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6938A -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6938A
KR950016938A KR1019930028797A KR930028797A KR950016938A KR 950016938 A KR950016938 A KR 950016938A KR 1019930028797 A KR1019930028797 A KR 1019930028797A KR 930028797 A KR930028797 A KR 930028797A KR 950016938 A KR950016938 A KR 950016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old
groove
form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민한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3002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6938A/ko
Publication of KR95001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938A/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가공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공하고자하는 금형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금형공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공구지지부재와, 상기 공구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구를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구 지지부재와 누름판을 관통하여 이들을 지지라는 지지봉을 구비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코어의 홈형성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내용없음

Claims (4)

  1. 코어본체의 상면에 인입부를 형성하는 인입부 형성공정과, 인입의 바닥면에 소정 곡률의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공정을 포함하여 된 금형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공정은 그 하면에 상기 홈의 형상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공구를 밀착시키는 공구세팅 단계와, 세팅된 공구를 가압하여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가공방법.
  2. 가공하고자하는 금형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금형공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공구지지부재와, 상기 공구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구를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구 지지부재와 누름판을 관통하여 이들을 지지라는 지지봉을 구비하여 된 것에 특징으로 하는 금형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가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지지부재의 두께가 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가공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28797A 1993-12-21 1993-12-21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KR950016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797A KR950016938A (ko) 1993-12-21 1993-12-21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797A KR950016938A (ko) 1993-12-21 1993-12-21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938A true KR950016938A (ko) 1995-07-20

Family

ID=6685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797A KR950016938A (ko) 1993-12-21 1993-12-21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69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02510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mstanzen einer metallplatte.
DE58904039D1 (de) Verfahren zum biegen von blech.
BR8906861A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embutimento de materiais em folha
KR960016995A (ko) 바닥이 있는 원통형 제품의 성형 방법
DE59901091D1 (de) Vorrichtung zum schrittweisen Biegen von Metallblech oder Metallbändern
DK159759C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presseformning af plademateriale med en lille forlaengelse
KR900007092A (ko) 범프형성방법 및 그 장치
KR950016938A (ko) 금형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 장치
JPH06304669A (ja) 金属パネルを型付加工する方法及び装置
JPS6317533Y2 (ko)
FR2274441A1 (fr) Dispositif pour le serrage d'une piece a faconner dans une presse a mouler par compression
US30619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measuring edge contour of an article
JPH03230555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KR970014868A (ko) 베이스 링의 성형 금형장치 및 성형방법
JPH0710807Y2 (ja) 曲げ加工用プレス型
ATE110015T1 (de) Universal-biegewerkzeug.
JPS5966928A (ja) 曲げ加工法
KR910017989A (ko) 스탠드 후레임의 나사결착방법 및 장치
ATE335557T1 (de) Presse zur herstellung von rastnuten in rohren mit einem in dem rohr angeordneten dorn und einem der hergestellten nut entsprechenden teil
SU11832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лучени изделий вильчатой формы
KR950013608A (ko) 드로잉가공 벤딩성형방법 및 성형펀치
JPH0964262A (ja) リード曲げ装置
JPH07299519A (ja) 板材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61582B2 (ja)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
JPH03114614A (ja) 板材用曲げ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