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8712A - 이수축혼섬사 - Google Patents

이수축혼섬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8712A
KR950018712A KR1019930029050A KR930029050A KR950018712A KR 950018712 A KR950018712 A KR 950018712A KR 1019930029050 A KR1019930029050 A KR 1019930029050A KR 930029050 A KR930029050 A KR 930029050A KR 950018712 A KR950018712 A KR 95001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re
denier
effect
bl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2393B1 (ko
Inventor
조대현
김원준
안윤희
장재홍
Original Assignee
하기주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주,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하기주
Priority to KR101993002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393B1/ko
Publication of KR95001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수축혼섬사에 관한 것으로서 직, 편물로 하였을 때 극세화섬유가 표면을 고수축섬유가 코어를 형성하는 이수축혼섬사이다.
종래의 이수축혼섬사는 이펙트부분의 섬유와 코어부분의 섬유가 불균일하게 혼섬되어 있기 때문에 촉감이 불량하고 염색불균일을 초래하며 제조원가도 비경제적이었다.
본 발명은 융용방사단계에서 스핀너렛의 외측에는 이펙트부분의 극세화복합섬유가, 내측부분에는 잠재고수축성복합섬유가 융용방사되도록 하여서 최종 직, 편물 상에서 단사섬도가 0.5 데니어 이하가 되는 섬유가 이펙트부분에, 단사섬도가 1.5 데니어 이상인 고수축섬유가 코어부분에 위치되도록 한 이수축혼섬사이다.
본 발명의 이수축혼섬사는 고도의 감성과 기능성이 요규되는 직, 편물의 원사로 활용된다.

Description

이수축혼섬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이수축혼섬사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방사구금의 코어부분과 이펙트부분의 토출공들의 배치도.(코어부분 : 12필라멘트, 이펙트부분 : 36필라멘트의 예)
제2도는 본 발명의 코어부를 형성하는 편심형 복합섬유의 단면도

Claims (5)

  1. 단사섬도가 0.5 데니어 이하로 되는 극세화 복합섬유가 이펙트부분에, 용해성이 큰 섬유형성성 폴리머(B)를 심부에 섬유형성성 폴리머(A)를 초부에 형성시킨 단사섬도 1.5 데니어 이상인 고수축성 복합섬유가 코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
  2. 제1항에 있어서, 코어부와 이펙트부분의 점유율 및 수축율이 다음조건을 동시에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
    다음
    ① 50% D이펙트부분 합섬도의 점유비율80% D
    ② 20% D코어부분 합섬도의 점유비율50% D
    ③ 코어부분 수축율 - 이펙트부의 수축율6%
    단, D : 이수축혼섬사의 합섬도(데니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펙트부를 형성하는 복합섬유의 섬유형성성 폴리머(A)의 점유율이 90~6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코어부를 형성하는 고수축성 복합섬유의 섬유형성성 폴리머(A)의 점유율이 85~6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
  5. 제1항에 있어서, 극세화복합섬유는 3~22개의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29050A 1993-12-22 1993-12-22 이수축혼섬사 KR013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050A KR0132393B1 (ko) 1993-12-22 1993-12-22 이수축혼섬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050A KR0132393B1 (ko) 1993-12-22 1993-12-22 이수축혼섬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712A true KR950018712A (ko) 1995-07-22
KR0132393B1 KR0132393B1 (ko) 1998-04-16

Family

ID=1937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050A KR0132393B1 (ko) 1993-12-22 1993-12-22 이수축혼섬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3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393B1 (ko) 199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8712A (ko) 이수축혼섬사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336B1 (ko) 이수축효과가 우수한 분할형 복합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62502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KR910003064B1 (ko) 스타킹용 이섬도 나일론 멀티필라멘트사 제조용 방사구금
KR100227947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5614A (ko) 축광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0210483B1 (ko)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1588B1 (ko) 편평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방사구금
KR940014937A (ko) 초극세섬유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950015030B1 (ko) 이수축혼섬사
JPS5438916A (en) Production of special multifilament yarn
JP2007046212A (ja) 複合糸、およびこれを含む布帛製品
KR870001346B1 (ko) 3성분계 다층성 이수축 복합 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860485A (ja) 透け防止性に優れた白色布帛
KR950011660A (ko)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KR970010732B1 (ko)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70010697B1 (ko) 폴리에스터 이섬도 태세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930000236B1 (ko) 편평 중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950001653B1 (ko) 자발 고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HK1064132A1 (en) Filament machine sewing yarn
KR960037883A (ko) 자발 고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920001907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S57149513A (en) Polyester conjugate fiber of high elasticity and low shrinkage
KR100429433B1 (ko) 폴리에스터 극세섬유로 이루어진 편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