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778Y1 -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778Y1
KR960000778Y1 KR2019930009892U KR930009892U KR960000778Y1 KR 960000778 Y1 KR960000778 Y1 KR 960000778Y1 KR 2019930009892 U KR2019930009892 U KR 2019930009892U KR 930009892 U KR930009892 U KR 930009892U KR 960000778 Y1 KR960000778 Y1 KR 960000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valve
pilot
valve
propor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878U (ko
Inventor
윤영환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9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778Y1/ko
Publication of KR950000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78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의 유압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능동현가장치의 유압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비례압력제어밸브의 개략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파일럿압력제어밸브의 개략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례압력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전류 대 제어압력선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럿압력제어밸브와 설정압력유지밸브의 동작 상태의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S : 공급측관로 26R : 복귀측관로
26P : 파일럿관로 29 : 이상상태검출기
30FR, 30FL, 30RR, 30RL : 유압액츄에이터
32 : 제어기 31 : 차량자세변화검출기
34 : 복귀압이상방지용체크밸브
34B : 통기구 36 : 파일럿압력제어밸브
36S : 파일럿압력제어밸브용비례솔레노이드
38 : 가변용량형유압펌프 37 : 설정압력유지밸브
39F : 전륜측밸브유니트 39R : 후륜측밸브유니트
40 : 밸브몸체 41 : 스풀
42 : 스풀슬리이브 44 : 귀환스프링조정용나사
47 : 파일럿오리피스 48 : 복귀오리피스
49 : 플런지 50 : 포펫
51 : 공급오리피스하우징 52 : 공급오리피스
53 : 제어오리피스 54 : 포펫슬리이브
55F : 귀환실 55P : 파일럿실
55C : 압축실 56 : 포펫포트
L1 : 복귀압력선 L2 : 파일럿압력선도
본 고안은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파일럿압력제어밸브와 비례압력제어밸브를 장착하여 시동, 정지 및 차량 주행중에 여러가지 상태에 알맞도록 각 유압액츄에이터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고 차량의 수평을 유지하여 승차감과 조종성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능동현가장치(일본국 특허출원 평 3-42321호)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의 공급원으로 유압펌프(1)와 각 차륜에 대응 배치시킨 액츄에이터(15)와 상기 액츄에이터(15)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유니트(25)와 압력을 조절 유지하는 압력유지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펌프(1)에는 유압의 맥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펌프맥동흡수용 축압기(3)와 시스템압을 설정하는 릴리이프밸브(6) 사이에 여과기(5)와 여과기파손방지용체크밸브(4)가 설치되고, 복귀측에는 오일을 냉각하는 오일냉각기(21)를 통해 오일을 복귀하는 오일탱크(23)가 구성된다.
각 차륜에 대응 배치시킨 액츄에이터(15)는 서브축압기(13)와 감쇄오리피스(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밸브유니트(25)는 전후륜으로 구분하여 2개가 있다.
전륜측은 좌우 2개의 제어밸브(20)로 구성되어 액츄에이터(15)의 압력을 제어하고, 제어밸브(20)의 공급측에는 메인축압기(11), 복귀측에는 복귀축압기(16)와 감쇄오리피스(19)(17)가 구성된다.
상기 압력유지부(24)는 엔진시동 직후의 차고급변방지용으로 오리피스(7)와 일체형 유량제어밸브(8)가 마련되고, 전기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의 차고급변방지 및 일정차고 유지를 위해 고장안전용밸브(10)와 압력유지체크밸브(18) 및 릴리이프밸브(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능동현가장치는 유압펌프(1)에서 토출된 오일이 각 차륜에 대응 배치시킨 액츄에이터(15)의 실린더실에 공급, 배기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운동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5)에 이르는 유로(26S)중에는 비례전자밸브인 압력제어밸브(20)를 배치, 이 압력제어밸브(20)에 의해 액츄에이터(15)에 유압을 공급, 배기하여 제어하는데 예를들면, 자세변화검출기(28)의 검출출력(X)을 기초로 제어장치(27)의 제어출력(IFR), (IFS)을 압력제어밸브(20)의 비례솔레노이드(20S)에 공급하여 액츄에이터(15)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자세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압력을 조절 유지하는 압력유지부(24)의 릴리이프밸브(6)는 시스템압을 일정압력으로 유지하고, 엔진시동 직후 차고급변방지는 오리피스(7)와 제어신호(IFS)에 의해 구동되는 온/오프 솔레노이드(8S)로 구성된 유량제어밸브(8)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계통에 고장이 발생했을때 차고급변방지 및 일정차고 유지를 위해서는 온/오프 솔레노이드(10S)에 의해 구동되는 고장안전용밸브(10)의 파일럿압력을 조절하여 압력유지체크밸브(18)를 개폐함으로서 그 기능을 수행한다. 엔진정지 후의 복귀압변동에 의한 차고급변방지는 압력유지체크밸브(18)의 개도절환에 의한 감쇄오리피스(17)와 복귀축압기(16)및 메인축압기(1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축압기(11)는 액츄에이터(15)에 순간적으로 많은 유량이 필요할 경우 유압펌프(1)로부터의 공급오일의 부족분을 보충하고 공급압의 변동을 흡수하며, 엔진정지후 압력유지체크밸브(18)의 작동에 의해 복귀압을 일정으로 유지하여 누설에 의한 복귀압의 저하를 부드럽게 하여 차고의 급변을 방지한다.
상기 복귀축압기(16)는 복귀유압의 맥동을 흡수하고, 상기 각차륜에 대응 배치시킨 액츄에이터(15)의 서브축압기(13)와 감쇄오리피스(14)는 고주파의 진동을 흡수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능동현가장치는 유압펌프(1)에서 토출된 오일이 각 차륜에 대응배치한 액츄에이터(15)의 실린더실에 공급, 배기되는 것에 의하여 차량의 운동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유압부품을 사용하게 되지만 차량에서는 여러가지 유압부품을 장착할 여유공간이 충분하지 않다. 이로인해 부품들은 컴팩트하게 설계되어야 하는바, 종래의 장치에서는 압력유지부(24)와 각차륜의 액츄에이터(15)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륜/후륜을 구분하여 압력제어유니트(25)로 컴팩트하게 설계되었다. 특히 압력유지부(24)의 기능중 엔진시동 직후의 차고급변방지를 위하여는 온/오프 솔레노이드(8S)와 오리피스(7)를 사용한 2포트 2절환밸브를 사용하였는데, 엔진시동직후 메인유로(26S)를 절환하여 오리피스(7)를 통해서 서서히 시스템압을 상승시켜 차고급변을 방지한다. 전기계통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온/오프 솔레노이드(10S)를 사용한 4포트 2절환밸브(10)에 의해 메인유로를 절환하여 복귀측의 압력유지체크밸브(18)에 의해 일정차고유지를 행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온/오프 솔레노이드(8S)를 사용한 유량제어밸브(8)와 온/오프 솔레노이드(10S)를 사용한 고장안전용밸브(10)는 밸브자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수가 많아지고 가공이 어렵다.
또한 온/오프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2개의 밸브는 직동형 스풀밸브이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큰 힘을 내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로인해 솔레노이드가 커져서 압력유지부(24)의 크기가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지게 됨으로써 적용차종에 제한을 받게 되고 유로가 복잡하여 장착공간에 제한을 받으며, 또, 유압맥동에 의한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복귀측관로(26R)내에 있는 감쇄오리피스(19)에 의해 통상제어시 복귀압의 상승에 의해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승차감향상과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설치되는 현가장치에 비례압력제어밸브를 장착하여 각 유압액츄에이터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주행상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고, 차량의 수평을 유지하여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으며,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선회, 제동, 조향시 각 유압액츄에이터의 압력이 연속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차량자세제어 및 조정성,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의 유압회로도로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원으로 가변용량형의 유압펌프(38)와 펌프맥동흡수용축압기(3)가 마련되고, 상기 유압펌프(38)의 입력측에는 여과기(5)와 이 여과기(5)의 파손방지용 체크밸브(4)를 내재한 오일탱크(23)로 구성된다.
각 차륜에 대응배치되는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는 실린더(30C)와 코일스프링(30S) 및 감쇄용서브축압기(30A), 피스톤감쇄밸브(30P)와 몸체감쇄밸브(30D)로 구성된다.
상기 가변용량형의 유압펌프(38)와 각 차륜에 대응배치된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차량자세변화검출기(31)와 이상상태검출기(29)에서 검출되는 검출신호 X, Y를 제어기(32)는 송신받아 분석하여 파일럿압력 제어밸브(36)와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비례솔레노이드(36S)(20S)를 제어한다.
상기 여과기(5)와 여과기 파손방지용 체크밸브(4)와 시스템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릴리이프밸브(6)에는 전륜밸브유니트(39F)와 후륜밸브유니트(39R)로 구성되게 되는데, 상기 전륜밸브유니트(39F)는 메인체크밸브(9)와 축압용인 전륜측메인축압기(11F)와 전륜측압력제어밸브(20FR)(20FL)의 전단에 오염물여과장치로서 전륜측여과기(33F)와 복귀측관로(26F)에는 전륜측복귀축압기(16F)와 오일냉각기(21)가 구성되고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와 설정압력유지밸브(37)와 복귀압이상방지용체크밸브(34)와 통기구(34B)로 구성된다.
상기 후륜밸브유니트(39R)에는 축압용으로 후륜측메인축압기(11R)와 후륜측압력제어밸브(20RR)(20RL)의 전단에 오염물여과장치로서 후륜측여과기(33R)과 복귀측관로(26R)에는 후륜측 복귀축압기(16R)와 복귀압이상방지용체크밸브(34)와 통기구(34B)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비례압력제어밸브의 개략단면도로서, 상기 각 차륜에 대응배치된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는 밸브몸체(40)내에 스풀(41)과 스풀하우징인 슬리이브(42)와 귀환오리피스(46), 귀환스프링(45) 및 귀환스프링조정용 나사(44), 제어오리피스(53)로 구성되는 메인밸브와 비례솔레노이드(20S)와 포펫(50), 포펫하우징인 포펫슬리이브(54), 공급오리피스(52) 및 공급오리피스하우징(51), 파일럿오리피스(47)와 복귀오리피스(48)로 구성된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파일럿 압력제어밸브의 개략단면도로서, 상기 파일럿 압력제어밸브(36)는 상기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에서 메인밸브를 제외한 비례솔레노이드(36S)와 포펫(50), 포펫하우징인 포펫슬리이브(54), 공급오리피스(52) 및 공급오리피스하우징(51), 파일럿오리피스(47)와 복귀오리피스(48)로 구성하여 시스템고장에 의한 일정차고유지 및 엔진시동직후, 엔진정지직후의 차고급변방지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압원으로서 가변용량형의 유압펌프(38)에서 토출된 오일은 각 차륜에 대응배치시킨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의 실린더(30C)에 공급, 배기하는 것에 의하여 차량의 운동상태를 제어한다. 차량의 운동상태는 차량자세변화검출기(31)에서 검출신호(X)를 제어기(32)로 보내면 제어기에서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비례솔레노이드(20S)를 제어하여 차량의 운동상태 즉 자세 및 안정성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시스템고장에 의한 일정차고 유지 및 엔진시동 직후, 엔진정지 직후의 차고급변방지 등의 다양한 기능은 이상상태검출기(29)의 검출신호(Y)를 제어기에서 송신받아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의 비례솔레노이드(36S)를 제어하여 파일럿관로(26P)의 파일럿압력을 제어한다. 즉, 파일럿압력에 의해 개도를 절환하는 설정압력유지밸브(37)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고, 시스템고장주행시 및 승차하중 및 승차인원 변환시 복귀압 상승방지는 공기배출을 위해 통기구(34B)와 일체로 구성된 복귀압 이상방지용체크밸브(34)에 의해 수행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차량은 안정감있게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소로 차량을 운반하는 중의 도로의 부하 변동은 유압액츄에이터에 부하로 작용하므로 비례압력제어밸브(20)는 제어된다.
이때 시스템관로와 복귀관로를 연통시키는 수단이 없으면 시스템관로의 압력은 하강하고, 복귀관로의 압력은 계속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스템관로와 복귀관로를 연통시켜 역류방지밸브인 체크밸브(34)를 설치하면 복귀관로측의 압력이 체크밸브의 힘을 이기고 시스템관로 측으로 유입되므로 관로의 불균형에 의한 차량의 불안정이 해소되고 승차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승차하중 및 승차인원의 차이도 유압액츄에이터(30)에 부하로 작용하므로 비례압력제어밸브(20)는 제어되어 상기와 같은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량의 운동상태 즉 자세 및 안정성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는 정상상태의 경우,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형의 유압펌프(38)에 의해 공급된 오일은 공급오리피스(52)와 파일럿 오리피스(47)을 통해 파일럿실(55P)내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오일은 포펫(50)에 의해 형성되는 포펫포트(56)를 통해 탱크로 복귀된다. 이때 스풀(41)의 좌우실, 즉 파일럿실(55P)과 귀환실(55F)의 압력이 같게 되면, 스풀(41)은 귀환스프링(45)에 의해 중립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비례솔레노이드(20S)의 제어신호인 전류(I)를 증가시키면 플런저(49)에 의해 전류량(Ⅰ)에 비례하는 힘이 생겨 포펫(50)을 밀어 파일럿실(55P)의 압력이 상승하고 포펫(50)은 비례솔레노이드(20S)에 의해 작용하는 힘과 파일럿실(55P)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파일럿실(55P)압력은 비례솔레노이드(20S)에 통전되는 전류량(Ⅰ)에 비례해서 변하게 되며, 이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파일럿오리피스(47)를 통해 유량이 유입되어 압축실(55C)의 압력, 즉 제어압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압축실(55C)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귀환오리피스(46)를 통해 유량이 귀환실(55F)로 유입되어 실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이 압력이 파일럿실(55P)의 압력보다 높게 되면 스풀(41)이 왼쪽으로 밀려 복귀측관로(26R)를 통해 유량이 오일탱크(23)로 빠져나가 압축실(55C)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압축실(55C)의 압력은 파일럿실(55P)압력과 같게 된다.
따라서 압축실(55C) 압력은 비례솔레노이드(20S)의 전류량(Ⅰ)에 비례하여 조절되며 이 압력이 능동현가장치의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실(55C)의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귀환기능은 비례솔레노이드(20S)의 전류(I)가 어떤값으로 고정된 경우에도, 즉 제어신호(I)가 일정한 경우에도 압축실(55C)의 압력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비례솔레노이드(20S)에 의해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의 압력을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하지 않아도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내의 귀환오리피스(46)에 의해 기계적으로 압축실(55C)의 압력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귀환기능에 의해 압축실(55C)의 제어범위가 커지게 되므로 높은 주파수영역까지 승차감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시스템고장에 의한 일정차고 유지 및 엔진시동 직후, 엔진정지 직후의 차고급변방지는 이상상태검출기(29)의 검출신호(Y)를 제어기에서 송신받아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의 비례솔레노이드(36S)를 제어하여 파일럿관로(26P)의 파일럿압력을 제어한다. 즉, 파일럿 압력에 의해 개도를 절환하는 설정압력유지밸브(37)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고, 시스템고장시의 주행 및 승차하중 및 승차인원 변환시 복귀압 상승방지는 공기배출을 위해 통기구(34B)와 일체로 구성된 복귀압 이상방지용 체크밸브(34)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상기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실(55P)의 압력에 의해 조절되는 설정압력유지밸브(37)에 의해 적용되는 차량의 특성에 따라 복귀측관로(26R)의 압력을 일정압력으로 설정함으로써 차고유지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즉, 비례솔레노이드(36S)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럿실(55P)의 압력에 의해 설정압력유지밸브(37)의 개도절환을 수행하게 된다.
시스템고장시 설정압력유지밸브(37)의 개도절환에 따른 복귀측관로(26R)의 압력변동에 의해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내의 실린더실(30C)의 압력변화에 의한 차고급변방지는 전륜밸브유니트(39F)내의 전륜측메인축압기(11F), 전륜측복귀축압기(16F)와 후륜밸브유니트(39R)내의 후륜측 메인축압기(11R)와 후륜측복귀축압기(16R), 및 복귀압 이상방지용 체크밸브(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미소유량손실에 의한 압력강화는 전륜측메인압축기(11F)와 전륜측복귀축압기(16F)와 후륜측 메인축압기(11R), 후륜측복귀축압기(16R)에 의해 축압된 오일의 공급에 의해 미소유량손실에 의한 압력강화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의 비례솔레노이드(36S)에 의해 파일럿관로(26P)의 파일럿압력을 제어하며, 파일럿압력에 의해 개도를 절환하는 설정압력유지밸브(37)는 복귀측관로(26R)에서 오일탱크측관로(26t)로의 복귀량을 결정한다.
즉, 시스템고장 및 엔진정지시 복귀유로를 닫아 설정된 차고유지압으로 유지되고, 통상의 운전중에는 파일럿관로(26P)에 의해 유로가 항상 열려 있으므로 쉽게 복귀되어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그러므로 통상의 운전중에는 설정압력유지밸브(37)가 완전히 열려 오일이 쉽게 오일탱크(23)로 복귀가능하므로 펌프에서 공급되는 유량이 저압에서 릴리이프 되어 에너지 저감 및 소음저감효과를 피할 수 있다.
제 6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비례압력제어밸브의 입력신호에 대한 제어압력변화를 나타낸 선도로서, 즉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제어전류값(IFR-IRL)의 입력에 대한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내의 실린더실(30C)의 제어압력변화는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성에 의하여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내의 실린더실(30C)의 압력을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제어전륜값(IFR-IRL)의 압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자세변화 즉 주행상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여 차량을 최대한 수평유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선회시 및 제동시, 조향시 차량자세변화를 작게하여 차량의 운동특성을 최적으로 하는 승차감과 조정안정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제 6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파일럿압력제어밸브와 설정압력유지밸브의 작동을 설명한 선도로서, 파일럿관로(26P)의 파일럿압력선도(L2)는 비례솔레노이드(36S)에 가해지는 제어신호(I)에 따라 파일럿관로(26P)의 압력은 변하게 되며, 파일럿관로(26P)의 압력변화에 따라 설정압력유지밸브(37)는 개폐작용을 한다.
엔진정지시(0-T0)에는 펌프토출압력(L3)은 제로(Zero)이고,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와 설정압력유지밸브(37)의 작동에 의해 파일럿압력(L2)과 복귀압력(L1)은 차고유지압력(P3)으로 유지되고 있다.
T0시간에서 엔진을 시동하면 펌프토출압력(13)은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의 유로가 완전히 열려있으므로 낮은 압력(P1)으로 릴리이프된다.
엔진시동 직후 유압펌프(38)의 구동에 의한 공급측관로(26S)의 압력상승에 의한 즉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내의 실린더실(30S)의 압력변화에 의한 차고급변방지를 위하여 T4시간까지 비례솔레노이드(36S)에 제어신호(IBY)를 시간T1부터 서서히 증가시킨다.
상기 제어신호(IBY)의 증가에 따라 공급측관로(26S)의 압력은 서서히 릴리이프밸브(6)의 설정압력까지 상승하고 또한 비례솔레노이드(36S)에 제어신호(IBY)가 IC일때, 즉 시간 T2에서 파일럿관로(26P)의 압력은 차고유지압력(P3)에서 서서히 상승하고, 설정압력유지 밸브(37)는 열리기 시작하여, 비례솔레노이드(36S)에 제어신호(IBY)가 IP일때의 시간T3에서, 즉 파일럿관로(26P)의 압력(PP)에서 설정압력유지밸브(37)는 완전히 열려 복귀압은 (PI)압력으로 유지되고, 아울러 차량자세변화검출기(31)는 검출신호(X)에 의한 제어기(32)의 제어신호(IFR-IRL)에 의해 비례압력제어밸브(20FR-20RL)의 비례솔레노이드(20S)를 제어하여 유압액츄에이터(30FR-30RL)내의 실린더실(30C)의 압력을 제어하여 차량자세를 제어하게 된다. 즉 시간(T4-T5)에서는 통상의 제어를 행하며, 통상제어시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를 완전히 닫아 즉 파일럿측관로(26P)의 파일럿압력(Pmax) 복귀유량을 줄여 소비유량을 줄이고, 복귀측관로(26R)의 압력을 제로 압력 근방으로 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게 된다.
반대로 시간(T5)에서 시스템고장이 발생하면 비례솔레노이드(36S)에 제어신호(IBY)가 단락되어 제로로 되면,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가 완전히 열리므로 공급측관로(26S)의 압력은 저압으로 되어 저압에서 릴리이프되므로 에너지저감 및 소음저감 효과를 꾀하며, 시간 T5부터 파일럿측관로(26P)의 압력은 서서히 감소하며 파일럿압력(L2)이 압력 PP즉 시간 T6에서 설정압력유지밸브(37)는 닫히기 시작하여 시간T7에서 완전히 닫혀 차고유지압력(P3)로 유지하고 유압펌프(38)에 의해 공급되는 토출유량은 저압에서 릴리이프된다.
시간 T8에서 엔진이 정지하면 유압펌프(38)의 정지에 의해 펌프토출압력(L3)은 제로압력으로 감소하지만 파일럿관로(26P)의 압력은 설정압력유지밸브(37)에 의해 차고유지압력(P3)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차륜에 부착된 유압액츄에이터의 압력을 설정압력유지밸브와 파일럿 압력제어밸브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운동상태, 즉 엔진시동/정지 직후의 차고급변방지 및 시스템 고장 및 주차시 일정차고 유지를 할 수 있어 승차감과 조정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통상제어시 파일럿압력제어밸브를 완전히 닫아줌으로써, 복귀유량을 줄여 소비유량을 줄이고 복귀측관로의 압력을 제로압력 근방으로 하여 에너지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통상의 운전중에는 설정압력유지밸브가 완전히 열려 오일이 쉽게 오일탱크로 복귀 가능하고 시스템고장 및 엔진정지시에는 부드럽게 차고유지압력으로 하며, 특히 시스템고장중의 주행시에도 파일럿압력제어밸브가 완전히 열려 있으므로 펌프에서 공급되는 유량이 저압에서 릴리이프되므로 에너지 저감 및 소음저감 효과를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각 차륜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 실린더의 압력변화에 의하여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유압액츄에이터(30FR, 30FL, 30RR, 30RL).
    상기 유압액츄에이터로 유체를 송출하는 가변유압펌프(38).
    상기 유압액츄에이터와 가변유압펌프(38) 사이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
    상기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와 유압액츄에이터 사이에 마련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비례압력제어밸브(20FR, 20FL, 20RR, 20RL).
    상기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와 비례압력제어밸브의 일측에 각각 마련된 비례솔레노이드(36S, 20S).
    차량자세변화검출기(31)와 이상상태검출기(29)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비례솔레노이드(36S, 20S)를 제어하여 그 상황에 적절하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제어기(32).
    상기 파일럿압력제어밸브(36)에서 바이패스된 파일럿관로(26P).
    상기 가변유압펌프(38)와 비례압력제어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파일럿관로(26P)와도 연통된 관로(26R).
    상기 파일럿관로(26P)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시동시 또는 정지시에 상기 관로(26R)를 폐쇄시키는 설정압력유지밸브(37).
    상기 관로(26R)와 비례압력제어밸브(20FR) 사이에 마련되어 비례압력제어밸브에서 리턴되는 유압을 보상시키는 축압기(16F).
    상기 비례압력제어밸브의 입구측과 리턴측을 연통시키게 마련되어 리턴측의 압력이 높아지면 입구측으로 유압을 보상하는 체크밸브(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의 유압회로.
KR2019930009892U 1993-06-08 1993-06-08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KR960000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892U KR960000778Y1 (ko) 1993-06-08 1993-06-08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892U KR960000778Y1 (ko) 1993-06-08 1993-06-08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878U KR950000878U (ko) 1995-01-03
KR960000778Y1 true KR960000778Y1 (ko) 1996-01-27

Family

ID=1935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892U KR960000778Y1 (ko) 1993-06-08 1993-06-08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7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878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7226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2509257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160161A (en) Working fluid circuit with line pressure control for vehicle active suspension system
JPH06213266A (ja) 流体式サスペンションの供給流量制御装置
JP2509338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960000778Y1 (ko)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JP3026441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960000336B1 (ko) 차량용 능동현가장치
KR100271285B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KR0145746B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KR960000338B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의 유압회로
JP2699648B2 (ja) 車両用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0166183B1 (ko)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의 유압회로
KR0144592B1 (ko) 차량용 능동현가장치의 유압시스템
JPH0636973Y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0120209Y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JP2003285615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2002013502A (ja) 油圧システムの制御弁
JP3151565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940010621B1 (ko) 차량의 능동제어식 현가시스템용 안전장치
JP2611448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0172639B1 (ko) 선형 유압액튜에이터를 이용한 차량용 능동 롤 제어장치
KR0122141Y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JP2621561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960005904B1 (ko) 자동차용 능동형 현가장치의 차고조정 및 페일 세이프(Fail Safe) 유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