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32Y1 -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32Y1
KR960000932Y1 KR92027348U KR920027348U KR960000932Y1 KR 960000932 Y1 KR960000932 Y1 KR 960000932Y1 KR 92027348 U KR92027348 U KR 92027348U KR 920027348 U KR920027348 U KR 920027348U KR 960000932 Y1 KR960000932 Y1 KR 960000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ontrol housing
tube
controll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7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423U (ko
Inventor
조기행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92027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932Y1/ko
Publication of KR940016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4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annular discs per se, singularly or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정부의 상세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밸브부의 상세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디밸브부의 상세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의 작동원리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트롤하우징 2 : 고정와셔
3 : 컨트롤러 7 : 조절부재
8 : 로드가이더 81, 82 : 제 1, 2 유로
10 : 피스톤밸브 11 : 보디밸브
14 : 저장실 15 : 작동실
본 고안은 운동용 기구등에 사용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 운동량에 따라 저항력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완충장치는 일반적으로, 콘트롤러와 로드가이더에 서로 대응되는 조정용 홀 및 대응 홀을 천공하여 콘트롤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호의 홀이 선택적으로 일치되게 함으로써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그 조립시 초기 위치를 세팅하기가 매우 난해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초기조립시 홀 상호간의 대응위치가 부정확하면 성능에 치명적인 요소를 유발하게 되어 불연속적인 저항조절만으로 만족해야 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 운동량에 따라 감쇠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 하면이 개구된 튜브,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저장실이 형성되며, 상면은 개구되고 하측은 상기튜브와 연통되도록 튜브를 감싸고 있는 아웃셀, 상기 튜브내를 승, 하강운동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튜브를 상, 하부작동실로 구획하며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상, 하부작동실을 상호 개, 폐시키는 피스톤밸브, 상기 튜브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저장실과 하부작동실을 상호 개, 폐시키는 바디밸브, 상기 피스톤로드에 관통되어 아웃셀의 개구부에 결합된 캡, 상기 피스톤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캡의 상측에 밀폐, 결합된 컨트롤하우징, 상기 피스톤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튜브의 상측에 밀폐, 결합되며 그 몸체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매개로 상기 상부작동실과 저장실의 좌우측을 연통시키는 제 1, 2 유로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된 로드가이드, 상기 피스톤로드에 관통되고 상기 로드가이드와 캡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동일하게 운동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거하면 컨트롤하우징이 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유로를 개, 폐시킴과 동시에 상부작동실에서 저장실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 1 도에 도시하듯이, 상, 하면이 개구된 튜브(13)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13)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체의 아웃셀(12)에 의하여 감싸이되, 튜브와 아웃셀과의 사이에는 저장실(14)이 형성되고 하측은 상호 연통되는 트윈 튜브타입으로 마련된다.
상기 튜브(13)내에는 튜브를 상, 하부작동실(15a, 15b)로 구획하며 상, 하부작동실을 상호 연통시키는 피스톤밸브(10)가 그 단부에 마련된 피스톤로드(9)가 설치된다.
그리고 튜브(13)의 하측, 즉 튜브와 아웃셀이 연통된 부위에는 저장실(14)과 하부작동실(15b)을 상호 연통시키는 바디밸브(11)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밸브(10)는 피스톤로드(9)가 승, 하강운동함에 따라 생기는 상, 하부작동실(15a, 15b)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 폐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면 하부작동실(15b)의 압력이 상부작동실의 압력보다 세어지고 이로 인해 하부작동실의 오일이 상부작동실로 유입된다. 이는 피스톤밸브의 유로를 막고 있는 디스크(10a)가 스프링(10b)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하부작동실의 압력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세므로 디스크가 피스톤밸브의 유로를 열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스톤로드가 승강하면 상부작동실의 압력이 하부작동실의 압력보다 세어지므로 피스톤밸브는 완전히 밀폐되는 것이다.
상기 바디밸브(11)도 피스톤로드(9)가 승, 하강운동함에 따라 생기는 하부작동실(15b)과 저장실(14)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 폐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면 하부작동실(15b)의 압력이 저장실(14)의 압력보다 세어지므로 바디밸브는 완전히 밀폐되어 저장실의 오일이 하부작동실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피스톤로드가 승강하면 상부작동실의 오일이 저장실로 유입되므로 하부작동실의 압력이 하강하여 저장실의 압력이 하부작동실의 압력보다 세어지고 이로인해 바디밸브는 열려서 저장실의 오일이 하부작동실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셀(12)의 상측에는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어 아웃셀(12)의 개구부에 결합된 캡(4)과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어 상기 캡(4)의 상측에 밀폐, 결합된 컨트롤하우징(1)이 결합된다. 또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어 튜브(13)의 상측에 밀폐, 결합되며 그 몸체에는 유로(8a)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8a)를 매개로 상기 상부작동실(15a)과 저장실(14)의 좌우측을 연통시키는 제 1, 2 유로(81, 82)가 각각 형성되도록 로드가이드(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고 상기 로드가이드(8)와 캡(4)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하우징(1)과 동일하게 운동하는 컨트롤러(3)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5는 패킹이다.
상기 컨트롤하우징(1)과 컨트롤러(3) 및 로드가이드(8)에는 상기 컨트롤러(3)와 컨트롤하우징(1)이 동일하게 운동하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컨트롤하우징(1)의 일측에 마련되어 컨트롤하우징(1)을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거하면 컨트롤하우징이 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피스톤로드(9)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유로(8a)를 개, 폐시킴과 동시에 상부작동실(15a)에서 저장실(14)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는, 상기 컨트롤하우징(1)과 컨트롤러(3)가 결합되는 대응면에 각각 치(齒)가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컨트롤하우징의 상측 내주면과 컨트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각각 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컨트롤러의 사이에는 중공(中空)인 원통체의 결합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0)의 내, 외측면에는 상기 치에 대응되는 치(齒)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컨트롤러의 치와 결합부재의 치가 맞물리게 결합부재가 결합되므로 컨트롤러는 컨트롤하우징이 회전하면 회전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부재(30)에 관통되고 상기 캡(4)에 고정되는 고정와셔(2)가 설치된다. 상기 캡(4)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셔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4a)이 형성되고, 고정와셔(2)의 상면에는 동심을 이루는 다수의 안착홈(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하우징(1)의 상측 저면에는 상기 안착홈(2a)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21)가 스프링(22)에 의하여 탄력,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2)은 컨트롤하우징에 형성된 삽입홈(1b)에 삽입, 지지된다. 외력을 가하여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21)가 다수의 안착홈(2a)에 안치되는데, 고정부재가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되지 않으면 컨트롤하우징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절수단은, 상기 유로(8a)는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내측 지름은 장(長)지름에서 점점 작아지도록 편심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일측은 상기 컨트롤러(3)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유로(8a)와 접촉하면서, 컨트롤러가 회전되어 유로의 단부와 컨트롤러 내면 사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부작동실(15a)에서 저장실(14)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재(7)로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트롤하우징의 회전에 의하여 컨트롤러(3)가 회전하면 유로(8a)의 단부와 컨트롤러의 내면 사이의 길이는 변화한다(컨트롤러의 내경이 편심되어 있으므로). 그 길이가 길면 조절부재(7)가 많이 개방될 수 있고 짧으면 조절부재가 적게 개방되므로,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켜서 필요한 위치에 컨트롤러를 위치시키면 조절부재를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의 양은 조절되는 것이다. (제 5 도 참조)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연속 저항조절 완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상하작동실(15a, 15b) 및 저장실(14)에 오일이 채워진 최초의 상태를 생각한다.
첫째, 피스톤로드(9)가 하강하여 하부작동실(15b)이 압축(상부작동실(15a)은 신장)되면 상부작동실(15a)의 압력은 감소하고 하부작동실(15b) 압력은 상승한다. 그러면 저장실측의 압력이 하부작동실의 압력보다 세므로 조절부재(7)는 유로(8a)의 왼쪽으로 이동되어 유로(8a)를 막고, 동시에 하부작동실의 오일이 피스톤밸브(10)의 스프링(10b)력을 이기고 상부작동실로 유입되는 것이다. 하부작동실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바디밸브(11)는 완전히 닫혀있게 되어, 저장실에서 하부작동실로는 오일이 유입되지 않는다.
둘째, 피스톤로드(9)가 승강하여 하부작동실(15b)이 신장(상부작동실은 압축)되면 상부작동실(15a)의 압력은 상승하고 하부작동실(15b) 압력은 감소한다. 그러면 상부작동실의 압력이 저장실 압력보다 세므로 조절부재(7)는 유로(8a)의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유로(8a)를 개방하게 되어 오일은 저장실로 유입된다. 동시에 하부작동실의 압력보다 저장실의 압력이 세므로 저장실의 오일은 바디밸브(11)의 스프링력(10b)을 이기고 하부작동실로 유입된다. 상부작동실이 압력이 상승되므로 피스톤밸브(10)는 완전히 닫혀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에 작용하는 작용력이 세다면 조절부재를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의 양이 적어야 하고, 작용력이 작다면 조절부재를 통하여 유출되는 양은 많아도 된다. 그 상황에 적절한 감쇠력을 얻기 위하여는 유로(8a)와 컨트롤러의 내면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면 되는데, 그 방법은 컨트롤하우징(1)을 회전시키면 된다. 컨트롤러(3)의 내경은 편심되어 있으므로 컨트롤러가 회전되면 컨트롤러의 내면과 유로(8a)의 단부 사이의 길이는 변화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거하면 컨트롤하우징이 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 방법은 컨트롤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된 고정부재(21)가 고정와셔(2)의 안착홈(2a)에 안착되므로 컨트롤하우징은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는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 운동량에 따라 감쇠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상, 하면이 개구된 튜브(13),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저장실(14)이 형성되며, 상면은 개구되고 하측은 상기튜브(13)와 연통되도록 튜브를 감싸고 있는 아웃셀(12),
    상기 튜브(13)내를 승, 하강운동하는 피스톤로드(9),
    상기 피스톤로드(9)의 하단에 설치되어 튜브를 상, 하부작동실(15a, 15b)로 구획하며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상, 하부작동실을 상호 개, 폐시키는 피스톤밸브(10),
    상기 튜브(13)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스톤로드(9)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저장실(14)과 하부작동실(15b)을 상호 개, 폐시키는 바디밸브(11),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어 아웃셀(12)의 개구부에 결합된 캡(4),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어 상기 캡(4)의 상측에 밀폐, 결합된 컨트롤하우징(1),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어 상기 튜브(13)의 상측에 밀폐, 결합되며 그 몸체에는 유로(8a)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8a)를 매개로 상기 상부작동실(15a)과 저장실(14)의 좌우측을 연통시키는 제1, 2 유로(81, 82)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된 로드가이드(8),
    상기 피스톤로드(9)에 관통되고 상기 로드가이드(8)와 캡(4)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하우징(1)과 동일하게 운동하는 컨트롤러(3),
    상기 컨트롤하우징(1)의 일측에 마련되어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외력을 제거하면 컨트롤하우징이 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피스톤로드(9)의 왕복운동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유로(8a)를 개, 폐시킴과 동시에 상부작동실(15a)에서 저장실(14)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부재(30)에 관통되고 상기 캡(4)에 지지되며, 그 상면에는 동심을 이루는 다수의 안착홈(2a) 형성된 고정와셔(2),
    상기 컨트롤하우징(1)을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홈(2a)에 안착되어서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컨트롤하우징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일측에 탄력, 설치된 고정부재(21)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유로(8a)는 깔때기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러(3)의 내경은 장(長)지름을 중심으로 점점 작아지도록 편심되게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컨트롤러(3)의 내면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유로(8a)와 접촉되어, 컨트롤러가 회전되어 유로의 단부와 컨트롤러 내면 사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부작동실에서 저장실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재(7)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저항조절 완충장치.
KR92027348U 1992-12-29 1992-12-29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KR960000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348U KR960000932Y1 (ko) 1992-12-29 1992-12-29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348U KR960000932Y1 (ko) 1992-12-29 1992-12-29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23U KR940016423U (ko) 1994-07-25
KR960000932Y1 true KR960000932Y1 (ko) 1996-02-03

Family

ID=1934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7348U KR960000932Y1 (ko) 1992-12-29 1992-12-29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9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23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860A (en) Motorcycle front fork anti-cavity damping system
US5248014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4953671A (en) Damping force adjustable hydraulic shock absorber
JPH0377646B2 (ko)
JPH06147252A (ja) 油圧緩衝器
JPH023720A (ja) ダンピング調節可能な流体圧衝撃・振動ダンパー
JPS63145835A (ja) 緩衝器
US5172794A (en) Adjustable damping shock absorber
EP1584836A1 (en) Hydraulic damper
KR960000932Y1 (ko) 연속 저항조정 완충장치
KR101079673B1 (ko) 도어의 힌지 장치
US5647461A (en) Adjustable piston valve damper
JPH04160242A (ja) 油圧緩衝器
KR100719222B1 (ko) 소형 유압 댐퍼
JP4844945B2 (ja) 油圧ダンパ
KR0175747B1 (ko) 차량의 쇽압소바의 저속 감쇠력장치
JPS6138344U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4318071B2 (ja) 油圧緩衝器
JP2542932Y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KR100776569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밸브
KR940006891Y1 (ko) 차량용 유압완충장치
JP2515441Y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H08277875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754899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1026165A (ja) 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