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661Y1 - 증기다리미 - Google Patents
증기다리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1661Y1 KR960001661Y1 KR2019910016707U KR910016707U KR960001661Y1 KR 960001661 Y1 KR960001661 Y1 KR 960001661Y1 KR 2019910016707 U KR2019910016707 U KR 2019910016707U KR 910016707 U KR910016707 U KR 910016707U KR 960001661 Y1 KR960001661 Y1 KR 9600016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air
- iron
- supply pipe
- control val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증기다리미의 일부를 절단한 전체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의 다리미 본체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의 다리미 본체의 평면도이다.
제4도 (a)는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의 저면도, (b)는 증기다리미의 바닥의 취출공의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의 증기조절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증기다리미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다리미 본체 13 : 증기실
14 : 취출부 15 : 취출공
16 : 유체공급관 18 : 증기공급파이프
19 : 증기조절밸브 19B : 증기조절밸브의 입부
19C : 증기조절밸브의 출부 20A : 증기취입관
20B : 연결관 22 : 증기조절레버
28 : 손잡이 32 : 공기공급파이프
33 : 공기조절밸브
본 고안은, 예컨대, 주로 봉제공장이나 세탁소 등에서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증기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 종래의 증기다리미의 한 예(일본국 실개평1-157700호 공보)를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참조부호 (1)은 다리미 본체이고 그 상부에는 손잡이(2)가 부착되며, 또, 바닥(1A)의 소정의 위치에는 다수의 취출공(도시되지 않음)으로 된 취출부(4)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부(4)와 연통하는 유체공급관(5)은 다리미 본체(1)의 위 쪽으로 개구(開口)하고 이 개구부 근처에는 조절레버(6)가 설치된다. 상기한 유체공급관(5)의 개구부에는 밸브장치의 한 예인 삼방(三方)밸브(7)의 유출구(7A)가 접속되며, 그리고, 제1유입구(7B)에 증기공급파이프(8)를 접속함과 아울러, 제2유입구(7C)에 공기공급파이프(9)를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2) 근처에 설치되는 전환레버(10)에 의해 삼방밸브(7)를 전환하므로써, 증기공급파이프(8)와 공기공급파이프(9)를 유체공급관(5)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한 증기공급파이프(8)는 증기발생 보일러 등의 증기공급장치에 접속되고, 또, 공기공급파이프(9)는 에어콤프레서 등의 공기공급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항 증기다리미를 사용하는 다림질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먼저, 다림질판에 다림질할 천이나 의류 등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손잡이(2) 뒤 쪽의 전환레버(10)를 전환하여 증기공급파이프(8)를 유체공급관(5)에 연통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증기공급파이프(8)에 공급되고 있는 증기는 삼방밸브(7)의 제1유입구(7B)로부터 유출구(7A)로 흐르고, 그리고, 유체공급관(5) 내를 흐른 뒤, 취출부(4)의 취출공에서 아래 쪽으로 취출된다. 그때에 손잡이(2) 아래 쪽의 조절레버(6)를 조작하여 증기의 취출량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림질을 행하며, 그리고, 필요한 다림질을 실시한 후, 전환레버(10)를 역방향으로 전환하므로써 공기공급파이프(9)를 유체공급관(5)에 연통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공급파이프(9)에 공급되고 있는 공기가 삼방밸브(7)의 제2유입구(7C)로부터 유출구(7A)로 흐르며, 그리고, 유체공급관(5) 내를 흐른 뒤, 취출부(4)의 취출공에서 아래 쪽으로 취출된다. 이 취출량도 조절레버(6)로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리미를 이동시키면, 다림질했을 때에 공급된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천의 부분에 공기가 접촉하게 되며, 이 공기가 증기를 동반하여 날라가 버리므로써, 천에 포함되어 있던 증기가 급속히 빠지면서 천은 건조된다. 상기와 같은 다림질의 경우, 천이 특별히 두껍지 않을 때에는 다림질판의 흡입작용은 필요없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전환레버(10)를 손잡이(2) 뒤 쪽에 설치함과 아울러, 조절레버(6)를 손잡이(2)의 하부에 설치하고, 양 레버(10),(6)를 조작하므로써, 공기 및 증기를 유체공급관(5)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취출량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증기다리미는, 유체공급관(5)을 공통으로 이용하여, 증기와 공기의 전환을 삼방밸브(7)만으로 전환하게 되므로, 증기와 공기의 전환이 완전하게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레버(10)를 조작하여 증기를 취출부(4)에서 취출할 때에 공기가 혼합되며, 반대로, 공기를 취출부(4)에서 취출할 때에 증기가 혼합되어 공기와 증기의 전환상태가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증기와 공기의 전환을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공기와 증기의 전환상태가 좋은 증기다리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는, 다리미 본체의 바닥에 증기와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부를 형성하고, 이 취출부에 공기조절밸브를 개재하여 공기공급파이프를 접속함과 아울러, 증기조절밸브를 개재하여 증기공급파이프를 접속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 다리미 본체에 증기실을 설치하고, 이 증기실에 다리미 본체 외부의 증기공급파이프를 연결하며, 또, 공기 조절밸브의 입구를 증기실과 연결하며, 증기조절밸브의 출구를 연결관을 개재하여 취출부와 연통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또, 다리미 본체 상부의 손잡이 내에 공기조절밸브 또는 증기조절밸브중의 어느 한 쪽을 설치하고 있다.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는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증기와 공기가 혼합하지 않고, 증기 또는 공기 중 어느 한 쪽을, 선택적으로 다리미 본체의 바닥의 취출부에서 취출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의 한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다리미 본체의 측면도, 제3도는 다리미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은 다리미 본체이고, 이 다리미 본체(11)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저부실(低部室)(12)과 증기실(13)의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부실(12)의 저판(12A)의 상부의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취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부(14)에 있어서의 저판(12A)의 부분은 제4도(a)에 표시하듯이, 복수개의 취출공(15)이 형성되어서, 증기 및 공기가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도 (b)는 그 취출공(15)의 단면도이고, 공기나 증기가 확산되도록 구멍(15)의 끝쪽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단, 이 취출공(15)은 이러한 형상의 구멍(15)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슬리트, 또는, 단순한 구멍이라도 좋다.
또, 취출부(14)의 상부에는 유체공급관(16)의 하단이 부착되어 있다. 이 유체공급관(16)은 상부가 증기실(13)을 관통하여 다리미 본체(11)의 상부로부터 돌출하고, 앞 쪽을 향해 ㄱ 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대략 중간부분에, 후술하는 도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부(16A)가 설치되어 있다.
증기실(13)의 후단벽(13A)에는 증기공급파이프(18)의 선단부를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연결부(170가 설치되며, 증기공급파이프(18)로부터의 증기가 증기실(13)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표시하듯이, 증기실(13)의 상판(13B)이 후부 한 쪽에 원형의 부착공(13C)이 형성되며, 이 부착공(13C)에, 제5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증기조절밸브(19)가 부착되어 있다. 이 증기조절밸브(19)의 증기실(13) 내로 돌출하는 밸브케이스(19A)의 측벽에 증기의 입구(19B)와 증기의 출구(19C)가 설치되고, 입구(19B)에는 L자형의 증기취입관(20A)이 부착되며, 출구(19C)에는 연결관(20B)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관(20B)의 선단부는 유체공급관(16)의 중간쯤의 연결부(16A)와 연결되어 있다. 단, 연결관(20B)은 반드시 연결부(16A)와 연결시킬 필요는 없고, 유체공급관(16)의 연결부(16A)를 없애고, 연결관(20B)을 증기취출부(14)의 상부에 직접 부착해도 좋다.
또, 증기취입관(20A)의 L자 형의 선단부는 증기실(13)의 상판(13B)에 나사로 체결된 캡(24)의 내부로 돌출하고 있다. 또, 캡(21)을 투명한 캡으로 하므로써, 다리미 본체(11) 내의 녹의 상태를 볼 수 있다.
밸브케이스(19A)의 입구(19B)와 출구(19C)는 밸브통로(19D)로 연결되며, 이 밸브통로(19D)를 밸브케이스(19A)내에 설치된 밸브체(19E)로 개폐하므로써, 증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체(19E)는 평상시에는 스프링(19F)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려 있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19F)의 누르는 힘에 대항해서 밸브체(19E)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밸브통로(19D)가 열려서, 밸브가 개방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케이스(19A)의 상부에는, 증기조절레버(22)와 조절노브(19J)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19G)가 설치되어 있다. 증기조절레버(22)의 선단부에는 레버버튼(22A)이 부착되며, 그 후단부는 부착부재(19G)의 지지막대(19H)에 축받침되어 있다. 지지막대(19H)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증기조절레버(22)의 후단부의 돌출부(22B)는, 증기조절레버(22)의 레버버튼(22A)을 하방으로 밀어내림에 의해, 지지막대(19H)에 축받침되는 부분을 지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오르고, 밸브체(19E) 상부의 핀(19I)을 밀어 올림으로써 밸브체(19E)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밸브의 개방상태로 한다. 증기조절레버(22)의 레버버튼(22A)을 밀어내리는 정도에 의해, 증기의 유량이 조절된다. 조절노브(19J)는 밸브체(19E)의 상한을 조절하여, 최대의 증기량을 결정한다.
참조부호 (24)는 밸브시이트에 설치된 패킹이고, (25)는 증기가 증기조절밸브(19)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다.
저부실(12)의 후단부 중앙에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손잡이 부착용 나사구멍(26)이 형성되며, 이 나사구멍에 손잡이 부착막대(27)의 하단을 세워서 설치하여 부착하므로써 다리미 본체(11)에 손잡이(28)를 부착하고 있다. 또, 제3도의 (29)는 열센서 삽입구멍, (30)은 증기실(13)의 저부실(12)에 부착하는 지주파이프, (31)은 유체공급관(16)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손잡이(28)의 내부에는 공기공급파이프(32)가 설치되며, 공기공급파이프(32)의 선단부는 손잡이(28)의 선단부에 설치된 공기조절밸브(32)의 후단 입구(33A)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조절밸브(33)의 선단 출구(33B)와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유체공급관(16)의 선단부가 호스(34)에 의해서 연통되고 있다. 공기조절밸브(33)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함과 동시에,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주지의 밸브이며, (33C)는 그 조절버튼이다.
증기공급파이프(18)는 증기발생 보일러 등의 증기공급장치에 연결되고, 또, 공기공급파이프(32)는 에어콤프레셔 등의 공기공급장치(모두 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증기다리미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다림질판에 다림질할 천이나 의류 등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공기조절밸브(33)를 닫힌 상태로 하고, 증기조절레버(22)의 레버버튼(22A)을 밀어내려 증기조절밸브(19)를 열면, 제1도의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증기실(13)의 내부로 안내된 증기는 증기취입관(20A)으로 유입하여 증기조절밸브(19)의 입구(19B)에 도달하고, 밸브통로(19D), 출구(19C)를 거쳐서 연결관(20B) 내에 도달하며, 유체공급관(16) 내를 흐른 뒤, 취출부(14)의 취출공(15)에서 하방으로 취출된다. 그때에, 레버버튼(22A)의 밀어내리는 정도를 조절하므로써 증기의 취출량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림질을 하며, 소망의 다림질을 한 후, 레버버튼(22A)에서 손가락을 떼면, 증기조절 밸브(19)의 스프링(19F)의 스프링장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증기조절밸브(19)가 닫히고, 증기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공기조절밸브(33)의 조절버튼(33C)을 누름으로써 공기공급파이프(32)를 유체공급관(16)에 연통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공급파이프(32)에 공급되고있는 공기가 공기조절밸브(33)와 호스(34)를 거쳐서 유체공급관(16) 내를 흐른 뒤, 취출부(14)의 취출구멍(15)에서 하방으로 취출된다. 이 취출량도 조절버튼(33C)의 누르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리미를 이동시키면, 다림질했을 때에 공급된 증기를 함유한 천의 부분에 공기가 접촉하며, 이 공기가 증기를 동반하여 날라가므로, 천에 함유된 증기가 신속하게 빠지면서, 천은 건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파이프(32)에 공기조절밸브(33)를, 증기공급파이프(18)에 증기조절밸브(19)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유체공급관(16)을 개재하여 증기 및 공기를 취출부(14)의 취출공(15)에서 하방으로 취출하므로써, 증기와 공기가 혼합하지 않는 상태에서 다림질을 할 수 있다. 단, 증기와 공기가 혼합한 상태에서 다림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버튼(22A)과 조절버튼(33C)을 동시에 누르면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증기조절밸브(19)의 밸브케이스(19A)의 측벽에 증기의 입구(19B)와 증기의 출구(19C)가 설치되고, 입구에는 L자형의 증기취입관(20A)기 부착되며, 출구(19C)에는 연결관(20B)이 부착되어서, 증기취입관(20A)으로부터 증기실(13)의 증기가 유입하여 증기조절밸브(19)를 거쳐서 유체공급관(16)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리미 본체(11)의 후단벽(13A)의 연결부(17)에 직접 증기조절밸브(19)의 입구(19B)를 연결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공기조절밸브(33)를 손잡이(28)의 선단 내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공기조절밸브(33) 대신에, 손잡이(33)의 내부에 증기조절밸브(19)를 설치하고, 그 대신에 공기조절밸브(33)를 다리미 본체(11)에 설치하여도 좋다.
본 고안의 증기다리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파이프에 공기조절밸브를, 증기공급파이프에 증기조절밸브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증기 및 공기를 취출부의 취출공에서 하방으로 취출하므로써, 증기와 공기의 전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공기와 증기의 전환상태가 좋다.
Claims (3)
- 다리미 본체(11)의 바닥에 증기와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부(14)를 형성하고, 이 취출부(14)에 공기조절밸브(33)를 개재하여 공기공급파이프(32)를 연결하고, 또, 증기조절밸브(19)를 개재해서 증기공급파이프(18)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다리미.
- 제1항에 있어서, 다리미 본체(11)에 증기실(13)을 설치하고, 이 증기실(13)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공급파이프(18)를 접속함과 함께, 다리미 본체(11)에 증기조절밸브(19)를 설치하며, 이 증기조절밸브(19)의 입구(19B)를 증기실(13) 내에 위치시키며, 증기조절밸브(19)의 출구(19C)를 연결관(20B)을 개재하여 다리미 저부의 취출부(14)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다리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리미 본체(11) 상부의 손잡이(28)안에 공기조절밸브(33) 또는 증기조절밸브(19)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25141 | 1991-04-16 | ||
JP1991025141U JPH0711760Y2 (ja) | 1991-04-16 | 1991-04-16 | 蒸気アイロ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9684U KR920019684U (ko) | 1992-11-16 |
KR960001661Y1 true KR960001661Y1 (ko) | 1996-02-22 |
Family
ID=1215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6707U KR960001661Y1 (ko) | 1991-04-16 | 1991-10-10 | 증기다리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H0711760Y2 (ko) |
KR (1) | KR960001661Y1 (ko) |
CN (1) | CN106589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458001C (zh) * | 2006-01-04 | 2009-02-04 | 陈光焕 | 烫斗蒸汽一汽三用管道布置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47089Y2 (ja) * | 1979-06-29 | 1983-10-27 |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 土留支保板の接続構造 |
JPH0335280Y2 (ko) * | 1988-04-18 | 1991-07-25 |
-
1991
- 1991-04-16 JP JP1991025141U patent/JPH0711760Y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9-28 CN CN91109384A patent/CN1065891A/zh active Pending
- 1991-10-10 KR KR2019910016707U patent/KR9600016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5891A (zh) | 1992-11-04 |
KR920019684U (ko) | 1992-11-16 |
JPH04121899U (ja) | 1992-10-30 |
JPH0711760Y2 (ja) | 1995-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35556A (en) | Steam ironing apparatus with a separate water reservoir | |
US4398364A (en) | Steam iron | |
KR20000010493A (ko) | 업무용 다리미 및 스팀브러시_ | |
KR960001661Y1 (ko) | 증기다리미 | |
US2501028A (en) | Automatic valve mechanism for steam irons | |
US3041756A (en) | Steam and liquid spray iron | |
US2716297A (en) | Steam iron | |
US3722117A (en) | Steam nozzle iron | |
US2802288A (en) | Steam irons | |
US20120324768A1 (en) | Steam iron | |
EP0342302B1 (en) | A steam delivery plate for steam irons | |
US3626615A (en) | Electric iron with steam emission under pressure transformable into a room humidifier | |
JPH0446597B2 (ko) | ||
JPH0335280Y2 (ko) | ||
KR200174923Y1 (ko) | 스팀 다리미 | |
JP2605436B2 (ja) | スチームアイロン | |
JPH0375198B2 (ko) | ||
US2799101A (en) | Valve construction | |
KR0174905B1 (ko) | 캐비넷 히터 정압장치의 가스통로 개폐장치 | |
JP2943356B2 (ja) | アイロン装置 | |
KR0118822Y1 (ko) | 스팀다리미의 스팀공급장치 | |
JPH03264096A (ja) | スチームアイロン | |
JPS5943037Y2 (ja) | スチ−ムアイロン | |
JPH0433840Y2 (ko) | ||
JP3166767B2 (ja) | スチームアイロ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0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