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17Y1 -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 Google Patents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817Y1
KR200262817Y1 KR2020010033226U KR20010033226U KR200262817Y1 KR 200262817 Y1 KR200262817 Y1 KR 200262817Y1 KR 2020010033226 U KR2020010033226 U KR 2020010033226U KR 20010033226 U KR20010033226 U KR 20010033226U KR 200262817 Y1 KR200262817 Y1 KR 200262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ion exchange
water
filter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서은주
Original Assignee
정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훈 filed Critical 정승훈
Priority to KR2020010033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817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온교환용기의 상부에 전처리필터를 설치하고, 그 하측에 원수를 사방으로 넓게 퍼뜨리는 오목한 접시를 위치시켜서 이온교환전의 원수를 정화하고, 이온교환작용이 고르게 일어나도록 한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온교환용기(30)(32)의 상단부에 전처리필터(40a)(42a)를 수용하고, 원수유입관(50)(52)으로부터 원수(60)를 공급받는 필터하우징(40)(42)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그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분출공(40b)(42b)을 형성하며,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는 행거(70)(72)에 원수(60)를 사방으로 퍼뜨리는 분산접시(74)(76)를 설치하는 한편, 이온교환용기(30)(32)를 상하로 구획하는 타공판(36)(38)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Dispersion apparatus for water of softner}
본 고안은 경수(硬水)를 연수(軟水)로 변환시키기 위한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교환용기의 상부에 전처리필터를 수용하는 필터하우징을 설치하고, 그 하단부에 원수를 사방으로 넓게 퍼뜨리는 오목한 접시를 설치하여 이온교환전의 원수를 정화하고, 이온교환작용이 고르게 일어나도록 한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후 된 관을 통한 압송, 수질 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철, 납, 아연, 수은, 등 각종 중금속(이온)도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은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 세척 시에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 속에 포함된 금속 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고, 이 금속성 이물질이 피부에 접촉하게 되면,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Na+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에 통과시켜 경도 성분인 Ca+2와 Mg+2 이온을 수지중의 Na+ 이온과 교환하여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주로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수기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교환용기(2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수유입관(22)을 통해이온교환용기(20)의 내부로 원수(24)를 유입시킨 후 내부의 이온교환수지(26)를 통과시킨 후 하부의 연수배출구(28)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수기는 원수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원수(24)가 넓게 퍼지지 못하고 원수유입관(22)의 바로 아래쪽으로 떨어지면서 굵은 물줄기 형태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이온교환수지(26)로 채워진 이온교환용기(20)에 일정한 곳으로만 통로를 형성하는 채널(26c)을 만들게 되어 사류층(死流層)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채널링 현상은 채널(26c)이 형성된 곳의 주변에 위치된 이온교환수지(26)에만 이온교환작용이 집중적으로 일어나고, 이 곳과 다소 먼 곳에 위치된 사류층의 이온교환수지(26)는 이온교환작용이 침체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이온교환 성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원수(24)가 좁은 단면적의 채널(26c)로 집중하여 통과하다 보면 저항에 의해 유속이 현저하게 떨어져서 단위 시간당 연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양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원수(24)가 정화되지 않은 채 그대로 이온교환용기(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온교환수지(26)로 정화하지 못하는 비교적 큰 입자형태의 이물질이 연수에 섞여서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연수기의 이온교환용기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원수의 편중된 흐름을 방지하여이온교환수지의 고른 이온교환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온교환용기로의 진입전에 원수를 1차 정화하여 보다 깨끗한 연수를 생성할 수 있는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용기의 상단부에 전처리필터를 수용하고, 원수유입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필터하우징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그 필터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분출공을 형성하며, 필터하우징의 하단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는 행거에 원수를 사방으로 퍼뜨리는 분산접시를 설치하는 한편, 이온교환용기를 상하로 구획하는 타공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처리필터와 분산접시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32 : 이온교환용기
40 , 42 : 필터하우징
40a , 42a : 전처리필터
40b , 42b : 분출공
50 , 52 : 원수유입관
60 : 원수
70 , 72 : 행거
74 , 76 : 분산접시
80 , 82 : 원터치 캡
86 , 88 : 필터지지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교환용기(30)(32)의 상단부에 전처리필터(40a)(42a)를 수용하고, 원수유입관(50)(52)으로부터 원수(60)를 공급받는 필터하우징(40)(42)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그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분출공(40b)(42b)을 형성하며,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는 행거(70)(72)에 원수(60)를 사방으로 퍼뜨리는 분산접시(74)(76)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전처리필터(40a)(42a)는 부직포, 카본, 제오라이트, 비타민C, 각종 세라믹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필터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원수유입관(50)(52)은 필터하우징(40)(42)의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0)(42)은 그 상단부에 원터치 캡(80)(82)이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원터치 캡(80)(82)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설치된 필터지지대(86)(88)에 상기 전처리필터(40a)(42a)가 설치된다.
즉, 원터치 캡(80)(82)을 돌려서 필터하우징(40)(42)을 개방하게 되면, 전처리필터(40a)(42a)가 원터치 캡(80)(82)에 연결된 필터지지대(86)(88)에 의해 필터하우징(40)(42)으로부터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구성하여 청소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이온교환용기(30)(32)는 온수와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하나의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2,104는 전환밸브를 나타낸 것이고, 106은 배출꼭지를 나타낸 것이고, 130,132는 연수배출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측 전환밸브(102)(104)를 전환하거나 양측의 전환밸브(102)(104)를 모두 조작하여 원수유입관(50)(52)으로 흐르는 유로를 개방하게 되면, 원수(60)가 전환밸브(102)(104)를 거쳐 원수유입관(50)(52)과 필터하우징(40)(42)으로 공급된다.
이후 필터하우징(40)(42)으로 압송된 원수(60)는 전처리필터(40a)(42a)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부에 형성된 분출공(40b)(42b)을 통해 이온교환용기(30)(32)의 바닥면을 향해 떨어지게 된다.
이때 밑으로 떨어지는 원수(60)는 이온교환수지(90)(92)로 직접 떨어지지 못하고 행거(70)(72)에 의해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산접시(74)(76)에 부딪친 다음 사방으로 퍼지면서 이온교환수지(90)(92)의 상측면 위에 분수형태로 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분산접시(74)(76)로부터 사방으로 퍼지는 물줄기는 매우 얇은 물줄기 형태로 되어 고르게 퍼지면서 이온교환수지(90)(92)의 상층부로 떨어진 후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이온교환수지(90)(92)에 의해 이온교환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후 이온교환수지(90)(92)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연수(65)는 이온교환용기(30)(32)를 통과하여 연수배출구(130)(132)를 거친 다음 배출꼭지(106)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환밸브(102)(104)를 처음과 같이 닫게 되면, 이온교환용기(30)(32)로 이어지는 유로가 차단되면서 더 이상의 연수(65)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필터하우징(40)(42)에 수용되어 있는 전처리필터(40a)(42a)를 교환하거나 청소하는 경우 원터치 캡(80)(82)을 개방하게 되면, 이 원터치 캡(80)(82)의 하단부에 설치된 필터지지대(86)(88)에 의해 전처리필터(40a)(42a)가 따라서 밖으로 인출되는데, 이를 물이나 세척제로 세탁하거나 새로운 전처리필터(40a)(42a)로 교환한 후 다시 원터치 캡(80)(82)을 닫게 되면, 전처리필터(40a)(42a)의 청소 또는 교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연수기의 이온교환용기로 유입되는 원수를 분수처럼 넓게 퍼뜨리는 분산접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류층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물줄기가 한쪽으로 집중되어 흐르는 채널링현상을 방지하여 유체저항을 줄이고, 원수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여 단위 시간당 만들어낼 수 있는 연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원수가 이온교환용기로 유입되기 전에 전처리필터에 의해 함유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깨끗한 연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온교환용기(30)(32)의 상단부에 전처리필터(40a)(42a)를 수용하고, 원수유입관(50)(52)으로부터 원수(60)를 공급받는 필터하우징(40)(42)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그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분출공(40b)(42b)을 형성하며, 필터하우징(40)(42)의 하단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는 행거(70)(72)에 원수(60)를 사방으로 퍼뜨리는 분산접시(74)(76)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40)(42)은 그 상단부에 원터치 캡(80)(82)이 설치되고, 이 원터치 캡(80)(82)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설치된 필터지지대(86)(88)에 상기 전처리필터(40a)(4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2020010033226U 2001-10-27 2001-10-27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200262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226U KR200262817Y1 (ko) 2001-10-27 2001-10-27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226U KR200262817Y1 (ko) 2001-10-27 2001-10-27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944A Division KR100446370B1 (ko) 2002-01-25 2002-01-25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817Y1 true KR200262817Y1 (ko) 2002-03-18

Family

ID=7311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226U KR200262817Y1 (ko) 2001-10-27 2001-10-27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8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04B1 (ko) * 2002-06-21 2005-07-14 주식회사 나눔 정수기능을 갖는 연수기
KR101841007B1 (ko) 2014-11-15 2018-03-22 채득기 자체 정화가 가능한 원수 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04B1 (ko) * 2002-06-21 2005-07-14 주식회사 나눔 정수기능을 갖는 연수기
KR101841007B1 (ko) 2014-11-15 2018-03-22 채득기 자체 정화가 가능한 원수 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370B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200262817Y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CN208182668U (zh) 一种软水机
KR100922592B1 (ko) 입욕제가 구비된 연수기
KR100596485B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200290138Y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100458981B1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KR200290504Y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200263100Y1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KR100392144B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200290505Y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JP4305942B2 (ja) 浄水器付水栓
KR20020024155A (ko) 이중 연수기능을 갖는 연수기
EP0421261A1 (en) Ion exchange resin device
KR200262873Y1 (ko) 이중 연수기능을 갖는 연수기
KR200317452Y1 (ko) 이온교환수지의 누출을 방지한 연수기
KR200262818Y1 (ko) 연수기의 순환장치
KR20020005373A (ko) 연수기
KR200283719Y1 (ko) 분리형 이온수기
CN216639132U (zh) 一种具有过滤净化功能的水龙头
KR200231557Y1 (ko) 연수기
KR200314675Y1 (ko) 원수상향분산식 케이스 일체형 연수기
KR100446369B1 (ko) 연수기의 순환장치
JP2001314857A (ja) 軟水化装置及びその軟水化装置を有した水回り住宅設備機器
KR200360766Y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