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401Y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401Y1
KR960001401Y1 KR2019930015382U KR930015382U KR960001401Y1 KR 960001401 Y1 KR960001401 Y1 KR 960001401Y1 KR 2019930015382 U KR2019930015382 U KR 2019930015382U KR 930015382 U KR930015382 U KR 930015382U KR 960001401 Y1 KR960001401 Y1 KR 960001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body
stopper
exchange resin
cat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362U (ko
Inventor
한만형
Original Assignee
한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형 filed Critical 한만형
Priority to KR2019930015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401Y1/ko
Publication of KR950006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cation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수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마개부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용기본체에 수장되는 교반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제 2 : 입수소켓
3 : 출수소켓 4 : 양이온교환수지
5 : 교반부재 5a : 지지대
5b,5b' : 교반익 5c : 손잡이
6 : 마개 6a : 나선부
7 : 마개결합부
본 고안은 수도직결형 연수기로써 수도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수성 이온을 화학적으로 변환시켜 연수화된 물로 만들어주는 가정용 연수기에 대한 것이다.
통상으로 물에 함유되어 있는 경수성이온을 제거해 주기 위해 연수기에 사용되는 물질은 이온교환성의 기(基)를 가진 고분자 전해질로써의 양이온교환수지가 이용되는데, 경수나 경수성이온을 함유한 수도물을 이 양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키게 되면 물속에 녹아있는 경수성이온(염)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침전 제거되고 연수(軟水)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수장치는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포등을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용기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마개부를 크게 구성해야 하므로 압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연수장치구조가 갖는 제결함을 감안하여 수지상의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되 용기본체 내부에 교반부재를 수장하고 마개를 내입매몰형(마개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매몰된 상태)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를 소형화하여 높은 수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고연수효율을 갖는 연수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이 유입되는 입수소켓(2)과 연수를 출력하는 출수소켓(3)이 상하부에 설치된 용기본체(1)내부에 적정량의 수지상의 양이온교환수지(4)를 충입하여 연수를 생산해내는 연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용기본체(1)내에 양이온교환수지(4)를 교반시켜 주기 위한 교반부재(5)를 수장하고, 상기 용기본체(1)의 상면에 내입매몰형의 마개(6)를 체착(나사식결합)구성하여야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용기본체(1)상면에 설치되는 마개(6)는 용기본체(1)에 비하여 그 크기가 매우 작게 형성되며 마개(6)의 외면으로 나선부(6a)가 형성되어 용기본체(1)의 상면에 요입형으로 구성된 마개결합부(7)에 내측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 용기본체(1)내부에 수장되는 교반부재(5)는 제 3 도의 예시와 같이 링상의 손잡이(5c)가 형성된 지지대(5a)와 이 지지대(5a)의 상하단에 병설되는 수레바퀴형 교반익(5b)(5b')으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8은 입수소켓(2)의 관부(2a)에 체착되는 수압조절캡, 9, 10은 패킹부재, 11은 필터기구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보이는 본 고안은 제 1 도의 전체 단면구성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용기본체(1)에 충입된 수지상의 양이온교환수지(4)에 의하여 입수소켓(2)을 통해 물이 유입되면 수도물내에 녹아있는 경수성이온(염)이 깨끗이 제거되고 순수한 연수만이 출수소켓(3)을 통해 출력이 되는 것이며, 장기간 사용후 용기본체(1)에 충입한 양이온교환수지(4)는 마개(6)를 통하여 정기적으로 교환해 주게 되는데, 이때 용기본체(l)내에 수장된 교반부재(5)를 사용하여 충입한 수지상의 양이온교환수지(4)를 충분히 교반시켜 사용하고, 또한 사용도중에도 가끔씩 교반부재(5)를 사용하여 용기본체(1)의 저부로 가라앉은 양이온 교환수지(4)를 교반시켜 줌으로써 양이온교환수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수효율도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고안의 용기본체(1)상면에 설치된 마개(6)의 구조는 소형으로 제작되면서도 마개(6)의 외면으로 나선부(6a)를 형성시켜 내입매몰형으로 체착 설치되기 때문에 수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마개(6)의 외면으로 마개결합부(7)가 결합되어 2중으로 지지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압의 수압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수지상의 양이온교환수지(4)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수효과를 높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양이온교환수지의 교환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높은수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써 안전성 및 신뢰성이 보장되는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물이 유입되는 입수소켓(2)과 연수를 출력하는 출수소켓(3)이 상하부에 설치된 용기본체(1)내부에 적정량의 수지상의 양이온교환수지(4)를 충입하여 연수를 생산해내는 연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내에 양이온교환수지(4)를 교반시켜주기 위한 교반부재(5)를 수장하고, 상기 용기본체(1)의 상면에 내입매몰형의 마개(6)를 체착 구성하여서 된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본체(1)에 수장되는 교반부재(5)를 형성하되 지지대(5a)의 상하단에 수레바퀴형 교반익(5b,5b')을 병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마개(6)의 외면에 나선부(6a)를 형성하여 용기본체(1)의 상면에 요입형으로 구성된 마개결합부(7)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2019930015382U 1993-08-11 1993-08-11 연수기 KR960001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382U KR960001401Y1 (ko) 1993-08-11 1993-08-11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382U KR960001401Y1 (ko) 1993-08-11 1993-08-11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62U KR950006362U (ko) 1995-03-20
KR960001401Y1 true KR960001401Y1 (ko) 1996-02-15

Family

ID=1936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382U KR960001401Y1 (ko) 1993-08-11 1993-08-11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4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32A (ko) * 2001-04-17 2002-10-26 김연욱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62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39605B2 (en) Chemical feeder
AU2002239605A1 (en) Chemical feeder
KR960001401Y1 (ko) 연수기
KR200408986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102349309B1 (ko) 이산화염소수 제조장치
CN212680754U (zh) 饮用水空桶消毒杀菌液自动配料投加装置
KR200408984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890001098B1 (ko) 휴대용 정수기
US6109431A (en) Storage container
CN208185588U (zh) 一种用在阀的塑钢组合手动涡轮蜗杆机构
CN215540813U (zh) 一种聚合硫酸铁生产用反应釜
JP4237776B2 (ja) ピッチャー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解水生成装置
KR200277001Y1 (ko) 연수기의 재생교반기
RU2736467C1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оходных условиях
CN208120900U (zh) 净水滤芯及其过滤装置
CN216547193U (zh) 一种新型结构的饮水桶
CN213085462U (zh) 一种分酒机构和分酒器
CN218710892U (zh) 一种全自动次氯酸钠反洗装置
KR870001251Y1 (ko) 가습기의 정수 장치
CN2482562Y (zh) 一种防潮浮球开关
CN113716649B (zh) 一种软水器再生装置
CN214584359U (zh) 一种水处理离子交换树脂分离度测试装置
KR100844528B1 (ko) 연수기의 비타민 수용체
JPH0137747Y2 (ko)
KR100575151B1 (ko)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