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234Y1 - 크레인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234Y1
KR960002234Y1 KR2019930007974U KR930007974U KR960002234Y1 KR 960002234 Y1 KR960002234 Y1 KR 960002234Y1 KR 2019930007974 U KR2019930007974 U KR 2019930007974U KR 930007974 U KR930007974 U KR 930007974U KR 960002234 Y1 KR960002234 Y1 KR 960002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rane
outer cylinder
worm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781U (ko
Inventor
손천근
Original Assignee
인목개발 주식회사
강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목개발 주식회사, 강장훈 filed Critical 인목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7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234Y1/ko
Publication of KR940026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with frameworks composed of telescop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레인 승강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2도의 (a)(b)(c)는 본고안의 승강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인 110 : 선회부
2 : 승강지주 200 : 토크부재
3 : 외통 300 : 토크부재
4 : 나사측 5 : 구동부
500 : 모터 510 : 워엄
520 : 워엄휠 521 : 내경나사
본고안은 크레인 승강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크레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블럭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적층할 수 있도록한 크레인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건물을 지을때 건물높이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해가며 건축자재등을 운반해주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크레인 승강장치는 대부분이 유압식으로 작동되었다. 이는 블럭과 크레인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필요시 실린더를 작동시켜 크레인을 상승시킨뒤, 블럭과 크레인사이에 다른 블럭을 개재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크레인 승강에 따른 유압장치등이 수반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였다.
한편 크레인 승강장치의 다른 예로서 크레인을 승강시킬때 상기 크레인을 블럭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자리에 다른 블럭을 올려놓은 다음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장치가 있으나, 이역시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장치가 필요하여 전체적인 승강장치 구성이 복합한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레인 승강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한 크레인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상단은 크레인 선회부와 고정하고 하단은 블럭과 체결되는 로크부재를 형성한 승강지주와, 상기 승강지주 내측에 위치하고 하단은 블럭과 체결되는 로크부재를 형성한 외통과, 상기 외통내에 끼워지고 상단이 선회부에 고정되는 나사측과, 상기 외통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나사측에 치합되는 내경나사를 갖는 워엄휠과 모터로 구성되는 워엄등을 구비한 구동장치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로서,
크레인(1)을 조정하는 운전실(100)과,
운전실(100)을 선회시키는 선회부(110)와,
상기 선회부(11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단위블럭(120)과로 구성된 상태에서 본고안은, 상단은 상기 선회부(110)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블럭(120)의 사방모서리에 체결고정되도록 블럭(l20)의 사방 모서리에 배치된 승강지주(2)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지주(2)의 상단과 제일상부블럭(120)과의 사이가 일정거리 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승강지주(2)하단과 블럭(120)을 체결하기 위해 승강지주(2)하단에 로크부재(200)를 형성하여 로크부재(200)를 블럭(120) 사방모서리에 괘, 해정한다.
또한 하단에 상기 상부블럭(120)과 체결되는 로크부재(200)를 마련한 중공상의 외통(3)을 상기 승강지주(2)내측에 설치한다.
한편 상기 외통(3)내에 승강가능토록 끼워지고 상단이 상기 선회부(110)에 고정되는 나사측(4)을 마련한다.
또한 상기 나사측(4)과 치합되는 내경나사(521)를 갖는 워엄휠(520)과 워엄 휠(520)과 치합되는 워엄(510) 및 상기 워엄(510)을 구동시키는 모터(500)등을 구비하는 구동부(5)를 상기 외통(3)의 상단에 고정설치한다.
상기 외통(3)하단의 로크부재(300)의 실시예로는 외통(3) 하단에 플랜지(310)를 형성하고, 이플랜지(310)와 블럭(120)상부를 볼트(320)로 체결한다.
제4도는 상기 승강지주(2)의 로크부재(200) 실시예로서, 블럭(120)을 구성하는 파이프(121)와 승강지주(2)를 클램프(2l0)로 결합한 다음 볼트(220)로 체결한다.
이때 클램프(210)는 힌지(211)를 중심으로 개폐된다. 미실명부호, 131은 외통(3)과 구동부(5)를 결합하는 볼트, 132는 나사축(4)과 선회부(110)를 결합하는 볼트, 111, 112, 113은 선회부(110)를 구동시키는 워엄과 워엄힐 및 선회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고안의 크레인 승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1)의 상승시 승강지주(2)하단의 로크부재(200)를 풀어 승강지주(2) 하단과 블럭(l20)을 분리시킨다.
그런다음 구동부(5)의 모터(500)를 정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워엄(510)과 워엄휠(520)을 통하여 나사축(4)에 전달한다.
이때 나사축(4)이 워엄휠(520)의 내경나사(521)로 인하여 상부로 상승하고 그에 따라 승강지주(2) 및 선회부(110)등이 제2도 (b)에서처럼 상승된다.
한편 승강지주(2)와 선회부(110)등을 블럭(120)한개 높이만큼 상승시킨다음 승강지주(2)의 로크부재(200)를 블럭(120)에 체결한다.
그리고 외통(3)하단의 로크부재(300)를 풀어 외통(3) 하단이 블럭(120)에서 분리되게 한뒤 모터(500)를 역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워엄(5l0)과 워엄휠(520)을 통하여 나사축(4)에 전달한다.
이때 나사축(4)이 결합된 승강지주(2)는 블럭(120)에 고정되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5)와 외통(3)이 상승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5)와 외통(3)을 블럭(120)한개 높이만큼 상승시켜 제2도 (c)에서와 같이 한다음 크레인(1)으로 준비된 다른 블럭(120)을 끌어올려 외통(3) 하단과 제일상부블럭(120)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설치된 블럭(120)을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가상선으로 도시한 블럭(120)을 제일상부블럭(120)과 통상의 방법으로 체결하고 난뒤 외통(3) 하단의 로크부재(300)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블럭(120)에 체결하면 크레인(1)의 상승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승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크레인을 소망하는 위치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한편 상승된 크레인을 하강시킬때에는 상승작업과 역순으로 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크레인 승강장치를 만들 수 있기때문에 승강작업이 편리해지고 승강장치 제작비가 저렴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회부와 블럭사이에 다른 블럭을 적층하는 크레인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단은상기 선회부와 고정하고 하단은 블럭과 체결하는 로크부재를 형성한 승강지주와, 상기 승강지주 내측에 위치하고 하단은 블럭과 체결되는 로크부재를 형성한 외통과, 상기 외통내에 끼워지고 상단이 선회부에 고정되는 나사측과, 상기 외통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나사측에 치합되는 내경나사를 갖는 워엄어휠과 모터로 구동되는 워엄등을 구비한 구동부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승강장치.
KR2019930007974U 1993-05-13 1993-05-13 크레인 승강장치 KR960002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974U KR960002234Y1 (ko) 1993-05-13 1993-05-13 크레인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974U KR960002234Y1 (ko) 1993-05-13 1993-05-13 크레인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781U KR940026781U (ko) 1994-12-09
KR960002234Y1 true KR960002234Y1 (ko) 1996-03-18

Family

ID=1935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974U KR960002234Y1 (ko) 1993-05-13 1993-05-13 크레인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2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781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2674A (en) Lifting apparatus
KR960002234Y1 (ko) 크레인 승강장치
CN214399582U (zh) 一种工程加固施工用吊装装置
CN208932922U (zh)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CN108928783A (zh)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CA2170940C (en) Screw jack
CN2316435Y (zh) 防风防爆铁卷门
KR100197299B1 (ko) 주차장치
JP2721144B2 (ja) 鋼管類圧入引抜き装置
CN212002548U (zh) 一种停车机械升降平台锁
JPH04128472A (ja) 建築工事用ジャッキ
KR970002839Y1 (ko) 철재 거푸집이 부착된 외벽 작업용 대형 형틀
CN207482823U (zh) 一种紧固件生产用钢筋卷的移载装置
CN219451642U (zh) 一种具有防止倾覆功能的交通指挥装置
CN212609197U (zh) 塔式起重机回转安全结构
CN212053942U (zh) 可在强风期间作业的移动式工棚
CN214059565U (zh) 一种浅底坑电梯的止停装置
AU603797B2 (en) A pole construction
JPS6438400A (en) Hydraulic jack
CN107310450A (zh) 防倾翻的自卸车
JP3422756B2 (ja) チェーンゲート
KR950002929Y1 (ko) 파이프용 천공기
CN2199241Y (zh) 井盖开启翻转定位合页
JPS6348637Y2 (ko)
KR870001996Y1 (ko) 포크레인을 가진 덤프트럭에 있어서 포크레인 회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