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920B1 -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920B1
KR960002920B1 KR1019930018579A KR930018579A KR960002920B1 KR 960002920 B1 KR960002920 B1 KR 960002920B1 KR 1019930018579 A KR1019930018579 A KR 1019930018579A KR 930018579 A KR930018579 A KR 930018579A KR 960002920 B1 KR960002920 B1 KR 960002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yarn
loop
rubber yarn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759A (ko
Inventor
이대형
Original Assignee
이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형 filed Critical 이대형
Priority to KR101993001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920B1/ko
Publication of KR95000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피복의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피복 고무사를 신장된 상태에서 확대 도시한 정면 사시도. b도는 제1a도에 대응되는 배면 사시도.
제2a도 및 b도 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피복 고무사의 제조방법에서 고무사둘레에 섬유사로 루우프(Loop)를 형성하면서 피복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피복 고무사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섬유피복 고무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피복 고무사 2 : 고무사
3 : 섬유사 4,4a,4b : 루우프(Loop)
5 : 탄성밴드 D : 피복방향
l : 루우프 크기
본 발명은 섬유사로 표면이 피복된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무사의 외부 표면에 섬유사를 피복하되 루우프(Loop)를 형성하여 일정간격으로 피복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안정된 피복성이 부여되고, 또한 고무사의 신장이 일정한 비율이내로 제한되게 되어 고무사의 절단형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최종제품에서도 일정한 비율이내의 신장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섬유피복 고무사는 고무사의 외부둘레에 섬유사를 나선상으로 감는 방식에 의해 고무사의 외부 표면을 피복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섬유로 피복하는 목적은 고무재의 물성상의 결점, 예컨데 흡수성, 촉감, 내열성, 강도 등의 결함을 섬유재로 보강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섬유피복 고무사는 피복성, 강도, 신장성 등에 있어서 일정한 문제점이 있었는바, 먼저, 피복성에 있어서는 섬유사가 고무사 둘레에 단지 감겨져 있을 뿐으로 인해 섬유사가 한쪽으로 밀리거나 하여 피복성이 불균일하게 되기가 쉽고 또한 섬유사의 어느 지점에서 절단이 생기게 되면 그 부위에 풀림현상이 연쇄적으로 발생하여 피복상태가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도에 있어서는 고무사의 신장에 따라 섬유사가 전혀 지지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즉 고무사가 절단점(절단 신장율)까지 신장되는 동안 섬유사는 단지 나선 상태가 펼쳐지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섬유사가 고무사의 강도를 전혀 보강할 수 없게 되어 섬유피복 고무사의 절단강도는 고무사의 자체만의 절단강도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밖에 될 수가 없었다.
또한, 섬유피복 고무사가 사용된 제품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신장율을 일정수준 이내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고무사는 항상 절단신장률까지 신장이 이루어지고 그 이내 범위의 일정한 신장율로 제한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균일하고 안정된 피복성을 갖고 절단신장률이내의 일정한 비율로 신장율이 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절단강도가 강화된 섬유피복 고무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섬유피복 고무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의 고무사의 원주둘레상에 외부의 섬유사가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섬유피복 고무사에 있어서 나선형으로 된 섬유사의 1회전마다 루우프가 형성되어 이 루우프에 다음 회전의 루우프가 통과되어 루우프 연결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섬유피복 고무사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의 고무사의 원주상 둘레에 외부의 섬유사를 나선형으로 감되 섬유사가 나선형으로 1회전 될때마다 루우프를 형성하고 다음 회선시 또다른 루우프를 형성하여 이 루우프를 전(前)루우프를 통과하도록 하면서 나선상으로 감아서 고무사를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피목 고무사(1)를 신장된 상태에서 확대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b도는 이에 대응되는 배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섬유피복 고무사(1)는 내부의 고무사(2)둘레에 외부의 섬유사(3)가 1회전될때마다 루우프(4)가 형성되어 앞의 루우프가 다음의 루우프에 의해 관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마치 경편조직과 유사하다.
상기 루우프(4)는 형성방향은 새로이 생성된 루우프(4)가 그 앞의 루우프를 고무사의 원주상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될 수도 있고, (제1도에 도시된 것) 또한 이와 반대방항으로 될 수도 있으나, 제조장치(미도시)에서 루우프를 안내하는 니들(미도시)의 운동공간과 관련하여 볼때 전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사(2)의 길기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루우프(4)의 열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반대쪽에 2개의 열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통상은 하나의 루우프(4)열로도 충분하고, 만약 제직된 직물의 표면 또는 이면이 동일한 촉감 등이 효과를 가지게 하려면 양쪽에서 2개의 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 이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조공정의 어려우으로 인해 경제적이 되지 못한다.
상기내부의 고무사(2)는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유연한 탄력성을 위해 그 이상의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무사(2) 상호간의 결속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로 결정되어야 하며, 3개의 고무사(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a도 및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피복 고무사(1)의 제조 방법에서 루우프의 형성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상 고무사의 아래쪽에서 위쪽방향으로 루우프를 형성하여 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초기에 섬유사(3)를 고무사(2)의 한쪽끝(도면세서 아래쪽 끝)에 감아 고정시킨 후 섬유사(3)가 나선형으로 1회전할 때마다 루우프(4)를 형성하되 다음 회전시 형성한 루우프(4b)를 앞단계에서 형성한 루우프(4a)안으로 일정 길이()만큼 관통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섬유피복 고무사(1)를 제조한다. 상기의이 루우프의 크기가 된다.
상기의 루우프(4)들은 고무사(2)가 일정 비율로 신장된 상태에서 형성한다. 루우프의 형성시 고무사(2)의 신장비율은 최종적인 섬유피복 고무사(1)의 최대 신장율과 직접 관계된다. 섬유피복 고무사(1)의 최대신장율은 루우프(4)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 즉 느슨해 있던 루우프가 팽팽하게 됨으로써 고무사(2)의 신장을 더 이상 못하게 하는 상태에서의 신장율이 된다. 따라서 루우프 형성시 고무사(2)의 신장율은 섬유피복 고무사(1)의 품질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루우프 형성시의 고무사의 신장율은 피복의 정도(피복밀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장율이 큰 상태에서 루우프를 형성한 경우 신장상태가 회복되었을 때는 신장율이 작을 때 루우프를 형성한 경우보다 피복밀도가 높은 것은 당연하다. 또한, 피복밀도와 관련하여 루우프 크기()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루우프의 크기()가 작을 수록 피복밀도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루우프의 형성시 고무사의 신장은 고무사(2)의 공급속도(혹은 인입속도)와 섬유피복 고무사(1)의 배출(인출)속도의 차이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인입 및 인출로울러(미도시)의 회전속도로 용이하게 조정가능하다.
또한, 루우프의 형성방법은 공지의 편직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피복 고무사(1)로 제직한 탄성 밴드를 나타낸 것인데, 섬유피복 고무사(1)가 경, 위사 모두에 사용된 것을 나타낸다.
신장이 필요한 방향으로만 본 발명의 섬유피복 고무사(1)를 사용하고 신장이 필요없는 방향으로 통상의 섬유사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제4도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섬유피복 고무사를 나타낸 것으로 단지 고무사(2) 둘레에 섬유사(3)를 나선형으로 감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섬유피복 고무사(1)의 신장율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조정할 수가 없고, 또한 고무사가 절단점 이상으로 신장되더라도 섬유사는 지지역할을 전혀할 수가 없어 절단되기가 쉬우며, 각 나선상태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여 피복성이 파괴되기 쉬움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원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섬유피복 고무사에 비해 많은 잇점을 가지는 것은 그 구성에 의해 자명한 바와 같이, 먼저, 루우프(4) 형성시의 고무사(2)의 신장상태를 일정한 비율로 유지하여 최종 제품인 섬유피복 고무사(1)에서의 루우프(4)의 느슨한 정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섬유피복 고무사(1)의 신장율을 고무사(2)의 최대 신장율 이내의 요구하는 일정한 수준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섬유피복 고무사(1)의 신장율이 고무사(2)의 최대 신장율(절단점)이내로 제한됨으로써 섬유회복 고무사(1)의 절단강도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고무사(2)를 피복하는 섬유사(3)의 나선상태는 루우프(4)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섬유사(3)가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균일한 피복성을 유지할 수 있고, 섬유사가 일부 지점에서 절단이 되더라도 피복성이 연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피복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피복 고무사(1)로 제적 또는 편직을 할 때 제직 또는 편직 방향을 섬유사(3)의 피복 방향과 동일하게 하면, 섬유사(3)가 루우프(4)에 의해 물려 있음으로 인해 섬유사(3)의 일부지점이 절단이 되더라도 계속적인 풀림을 막아주게 되어 제직 및 편직상 양호한 직업능률 및 최종제품의 품질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상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섬유피복 고무사(1)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바, 기존의 섬유피복 고사의 용도를 모두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큰 하중이 걸리는 탄력 장치 또는 쿠션장치용 밴드, 예컨데, 침대, 소파 등의 쿠션 장치용 탄력 밴드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기타 다양하고 새로운 용도로 사용이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의 고무사(2)의 원주둘레에 섬유사(3)를 나선형으로 감되, 이 섬유사(3)의 1회전마다 루우프(4a)를 형성하고 이 루우프(4a)의 안으로 다음 루우프(4b)를 관통시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피복 고무사.
KR1019930018579A 1993-09-15 1993-09-15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KR96000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579A KR960002920B1 (ko) 1993-09-15 1993-09-15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579A KR960002920B1 (ko) 1993-09-15 1993-09-15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59A KR950008759A (ko) 1995-04-19
KR960002920B1 true KR960002920B1 (ko) 1996-02-28

Family

ID=1936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579A KR960002920B1 (ko) 1993-09-15 1993-09-15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398B1 (ko) * 2000-11-22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플로워패널 보강구조
KR101600544B1 (ko) * 2013-11-19 2016-03-07 이기훈 끈 형태의 신축성 다단 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59A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4096A (en) Elastic fabric provided with a looped gripping surface
CA1235628A (en) Woven fabric for belt
US5673546A (en) Non-slip shoelaces
US57687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of upholstery to seats
US4705710A (en) Bidirectionally stretchable support tape for hook-and-loop fasteners
US5963988A (en) High stretch composite elastic waistband
KR20050037556A (ko) 의자의 시트 또는 등받이의 프레임에 네트 부재를취부하는 구조
JP6385961B2 (ja) 緩み止め紐
JP3492376B2 (ja) 一体に織られたレースコードを有するスリーブ
JPS628537B2 (ko)
US3866444A (en) Knitted openwork elastic mesh fabric
US4071647A (en) Rubber goods
KR960002920B1 (ko) 섬유피복 고무사 및 그 제조방법
US4226165A (en) Fishing net
JPH0211254B2 (ko)
US7750200B2 (en) Material for producing a support bandage
US3154111A (en) Textile fabric
IL33572A (en) Flexible mounting device
JP5443399B2 (ja) 浴用タオル
EP0510682A1 (en) Mesh sheet for use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reof
JP2592292B2 (ja) 土木用網
US20230099945A1 (en) Suture Device
JPS5914582B2 (ja) 全方向に伸縮自在なメツシユ状帯状体
CN210177047U (zh) 一种镂空花型梭织织物
RU2004647C1 (ru) Футерованный трикота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