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847B1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Google Patents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2847B1 KR960002847B1 KR1019930004198A KR930004198A KR960002847B1 KR 960002847 B1 KR960002847 B1 KR 960002847B1 KR 1019930004198 A KR1019930004198 A KR 1019930004198A KR 930004198 A KR930004198 A KR 930004198A KR 960002847 B1 KR960002847 B1 KR 960002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output
- group
- interconnection
- multiplex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6—Time-space-tim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의 상호 접속 개념도.
제2도는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기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상호접속입력단의 구성도.
제4도는 입출력그룹연결망의 구성도.
제5도는 상호접속출력단의 구성도.
제6도는 상호접속입력단의 입력그룹다중화모듈의 구성도.
제7도 및 제8도는 다중화 방법의 일실시예시도.
제9도는 상호접속입력단위 입력그룹다중화모듈의 출력형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시도.
제11도는 혼선상호접속망의 입출력그룹연결망에 사용되는 셀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상호 접속 입력단 3 : 입출력 그룹 연결망
4 : 상호 접속 출력단
본 발명은 입력들과 출력들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활용되는 넌블럭킹 상호접속(Nonblocking Interconnection)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상호접속망(Interconnection) 방법들에 비해 입출력간 상호접속을 위한 연결의 복잡성과 하드웨어 소요량이 적고 내부 제어가 간단한 개선된 새로운 넌블러킹 상호접속망인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에 의한 혼성상호접속망에 관한 것이다.
입력들과 출력들 사이의 넌블럭킹 상호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입출력한 상호접속을 위한 연결의 복잡도가 높거나 소요 하드웨어량이 너무 많거나 혹은 상호접속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복잡하거나 등의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들과 출력들간의 상호접속 혹은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들을 스위치(Switch), 내부접속 네트워크(Interconnection Network), 내부접속 패브릭(Interconnection Fabric) 혹은 단순히 네트워크(Network) 등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그 수단들의 구조, 동작방식 및 실제구현 수단 등은 다양하다. 그러나 그 목적들은 다같이 입력들과 출력들 사이의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 일괄적으로 '상호접속망'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복수(둘 이상)의 입력이 하나의 출력으로 동시에 연결을 원하여 발생하는 입력들 간 충돌을 출력경합(Output Contention)이라고 한다. 또한 입력들간의 출력 경합이 없다는 가정에도 불구하고 상호 접속망의 연결용량의 부족에 의해 망내에서 발생하는 입력간 경로충돌을 내부충돌(Internal conflict) 혹은 내부블러킹(Internal Blocking)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넌블러킹 상호접속망은, 출력경합은 없다는 가정하에서는 망내 내부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상호접속망으로 정의된다. 넌블러킹 상호접속망은 다시 입출력간에 충분한 경로가 존재하여 출력경합이 없는 한 어떠한 경우에도 블러킹이 생기지 않는 협의의 넌블러킹(Strict-Sense Nonblocking)망과 입력의 조합이 바뀜에 따라 내부블러킹의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망내의 소자들의 연결상태를 재배치해야 하는 광의의 넌블러킹(Wide- Sense Nonblocking)망 (혹은, 재배치망(Rearrangeable Network)이라고도 함)으로 나누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넌블러킹은 하나의 출력으로 복수의 입력이 동시에 연결을 원하는 출력경합의 경우를 배제한 것이다. 이에 반해, 출력경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복수의 입력들을 내부충돌없이 모두 출력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상호접속망을 완전히 넌블러킹 상호접속망(Completely Nonblocking Interconnection Network)으로 정의 한다. 완전 넌블러킹 상호접속망의 시분할 혹은 공간분할 등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입력측에서 여러입력이 동시에 하나의 출력에 연결을 원하더라도 모든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들과 출력들 사이의 넌블러킹 또는 완전 넌블러킹 상호접속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시분할(Time-Division(TD))에 의한 방법과 공간분할(Space-Division(SD))에 의한 방법의 두가지가 있다.
먼저, 시분할에 의한 접속방법은, 입력들을 시분할에 의해 하나의 공동매체(Shared Medium)에 다중화(Miltiplexing)하여 입력시키고, 각 출력측에서는 공동매체에 있는 이력들 중에서 그 출력에 해당되는 입력을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러한 시분할에 의한 접속에 사용되는 공동매체로는 메모리(Memory) 소자들이나 버스(Bus)등이 있다. 그러나, 시분할과 공동매체에 의한 상호접속은 입력선 및 출력선의 수가 많아지면, (즉, 망의 크기가 커지면) 실제구현상에 제약이 있다. 즉, 많은 수의 입력들이 하나의 공동매체를 시분할에 의해 나누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시분할 다중화(Time-Division Multiplexing)의 속도가 빨라져야 하고, 실제에 있어 시분할 다중화의 최대속도나 공동매체 엑세스(Access)의 최대속도에는 구현상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수한 시분할 다중화에만 의존한 상호접속은 입력의 수 및 출력의 수에 제한이 있어 대용량의 넌블러킹 상호접속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공간분할에 의한 상호접속은, 각각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선이나 버스 등의 연결매체에 의한 개별적인 연결경로를 각각 가지고 있어, 시분할다중화에서와 같은 동작속도의 제한이나 공동매체 액세스 속도에 의한 구현상 제한은 없다. 그러나, 모든 가능한 입력과 출력의 쌍(Pair)에 대해 별도의 연결매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연결매체가 필요하다. 즉, 입력의 수 및 출력의 수를 각각 N 이할 때, 연결선의 수는 N²의 함수로 나타나므로, N이 커짐에 따라 연결선의 수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N이 커지면 구현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기존 상호접속 방법들의 단점 및 제약들을 해소하기 위한 공간분할을 이용한 접근방법으로는 소형 스위치 에레먼트(Element, 혹은 소자)들에 의한 재배치망인 다단 상호접속망(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을 생각할 수 있다. 재배치망은 망내 스위치 소자들의 연결상태를 재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연결상태를 제공할 수 있어서 협의의 넌블러킹망에 비해 망의 하드웨어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연결능력을 가지는 상호접속망을 구축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소요량은 적게 된다. 그러나, 망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소자들의 연결상태를 재배치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수행소요시간이 길고 또한 그 결과를 각각의 수많은 소자들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선의 수가 폭증한다. 결과적으로, 하드웨어 소요량 감소의 장점은 망이 커짐에 따라 알고리즘 수행시간의 시간적 제한 및 그 제어의 전달에 소용되는 연결선의 수에 의한 공간적 제한에 의해 무산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망의 각 소자를 자기루팅(Self-Routing)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소용되는 하드웨어량의 증가와 그 설계의 복잡성 또한 간과할 수가 없다. 더구나, 단순한 넌블러킹망이 아닌 완전 넌블러킹망을 얻기 위해서는 상술된 문제점들은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실제구현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상호접속을 제공하는 완전 넌블러킹 상호접속망인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인 시분할과 공간 분할을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은, 입력들을 여러개의 입력그룹들로 나누고, 또한 출력들도 여러개의 출력그룹으로 나누어, 각 입력 그룹내의 입력들을 시분할다중화에 의해 입력그룹 연결매체에 입력시키는 상호접속망의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각 출력이 상기 입력수단의 각 입력그룹 연결매체들에 하나씩의 연결을 갖게함으로써 공간분할에 의해 모든 입력그룹이 모든 출력 그룹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입출력그룹간 연결망 수단 및 각 입력그룹 연결매체로부터 출력그룹으로의 연결선에서 해당출력그룹으로 연결을 원하는 입력만 여과입력하는 수단과 각 출력그룹으로 여과입려된 입력들을 각각의 해당 착신출력으로 연결시키는 출력그룹내 상호접속 수단으로 구성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 상호접속 개념로서, 도면에서 Ni는 총 입력의 수, No는 출력의 수를 각각 나타낸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호접속망에서는 입력들을 다수의 입력그룹으로 나눈다. 즉 입력들을 각각 r개씩의 입력을 가지는 G개의 입력그룹들로 나눔으로써, 총 입력의 수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Ni=r×G
또한, 출력들도 각각 s개씩의 출력을 가지는 K개의 출력그룹으로 나눈다. 따라서, 총 출력의 수는
No=s×K
로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주요 개념은 입력들 및 출력들을 입력그룹들 및 출력그룹들로 그룹화한 후 각각의 입력들 및 출력들간에 별도의 연결들을 제공하지 않고 입력그룹들 및 출력그룹들간의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입출력단 상호접속에 소요되는 연결의 복잡성을 크게 줄이고 또한 그 실제구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호 접속망에서는 입력그룹들과 출력그룹들간의 연결들만으로 모든 입력들과 모든 출력들간의 연결을 제공하므로 각 입력그룹은 단지 하나씩의 출력만을 가지고 그 출력은 다음단의 상호접속 연결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입력그룹에서는 입력그룹내 모든 입력들을 시분할다중화함으로써 하나의 입력그룹연결매체로 출력시킨다. 입력그룹들 및 출력그룹들간의 상호접속은 공간분할을 이용한다. 즉, 각 입력그룹은 하나씩의 출력을 가지고 그 출력은 하나씩의 연결매체에 연결되고, 각 출력그룹은 모든 입력그룹으로부터의 연결매체마다 하나씩의 연결을 가지므로써 모든 입력그룹들과 출력그룹간의 상호접속이 이루어진다. 출력그룹내에서는 각 입력그룹의 연결매체로부터의 입력들중에서 그 해당출력그룹으로 연결을 원하는 입력들만 선별여과하여 받아들이고, 다시 출력그룹내에서 최종 착신출력으로 상호접속을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호접속방법은 시분할 및 공간분할을 혼합하여 효과적인 상호접속을 성취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HIF 완전 넌블러킹 상호접속망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1)은 본 발명인 HIF완전 넌블러킹 상호접속망, (2)는 상호접속 입력단으로서 입력들을 다수의 입력그룹으로 나누고, 각 입력그룹내에서는 시분할다중화에 의해 다음단인 입출력그룹연결망(3)에 있는 각 그룹당 하나씩의 입력그룹 연결매체(6)에 입력시키며, 입력출력 그룹 연결망(3)에서는 공간분할에 의해 각 입력그룹들과 출력그룹들 사이의 상호접속을 행하며, 상호접속출력단(4)에서는 각 출력그룹으로의 선별여과 및 출력그룹내에서의 각 착신 출력으로의 상호접속을 실시한다.
제3도는 제1도의 상호접속입력단(2)의 상세도로서, 입력들은 각 그룹당 r개씩의 입력을 가지는 G개의 입력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 입력그룹의 입력들은 해당 입력다중화모듈(5-1 내지 5-G)로 입력된다.
각 입력그룹다중화모듈(5-1 내지 5-G)내에서 그룹내 입력들은 시분할다중화에 의해 하나의 출력선으로 출력되어 다음단의 입출력그룹연결망(3)으로 연결된다. 그룹당 입력의 갯수는 r 및 그룹수 G는 실제구현에서 적당한 임의의 값으로 결정되어진다.
제4도는 제1도의 입출력그룹연결망(3)의 내부 구성도로서, 상호접속입력단(2)의 각 입력그룹 다중화모듈(5)당 하나씩 연결된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들이 각각 모든 출력그룹들과 하나씩의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로는 단순한 버스(bus)형의 현결선이나 혹은 광섬유(optical fiber) 등이 응용될 수 있다. 각 입력그룹 다중화모듈(5)로부터의 출력들을 해당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에 방송(broadcasting)되어 모든 출력그룹으로 연결된다.
제5도는 제1의 상호접속출력단(4)을 나타내며, 출력들은 다수의 출력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출력그룹당 하나씩의 출력그룹분배모듈(7-1 내지 7-K)이 있다. 각 출력그룹분배모듈(7)은 각 입력그룹들에 하나씩 연결된 각 입력그룹 연결매체(6-1 내지 6-G)들로부터 각각 하나씩의 연결을 가지며, 출력그룹 분배모듈(7-1 내지 7-K)의 입력부에서는 입력부에서는 입력그룹 연결매체(6-1 내지 6-K)에 방송되는 입력중에서 착신출력이 그 출력그룹에 속하는 것들만 선별여과하여 받아들여, 출력그룹 분배모듈(7-1 내지 7-K)내에서 최종 착신출력으로 상호접속을 수행한다.
제6도는 제3도의 입력그룹다중화모듈(5-1 내지 5-G)의 세부구조도로서, 하나의 입력그룹의 r개의 입력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그룹 1의 입력그룹다중화모듈(5-1)의 예를 나타내며, 모든 입력그룹 다중화모듈(5-2 내지 5-G)의 구성은 동일하다. 입력들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각각 입력 1, 입력 2,..., 입력 r로 부른다.
각 입력은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 입력버퍼(8-1 내지 8-r)를 가지고 있어서 입력데이터(Data) (패킷(packet) 혹은 셀(cell)로 불림, 이하 셀이라 함)는 직렬(Serial)혹은 병렬(Parallel)비트 흐름으로 입력되어 입력버퍼(8-1 내지 8-r)에 임시 저장된다. 입력 버퍼(8-1 내지 8-r)의 길이가 1보다 큰 경우에는 임시저장된 셀들은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에 의해 차례로 출력되고, 상기 입력버퍼(8-1 내지 8-r)의 출력단에 연결된 그룹다중화기(9; Group Multiplexer, MUX)로 입력되어 p비트(bit)씩 병렬로 다중화되며, 상기 p비트단위를 미니셀(minicell)이라고 지칭한다. 즉, 한셀의 길이를 c비트라고 할 때, 한 셀의 다중화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c/p번의 미니셀의 다중화를 하여야 한다. 미니셀의 길이, 즉 p의 값은 최소1비트에서부터 최대로는 셀의 길이까지의 임의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7도는 제6도의 입력그룹다중화모듈(5)에서의 다중화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다중화방식은 한 입력의 FIFO 버퍼의 출력셀에 대해 한번에 p비트식 다중화하여 그 입력의 한 셀이 모두 다중화된 후에 다음 입력의 셀의 다중화를 시작하는 방법이다. 즉, 입력1, 입력2, ..., 입력r, 입력1, 입력2 ...의 순서로, 각 입력의 다중화 순서가 되면 p비트씩 다중화하여 한 셀의 다중화를 모두 끝낸 후 다음순서의 입력이 다중화를 시작한다. 따라서, 한 셀의 길이는 c비트이므로, 각 입력은 한번에 P비트식 c/p번 다중화를 하여 그 입력의 한 셀의 다중화를 완료하고 다음 입력으로 순서를 넘겨준다.
입력1의 다중화로부터 입력 r의 다중화까지의 1사이클(Cycle)이 끝나면 각 입력은 1셀씩의 다중화를 완료하게 된다.
제8도는 제7도에서 한 입력의 다중화동작을 나타낸다. 만약 p가 c보다 크거나 같으면 각 입력은 한번에 한 셀의 다중화를 완료하고 다음 입력으로 다중화의 순서가 넘어간다. 제9도는 제7도 및 제8도에 보인 다중화방식에 의한 입력그룹다중화모듈(5-1 내지 5-G)의 출력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의 세부구성도로서, 자기루팅에 의한 동작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은, 상호접속입력단(2)의 첫번째 입력그룹다중화모듈(5-1)과 상호접속출력단(4)의 첫번째 출력그룹분배모듈(7-1)이 입출력 그룹 연결망(3)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다. 그룹다중화기(9)에 의해 다중화된 각 입력의 셀은 각 그룹의 입력그룹연결매체(6)로 출력되고, 상호접속출력단(4) 내의 출력그룹분배모듈(7)은 각 입력당 하나씩의 출력그룹 주소여과기(10)를 가지고 있어 입력그룹연결매체(6)상의 셀이 해당 출력그룹으로 향하는 것일때만 받아들여 그 출력그룹분배모듈(7)의 출력스위치모듈(11)로 입력시킨다.
제11도에 입력그룹연결매체(6)에 나타나는 셀을 직렬(serial)로 펼쳤을 때의 구조(format)를 보였다. 물론, 실제구현시에는 제7도 내지 제8도의 설명에서와 같이 한번 p비트씩 병렬로 다중화될 수도 있다. 셀의 맨 선두에는 입력그룹연결매체(6)에 그 다중하 사이클(cycle)혹은 슬롯(slot)에 유효한 셀이 있는지 없는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액티비티 비트(activity bit)가 있고, 그 다음 상호접속출력단(4) 내의 어느 출력그룹분배모듈(7)로 향하는 셀인지를 나타내는 출력그룹의 주소가 있으며, 각 출력그룹분배모듈(7)내의 최종착신주소가 그 다음에 위치하고, 마지막으로 전송될 데이타가 따른다.
한 출력그룹분배모듈(7)내의 입력당 하나씩 배치된 출력그룹조소여과기(10)는 모두같은 여과주소를 가진다. 즉, 예를 들면, 첫번째(제1)출력그룹분배모듈(7-1)내의 모든 출력그룹주소여과기(10)들은 모두 액티비티 비트(activity bit)가 '1'이고 출력그룹주소가 '1'인 셀들만 여과하여 투과시킨다. 각 출력그룹여과기(10)는 비교기(comparator) 등의 논리회로로 이루어져 각 해당 출력그룹의 고유 출력그룹주소와 입력그룹연결 매체(6-1 내지 6-G)상의 셀이 가진 액티비트 비트 및 출력그룹주소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만 투과시켜 그 출력그룹의 출력스위치모듈(11)로 보낸다.
출력스위치모듈(11)은 어떤 종류의 상호접속망(일반적으로 단순히 '스위치'로 많이 불리는)도 사용될 수 있으며, 최종착신주소에 의해 그 출력그룹내의 최종 착신 단자로 출력시킨다.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은 입력들과 출력들간에 각각의 개별연결을 제공하지 않고, 입력들과 출력들을 각각 그룹화하여 입력그룹들과 출력그룹들간에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입출력들간 상호접속의 복잡도 및 소요 하드웨어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호접속입력단(2)의 시분할다중화에 의해 망의 동작속도가 너무 높아질 경우에는 입력들과 출력들 사이의 비트(bit) 흐름을 병렬화(parallelize)함으로써 망의 동작속도를 줄일 수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크기가 방대한 하나의 연결망의 구현은 어려우나 작은 크기의 연결망을 여러개의 병렬로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므로, 구현상의 장점을 가지며 특히 대용량의 상호접속망의 구현에 큰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호접속출력단(4) 내부의 각 출력그룹분배모듈(7-1 내지 7-K)들에서의 출력그룹내 상호 접속은 다시 작은 상호 접속망의 모듈들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작은 상호접속망모듈들에 의해 대용량의 접속망은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장점을 가지는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의 입력부인 상호접속입력단 및 출력부인 상호접속출력단 그리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입출력그룹연결망이 연동하여 상호접속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기루팅(self-routing)에 의한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의 동작방식은 복잡한 중앙집중의 제어방식을 필요치 않는 자기루팅 방식으로서, 특히 대용량 상호 접속망의 구현시 제어장치에서의 라우팅(routing) 계산의 복잡성이나 실제구현(implementation)의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직렬 및 병렬로 입력되는 입력 셀을 임시 저장하는 다수의 입력버퍼(8-1 내지 8-r)와, 상기 다수의 입력 버퍼(8-1 내지 8-r)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셀들을 미니셀(minicell) 단위로 병렬로 다중화하는 그룹 다중화기(9)를 구비하는 입력그룹다중화모듈(5-1 내지 5-G)을 다수 포함하는 상호접속 입력수단(2) ; 상기 상호접속 입력수단(2)내의 각 입력그룹 다중화모듈(5-1 내지 5-G)당 하나식 연결되고 모든 출력그룹들과 하나씩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를 구비하는 입출력그룹연결망수단(3) ; 각 해당 출력그룹의 고유 출력그룹주소와 상기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상의 셀이 가진 출력그룹주소와 일치하는 셀만 투과시켜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 그룹 주소 여과기(10)와, 상기 출력그룹 주소여과기(10)에서 출력되는 셀을 최종출력단으로 스위칭하는 출력스위치수단(11)을 구비하며 상기 입출력 그룹 연결망수단(3)내의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에 각각 연결되는 출력그룹분배모듈(7-1 내지 7-K)을 다수 포함하는 상호 접속 출력수단(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접속 입력수단(2)에 의해 다중화되는 셀은, 입력그룹연결매체(6-1 내지 6-G)에 그 다중화 사이틀(cycle) 혹은 슬롯(slot)에 유효한 셀이 있는지 없는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액티비티 비트(activity bit), 상호접속출력단(4) 내의 어느 출력그룹분배모듈(7)로 향하는 셀인지를 나타내는 출력그룹의 주소, 각 출력그룹분배모듈(7-1 내지 7-K)내의 최종착신주소, 전송될 데이타를 포함하는 배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제1항에 있어서, 상호접속 입력수단(2)에 포함되는 다수의 입력그룹다중화 모듈(5-1 내지 5-G)의 입력 버퍼(8-1 내지 8-r)는, 자체의 길이가 1보다 큰 경우에는 임시저장된 셀들을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에 의해 차례로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4198A KR960002847B1 (ko) | 1993-03-18 | 1993-03-18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4198A KR960002847B1 (ko) | 1993-03-18 | 1993-03-18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3308A KR940023308A (ko) | 1994-10-22 |
KR960002847B1 true KR960002847B1 (ko) | 1996-02-26 |
Family
ID=1935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4198A KR960002847B1 (ko) | 1993-03-18 | 1993-03-18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2847B1 (ko) |
-
1993
- 1993-03-18 KR KR1019930004198A patent/KR9600028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3308A (ko) | 1994-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8292A (en) | Packet switching apparatus with multi-channel and multi-cast switching functions and packet switching system using the same | |
CA2061850C (en) | Rotating-access atm-stm packet switch | |
US6696917B1 (en) | Folded Clos architecture switching | |
US5091903A (en) | Switching network and switching-network module for an atm system | |
Garcia-Haro et al. | ATM shared-memory switching architectures | |
Kabacinski | Nonblocking electronic and photonic switching fabrics | |
JPH04505843A (ja) | 非同期時分割多重セルのスイッチングのための多重路自己経路選択交換網 | |
US5768270A (en) | ATM switch using synchronous switching by groups of lines | |
JPH03135133A (ja) | マルチメディア統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JPH02198246A (ja) | セル交換装置 | |
US4905224A (en) | Sorting unit for a switching nod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gital switching matrix networks for fast, asynchronous packet switching networks | |
HU213120B (en) | Two-stage at the least doubled atm-transposition-coupling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expanding said device | |
KR960002847B1 (ko)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 |
Liu et al. | A guaranteed-throughput switch for network-on-chip | |
US3740480A (en) | Time division multiplex switching system utilizing all time division techniques | |
US5416773A (en) | Switching element having central memory for switching narrowband and broadband signals | |
US4164627A (en) | Time division switching network using time slot interchangers | |
JPS598999B2 (ja) | タダンハンテングル−ピングニヨリ 4 センシキカンツウセツゾクスルタメノ スイツチフレ−ム | |
KR960000161B1 (ko)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 | |
KR960000162B1 (ko) |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하기 위한 혼성상호접속망의 상호접속 입력장치 | |
JPH0494240A (ja) | セル交換装置 | |
KR960000163B1 (ko) | 혼성상호접속망을 위한 입력그룹모듈의 다중화 방법 | |
SE439091B (sv) | Sett att astadkomma ett expanderbart omkopplingsnet jemte sadant astadkommet net | |
JPH02305132A (ja) | フレキシブルマルチプレクサ | |
JP2578946B2 (ja) | 光atm交換方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