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330Y1 -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 Google Patents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30Y1
KR960002330Y1 KR2019940005843U KR19940005843U KR960002330Y1 KR 960002330 Y1 KR960002330 Y1 KR 960002330Y1 KR 2019940005843 U KR2019940005843 U KR 2019940005843U KR 19940005843 U KR19940005843 U KR 19940005843U KR 960002330 Y1 KR960002330 Y1 KR 960002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oreign matter
case
clothes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687U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2019940005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330Y1/ko
Publication of KR950026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8Pads or the like for clean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53Clothes brush, i.e. brushes specifically designed for cleaning clot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이물질 제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이물질 유입공
13 : 이물질 배출방지벽 14 : 집수홈
20 : 덮개 21 : 옷솔
30 : 브러쉬 31 : 철심
32 : 가이드롤러
본 고안은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로는 옷솔을 형성하고 케이스 중앙부로 형성된 이물질 유입공내에는 하나의 무동력 회전브러쉬를 축착하여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등을 간편하게 흡입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간단화한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소제구로서는, 두개의 브러쉬를 전지수단에 의해 스위치 조작으로 회전시켜 양복지, 깔개등에 묻은 먼지등을 제거하기 위한 전지브러쉬가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42-21168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또한 레버조작으로 하나 또는 두개의 접착성 고무로울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고무로울러에 묻은 각종 티끌등을 이와 동시에 지지편에 지지된 기어수단으로 맞물려 회전되는 또다른 브러쉬가 집수홈내로 탈거시키도록 한 소제구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4558호에 각각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제구에 있어서 먼저 전자의 경우는, 별도의 전지수단을 이용하여 한조의 브러쉬가 회전되고 또한 한조의 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조의 기어구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브러쉬를 전지동력으로 간편하게 회전조작시켜 먼지등을 집진판내로 흡수 제거하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반드시 전지의 동력수단이 요구되기 때문에 건전지를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과 이의 구입에 따른 사용자의 경제적 손실이 초래됨은 물론 이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소제구 구조가 당연히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복잡성에 의해 조립공정 및 부품수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제품단가가 고가인 것이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상기한 전자에 있어서 전지수단의 이용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감안한 것으로서 하나 또는 두개의 접착성 고무로울러의 일단으로 주동기어를 설치하고, 또한 접착성 고무로울러에 묻은 티끌을 탈거시키도록 하는 브러쉬를 지지편에 별도로 설치하되 이의 일단으로는 연결기어와 맞물리는 또다른 종동기어를 축착하여 접착성 고무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티끌 탈거브러쉬가 회전하면서 소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어서 결국 전자의 소제구와 마찬가지로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고 용이한 소제를 위해 접착성 고무로울러와, 브러쉬가 이중으로 필요로 하며, 고무로울러의 접착성이 장기간 사용에 따라 약해지거나 또는 고무로울러에 묻는 티끌을 탈거브러쉬가 제대로 분리시켜주지 않을 경우에는 확실한 티끌의 소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어서 구조의 복잡성 및 그로인한 조립공정 또는 부품의 증가요인으로 인해 제품단가가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청소기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옷솔의 기능을 하면서도 단순히 하나만의 브러쉬가 무동력으로 회전되면서 각종 이물질등의 제거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2중기능을 갖는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의 특징은 이물질 배출방지벽에 의해 내부양측으로 집수홈이 구비된 케이스의 이물질 유입으로는 하나의 브러쉬를 축착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복개되는 덮개로는 옷솔을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청소기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인 바, 합성수지재의 휴대용 청소기(1)는 케이스(10)와 덮개(20)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그 형태는 대략 장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덮개의 상부면 중앙으로는 일측면으로 밀면 옷의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되고 반대면으로 쓸면 자체에 묻은 먼지등이 떨어져 제거되도록 구성된 옷솔이 마련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된 청소기의 구성을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즉, 케이스(10)의 바닥면(10a) 중앙부로는 이물질 유입공(1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물질 유입공(11)의 주변으로는 한쌍의 고정편(12)과 상기 고정편(12)의 반대편으로는 약간 높이가 낮은 상태로 이물질 배출방지벽(13)이 각각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배출방지벽(13)에 의해 일정공간의 집수홈(14)이 케이스(10)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 유입공(11) 내에는 2가닥의 철심(31)의 꼬임에 의해 균등하게 고정되어지고 양측단이 가이드롤러(32)로 고정되어진 하나의 브러쉬(30)가 설치되는 바, 바닥면(10a)의 하방으로 약간돌출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삽설되어지는 것이며, 이때 철심(31)의 양측단에 끼워고정된 지지구(33)가 고정편(12)에 상호 결합되어져 브러쉬(30)는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러쉬(30)는 물론 동축상의 가이드롤러(32) 또한 케이스(l0) 바닥면(10a)보다는 더 돌출되어지는 것이며, 브러쉬(30)와 가이드롤러(32)는 이물질 유입공(11)내에서 회전되게 설치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3도와 같이 덮개(20)를 케이스(10)에 닫은 상태에서 휴대용 청소기(1)를 사용자가 잡고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면(40)에 바닥면(10a)을 대고, 좌.우로 이동시켜주면 가이드롤러(32)가 상기 이물질 제거부위면(40)과 밀착 회전하면서 동축상의 브러쉬(30)를 좌.우 양방향으로 번갈아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브러쉬(30)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 제거부위(40)에 침투되어 있던 먼지나 각종 이물질은 마찰에 의해 일어나게 되고 브러쉬(30)의 회전 흡착력에 의해 일어난 먼지나 이물질이 이물질 유입공(11)을 통해 케이스(10)내로 유입되어저 집수홈(14)내로 모여지게 되는 것이며, 모여진 각종 이물질은 배출방지벽(13)에 의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청소기(1)의 사용시 좌 또는 우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브러쉬(3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이물질 유입공(11)을 통해 인입되어진 각종 이물질은 집수홈(14)내에 더욱 용이하게 모여질 수 있는 것이며, 이물질 제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부의 덮개(20)를 제거하고 집수홈(14)내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다시 덮개(20)를 닫고 사용하면 되는 것이어서 계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덮개(20)에 옷솔(21)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이용 어디에서든지 의복에 묻어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간편 용이하게 제거 사용할 수 있는 잇점 또한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옷솔의 기능은 물론 무동력으로 간편하게 브러쉬(30)를 회전시켜주는 동작에 의해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에 적합하도록 소형으로 제작하여 줌으로써 누구나가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기업의 기획상품으로도 매우 적합한 잇점을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이물질 배출방지벽(13)에 의해 내부양측으로 집수홈(14)이 구비된 케이스(10)의 이물질 유입공(11)으로는 양단으로 가이드로울러(32)가 구비된 하나의 브러쉬(30)를 축착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복개되는 덮개(20)로는 옷솔(2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KR2019940005843U 1994-03-23 1994-03-23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KR960002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843U KR960002330Y1 (ko) 1994-03-23 1994-03-23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843U KR960002330Y1 (ko) 1994-03-23 1994-03-23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87U KR950026687U (ko) 1995-10-16
KR960002330Y1 true KR960002330Y1 (ko) 1996-03-20

Family

ID=1937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843U KR960002330Y1 (ko) 1994-03-23 1994-03-23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3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87U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5119A1 (en) Automatic cleaning storage base for electric mop
CN113455973B (zh) 清洁设备
DE3880786T2 (de) Abziehvorrichtung fuer boden- und oberflaechenreinigungsmaschinen.
CN212630681U (zh) 清洁设备
CN113069050A (zh) 地刷及清洗机
KR960002330Y1 (ko) 옷솔겸용 간이 소제구
KR20180109261A (ko) 진공 청소기용 헤드
US5797410A (en) Clear view wash shield
CN211408815U (zh) 一种背部专用搓背装置
KR100660798B1 (ko) 정전기 브러쉬용 정전기 발생 및 집진홀더
CN2347989Y (zh) 电动洗衣领袖机
US3518711A (en) Clothes brush
KR960008425Y1 (ko) 싱크대 착탈용 식기 세척기
CN219984226U (zh) 一种便于清洗的空气净化器滤芯
KR970010414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CN113455974B (zh) 清洁设备
KR960013383B1 (ko) 휴대용 전동식 때밀이기
CN209978322U (zh) 一种空气净化器的前壳
CN213962228U (zh) 螺旋刷片式刷辊
KR20050088746A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CN2312015Y (zh) 清扫机
KR200393884Y1 (ko) 정전기 브러쉬용 정전기 발생 및 집진홀더
KR950008098B1 (ko) 볼링공 세척장치
JPS6013049Y2 (ja) 電動式レコ−ドクリ−ナ−
JPH0630864A (ja) 電気掃除機の吸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