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787Y1 -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 Google Patents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787Y1
KR960002787Y1 KR2019930009686U KR930009686U KR960002787Y1 KR 960002787 Y1 KR960002787 Y1 KR 960002787Y1 KR 2019930009686 U KR2019930009686 U KR 2019930009686U KR 930009686 U KR930009686 U KR 930009686U KR 960002787 Y1 KR960002787 Y1 KR 960002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ixing
corner
desk
fixing members
finish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263U (ko
Inventor
조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 지 데스크
이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 지 데스크, 이남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 지 데스크
Priority to KR2019930009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787Y1/ko
Publication of KR950000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마감구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a)(b)는 제2도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11 : 시트(Sheet)
20 : 사이드 고정부재 22 : 공간부
23a,23b : 지지턱 30 : 코너 연결부재
32 : 공간부 33a,33b : 지지턱
35,36a,36b : 결합편 40 : 슬라이더
41a,41b : 걸림턱 43 : 보강부재
본 고안은 책상의 테이불 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니어 합판(合板)으로 제작되는 테이블의 마감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및 학습용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책상은 그 재질이 목재, 철재 또는 합성수지재등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책상이 목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압축 목재 및 베니어 합판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같은 베니어 합판은 베니어 단판을 3장 이상의 홀수판으로 나뭇결에 직각을 이루도록 상호 겹쳐 접합한 것이며 상기 베니어 단판은 기계 가공에 의해 목재를 박판으로 깎은 상태의 것이다.
그런데, 베니어 합판으로 제작되는 책상의 테이블은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거칠기 때문에 그 표면에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나 비닐(Vinyl)재의 시트(Sheet)를 접착시켜야 하는 것이나, 이는 테이블의 테두리가 곡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시트의 접착작업이 번거로워져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접착되는 시트가 쉽게 변형되거나 볏겨질 우려가 매우 높으며, 상기 시트의 접착상태에 따라 외관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 베니어 합판으로 제작되는 책상은 테이블의 상하측면에 시트를 각각 접착시키고, 상기 테이블의 각 측면에 고무(Rubber)나 합성수지재의 보강테를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마감구조로 이루어졌으나, 상기 보강테가 테이블의 코너(Corner)부에서는 정교하게 접착되지 못하여 보강테의 들뜸현상이 발생되는등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상기 보강테가 길게 제작될 경우에 그 중앙부분에서는 재질의 특성상 휨이나 처짐등의 변형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보강테와 시트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어 먼지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수분의 침투가 이루어짐에 따라 시트가 벗겨지는등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는 보강테를 나사의 체결에 의해 테이블의 각 측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보강테의 공간부에 고무재의 보강띠를 끼우는 형식의 테이블 마감구조가 있으나, 이는 보강테가 상호 맞닿는 양측끝단부분이 일치되지 않는등 그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상기 보강테 및 보강띠의 변형 및 변색에 따라 외관에 영향을 주는등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고안은, 테이블의 각 측면에 고정되는 사이드 고정부재들을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시키고 이들의 전면이 패쇄되도록함으로써 테이블의 마감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불량률이 저하되며, 시트가 벗겨지거나 각 부재들이 변형되는 현상이 제거됨에 따라 외관이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등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테이블이 베니어 합판으로 제작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각 측면에는 나사의 체결에 의해 몸체가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에 공간부를 갖도록 지지턱이 연장형성되는 사이드 고정부재들과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들이 이루는 테이블의 코너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몸체의 전면에 공간부를 갖도록 지지력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한쪽끝단에 결합편이 형성되며 다른쪽끝단에는 결합편이 분할형성되는 코너 연결부재들과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들과 코너 연결부재들의 공간부를 폐쇄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책상의 테이블(10)은 베니어 합판으로 제작되며, 상기 테이블(10)의 상하측면에는 시트(11)가 접착재에 의해 각각 부착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10)의 각 측면에는 나사(12)의 체결에 의해 사이드 고정부재(20)들의 몸체(21)가 고정되며 상기 몸체(21)의 전면에는 한쪽이 트인 공간부(22)를 갖도록 상하측으로 지지턱(23a), (23b)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턱(23a) (23b)의 끝단에 돌기(24a), (24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20)는 몸체(21)의 배면방향으로 그 상하측끝단에 단턱부(25a) (25b)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부(25a), (25b) 사이의 폭은 테이블(10)의 측면이 이루는 높이와 같거나 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턱부(25a), (25b)사이에 테이블(10)의 측면부분이 끼워져 상기 단턱부(25a), (25b)가 테이블(10)의 상하측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테이블(10)의 상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리(13)는 단턱부(25a)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20)들이 이루는 테이블(10)의 코너부는 코너 연결부재(30)들의 조립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너 연결부재(30)의 몸체(31)는 "L" 자 힝태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몸체(31)의 "L" 자 형태는 다른 크기의 길이로 제작되거나 같은 크기의 길이로 제작할 수 있는 겻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31)의 전면에는 한쪽이 트인 공간부(32)를 갖도록 상하측으로 지지턱(33a), (33b)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턱(33a), (33b)의 끝단에 돌기(34a), (34b)가 각각 형성되고, 이 몸체(31)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간부(32)가 제외된 나머지 부분은 패쇄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31)의 한쪽끝단에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결합편(35)이 형성되며 다른쪽끝단에는 결합편(36a), (36b)이 그 중심을 따라 양측으로 분할형성된다. 이 몸체(31)의 배면방향으로 그 상하측끝단에 단턱부(37a), (37b) 각 각각 형성되고, 이 단턱부(37a), (37b)의 폭은 사이드 고정부재(20)의 단턱부(25a), (26b)가 이루는 폭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34a), (34b)는 각각 일정간격 분할되어 그 사이에 조립공간(38)이 형성된다.
한편 사이드 고정부재(20)들과 코너 연결부재(30)들의 전면에 형성된 공간부(22), (32)는 슬라이더(40)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슬라이더(40)는 배면방향으로 그 상하측끝단에 요홈(42a), (42b)을 갖는 걸림턱(41a), (41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20)들과 코너 연결부재(30)들의 공간부(22), (32)에는 보강부재(43)가 나사(12)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보강부재(43)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는 테이블(10)의 측면부분에 사이드 고정부재(20)의 단턱부(25a), (25b)을 끼워 조립한 후,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20)의 몸체(21)를 나사(12)의 체결에 의해 테이블(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20)들이 이루는 테이블(10)의 코너부는 코너연결부재(30)들의 조립에 의해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코너 연결부재(30)의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편(35), (36a), (36b)을 끼워맞춤에 의해 사이드 고정부재(20)의 공간부(22)에 각각 조립시키며, 이때 상기 결합편(36a), (36b)은 분할형성에 의한 탄력으로 코너 연결부재(30)의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20)들과 코너 연결부재(30)들의 공간부(22), (32)는 슬라이더(4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코너 연결부재(30)의 조립공간(38)을 통해 슬라이더(40)의 걸림턱(41a), (41b)이 갖는 요홈(42a), (42b)을 돌기(34a), (34b)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40)의 요홈(42a), (42b)이 사이드 고정부재(20)의 돌기(24a), (24b)에 각각 끼워맞춤되도록 슬라이더(40)를 공간부(22)로 슬라이딩시킨다.
따라서, 테이블(10)의 마감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이드 고정부재(20)들과 코너 연결부재(30)들의 단턱부(25a), (25b), (37a), (37b) 사이에 테이블(10)의 상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유리(13)가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그 사용이 편리해지고, 상기 테이블(10)의 시트(11)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가 제거되어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가 제거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마감구조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에 의해 시트(11)의 들뜸이나 벗겨지는 현상이 제거되어 불량률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보강부재(43)에 의해 각 부재들의 변형이 방지되어 테이블(10)의 외관이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는, 테이블의 각 측면에 고정되는 사이드 고정부재들을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시키는 단순한 구조로 마감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불량률이 저하되며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테이블이 베니어 합판으로 제작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각 측면에는 나사의 체결에 의해 몸체가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에 한쪽이 트인 공간부를 갖도록 상하측으로 지지턱이 연장형성되는 사이드 고정부재들과 ;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들이 이루는 테이블의 코너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몸체의 전면에 한쪽이 트인 공간부를 갖도록 상하측으로 지지턱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한쪽끝단에 결합편이 형성되며 다른쪽 끝단에는 결합편이 양측으로 분할형성되는 코너 연결부재들과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들과 코너 연결부재들의 전면에 공간부를 폐쇄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는 몸체의 배면방향으로 그 상하측끝단에 단턱부가 각각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고정부재와 코너 연결부재의 공간부에는 나사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KR2019930009686U 1993-06-04 1993-06-04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KR960002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686U KR960002787Y1 (ko) 1993-06-04 1993-06-04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686U KR960002787Y1 (ko) 1993-06-04 1993-06-04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63U KR950000263U (ko) 1995-01-03
KR960002787Y1 true KR960002787Y1 (ko) 1996-04-08

Family

ID=1935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686U KR960002787Y1 (ko) 1993-06-04 1993-06-04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7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986B1 (ko) * 2012-12-21 2013-07-22 (주)인퍼스 뒤집어 사용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986B1 (ko) * 2012-12-21 2013-07-22 (주)인퍼스 뒤집어 사용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263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0435A (en) Method for making corners for laminate and veneer countertops
KR960002787Y1 (ko) 책상의 테이블 마감구조
WO199000451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al elements, especially furniture components
US4399754A (en) Laminated wood corner structure for furniture
JPH11131923A (ja) ドア框
DE102007012377B4 (de) Möbelplatte, insbesondere Massivholzplatte
EP1273432B1 (en) A composite panel with surfaces of stony, ceramics or the like materials for making furniture pieces, walls and doors
EP1273731A2 (en) A composite panel, having synthetic material surfaces, for making furniture pieces
KR200386601Y1 (ko) 가구용 패널
CN219661182U (zh) 便于自动化生产的榫卯结构实木桌
JPH0628585Y2 (ja) 建築用集成材
KR980002609A (ko) 중질유섬유판을 주재로 하는 격자문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JPH0228018Y2 (ko)
JP2534941B2 (ja) ドア―又は扉用立体鏡板の製造方法
WO1986001557A1 (en) Arrangement relating to a door frame
JPH082385Y2 (ja)
JPS61154608A (ja) ワ−クトツプの複合板と縁材の連結構造
JPH0715333U (ja) 複合材
WO1999023338A1 (en) Frame member assembled from elements mortised and joined by slat
KR200304157Y1 (ko) 책상 덧 씌우개
ATE36382T1 (de) Verbinder, insbesondere fuer moebel.
KR200316078Y1 (ko) 각목기능의 몰딩을 갖는 가구
JPH0523751Y2 (ko)
KR20040020456A (ko) 하니콤 부재가 내장된 철재 책상의 상판
JPH0540582U (ja) 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