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24Y1 - 전자식 금고 - Google Patents

전자식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24Y1
KR960000124Y1 KR2019930017295U KR930017295U KR960000124Y1 KR 960000124 Y1 KR960000124 Y1 KR 960000124Y1 KR 2019930017295 U KR2019930017295 U KR 2019930017295U KR 930017295 U KR930017295 U KR 930017295U KR 960000124 Y1 KR960000124 Y1 KR 960000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spring
hole
holes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175U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2019930017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124Y1/ko
Publication of KR950009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24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금고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금고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 내지 제 4 도는 고안에 따른 전자식 금고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제 2 도는 금고가 열려져 있는 상태
제 3 도는 금고가 닫혀져 있는 상태
제 4 도는 금고가 열리는 상태를 나다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고상판 2 : 금고본체
3 : 키패드 4 : 솔레노이드
5 : 제1작용부재 6 : 제2작용부재
7 : 제3작용부재 8 : 제4작용부재
9 : 제5작용부재 10 : 제6작용부재
11 : 보조키 수단 71 : 슬라이딩봉
72 : 슬라이딩편 73 : 제1스프링
81 : 걸림돌출편 85 : 지지봉
89 : 제2스프링 91 : 걸림구멍
92 : 누름부 101 : 원형봉
l02 : 제3스프링
본 고안은 전자식 금고, 특히 금고의 상면이 고정되고 금고본체가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키패드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해정되어 금고 본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나오며, 금고본체를 밀어 넣으면 괘정되는 방식의 전자식 금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금고가 사용되어져 왔으나 종래의 금고는 테이블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테이블등의 상면의 공간 활용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테이블등에 부착되어 있지 않아 금고 도난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금고에도 키패드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한 쾌,해정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나 예를 들어 본원의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되어 공개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3-28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를 조작하여 신호를 입력하고, 키를 회전시킨 다음 다시 레버를 회전시켜 해정시키는 방식으로 다단계의 작동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금고에는 키패드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련 경우 금고를 해정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고의 상면이 테이블등의 하부에 부착되며 단순히 키패드를 한번 조작함에 의하여 금고본체가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나오도록 하는 전자식 금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키패드의 비밀 번호를 잃어버린 경우의 보조키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식 금고는 다수의 금고부착용 구멍(12)을 가진 금고상판(1)과, 상기금고상판(1)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며 내부에 고정판(21)을 가진 금고본체(2)와, 상기 금고본체(2)의 전면에 구비된 키패드(3)와, 솔레노이드 축봉(41)을 가지며 상기 키패드(3)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좌방으로 작용하는 솔레노이드(4)와, 사각구멍(51)을 가지며, 상기 솔레노이드(4)가 통전되면 솔레노이드축봉(41)에 의해 제 1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제 1 작용부재(5)와, 걸림홈(61)과 상기 사각구멍(51)의 상부와 맞물리는 상향단부(62)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작용부재(5)가 시계방향 회전하면 상기 상향단부(62)가 상기 사각홈(51)에서 이탈되어 제 2 회전축(6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 가능하며, 시계방향회전은 상기 고정판(21)에 돌설된 회전멈춤봉(64)에 의해 정지되는 제 2 작용부재(6)와, 상부에 사각구멍(74)과 하부에 원형구멍(75)을 가진 슬라이딩편(72)과, 고정판(21)에 설치된 브라켓(78)에 형성된 원형구멍(7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며, 구멍(76)과 상기 구멍(76)에 멈춤부재(77)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봉(71)과, 상부는 상기 슬라이딩봉(71)의 사각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편(72)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스프링(73)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작용부재(7)와, 한쌍의 걸림돌출부(81)와 안내홈(82)과 상기 브라켓(78)에 고정지지되며 제 2 스프링(89)를 유지하는 지지봉(85)를 유지하는 지지봉(8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구멍(86,87)을 가진 상부 및 하부 걸림편(83,84)이 일체로 형성된 제 4 작용부재(8)와, 상기 한쌍의 돌출부(81)와 일치하는 한쌍의 걸림구멍(91) 및 상기 한쌍의 걸림구멍(9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봉(71)의 상부와 일치하는 누름부(9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고상판(1)의 전방하부에 설치되는 제 5 작용부재(9)와, 상기 금고본체(2)의 배변에 전방으로 설치된 브라켓(103)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구멍(105,106)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는 원형봉(101)과 제 3 스프링(102)으로 이루어지는 제 6 작용부재(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작용부(5)의 하단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조키수단(11)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는 첫째, 금고가 열려져 있는 상태 둘째, 금고가 닫혀져 있는 상태, 셋째 금고가 열리는 상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거 금고가 열려져 있는 상태부터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스프링(73), 제 2 스프링(89) 및 제 3 스프링(102)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걸림돌출부(81) 및 슬라이딩봉(71)의 상부가 고정판(21)의 고정판구멍(25)위로 돌출하여 있다.
다음 제 1 도 및 제 3 도에 의거 금고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설명한다.
금고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금고본체 (2)를 후방으로 밀어닫게 되면 슬라이딩봉(71)의 상부가 누름부(92)에 의해 눌러져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멈춤부재(77)에 의해 정지하는 지점까지 내려간다. 이때 슬라이딩편(72)은 걸림홈(61)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봉(71)만 하방이동하면서 제 1 스프링(73)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돌출부(81)만 고정관구멍(25)위로 돌출하여 걸림구멍(9l)에 걸려 금고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원형봉(101)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3 스프링(102)을 압축하여서 그 복원력에 의해 금고본체(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다음 제 1 도 및 제 4 도에 의거 금고가 열리는 상태를 설명한다.
금고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키패드(3)을 조작하면 솔레노이드(4)가 통전되어 솔레노이드축봉(41)이 제 1 작용부재(5)의 하단부를 좌방으로 밀며 이에 따라 제 1 작용부재(5)가 제 1 회전축(5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작용부재(6)의 상향단부(62)가 사각구멍(51)에서 이탈된다.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제 1 스프링(73)이 복원되면서 슬라이딩편(72)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딩편(72)은 걸림홈(61)을 눌러 제 2 작용부재(6)을 제 2 회전축(6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걸림홈(61)에서 이탈되는 한편 제 2 작용부재(8)의 상부걸림편(83)을 누르면서 하방 이동하기 때문에 제 2 스프링(89)이 압축되면서 제 2 작용부재가 하방이동하고 걸림돌편(81)이 걸림구멍(91)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에서 제 1 스프링(73)의 탄력은 제 2 스프링(89)의 탄력보다 더 크다. 압축되어 있던 제 3 스프링(102)이 복원되면서 금고본체(2)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금고가 열리게 된다.
금고가 열리는 동작이 종료하고 난 직후에는 제 1 스프링(73)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있고 제 2 스프링(89)은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다시 제 2 스프링(89)이 복원되면서 하부 걸림편(84)에 의해 제 4 작용부재(8)을 밀어올리고 따라서 상부 걸림편(83)에 의해 슬라이딩편(72) 및 슬라이딩봉(71)을 상방이동시킨다. 슬라이딩편(72)은 상방 이동하면서 걸림홈(61)의 상부를 밀어올려 제 2 작용부재(6)을 시계방향 회전시키면서 걸림홈(61)에 걸리게 된다. 한편 제 1 작용부재(5)는 솔레노이드(4)가 작동되고 난 다음에는 코일스프링(53)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각구멍(51)과 상향단부(62)가 일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스프링(73), 제 2 스프링(89) 및 제 3 스프링(102)이 원형으로 돌아가며 걸림돌출부(81) 및 슬라이딩봉(71)의 상부가 상향이동하게 되어 다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금고가 열려져 있는 상태로 들아가게 된다.
또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는 보조키 수단(11)은 키패드(3)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 보조키(112)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슬라이딩부(111)가 제 1 작용부재(5)의 하단부를 좌측으로 밀게되어 솔레노이드(4)가 통전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되어 금고를 열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 본 고안은 금고의 상면이 테이블 등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어 테이블 등의 공간활용에 유용하며, 단지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조작없이 금고본체가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나오며,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경우에도 보조키수단에 의하여 금고를 확실하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전자식 금고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금고부착용구멍(12)을 가진 금고상판(1)과,
    상기 금고상판(1)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며 내부에 고정판(2l)을 가진 금고본체(2)와,
    상기 금고본체(2)의 전면에 구비된 키패드(3)와, 솔레노이드축봉(41)을 가지며 상기 키패드(3)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좌방으로 작용하는 솔레노이드(4)와,
    사각구멍(51)을 가지며, 상기 솔레노이드(4)가 통전되면 솔레노이드축봉(41)에 의해 제 1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제 1 작용부재(5)와,
    걸림홈(61)과 상기 사각구멍(51)의 상부와 맞물리는 상향단부(62)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작용부재(5)가 시계방향 회전하면 상기 상향단부(62)가 상기 사각홈(51)에서 이탈되어 제 2 회전축(6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회전가능하며, 시계방향회전은 상기 고정판 (21)에 돌설된 회전멈춤봉(64)에 의해 정지되는 제 2 작용부재(6)와,
    상부에 사각구멍(74)과 하부에 원형구멍(75)을 가진 슬라이딩편(72)과, 고성판(21)에 설치된 브라켓(78)메형성된 원형구멍(7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며, 구멍(76)과 상기 구멍(76)에 멈춤부재(77)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봉(71)과, 상부는 상기 슬라이딩봉(71)의 사각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편(72)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스프링(73)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작용부재(7)와,
    한쌍의 걸림돌출부(81)와 안내홈(82)과 상기 브라켓(78)에 고정지지되며 제 2 스프링(89)를 유지하는 지지봉(8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구멍(86,87)을 가진 상부 및 하부 걸림편(83,84)이 일체로 형성된 제 4 작용부재(8)와, 상기 한쌍의 돌출부(81)와 일치하는 한쌍의 걸림구멍(91) 및 상기 한쌍의 걸림구멍(91)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봉(71)의 상부와 일치하는 누름부(9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고상판(1)의 전방하부에 설치되는 제 5 작용부재(9)와,
    상기 금고본체(2)의 배면에 전방으로 설치된 브라켓(103)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구멍(105,106)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는 원형봉(101)과 제 3 스프링(102)으로 이루어지는 제 6 작용부재(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금고.
  2. 제 1 항에있어서,
    상기 제 1 작용부(5)의 하단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조키수단(11)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금고.
KR2019930017295U 1993-09-01 1993-09-01 전자식 금고 KR960000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295U KR960000124Y1 (ko) 1993-09-01 1993-09-01 전자식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295U KR960000124Y1 (ko) 1993-09-01 1993-09-01 전자식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175U KR950009175U (ko) 1995-04-19
KR960000124Y1 true KR960000124Y1 (ko) 1996-01-04

Family

ID=1936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295U KR960000124Y1 (ko) 1993-09-01 1993-09-01 전자식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1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812B1 (ko) * 2023-08-24 2024-03-2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175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663B2 (en) Drawer lock mechanism
JP4923907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KR960000124Y1 (ko) 전자식 금고
JP5099634B2 (ja) 施解錠装置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JP2021161635A (ja) リッドロック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1305875B1 (ko) 푸쉬버튼식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US5618070A (en) Push button quake latch
WO2009090981A1 (ja) 施解錠装置
JPH0337101Y2 (ko)
JP3718823B2 (ja) ラッチ錠
KR900007635Y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7177473B2 (ja) ロック装置
JPS597700Y2 (ja) 連動ロツク押釦スイツチのロツク押杆解除機構
JP5538863B2 (ja) 電気錠の自動施錠装置
JPH0345499Y2 (ko)
KR920001869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S6035723Y2 (ja) 回転開閉式扉のロック機構
JPH0718861Y2 (ja) プッシュラッチのロック構造
JP3844810B2 (ja) 自動施錠型錠前における作動モード切替装置
JPH0740041Y2 (ja) 非常錠
US3325201A (en) Night latches and like spring locks
US2995395A (en) Lock
JPH04523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