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737A -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737A
KR960001737A KR1019940014139A KR19940014139A KR960001737A KR 960001737 A KR960001737 A KR 960001737A KR 1019940014139 A KR1019940014139 A KR 1019940014139A KR 19940014139 A KR19940014139 A KR 19940014139A KR 960001737 A KR960001737 A KR 96000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light source
receiving means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0816B1 (ko
Inventor
최윤준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16B1/ko
Publication of KR96000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the indication being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surface of a liquid relative to its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에 관한 것으로, 수평균형 검출을 위한 광비임을 조사하는 광원(10)과, 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비임에 대해 수평균형의 어긋남정도에 대응하는 굴절현상을 위한 액상물질(20), 이 액상물질(20)에 의해 굴절되는 광비임을 수광수단(40)에 집광되도록 하는 렌즈(30), 상기 광원(10)과 액상물질(20), 렌즈(30) 및 수광수단(4)을 수용하는 하우징(50) 및,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광비임이 수광수단(40)의 수광센서의 전달되는 각도를 연산하여 수평균형의 어긋남 정도를 산출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광수단(40)은 1차원 또는 2차원 CCD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10)에서 발사된 광비임이 상기 1차원 또는 2차원 CCD어레이상에 수광되는 위치를 기초로 수평균형의 기울어짐을 측정/표시하여 제품 또는 기기의 수평방향의 기울어진 정도를 가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탈수평계의 제어수단의 기능블럭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 (a)와 (b)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의 수평균형검출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Claims (8)

  1. 수평균형 측정대상의 수평방향의 기울어진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비임을 조사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비임에 대해 수평균형의 어긋남정도에 대응하는 굴절현상을 일으키는 액상물질(20), 상기 액상물질(20)에 의해 굴절되는 광비임을 1차원 수광소자어레이로 구성된 수광수단(40)에 집광되도록 하는 렌즈수단(30), 상기 광원(10)과 액상물질(20), 렌즈수단(30) 및 수광수단(40)을 수용하는 하우징수단(50) 및,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광비임이 수광수단(40)에 전달되는 각도를 연산하여 수평균형의 기울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광원(50)을 액밀(液密)수납하기 위한 구획판(52)에 의해 구획된 광원수납공간(51)과 그 구획판(52)의 상측에 액상물질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액상물질수납공간(51)의 상측에 상기 렌즈수단(3) 및 상기 수광수단(4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내측면은 산란광의 흡수를 위해 암화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수납공간(51)을 정의하는 구획판(52)에서 그 중앙부분에는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돈 광비임이 통과되는 핀홀(53)이 형성되고, 그 핀홀(53)을 중심으로 상기 구획판(52)의 상측에는 그 핀홀(53)이 통과하는 광비임이 상기 수광수단(4)에 전달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액상물질(20)이 상기 광원수납공간(51)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액밀접착된 투명한 윈도우(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40)의 수광소자는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비임이 수광하는 1차원 CCD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광원(10)의 광비임조사동작을 구동하는 광원구동부(61)와, 상기 수광수단(40)을 구성하는 1차원 CCD어레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구동하는 수광수단구동부(62), 상기 수광수단(40)의 1차원 CCD어레이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최대진폭의 수광신호를 얻는 신호처리부(63), 그 신호처리부(63)에서 처리된 최대진폭신호가 얻어진 상기 수광수단(4)의 1차원 CCD어레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64), 상기 광원구동부(61)에 의한 광원(10)의 구동제어와 상기 수광수단구동부(62)에 의한 상기 수광수단(40)의 제어 및 상기 위치검출부(64)에서 검출되는 레이저비임의 위치에 수광위치에의한 기울어짐 정도를 연산하여 수평균형의 어긋남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65), 상기 수광수단(40)과 신호처리부(63) 및 위치검출부(64)에 타이밍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회로수단(66), 상기 제어부(65)에서 제공되는 수평균형 어긋남정도를 표시장치(68)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구동부(67)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7. 수평균형 측정대상의 수평방향의 기울어진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비임을 조사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비임에 대해 수평균형의 어긋남정도에 대응하는 굴절현상을 일으키는 액상물질(20), 상기 액상물질(20)에 의해 굴절되는 광비임을 집광시키는 렌즈수단(30), 상기 렌즈수단(30)에 의해 집광된 광비임을 수광하는 매트릭스형상의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수광수단(40), 상기 광원(10)과 액상물질(20), 렌즈수단(30) 및 수광수단(40)를 수용하는 하우징수단(50) 및, 상기 광원(10)에서 조사된 광비임이 상기 수광수단(40)의 2차원수광수단에 전달되는 각도를 연산하여 수평균형의 어긋남 정도를 산출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40)의 매트릭스형상의 수광소자는 2차원 CCD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4139A 1994-06-22 1994-06-22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KR015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139A KR0150816B1 (ko) 1994-06-22 1994-06-22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139A KR0150816B1 (ko) 1994-06-22 1994-06-22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737A true KR960001737A (ko) 1996-01-25
KR0150816B1 KR0150816B1 (ko) 1998-12-01

Family

ID=193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139A KR0150816B1 (ko) 1994-06-22 1994-06-22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8155A (zh) * 2021-12-29 2022-03-29 安徽池州伟舜机电有限公司 一种小型五轴数控机床及其运动监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13B1 (ko) * 2012-12-18 2014-04-10 주식회사 에스원 물질의 비중과 광원을 이용한 디지털 수평계
KR101880355B1 (ko) * 2016-03-24 2018-07-19 유태경 모션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8155A (zh) * 2021-12-29 2022-03-29 安徽池州伟舜机电有限公司 一种小型五轴数控机床及其运动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0816B1 (ko) 199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8912343D1 (de) Optisches biosensorsystem.
KR970067035A (ko) 차량의 위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및 그를 위한 감지 기구
KR970075842A (ko) 광학 위치 센서
DE69227397D1 (de)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EP0360126A3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optischen Rauchmelders sowie Rauchmeld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761818A (en) Digital inclinometer
ES2103965T3 (es) Sensor optico.
KR920020304A (ko) 컴퓨터용 무선입력장치
KR100786397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면적 센서 시스템
KR960001737A (ko)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KR850004816A (ko) 화상 입력 장치
SE0004702L (sv) Sätt och anordning för testning med ultraljudlaser
KR870005235A (ko) 표면 프로필을 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1383913B1 (ko) 물질의 비중과 광원을 이용한 디지털 수평계
JP3510215B2 (ja) 傾斜角度検出装置および1次元測定方向の傾斜角度測定方法
KR950033429A (ko)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JP2003307448A (ja) 境界位置検出装置および境界位置検出方法
KR960001738A (ko) 광학계를 이용한 디지탈수평계
KR20180009376A (ko) 레이저광을 이용한 수위감지 시스템
US3409780A (en) Radiation sensitive method and means for the determination of areas
JP2722247B2 (ja) 測定装置
JPH09222309A (ja) 凹凸状物形状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992943B2 (ja) 微小傾斜角検出装置
JP2789414B2 (ja) 微小傾斜角検出装置
GB2070879A (en) Range fin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