옥사이드, P-클로로 벤졸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퍼벤조에이트 라우릴 퍼옥사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가교조제는 디비닐벤젠,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레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KR1019910016578A 1991-09-20 1991-09-20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KR96000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578A KR960002965B1 (ko) 1991-09-20 1991-09-20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578A KR960002965B1 (ko) 1991-09-20 1991-09-20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093A KR930006093A (ko) 1993-04-20
KR960002965B1 true KR960002965B1 (ko) 1996-03-02

Family

ID=1932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578A KR960002965B1 (ko) 1991-09-20 1991-09-20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868B1 (ko) * 2002-05-30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093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7431A (en)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KR900004932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4375817B2 (ja) 架橋性組成物
EP0132931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252648B2 (ko)
US5523356A (en) Vulcanized polyolefinic plastoelastomer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2006526694A (ja) ゴム及びポリオレフィンの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混合物を調製するための共試薬
CS198202B2 (en) Thermoplastic elastomere mixture
KR940003261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US674386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JPH0233062B2 (ja) Netsukasoseierasutomaasoseibutsunoseizoho
KR960002965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JP3750769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960002966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수지 조성물
JP4636707B2 (ja) 軟化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9645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S59221346A (ja) 表面光沢の優れ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691172B2 (ja) 耐侯性に優れ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58285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製シートの製造方法
KR0154908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조성물
JP279830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0072933A (ja) 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4948696B2 (ja) 熱可塑性ゴム組成物
KR890003005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565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