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11B1 - 복합규소 강-비정질 강 변압기 철심 - Google Patents

복합규소 강-비정질 강 변압기 철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11B1
KR960000911B1 KR1019870001327A KR870001327A KR960000911B1 KR 960000911 B1 KR960000911 B1 KR 960000911B1 KR 1019870001327 A KR1019870001327 A KR 1019870001327A KR 870001327 A KR870001327 A KR 870001327A KR 960000911 B1 KR960000911 B1 KR 96000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amorphous
silicon steel
stacks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344A (ko
Inventor
제이. 보에니츠 모리스
Original Assignee
제네럴 일렉트릭 컴패니
아아더 엠. 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럴 일렉트릭 컴패니, 아아더 엠. 킹 filed Critical 제네럴 일렉트릭 컴패니
Publication of KR87000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2003/106Magnetic circuits u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magn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규소 강-비정질 강 변압기 철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전력 변압기 철심의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라인 2-2를 따라 절단하여, 제1도의 변압기 철심에 사용된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변압기 철심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결합구조를 대한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의 입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라인 5-5를 따라 절단하여, 제4도의 변압기 철심에 사용된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의 입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변압기 철심에 사용된 결합 구조의 우측 상부 구석영역에 대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력 변압기 철심 12 : 권선레그
14,16 : 요오크 18 : 결합구조
20 : 권선 22 :극소 강 적층
24 : 비정질 강 적층 30 : 래핑
본 발명은 전기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정 지향성 규소 강비정질 강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변압기 철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변압기 철심들은 통상 고도의 결정 지향성을 갖는 규소 강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왔다. 수년 동안에 걸쳐 변압기 철심의 전기재료에 대한 현저한 개선이 이루어져 왔는바, 그 결과 변압기 철심의 크기와 그 제조비용, 그리고 전기 분포시스템에서 변압기 철심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에너지의 손실(이하, 간단히 '철손'이라고 한다. )등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전기에너지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규격의 전기 변압기에 대해서도 상기한 철손을 저하시키는 것이 점차 중요한 설계상의 고려사항으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비정질 강자성 물질을 변압기 철심의 재료로 사용하여 철손을 현저히 저하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고려되고 있다.
비정질 금속은 일반적으로 결정질 금속과는 상대적인 특성, 즉 원자의 주기적인 반복구조(소위, 결정 격자구조)를 갖지 않는다는 중요한 특성을 갖고 있다. 비결정성 구조, 즉 비정질 구조는, 미합중국 특허 제3,856,513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은, 적당한 성분의 용융합금을 급냉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시 말해서, 용융합금을 급냉시키게 되면, 그 합금은 결정상태를 이루지 않고, 액상(liquid phase)의 특성을 나타내는 준안정상태의 비정질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비정질 합금은 결정상태의 원자구조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유리질합금"이라고도 한다.
적층식 변압기 철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정질 강자성 강 스트립의 두께는, 그 제조 공정상의 특성으로 인해서, 결정 지향성 규소 강 스트립의 두께가 7-12밀(mil)정도인데 반하여, 1-2밀 정도로 매우 얇다, 더우기, 이러한 비정질 강 스트립은 매우 연질이기 때문에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비정질 강 스트립들을 적층시켜서 변압기 철심을 상당히 어렵고, 그 제조 비용도 비교적 많이 든다. 즉, 비정질 강 스트립은 매우 조심스럽게 취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비정질 강 스트립들을 원하는 철심 적층 규격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절단 기술이 필요하다. 더우기, 비정질 금속의 기본적인 특성들, 즉 두께가 얇고, 파손되기 쉬우며, 신장되기 쉽다는 특성들 때문에, 규소 강을 이용하여 전력 변알기 철심의 적층구조를 건조하는데 활용되었던 종래의 적층방법, 적층단부 삽입 방법 및 클램핑 방법들이 비정질 금속의 적층구조를 건조하는데에는 전혀 활용될 수 없다.
또한, 비정질 강자성 강의보다 중요한 제한 요인은, 이 비정질 강자성 강이 결정 지향성 규소 강에 비해 약 25% 정도 낮은 포화 밀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 레벨의 플럭스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비정질 금속 철심이 규소 강 철심보다 물리적으로 더 크지 않으면 안된다. 비정질 강은 규소 강보다는 비싼 물질이기 때문에, 상기한 요인은 철손을 현저히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심각한 경제적 핸디캡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비정질 강 철심은 규소 강보다 팩킹(packing)계수, 즉 철심 부재의 전체 횡단면적에 대한 철심부재내의 강자성 물질의 횡단면적의 비율이 더 낮다는 점도 불리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요인들로 인해서, 전력 변압기의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정질 강자성 강 철심이 철손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는 하더라도, 경제적으로는 더 많은 결점들을 갖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전력 변압기에 있어서 전력의 전달보다는 전력의 분포에 통상 사용되는 소형 변압기내에는 비정질 강을 사용하는 것이 상당히 효과적이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364,020호 및 제4,520,335호에는, 비정질 강만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자기 루우프 회로와 규소 강만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자기 루우프 회로를 제공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는 요오크(yoke) 및 레그(leg)들을 통해 분포된 비정질 강 및 규소 강 적층 구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권선 분포 변압기 철심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506,248호에는, 동일한 구성의 비정질 강 및 규소 강 플럭스 회로의 병렬 구조를 갖는 적층식 철심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개선된 철손 특성을 갖는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비정질 강 적층구조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기한 특성의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낮은 철손 특성을 갖는 복합 철심을 구성하기 위해 비정질 강과 규소 강 적층구조를 결합시켜서 형성한 상기한 특성의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설계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 개선되며, 수명이 긴 비정질강-규소 강 복합 적층구조의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규소 강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최소한 하나의 권선 레그와, 복수의 비정질 강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최소한 하나의 요오크를 갖는 변압기 철싱이 제공된다. 요오크와 레그들은 규소 강-비정질 강 적층 결합에 의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자기 루우프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규소 강 적층 구조만으로 형성되는 전력 변압기 철심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철손 특성을 갖는 변압기 철심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상의 전력 변압기 철심(10)이 도시되어있다. 이 변압기 철심(10)은 한쌍의 권선 레그(12)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권선 레그는 낮은 자기 저항을 갖도록 계단형으로 겹쳐진 결합구조(18)를 통해 각 정션에서 상부 요오크(14) 및 하부 요오크(16)와 내부연결되어 자기 루우프 회로를 형성한다. 계단형으로 겹쳐친 결합구조(18)에 대해서는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각 레그(12)의 주위에는 권선(20)들이 감겨져 있다. 본 발명의 신호 특성에 따르면, 권선레그들은 복수의 결정 지향성 규소 강 적층(22)들로 형성되고, 반면에 요오크들은 복수의 비정질 강 적층(24)들로 형성된다. 이 비정질 강 적층(24)들은 Allied Corporation사에서 METGLAS라는 품명으로 제조 판매하는 유형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Allied Corporation은 또한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한 소위 전력 철심 스트립(Power Core Strip)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전력 철심 스트립은 각각 1밀의 두께를 갖는 6개의 비정질 강 리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6개의 비정질 강 리본은 5밀 두께의 단일 스트립 또는 적층구조로 콤팩트화 되어 있다.
비정질 강 스트립들은 통상 그 두께가 1-2밀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개개의 요오크에 있어서 계단형으로 겹쳐진 결합 반체(18a)는 복수의 비정질 강 적층(24)으로 구성되고, 요오크의 극 결합 반체는 단일 규소강 적층(22)(7-11밀 두께)으로 이루어진 각 레그의 계단형 결합 반체(18b)와 적절히 짝을 이룬다.(제2도 참조)
제1도를 참조로 하면, 요오크(14),(16)의 폭은 레그(12)들의 폭보다 크지만 그들의 두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일하다는 것은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요오크의 횡단 면적은 레그의 횡단 면적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규소 강에 비해 비정질 강의 자기 포화 밀도가 낮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레그 횡단 면적에 대한 요오크 횡단 면적의 관계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복수의 비정질 강 적층들이 규소 강 적층보다는 낮은 팽킹계수를 갖는다는 점이다. 당 기술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바와같이, 팩킹계수(적층 계수라고도 한다)는 철심부재의 전체 횡단 면적에 대한 철심 부재내의 강자성 물질의 플럭스 통과 횡단면적의 비율이다. 그래서, 팽킹계수는 표면의 요철에 의해 야기되는 측정사이의 공간의 존재 및 적층표면상의 절연 필름에 대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비정질 강 적층 구조에 대해서 낮은 팽킹계수를 갖도록 한 요인들은, 내면 공간의 거리 및 절연 필름의 증식, 그리고, 클램핑 압력에 대한 응력의 관점에 대한 공차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원하는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레그(12)의 횡단면적에 대한 요오크(14),(16)의 횡단면적 사이의 적절한 관계는, 비정질 강의 팩킹계수에 대한 규소 강의 팽킹계수의 비율과 포화 인덕턴스의 비율등에 반비례한다. 예를들어, 비정질 강 적층(24)들의 포화 인덕턴스가 1 7텔사(Telsa)이고, 그 팩킹계수가 0.80인데 대하여, 규소 강 적층(22)들의 포화 인덕턴스가 1.98텔사이고, 그 팽킹계수가 0.96이라고 한다면, 레그 횡단면적 A1에 대한 요오크 횡단면적 Ay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y/A1=1.98×0.96/1.70×0.80=1.40
이 계산된 영역 비율은 양 물질의 다른 특수한 자기적 특성 및 그들의 가격을 고려하면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오크 내에 비정질 강 적층구조를 사용하고 또한 권선 레그내에 규소 강 적층구조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레그들이 요오크들 보다 작은 횡단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도체 길이 및 권선(20)내에서의 낮은 전력 손실을 개건하여 요오크(14),(16)내에 사용되는 비정질 강 적층구조 물질의 증가와 그 제조비용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전력 변압기 철심내에 비정질 강을 사용함으로써 철손을 감소시키는 것은 경제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우기, 권선 레그의 규격에 비해서 요오크의 극격에는 통상의 수치적인 제한이 거의 필요없다. 통상, 오오크는 철심 무게의 1/3이고, 그 내부에 예를들어, 극소 강과 관련되어 20%의 손실을 갖는 비정질 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복합 규소 강-비정질 강 철심의 전체 철손은 정격 규소 강 철심에 비해 약 25%정도 저하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결합 구조(18)는 레그보다 큰 요오크의 횡단면적과 요오크보다 작은 레그의 횡단면적 사이에 낮은 자기저항 플럭스 경로를 설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세트로 이루어진 동일 길이의 극소 강 레그적층(22)들을 정렬시키고, 각 레그 단부이서 제2도에 도시된 반복 계단형 레그반체(18b)를 형성하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계단형 요오크 결합 반체(18a)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동일 길이의 비정질 강 적층(24)들이 결합반체(18a)들 내에서 그룹으로 종단 접속된다. 이러한 그룹들은 상이한 폭으로 이루어진 각 그룹내의 적층들과 세트로 정렬된다. 요오크의 외측에 따르는 적층(24)의 측연은 제2도에 도시된 요오크(14),(16)의 내측에 따라 정렬되어 요오크 결합 반체(18a)들의 반복 세트로 형성한다. 요오크는 그 중심선을 따라 균일한 폭으로 되어 있으므로, 결합 반체(18a)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요오크 적층의 외연의 오정렬 결과는 원한다면 강자성 삽입체로 보완될 수 있다.
제3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4,520,556호에서 개시된 다른 결합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참증의 특허는 상부 요오크와 권선 레그사이에 구석 결합을 실행하기 위한 강자성 삽입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적층식 전력 변압기 철심의 조립 공정에 관한 것이다. 파손되기 쉬운 비정질 강 적층(24)들을 요오크(14)(16)를 형성하기 위해 사전 조립된 영역내의 수평표면상에 개별적으로 적층되거나 그룹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음에, 규소 강 적층(22)들을 절단하여 정밀하게 적층함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계단형 결합구조(18)의 레그 및 하부 요오크(16)사이에 완전한 일치를 달성하거나, 제3도에 예시된 결합패턴의 레그와 상부 요오크(14) 사이에 완전한 일치를 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모든 규소 강 레그 적층(22)들은 비정질 강 상부 요오크 적층들과 그룹으로 정렬되어 접합(26)된다. 삽입되는 레그 적층들과, 그룹으로 정렬된 상부 요오크 적층들의 규격은 강자성 규소 강의 삽입체(28)가 공급되는 공간을 남기면서 서로 종단되도록 결정된다. 삽입체(28)들은 규소 강 레그 적층(22)들과 비정질 강 상부 요오크 적층(24)들 사이에 계단헝으로 겹쳐진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레그와 요오크의 적층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글래스 테이프 래핑(30)들로 주입된 에폭시 수지등과 같은 적당한 수단으로 서로 클램프된다. 이러한 모든 조립단계들은 철심이 수평면상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다음에, 삽입체(28)들을 당겨서 상부 요오크(14)를 조심스럽게 이동시킨다. 즉, 레그(12)상에 권선(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요오크(14)를 직립시킨다. 상부 요오크는 레그상에 조심스럽게 올려지고, 양자 사이에 낮은 자기 저항을 달성하도록 삽입체(28)들이 다시 삽입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개개의 비정질 강 적층들의 취급을 최소화하고 있으므로, 비정질 강 적층에 대한 손상을 저하시킬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비정질 강-규소 강 변압기 철심은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경제적으로 된다.
제4도와 제5도를 참조로 하면 한쌍의 레그(34)를 갖는 단상철심(32)은 복수의 규소 강 적층(36)과 상부 및 하부 요오크(38,40)로 조립하고, 복수의 비정질 강적층(42)을 갖는 큰 단면적을 갖도록 조립된다. 상기 요오크 및 레그 적층은 (30)으로 지시된 바와같이 결합된다. 상기 적층의 단부는 레그-요오크 결합을 제공하도록 대각선상으로 절단한다. 상부 요오크(38)를 밀봉하는 최소한 몇개의 결합은, 상기에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4,520,556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3도에서 제시한 방법에 규소 강 삽입체(44)를 포함한다. 상기한 참증의 특허는 또한 3개의 레그를 갖는 비결정강-규소 강 복합 철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부 요오크-권선레그에서 강자성 삽입체의 혼성에 의해 부여된 장점을 이용하도록 구성한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상부 요오크(52)와 하부 요오크(54)를 갖는 변압기 철심이 각각 비정질 강 적충(56)으로 구성하고, 한쌍의 권선레그(58)는 규소 강 적층으로 구성한다.
제1도와 제4도의 철심에 대비해서, 철심(50)의 적층은 철심면에서 노출된 측연부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철심의 조립은 배전용 변압기 설계에서의 전선 철심과 유사하다. 비정질 강적층의 단면적은 규소 강 레그의 단면적보다 대략 크다.
저 자기저항을 이용한 철심(50)은 커다란 단면적 영역의 비정질 강적층보다 작은 단면적 영역의 규소 강 레그로부터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62)로 지시된 바와같이 결합된다. 제7도에서 도시한 것처럼, 규소 강적층의 각 단부에서 단부 부분은(60a)에 지시된 바와같이 적층상에 직각으로 오프셋된다. 외측 구성으로부터, 제1그룹의 U자형 규소 강 레그 적층이(64)로 지시한 것처럼 제1그룹의 규소 강 요오크 적층(56)과 함께 단부 용접을 절단하고 (66)으로 지시한 바와같이 인접한 제2그룹의 요오크 적층과 함께 겹치도록 하기 위해 차례로 삽입한 것을 알 수 있다. 차례로 삽입된 제1그룹의 U자형 규소 강 레그 중 최내부 레그와 함께 제2그룹의 비정질 요오크 적층 용접의 절삭 단부에서, 제2그룹의 규소 강 적층의 90°오프셋 단부(60a)와 겹쳐진다. 점차적으로 보다 짧은 규소 강 레그 적층의 그룹을 따라 반복되는 패턴을 결합하여 연결하고, 비결정강 요오크 적층의 그룹을 따라 겹친다.
바람직한 요오크-레그 단면적 영역 관계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60b)에 지시한 바와같이 삽입체를 부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60b)의 절삭 단부는 (50a)로 지시한 바와같이 비정질 요오크적층의 가장 내부그룹에 의해 겹쳐진다.
상기 변압기 철심은 요오크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 요오크는 비정질 강 적층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압기 철심은 복수의 규소 강 적층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취약한 비정질 강 적층 구조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예를들면 제1도와 제4도는 상기 철심 요오크를 도시한 것인데, 요오크는 규소 강적층과 전후 대향되어 있고, 또한 제6도의 철심에서 내심 및 외심 요오크 적층은 규소 강 적층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단일 권선 레그를 구비하고 있는 전력 변압기 철심에 적합할 뿐 아니라 쉘형 변압기 철심에도 적합하다.
상기 철심의 비권선 레그들은 요오크들의 신축성을 고려해야하고, 특히 플럭스 귀환(return)레그에 대해 고려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플럭스 귀환 레그는, 상기 요오크와 같이 공간이 허용되는 비정질 강 적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공간이 허용되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권선레그와 상기 플럭스 귀환 레그는 규소 강 적층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은 복합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 바, 비정질 강의 저손실 특성이 가장 유용한 범위로 이용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철심 요오크와 플럭스 귀환 레그로서 비정질 강을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자성물질 단면 영역에서의 필연적인 증대는 상기 철심의 전반적인 외형 크기의 증가없이도 수용될 수 있다. 철심 권선레그에서 규소 강을 결합함으로 해서 좀 더 소형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도체 가격과 전력손실의 경제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A 적어도 하나가 규소 강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 권선 레그인 한쌍의 레그(12); B. 각각 비정질 강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 한쌍의 요오크(14,16), 및 C. 상기 권선 레그(12)의 상기 규소 강 적층 및 상기 요오크(14,16)의 상기 비정질 강 적층 구조를 자기 루우프 회로내에 직렬 접속한 결합 구조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변압기 철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크(14,16)들이 상기 권선 레그(12)보다 더 큰 횡단면적으로 된 변압기 철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들이 상기 권선 레그(12)의 상기 규소 강 적층 및 상기 요오크(14,16)들의 상기 비정질 강 적층 사이에 낮은 자기 저항 플럭스 경로를 제공하는 계단형으로 겹쳐진 결합 구조인 변압기 철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강 적층들은 1-2밀 두께 이내이고 상기 규소 강 적층들은 7-11밀 두께 이내이며, 상기 결합 구조들은 각각 반복하여 짝을 이루는 일련의 비정질 강 적층 결합 구조 반체들(18a) 및 규소 강 적층 구조 반체(18b)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 강 적층 결합 구조 반체(18a)내의 적층수가 각각 그 짝을 이루는 규소 강 적층 결합 구조 반체(18b)내의 적층수를 초과하는 변압기 철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레그(12) 및 상기 요오크(14,16)들중의 한 요오크 사이의 상기 최소한의 결합 구조가 제거 가능한 강자성 삽입체(28)를 포함하는 변압기 철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 강 권선 레그 적층들이 모두 동일한 길이이고 그 중간 점들이 각각의 권선 레그 단부에서 계단형 레그 결합 구조 반체들을 형성시키기 위해 세로로 증가하게끔 오프셋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비정질 강 적층들은 그 세로 방향 단부들이 상기 권선 레그 결합 구조 반체들과 짝을 이룰 수 있는 계단형 요오크 결합 구조 반체들을 형성시키기 위해 옆방향으로 오프셋하게끔 분리 적층내에 배열된 변압기 철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 강 권선 레그 적층들이 각을 갖게 오프셋된 단자 단부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권선 레그 적층들이 그 적층 구조내에서 상기 비정질 강 요오크 적층의 종단부와 겹치고 모서리지도록 배열된 상기 오프셋 단자 단부 부분과 함께 겹쳐지고, 그에 따라 상기 곁합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변압기 철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들이 연귀이음한 모서리 결합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권선 레그 및 상기 요오크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모서리 결합 구조가 제거가능한 강자성 삽입 부분을 포함하는 변압기 철심.
  9. 제2항에 있어서, 요오크 횡단면적대 권선 레그 횡단면적의 비가 상대적인 포화 인덕턴스들에 비례하여 상기 규소 강 권선 레그 적층들 및 상기 비정질 강 요오코 적층들의 계수들을 팩킹하는 변압기 철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레그가 단지 상기 규소 강 적층들로만 형성되는 변압기 철심.
KR1019870001327A 1986-02-18 1987-02-18 복합규소 강-비정질 강 변압기 철심 KR960000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9,877 1986-02-18
US829877 1986-02-18
US06/829,877 US4668931A (en) 1986-02-18 1986-02-18 Composite silicon steel-amorphous steel transformer c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44A KR870008344A (ko) 1987-09-25
KR960000911B1 true KR960000911B1 (ko) 1996-01-15

Family

ID=2525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327A KR960000911B1 (ko) 1986-02-18 1987-02-18 복합규소 강-비정질 강 변압기 철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68931A (ko)
JP (1) JPH069176B2 (ko)
KR (1) KR960000911B1 (ko)
DE (1) DE3704499A1 (ko)
MX (1) MX168878B (ko)
PH (1) PH23627A (ko)
SE (1) SE8700651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707A (ja) * 1986-01-27 1987-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しや断器の電流検出装置
US4853292A (en) * 1988-04-25 1989-08-01 Allied-Signal Inc. Stacked lamination magnetic cores
US6100783A (en) * 1999-02-16 2000-08-08 Square D Company Energy efficient hybrid core
US6456184B1 (en) 2000-12-29 2002-09-24 Abb Inc. Reduced-cost core for an electrical-power transformer
EA201190077A1 (ru) * 2009-02-05 2012-11-30 Гексаформер Аб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непрерывной линии магнитного потока аморфного металл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1859630A (zh) * 2009-04-09 2010-10-13 浙江广天变压器有限公司 中高频变压器非晶合金多斜面组合铁芯
CN101930831B (zh) * 2009-06-26 2012-08-15 特变电工沈阳变压器集团有限公司 一种抑制直流偏磁的换流变压器
JP5686439B2 (ja) * 2011-08-29 2015-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静止誘導電器用積層鉄心
JP5686440B2 (ja) * 2011-10-05 2015-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静止誘導電器用積層鉄心
EP2685477A1 (en) 2012-07-13 2014-01-15 ABB Technology Ltd Hybrid Transformer Cores
US9159487B2 (en) 2012-07-19 2015-10-13 The Boeing Company Linear electromagnetic device
US9568563B2 (en) 2012-07-19 2017-02-14 The Boeing Company Magnetic core flux sensor
US9455084B2 (en) * 2012-07-19 2016-09-27 The Boeing Company Variable core electromagnetic device
US9947450B1 (en) 2012-07-19 2018-04-17 The Boeing Company Magnetic core signal modulation
US9651633B2 (en) 2013-02-21 2017-05-16 The Boeing Company Magnetic core flux sensor
CN104779037B (zh) * 2014-01-09 2018-01-30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电抗器
US10403429B2 (en) 2016-01-13 2019-09-03 The Boeing Company Multi-pulse electromagnetic device including a linear magnetic core configuration
CN105742006B (zh) * 2016-04-19 2018-04-06 电子科技大学 适用于片上螺线管电感的闭合磁路磁芯膜及其制备方法
EP3330980B1 (en) * 2016-12-02 2019-07-31 ABB Schweiz AG Semi-hybrid transformer core
EP3567612B1 (en) * 2018-05-11 2021-01-27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Magnetic core for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core
EP3916743A1 (en) 2020-05-29 2021-12-01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Hybrid transformer 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core
CN114420435B (zh) * 2022-01-25 2023-11-24 沈阳工业大学 一种变压器用混合材料卷铁心截面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2074A (en) * 1940-04-26 1945-03-20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Bonded laminated magnetic material
US2855563A (en) * 1955-05-19 1958-10-07 Everard M Williams Saturable reactor system
US2932787A (en) * 1956-03-19 1960-04-12 Allis Chalmers Mfg Co Magnetic amplifier
US3856513A (en) * 1972-12-26 1974-12-24 Allied Chem Novel amorphous metals and amorphous metal articles
US4364020A (en) * 1981-02-06 1982-1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Amorphous metal core laminations
US4520556A (en) * 1981-05-04 1985-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assembling a transformer core
US4506348A (en) * 1982-06-14 1985-03-19 Allied Corporation Variable digital delay circuit
US4520335A (en) * 1983-04-06 1985-05-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former with ferromagnetic circuits of unequal saturation inductions
US4506248A (en) * 1983-09-19 1985-03-19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Stacked amorphous metal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04499A1 (de) 1987-08-20
SE8700651L (sv) 1987-08-19
US4668931A (en) 1987-05-26
SE8700651D0 (sv) 1987-02-17
JPH069176B2 (ja) 1994-02-02
KR870008344A (ko) 1987-09-25
JPS62222614A (ja) 1987-09-30
PH23627A (en) 1989-09-11
MX168878B (es) 199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911B1 (ko) 복합규소 강-비정질 강 변압기 철심
CN1258197C (zh) 用于高频大电流的变压器
CA1124344A (en) Core with step lap joints
JPH01134908A (ja) 変圧器の磁心
US9123461B2 (en) Reconfiguring tape wound cores for inductors
JPS59210623A (ja) 磁心
US2558110A (en) Three-phase transformer core
CA1301269C (en) High voltage windings for shell-form power transformers
US4656452A (en) Transformer telephone influence tractor core shunt
EP015104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induction apparatus
JPS57143807A (en) Iron core for stationary electrical equipment
JPH0145204B2 (ko)
JPS5939012A (ja) 静止誘導電器の鉄心
JP2940356B2 (ja) 三相アモルファス三脚巻鉄心の製造方法
JPS6174314A (ja) 変圧器鉄心の製造方法
JPS61198706A (ja) 誘導電気機器鉄心
JPH113830A (ja) 零相変流器
KR20220156924A (ko) 하이브리드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코어의 제조 방법
JP2001230134A (ja) 外鉄型リアクトル及び外鉄型リアクトル用鉄心の組立方法
JPH04206906A (ja) 薄型トランス
WO1987004000A1 (en) Clamping means for the core and coil assembly of an electric transformer
WO1991013450A1 (en) Modified i-plate core structures and methods of yoking amorphous metal stacked core transformers
JPS6127609A (ja) 電磁誘導機器鉄心
CA1078937A (en) Sheet-wound transformer coils
JPH0794341A (ja) 変圧器の積鉄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