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739B1 - 각막 장해 치료제 - Google Patents

각막 장해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739B1
KR960002739B1 KR1019930700610A KR930700610A KR960002739B1 KR 960002739 B1 KR960002739 B1 KR 960002739B1 KR 1019930700610 A KR1019930700610 A KR 1019930700610A KR 930700610 A KR930700610 A KR 930700610A KR 960002739 B1 KR960002739 B1 KR 96000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eukin
corneal
therapeutic agent
corneal disorders
diso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015A (ko
Inventor
데루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데루오 니시다
산뗑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따 다까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오 니시다, 산뗑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모리따 다까까스 filed Critical 데루오 니시다
Publication of KR93070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4IL-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각막 장해 치료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터루킨-6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막 장해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인터루킨-6은 면역계나, 조혈계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리 활성 인자인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터루킨-6의 의약에의 응용 연구로서는 겨우 항암제나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는 보고가 있는데 지나지 않고(WO 공개 공보 88/00206, WO 공개 공보 90/01943), 안과 영역에 있어서의 효과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인터루킨-6의 약효, 특히 안과 영역에 있어서의 효과를 예의 검토한 결과, 인터루킨-6이 각막 장해 치료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인터루킨-6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막 장해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각막 장해란 각막 궤양, 각막 상피박리, 각막염, 안구 건조증 등, 여러가지의 요인에 의해 각막이 손상을 받은 것이며, 그의 치료제로서 여러가지의 약물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생리 활성 물질인 인터루킨-6에 착안하여, 그의 각막 장해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인터루킨-6의 각막 장해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관내에서의 각막 상피 신장 작용과 생체내에서의 각막 상처 치유 촉진 작용을 검토하였다.
상세한 데이타에 관해서는 약리시험의 항에서 설명하겠은나, 인터루킨-6을 가한 군에서는 콘트롤군과 비교하여 명백히 각막 상피 세포층이 신장하고, 또 각막의 상처가 빨리 치유되기 때문에 인터루킨-6이 각막 장해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각막 장해 치료제는 국소 투여, 특히 점안제로서 투여하는 것이 바람하다.
점안제에 있어서의 인터루킨-6의 농도는 증상, 연령 등에 따라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0.00001∼1%가 바람직하다. 투여량으로서는 점안액을 예를들면 1회 한방울 내지 수방울,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하면 된다. 점안제로서는 통상의 점안액 이외에, 용시용해형의 점안액이나 안연고로서도 좋다. 제제화에 관해서는 특별한 기술은 필요치 않고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등의 등장화제, 인산 수소 나트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 등의 완충제, 에테르산 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에틸 피라벤, 부틸 피라벤, 염화 벤잘코늄 등의 방부제, 수산화 나트륨, 희염산 등의 pH 조정제, 백색 와셀린, 유동 피라핀 등의 안연고용기제등의 첨가물을 필요에 따라 가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제예]
1) 점안액
처방 1 100㎖중
인터루킨-6 0.01g
염화 나트륨 0.9g
멸균 정제수 적당량
처방 1과 동일하게 하여 인터루킨-6이 100㎖ 중에 각각 0.00001g, 0.00003g, 0.0001g, 0.0005g, 0.001g, 0.005g, 0.05g, 0.1g 함유되는 점안액을 얻을 수가 있다.
처방 3 100g중
인터루킨-6 0.1g
염화 나트륨 0.8g
인산 수소 나트륨 0.1g
인산 이수소 나트륨 적당량
멸균 정제수 적당량
처방 2과 동일하게 하여 인터루킨-6이 100㎖ 중에 각각 0.00001g, 0.00003g, 0.0001g, 0.0005g, 0.001g, 0.005g, 0.01g, 0.05g, 0.5g, 1.0g 함유되는 점안액을 얻을 수가 있다.
2) 안연고
처방 3 100g중
인터루킨-6 0.05g
백색 와세린 90g
유동 파라핀 적당량
처방 3과 동일하게 하여 인터루킨-6이 100g 중에 각각 0.00001g, 0.00003g, 0.0001g, 0.0005g, 0.001g, 0.005g, 0.01g, 0.1g, 0.5g, 1.0g 함유되는 안연고를 얻을 수가 있다.
「약리시험」
인터루킨-6이 각막 장해의 치료에 유용한지 아닌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관내에서의 각막 상피 신장 작용과 생체내에서의 각막 상처 치유 촉진 작용을 조사하였다.
1) 시험관내에서의 각막 상피 신장 작용
(실험방법)
체중 2.0∼3.0㎏의 숫컷 일본 백색 토끼의 각막을 사용하고, 니시다 등의 방법(The Journal of Cell Biology, 97, 1653(1983))에 따라 실시하였다.
토끼 각막 조각으로 부터 잘라낸 각막 블록(1군 6∼8개)을 인터루킨-6을 함유하는 배양액(TC-199) 중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각막 상피 세포의 신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콘크롤로서는 약물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으로 동일하게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결과)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표 1]
표 1에 표시한 바와같이 인터루킨-6을 함유하는 배양액으로 배양한 것은 콘트롤과 비교하여 명백히 각막 상피 세포가 신장하고 있으며, 또 그 효과는 인터루킨-6의 농도에 의존하고 있다.
2) 생체내에서의 각막 상처 치유 촉진 작용
(실험방법)
체중 2.0∼3.0㎏의 숫컷 일본 백색 토끼(1군 7마리 : 14눈)를 사용하여 n-헵탄올에 의해 각막 상피 박리를 일으키게하고, 박리 직후 플루오레세인 염색을 하여 각막 사진을 촬영하였다. 인터루킨-6을 기제[PBS(-)]에 용해한 점안액 및 콘트롤로 하여 기제를 2시간 간격으로 1일 4회(50㎕/회) 2일간 점안하였다. 박리 24시간 후에 플루오레세인 염색을 하여 각막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각막 상처 면적은 화상해석 처리 시스템[상품명 : 코스모존 IS, (주) 니콘]을 사용하여 촬영한 각막의 플루오레세인 염색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하였다.
(결과)
각막 상피 박리 직후를 100으로 한 때의 24시간 후의 상처 면적(%)을 표 2에 표시하였다.
[표 2]
콘트롤과 비교하여 인터루킨-6을 점안한 것은 어느 것이나 상처 면적이 감소되고 있으며, 그 효과는 인터루킨-6의 농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인터루킨-6이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갖는 다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인터루킨-6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각막 장해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인터루킨-6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막 상처 치료제.
KR1019930700610A 1990-08-31 1991-08-27 각막 장해 치료제 KR960002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95490 1990-08-31
JP90231954 1990-08-31
JP90-231954 1990-08-31
PCT/JP1991/001130 WO1992004041A1 (en) 1990-08-31 1991-08-27 Remedy for corneal da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015A KR930702015A (ko) 1993-09-08
KR960002739B1 true KR960002739B1 (ko) 1996-02-26

Family

ID=1693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610A KR960002739B1 (ko) 1990-08-31 1991-08-27 각막 장해 치료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33944A (ko)
EP (1) EP0547223B1 (ko)
JP (1) JP2534176B2 (ko)
KR (1) KR960002739B1 (ko)
DE (1) DE69122764T2 (ko)
DK (1) DK0547223T3 (ko)
WO (1) WO1992004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88A (ja) * 1996-11-29 1998-06-16 Senju Pharmaceut Co Ltd 角膜治療用組成物
DE10133870A1 (de) * 2001-07-12 2003-02-06 Chris P Lohmann Ophthalmisches Mittel, Verwendung von EGF zur Behandlung von Dry Eye-Syndrom und Insert zur Verabreichung von EGF am Auge
AU2004229291A1 (en) * 2003-04-18 2004-10-28 Advanced Medicine Research Institute Remedies for diseases to be applied to eye
US20060111318A1 (en) * 2003-04-18 2006-05-25 Advanced Medicine Research Institute Agent for treating eye diseases
JP2006137678A (ja) * 2004-11-10 2006-06-01 Shionogi & Co Ltd インターロイキン−2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67035B1 (en) * 1986-07-08 1996-02-21 Genetics Inst Production and use of non-glycosylated IL-6
JP2676341B2 (ja) * 1986-12-18 1997-11-12 味の素株式会社 B細胞分化因子の製造法
EP0585957A1 (en) * 1986-08-06 1994-03-09 Ajinomoto Co., Inc. Recombinant B-cell differentiation factor
JP2583248B2 (ja) * 1987-05-13 1997-02-19 味の素株式会社 免疫療法剤
EP0356180A1 (en) * 1988-08-26 1990-02-28 Schering Corporation Treatment of myeloid leukemias by inducing terminal differentiation with interleukin-6
JPH037585A (ja) * 1989-01-20 1991-01-14 Univ Yale 光活性オリゴヌクレオチドによる遺伝子発現の選択的阻害
JP2930362B2 (ja) * 1990-04-09 1999-08-03 東ソー株式会社 感作t細胞関与疾患の治療剤
US5300292A (en) * 1991-05-03 1994-04-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inflammation
JP3007585U (ja) 1994-05-13 1995-02-21 株式会社横浜プラスチック 気密性をよくした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7223A1 (en) 1993-06-23
DE69122764D1 (de) 1996-11-21
EP0547223A4 (en) 1993-10-13
US5433944A (en) 1995-07-18
WO1992004041A1 (en) 1992-03-19
KR930702015A (ko) 1993-09-08
EP0547223B1 (en) 1996-10-16
DE69122764T2 (de) 1997-03-20
JP2534176B2 (ja) 1996-09-11
DK0547223T3 (da) 199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1529B1 (en) Method of promoting mucosal hydration with certain uridine, adenine and cytidine diphosphates and analogs thereof
Geerling et al. Toxicity of natural tear substitutes in a fully defined culture model of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EP0551848B1 (en) Ophthal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N-acetyl-cysteine and polyvinylalcohol
DE69935720T2 (de) Diamino-propanol-verbindungen zur behandlung von ischaemien
JP3058920B2 (ja) アルブミン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組成物
WO2000051619A1 (en) Mucin containing ophthalmic preparations
US10010586B2 (en) Method of treating intraocular tissue pathologies with nerve growth factor
US6429194B1 (en) Mucin containing ophthalmic preparation
EP1912707B1 (en)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mucoadhesive polysaccharides for the promotion of corneal re-epithelization
US5652209A (en) Use of secretory products of human lacrimal gland acinar epithelia for tear replacement therapy
EP0579830A1 (en) Therapeutic agent for corneal lesion
KR960002739B1 (ko) 각막 장해 치료제
EP3413868B1 (en) Ophthalmic composition for the use in the treatment of eye disorders related to alterations of the corneal conjunctival surface
US2007018501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conjunctival goblet cells
Fukuda et al. Detection of interleukin-1 β in the tear fluid of patients with corneal disease with or without conjunctival involvement
Hassell et al. Increased biosynthesis of specific glycoconjugates in rat corneal epithelium following treatment with vitamin A.
AU6493199A (en) Use of substances with oxytocin activity in order to create stimulate cell regeneration
JPH0723317B2 (ja) 角膜上皮層障害症治療剤
EA002920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тизоксанида и нитазоксанида
EP0211020A1 (en) OPHTHALMIC GEL PREPAR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EYE INFECTION.
Walter et al. Characterization of a chemotactic defect in patients with Kartagener syndrome
US6274160B1 (en) Methods of use of histamine H2 agonists in treating dry eye
US8207119B2 (en) Ophthalmological composition
JPS63301818A (ja) 白内障治療剤
EP1142585A1 (en) Remedies for corneal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