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732A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732A
KR20020080732A KR1020010020480A KR20010020480A KR20020080732A KR 20020080732 A KR20020080732 A KR 20020080732A KR 1020010020480 A KR1020010020480 A KR 1020010020480A KR 20010020480 A KR20010020480 A KR 20010020480A KR 20020080732 A KR20020080732 A KR 2002008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sealing cap
exchange resin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욱
김성현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김연욱
김성현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욱, 김성현, 이상훈 filed Critical 김연욱
Priority to KR102001002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0732A/ko
Publication of KR2002008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염의 주입이 용이하고, 이온교환수지와 정제염의 혼합이 용이하며, 온,냉연수의 유출수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된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100)의 내부에 유출관(110)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이온교환수지(120)가 내장된 통상의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상면에는 본체(10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봉캡(140)이 나합,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밀봉캡(140)의 상부에는 핸들부재(150)가 구비되며, 상기 밀봉캡(14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120)와 정제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부재(160)가 구비되되, 이 교반부재(160)의 상단은 상기 밀봉캡(140)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통과한 후 상기 핸들부재(150)에 일체로 압입고정되어서, 상기 밀봉캡(140)을 본체(100)에 결합시킬시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수기(S')는 교반부재가 본체에 내장되어 있어 이온교환수지와 정제염의 혼합이 용이하고, 본체의 상부에 정제염 주입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연수기 본체 내 정제염의 주입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수도기의 연결관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어 세면대나 욕조 또는 비데 등으로 연수를 분기시켜 샤워기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수기 {Softner}
본 발명은 수돗물 등의 원수에 대하여 이온교환작용을 하여 목욕 및 세면시 피부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연수로 만드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온교환수지와 정제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부재가 본체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온,냉연수의 유출수를 분기시키도록 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수돗물 등의 경수(센물)에 대하여 이온교환작용을 하여 연수(단물)로 바꾸어주는 기기로서, 원수속의 녹물,콜로이드 등의 불순물을 흡착제거하여 특히 피부미용에 좋은 부드럽고 깨끗한 물로 만들어 주는 작용을 한다.
예컨데,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물속의 경도유발물질(칼슘, 마그네슘 등)을 나트륨과 교환하여 경수를 연수로 바꾸어주는 것으로, 이온교환수지의 합성수지와 이온결합으로 결합하고 있는 이온이 원수속의 같은 부호의 이온과 교환되게 한다. 즉, 양이온교환수지가 연수기내에서 필터로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종래의 연수기(S)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급수관(12)과 연결되도록 저면에 온경수유입구(11)가 형성된 온수연수기본체(10)와, 냉수급수관(22)과 연결되도록 저면에 냉경수유입구(21)가 형성된 냉수연수기본체(20)와, 상기 온,냉수연수기본체(10)(20)의 온,냉경수유입구(11)(21)로부터 상기 온,냉수연수기본체(10)(20)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측에서 경수를 분사하여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관(30)과, 상기 온,냉수 연수기본체(10)(20)의 하단 정면에 이온화되면서 내려오는 연수를 배출하도록 온,냉수밸브(미도시)와 연결되는 온,냉연수 유출구(13)(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온,냉수 연수기본체(10)(20)안에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하는 이온교환수지(40)가 다량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수기본체(10)(20)의 상단에는 캡(50)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연수기(S)는 온수급수관(12)과 연결된 온,경수유입구(11)를 통해 온수가 온수연수기(10)로 급수가 시작되면, 온경수가 본체(10)내부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40)위에서 유출관(30)의 상단을 통해 온경수유출구(13)를 통해 온경수가 분사되어 이온교환수지(40)를 통과하면서 경수의 금속성이온이 제거되며, 하부로 도달한 금속성이온이 제거된 온연수는 온연수유출구(13)로 유출되며, 냉수급수관(22)과 연결된 냉경수유입구(21)를 통해 냉수연수기(20)로 급수가 시작되면 온수와 같은 방법으로 유출되어 미도시된 온,냉수도밸브를 통해 사용자가 온도에 따라 밸브를 열어 온,냉수 연수가 섞여서 유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수기(S)는 이온교환수지(40)를 일정기간동안 사용하여 수지의 교환능력이 떨어지면, 이를 재생하게 되는데,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에는 연수기본체(10)(20)의 캡(50)을 열고 주입구를 통하여 정제염을 적정량 투입한 후, 캡(50)을 다시 본체(10)(20)와 결합시켜 닫은 상태에서 온,냉 경수 유입구(11)(21)로 세척수(수돗물)가 유입되면, 상부의 정제염이 용해되면서 이온교환수지(40)의 하부쪽으로 내려가면서 소금물(2)과 양이온교환수지가 접촉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게되어 양이온교환수지(40)에 결합되어 있던 금속성이온을 제거하는 대신 나트륨이온이 양이온교환수지에 결합됨으로써 재생이 이루어져서 계속 이온교환수지(40)로 반복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재생시 발생하는 불순물은 온,냉 연수 유출구 (12)(23)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연수기는 재생시 정제염을 연수기본체 안에 투입하는데, 연수기본체 내부에서 잘 섞여야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능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막대기와 같은 도구를 연수기본체의 내부에 삽입하여 휘저어 혼합시켰는바, 이러한 작업시 수지가 손상될 수 있어서 연수기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결국에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능력을 제대로 이루어내지 못하게되어 연수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온교환수지와 정제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재가 회전가능하게 본체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온,냉연수의 유출수를 분기시키도록 된 연수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연수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 연수기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본 발명 연수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냉수연수기 본체101 : 주입구
102 : 온,냉경수유입구103 : 온,냉연수유출구
104 : 투입구105,131b : 캡
106 : 걸림홈110 : 유출관
120 : 이온교환수지130 : 수도기
131 : 연결관131a : 분기관
140 : 밀봉캡150 : 핸들부재
151 : 손잡이152 : 끼움부
152a : 끼움공153 : 연결부
160 : 교반부재170 : 커버부재
171 :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유출관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통상의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면에는 본체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봉캡이 나합,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밀봉캡의 상부에는 핸들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밀봉캡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이온교환수지와 정제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부재가 구비되되, 이 교반부재의 상단은 상기 밀봉캡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통과한 후 상기 핸들부재에 일체로 압입고정되어서, 상기 밀봉캡을 본체에 결합시킬시 상기 본체에 내장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핸들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수직하게 입설되는 손잡이가 갖추어지고,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연결부를 매개로 핸들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끼움부에 상기 교반부재가 압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밀봉캡 및 핸들부재를 덮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정제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에는 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수도기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수도기로 연결되는 연결관에 분기관이 형성되되, 상기 분기관에 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 연수기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본 발명 연수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수기는 온,냉수연수기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온,냉경수유입구(102)와, 이 온,냉경수유입구(102)로부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측에서 경수를 분사하여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관(110)과, 상기 본체(100)의 하단 정면에 이온화되면서 내려오는 연수를 유출시키도록 하는 온,냉연수유출구(103)로 구성되어 있다.
각 본체(100)의 내부에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하는 이온교환수지(120)가 다량 내장되어 있고, 각 본체(100)의 외부에는 수도기(130)가 상기 온,냉연수유출구(103)에 연결관(131)를 매개로 나합,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본체(100)에는 본체(100)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101)와 나합,고정되도록 하는 밀봉캡(140)이 마련되고, 이 밀봉캡(140)의 상부에는 핸들부재(150)가 구비되며, 이 핸들부재(150)에는 상기 핸들부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수직하게 입설되는 손잡이(151)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핸들부재(150)의 내측에는 끼움부(152)가 형성되어 연결부(153)를 매개로 핸들부재(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152)의 중앙에는 끼움공(1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캡(14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120)와 정제염을 교반하기 위한 나선형의 교반부재(160)가 구비되되, 이 교반부재(160)는 그 상단이 상기 밀봉캡(140)의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핸들부재(150)의 끼움공(152a)에 압입,고정되어서, 상기 밀봉캡(140)을 본체에 결합시킬시 본체(100)에 내장되고, 상기 핸들부재(150)를 회전시킬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본체(100)의 상부에는 정제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된 투입구(10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입구(104)에는 캡(105)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온,냉수유출구(103)에 나합,고정되어 상기 본체(100)와 수도기(130)를 상호 연결하도록 된 상기 연결관(131)에는 필요시 온,냉연수를 세면대, 욕조 및 비데 등으로 분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기관(13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기관(131a)에는 캡(131b)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105)(131b)은 나사결합 또는 끼움방식의 결합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밀봉캡(140)과 핸들부재(150)를 덮도록 된 커버부재(170)가 별도 구비되되, 이 커버부재(170)의 내주면 하측에는걸림돌기(1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171)는 상기 본체(100)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106)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수기(S')는 온,냉수급수관(1)과 연결된 온,냉경수유입구(102)를 통해 온,냉경수가 본체(100)내로 급수되면서, 온,냉경수는 본체(100) 내부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120) 위에서 유출관(110)의 상단을 통해 분사된다. 분사된 온,냉경수는 이온교환수지(120)를 통과하면서 경수의 금속성이온이 제거되며, 본체(100)의 하부에 도달했을 때는 금속성이온이 완전히 제거되어 연수화되는데, 이러한 온,냉연수는 상기 온,냉연수유출구(103)에 결합,고정된 수도기(1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연수기(S')는 내부에 필터기능을 담당하는 이온교환수지(120)의 교환능력이 떨어져 재생하고자 할 경우, 먼저 중간밸브(미도시)를 모두 잠근 후, 본체(100)내에 남아있는 물을 수도기(130)를 개방시켜 모두 배수시킨다. 이후, 이온교환수지(120)를 재생시키기 위해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캡(105)을 열고 투입구(104)를 통해 소정량의 액상 또는 고상의 정제염을 주입하고, 온,냉경수유입구(102)를 통해 세척수(수돗물)를 유입시키면, 상부의 정제염이 용해되면서 이온교환수지(120)의 하부쪽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소금물(2)과 이온교환수지(120)가 혼합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이온교환수지(120)에 결합되어 있던 금속성이온이 제거됨과 함께 나트륨이온이 이온교환수지에 결합되고, 결국 이온교환수지(120)는 재생되어 반복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수기 본체(100) 내부에 채워진 정제염과 상기 이온교환수지(120)를교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커버부재(170)를 제거한 후 상기 핸들부재(150)의 손잡이(151)를 잡고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밀봉캡(140)의 중앙을 통과하여 연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연장된 교반부재(160)가 회전하면서 정제염과 이온교환수지(120)를 교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교반부재(16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교반시 효과적으로 교반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교반작업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밸브(미도시)를 열고 상기 수도기(130)에 연결된 샤워기(3)로 물을 약하게 틀어 소금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수기(S')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도기(130)의 연결관(131)에 형성된 분기관(131a)에 별도의 배관(4)을 연결함으로써 세면대(5)나 욕조 또는 비데 등에 온,냉연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부에서는 본 발명 연수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연수기는 교반부재가 본체에 내장되어 있어 이온교환수지와 정제염의 혼합이 용이하고, 본체의 상부에 정제염 주입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연수기 본체 내 정제염의 주입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수도기의 연결관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어 세면대나 욕조 또는 비데 등으로 연수를 분기시켜 샤워기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본체(100)의 내부에 유출관(110)이 수직하게 설치되고, 이온교환수지(120)가 내장된 통상의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상면에는 본체(10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봉캡(140)이 나합,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밀봉캡(140)의 상부에는 핸들부재(150)가 구비되며, 상기 밀봉캡(14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120)와 정제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부재(160)가 구비되되, 이 교반부재(160)의 상단은 상기 밀봉캡(140)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통과한 후 상기 핸들부재(150)에 일체로 압입고정되어서, 상기 밀봉캡(140)을 본체(100)에 결합시킬시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150)의 상면에는 상기 핸들부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수직하게 입설되는 손잡이(151)가 갖추어지고, 상기 핸들부재(150)의 내측에는 끼움부(152)가 형성되어 연결부(153)를 매개로 핸들부재(150)와 연결되되, 상기 끼움부(152)에 상기 교반부재(160)가 압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밀봉캡(140) 및 핸들부재(150)를 덮는 커버부재(1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정제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04)에는 캡(105)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수도기(130)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수도기(130)로 연결되는 연결관(131)에 분기관(131a)이 형성되되, 상기 분기관(131a)에 캡(131b)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010020480A 2001-04-17 2001-04-17 연수기 KR20020080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80A KR20020080732A (ko) 2001-04-17 2001-04-17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80A KR20020080732A (ko) 2001-04-17 2001-04-17 연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89U Division KR200239999Y1 (ko) 2001-04-17 2001-04-17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32A true KR20020080732A (ko) 2002-10-26

Family

ID=2770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480A KR20020080732A (ko) 2001-04-17 2001-04-17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0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4540A (zh) * 2022-05-30 2022-12-23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软水机壳体和软水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64Y1 (ko) * 1978-04-14 1979-09-25 김정 정 수 기
KR940001034U (ko) * 1992-06-09 1994-01-03 박정기 연수기
KR940005475A (ko) * 1992-07-20 1994-03-21 산티아고 플라넬라 보리 3- 아미노에틸 인돌로부터 유도되는 아미딘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6362U (ko) * 1993-08-11 1995-03-20 한만형 연수기
KR960011137U (ko) * 1994-09-12 1996-04-15 황열 교반기를 내입구성한 이온교환 정수기
KR19990017701U (ko) * 1999-02-24 1999-05-25 최종호 연수기
KR200191814Y1 (ko) * 2000-03-17 2000-08-16 박세육 연수기에 절수 절환기를 부착한 절수형 연수기 구조
KR200198017Y1 (ko) * 1999-11-19 2000-10-02 김철중 샤워기용 연수 처리장치
KR20010094137A (ko) * 2000-04-04 2001-10-31 정승훈 4방향 통로를 갖춘 연수기용 전환밸브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64Y1 (ko) * 1978-04-14 1979-09-25 김정 정 수 기
KR940001034U (ko) * 1992-06-09 1994-01-03 박정기 연수기
KR940005475A (ko) * 1992-07-20 1994-03-21 산티아고 플라넬라 보리 3- 아미노에틸 인돌로부터 유도되는 아미딘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6362U (ko) * 1993-08-11 1995-03-20 한만형 연수기
KR960011137U (ko) * 1994-09-12 1996-04-15 황열 교반기를 내입구성한 이온교환 정수기
KR19990017701U (ko) * 1999-02-24 1999-05-25 최종호 연수기
KR200198017Y1 (ko) * 1999-11-19 2000-10-02 김철중 샤워기용 연수 처리장치
KR200191814Y1 (ko) * 2000-03-17 2000-08-16 박세육 연수기에 절수 절환기를 부착한 절수형 연수기 구조
KR20010094137A (ko) * 2000-04-04 2001-10-31 정승훈 4방향 통로를 갖춘 연수기용 전환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4540A (zh) * 2022-05-30 2022-12-23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软水机壳体和软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9999Y1 (ko) 연수기
KR20020080732A (ko) 연수기
KR200220470Y1 (ko) 연수기의 필터재생용 교반기
KR100193046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193048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US6290845B1 (en) Water softener tank
KR200299835Y1 (ko) 교반기를 구비한 연수기
KR100443251B1 (ko) 교반기를 구비한 연수기
KR200299836Y1 (ko) 정제염 주입을 위한 조절밸브를 구비한 연수기
KR200292989Y1 (ko) 연수기의 필터 재생용 교반기
KR100521627B1 (ko) 재생통을 구비한 연수기
KR200294276Y1 (ko) 세탁기의 세탁수 연수장치
KR101774908B1 (ko) 수도 직결 자가 교체형 정수 샤워기
KR200182046Y1 (ko) 분리형 연수기
KR100560132B1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연수 바디샤워기
KR20050107097A (ko) 펌프를 이용한 일체형 자동재생 연수기
KR100446370B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200240602Y1 (ko) 이온자화 연수기
KR20050101263A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100527387B1 (ko) 이온교환수지 자동재생 연수기 및 자동재생 방법
KR200259133Y1 (ko)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200262817Y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CN217056440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控制阀
KR200293444Y1 (ko) 전동식 교반기능을 구비한 연수기
KR20020029664A (ko) 유량조절밸브와 원 터치식 재생탱크 개폐장치를 갖춘완전재생이 가능한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