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190B1 -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190B1
KR950015190B1 KR1019930700063A KR930700063A KR950015190B1 KR 950015190 B1 KR950015190 B1 KR 950015190B1 KR 1019930700063 A KR1019930700063 A KR 1019930700063A KR 930700063 A KR930700063 A KR 930700063A KR 950015190 B1 KR950015190 B1 KR 95001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dsat
message
time
data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790A (ko
Inventor
엠. 딜론 토마스
크롤로프 로버트 케이
피. 메트로카 마이클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죤 에이취. 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ublication of KR93070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790A/ko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죤 에이취. 무어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43Majority logic or threshold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협대역 아날로그 포워드 및 리버스 음성 채널 서브오디오 데이타 스트림의 포맷도.
제2도는 협대역 음성 채널상에서 수신 및 긍정응답 서브오디오 데이타 워드들의 종래 기술의 프로세스에 대한 플로우챠트.
제3a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무선전화의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이용된 비트와이즈 다수결 보우트의 연산(오퍼레이션)에 대한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서 이용된 메시지 반복 카운터 및 윈도우 타이머의 운용에 대한 예시도.
제7도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메시지 에러 확률을 도시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주파수 채널상에서 전송된 서브 오디오(부음성) 데이타 워드(subaudible data word)들의 에러 정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셀룰러 무선전화 시스템을 운용하는 동안에는 데아타 메시지들이 무선전화와 지저국(base station)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이들 메시지들은 무선전화 송수신기에,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채널 할당을 변경할 것을 요구하며, 호출 또는 다른 유사한 요구들을 해제할 것을 요구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이들 데이타 메시지들중 일부는 포워드(forward) 및 리버스(reverse) 음성 채널상에서 송신된다. 서브 오디오 데이타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메시지들은 연속 데이타의 스트림(열)내에 인터리브된다(interleaved). 이와 같은 시스템의 일예로서는 레빈(Levine)등의 미국 특허 제4,984,290호에 기술된 시스템이 있는데, 이 특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다. 협대역 어드밴스드 모빌 서비스(Narrowband advanced Mobile Service : NAMPS)는 이와 같은 시스템의 다른 일례로서, 모토로라 NAMPS 에어 인터페이스 명세서 개정판(Air Inteface Sperification Revision) D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상기 명세서의 제1도와 섹션 2.7.2.2 및 3.7.2.2 섹션에서는 포워드 및 리버스 음성 채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포워드 및 리버스 채널상에서 전송된 메시지들의 포맷은 동일하며 양 채널의 차이는 데이타 워드 포맷에 있다.
협대역 포워드 음성 채널상에서 사용된 데이타 워드 포맷(무선전화에 기초)은 100비트/초로 송신된 5의 거리로서 (40,28)에러 정정 BCH(Bose-Chandhuri-Hocquenghem)코드 맨체스터 변조 데이타 워드로 인코딩된 28비트의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BCH 코드는 1비트 에러의 정정을 고려한 것으로 표준(63,51) BCH 코드의 단축된 변형이다. 포워드 음성 채널 메시지는 NRZ(non-return to zero) 변조를 이용하여 200비트/초로 송신된 30비트 워드 동기화 패턴의 단일 전송후에 전송된다. 그 동기화 패턴에서는 4개의 에러가 허용된다. 비트 동기화는 7개의 24비트 연속 전송된 200비트/초 디지탈 수퍼바이저리(감시) 오디오 톤(Digital Supervisory Audio Tone : DSAT) 시퀀스중의 한 시퀀스를 수신하여 이 시퀀스에 동기화를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48,36) BCH 코드 맨체스터 변조 데이타 워드는 협대역 리버스 음성 채널(무선전화에 기초)에서 사용된다. 리버스 음성 채널 메시지는 30비트 워드 동기화 패턴을 단일 전송한 후에 유사하게 전송된다. 리버스 음성 채널상에서의 비트는 동기화는 포워드 음성 채널의 것과 유사한 DSAT 시퀀스로 달성된다.
일부 전형적인 셀룰러 시스템에 이용되는 다수의 반복(multiple tepeats) 요구 절차 대신에, 자동 재송요구 방식(ARQ)이 페이딩 방지(fading protection)에 이용된다. NAMPS 메시지는 서브 오디오(부음성) 데이타의 낮은 보오레이트(baud rate)로 인하여 ARQ로 오직 한번만 전송된다. 서보 오디오 데이타 워드가 수신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긍정응답(ACK)이 수신 장치에 의해 송신 장치로 송출된다. 메시지는 긍정응답이 송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총 3회 전송될 수 있다. 이 과정이 제2도에 나타나 있다.
무선 전화기 낮은 신호 레벨의 다중경로(multipath) 또는 레이라인(Rayleigh) 페이딩 환경에 놓여있을 경우, 데이타 워드는 수신시 정정할 수 없는 에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가 정정할 수 없는 에러들을 가지고 3회 수신될 경우, 메시지는 무시되고 어떠한 긍정응답도 송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정정할 수 없는 에러들을 정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들 에러를 정정함으로서 서브 오디오 데이타 통신에서 메시지 에러가 감소케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따라 음성 채널상에서 전송된 서브 오디오 데이타 워드들의 에러가 정정된다. 데이타 워드의 3가지 수신된 가능한 전송중 어느 하나가 디코딩 기능할 경우, 긍정응답이 신호 송출기(sender)에 전송된다. 데이타 워드들이 정정할 수 없는 에러들을 갖고서 3회 수신될 경우, 3개의 워드상에서 비트와 이즈 다수결 보우트(bitwise majority vote)가 수행된다. 이 동작의 결과가 디코딩될 수 있다면, 긍정응답은 신호 송출기에 전송된다. 다수결 보오트 처리의 부적절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처리에 의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음성 채널상에서 전송된 서브오디오 데이타 워드들의 메시지 에러값이 감소케된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정정할 수 없는 에러를 포함하는 3개의 수신 데이타 워드상에서 비트와이즈 다수결보우트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다수결 보우트 방법(체계)(scheme)의 부적절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고리즘은 2개의 타이머와 하나의 메시지 반복 카운터를 포함하고 있다.
메시지 반복 카운터는 데이타 메시지의 수신된 전송을 카운트하는데 사용된다. 이 카운터는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되기는 하나 데이타 워드가 정정불능 에러들을 갖고 있는 경우에 증분된다. 카운터가 3개의 전송에 대해 기대된 시간이내에 3개의 값에 도달하며, 다수결 보우트 연산이 수행된다. 홀(hole) 또는 윈도우 타이머가 고장이거나 다수결 보우트가 행해지지 못하는 때에는 음성 채널에 이르러 ACK를 송출한 후에 카운터는 리세트된다.
동기화 패턴에 대한 페이드(fade) 또는 전이 현상(transition)으로 인해 DSAT가 손실될 수 있다. 홀 타이머는 DSAT가 손실된 후에 경과된 시간을 측정한다. DSAT가 요구될 때 경과된 시간이 결합된 동기화 패턴과 데이타워드(메시지)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는 크나 DSAT 손실 시간보다는 적을 경우에는 메시지가 송출되었고 메시지 반복 카운터가 리세트된 것으로 추정된다. DSAT가 5초이상 손실된 경우에는 셀룰러 전화 호출은 종료된다.
윈도우 타이머는 2개의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동안 동작한다. 이 윈도우 타이머는 메시지의 제1전송이 검출될 때 스타트된 다음 이 타이머는 2개의 부가적인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동작한다. 메시지 반복 카운터가 윈도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3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 반복을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는 리세트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플로우챠트는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a도에서, 프로세스는 무선전화가 협대역 음성 채널에 도달할 때에 시작하여(단계 401) 그다음,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를 리세트한다(단계 403). 그 다음, 무선전화는 DSAT를 모니터한다(단계 405), DSAT가 손실되지 않은 경우(단계 409)에는, 윈도우 타이머는 윈도우 시간이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체크된다(단계 407), 윈도우 시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가 리세트된다(단계 403). 윈도우 시간이 초과되지 않는 경우에는, DSAT가 모니터된다(단계 405). DSAT가 손실된 경우에는(단계 409), 동기화 패턴을 디코딩시킨다(단계 411).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된 경우에는(단계 413), 데이타 워드를 수신하는 프로세스가 행해진다(단계 501).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단계 413), DSAT홀 타이머가 기동(스타트) 된다(단계 415). 프로세스는 복귀하는 DSAT 패턴에 대한 입력(incoming) 데이타 스트림을 모니터한다(단계 417). DSAT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419), DSAT 홀 타이머는 DSAT 손실 시간이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체크된다(단계 421). DSAT 손실 시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호출이 종료된다(단계 425). DSAT 손실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DSAT가 모니터된다(단계 417). DSAT가 검출된 경우에는(단계 419), 홀 타이머는 홀 시간이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체크된다.(단계 423). 홀 시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가 리세트되고(단계 403) 프로세스는 DSAT를 모니터하기 위해 복귀된다(단계 405). 홀 시간이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DSAT를 모니터하기 위해 복귀된다(단계 405).
무선전화가 동기화 패턴이 선행된 제1서브 오디오 데이타 워드를 수신하고(단계 501), BCH 에러 정정을 수행(단계 503)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제3b도에서 계속된다. 정정불능 에러들이 발견되지 않으면(단계 505), 무선전화는 긍정응답(ACK)을 기저국(단계 525)에 전송한다. ACK는 모토로라 NAMPS 에어 인터페이스 명세서 개정판 D의 2.4.5.1, 2.4.5.2, 2.4.5.8 및 2.7.2.2에 기술되어 있다. 그 다음, 무선전화는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고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를 리세트시킬 것이다(단계 403). 워드가 정정불능 에러들을 내포하고 있을 경우에는 원시 워드(raw word)가 기억되고(단계 507) 어떤 ACK도 기저국에 송출되지 않는다. 그 다음 데이타 워드 메시지 반복 카운터는 1만큼 증분된다(단계 509). 이 카운터는 이것이 현재 데이타 워드의 제1전송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체크된다(단계 511). 이것은 제1전송이므로 윈도우 타이머가 기동되고(단계 513) 처리는 DSAT를 모니터하기 위해 복귀된다(단계 405).
적당한 기간이 지난후에, 기저국은 메시지를 반복한다. 그다음, 무선전화는 데이타 워드의 반복을 수신하고(단계 501) BCH에러 정정을 수행한다(단계 503). 정정불능 에러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505), 무선전화는 ACK를 기저국에 송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동작한다(단계 525). 워드가 정정불능 에러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억되고(단계 507) ACK는 송출되지 않는다. 메시지 반복 카운터는 다시 증분된다(단계 509). 카운터는 이것이 이 메시지의 제1전송인지를 판단하기 위해(단계 511) 그리고 3개의 데이터 워드가 기억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단계 515) 체크된다. 정정불능 에러를 가진 3개의 데이타 워드가 아직 기억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처리는 다시 DSAT를 모니터하기 위해 복귀된다.
무선 전화는 데이타 워드의 최종 반복을 수신하여(단계 501) BCH 에러 정정을 수행한다(단계 503). 정정불능 에러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505), 무선전화는 ACK를 기저국에 송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동작한다(단계 525). 이 워드가 정정불능 에러를 내포할 경우에는 기억되고(단계 507). 메시지 반복 카운터는 증분되고(단계 509), 그리고 이것이 메시지의 제1전송인지를 판단하기 위해(단계 511) 그리고 3개의 워드가 기억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단계 515) 체크된다. 이제 3개의 워드가 기억되었으므로 윈도우 타이머는 윈도우 시간이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체크된다(단계 517). 윈도우 시간이 초과되었을 경우에는,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가 리세트되고(단계 403) 프로세스는 DSAT를 모니터하기 위해 복귀된다(단계 405). 윈도우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3중에서 2의 다수결 보우트(a two-out-of-three majority vote)가 상기 3개의 기억된 워드에서 수행된다(단계 519). 다수결 보우트 동작에 대한 부울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에러 정정 결과=(워드 1*워드 2)+(워드 1*워드 3)+(워드 2*워드 3).
다수결 보우트 프로세스의 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라인은 기저국으로부터 송출된 에러없는 전송 데이타 워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3개 라인은 무선전화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 워드를 나타낸다. 이들 워드들은 정정불능 에러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에러는 에러 위치에 "X"로 표시되어 있다. 데이타 워드들의 비트위치 0(701)에서 시작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다수결 보우트는 워드 2의 에러(논리 0)를 가진 워드 1의 논리 1을 논리적으로 AND 한다. 이것은 0의 논리값으로 나타낸다. 다음, 워드 1의 논리 1은 논리 1로 나타나는 워드 3의 논리 1과 함께 논리적으로 AND 한다. 마지막으로, 워드 2의 에러는 논리 0으로 나타나는 워드 3의 논리 1과 함께 논리적으로 AND 한다. 그다음, AND 연산의 논리 결과들은 논리적으로 OR로서 비트 위치 0에 대해 에러가 없는 논리 1을 발생시킨다. 이들 비트와이즈 논리 연산은 상기의 부울 공식을 이용하면,
에러 정정 비트 결과=(1*0)+(1*1)+(0*1)
=0+1+1
=1.로 표현된다
이 연산은 3개의 데이터 워드의 각 비트 위치에 대해 반복된다. 에러가 반복중 2 또는 3에서 동일 비트위치에 내포된 경우에는 에러는 보우트된 결과 워드에 내포될 것이다. 하나의 에러만이 보우트된 결과에 내포된 경우에는 이것은 BCH 디코더에 의해 정정될 것이다.
그 다음, 다수결 보우트 동작 결과는 1비트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BCH 에러 정정된다(단계 521).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가 무선전화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결과를 발생한다면(단계 523), ACK가 신호 송출기에 전송되고 메시지는 이에 따라 실행된다(단계 525). 프로세스 결과가 디코딩될 수 있는 결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는 리세트되고(단계 403) 데이타 워드는 무시된다. 그다음, 프로세스는 DSAT를 모니터하기 위해 복귀된다(405).
제6a도는 윈도우 타이머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 1의 3개전송이 시도되었지만, 메시지 1의 제2전송이 손실되어 홀(601)이 생겼다. 메시지 반복 카운터는 리세트되지 않고 메시지 1의 2개의 수신된 전송(602,603)은 메시지 2의 제1수신된 전송(604)으로 다수결 보우트될 것이다. 이것이 일어날 경우, 메시지 1은 손실될 것이며 메시지 2가 다수결 보우트될 가능성은 없어질 것이다.
윈도우 타이머와 메시지 반복 카운터의 동작에 대한 예가 제6b도에 나타나 있다. 다수결 보우트 연산의 부적절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결 보우트는 단지 메시지 반복 계수기가 3이고 윈도우 타이머가 동작으로 타임 이웃되지 않을때만 이용된다.
제6c도는 메시지의 3개 전송중 하나가 손실된 경우(610)를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 반복 카운터는 윈도우 타이머가 타임 이웃되기 전에 값 3에 도달하지 않으면 보우트도 발생하지 않는다. 메시지 1의 손실된다 하더라도 메시지 2는 여전히 수신될 수 있다.
다음의 계산에 의해 동기화 워드와(40,28) 수선 BCH 인코딩된 데이타 워드의전송 및 검출을 고려하는 NAMPS 메시지 에러값이 결정된다.
NAMPS 시스템에서 동기화는 다음 시퀀스 : "195A99A6"을 가진 30비트 동기화 워드의 검출에 의해 달성된다. 이 동기화 워드는 200bps로 송출되어 NRZ 코딩되고 또한, 이 코딩은 4비트 에러까지 허용한다. 동기화 워드에 대한 성공적인 동기시 100bps로 송출되는(40,28) BCH 맨체스터 코딩된 데이타 워드가 검출된다. 맨체스터 코딩된 데이타는 BCH 코딩된 워드를 위해 사용되며, NRZ 코딩된 데이타는 동기화 워드를 위해 사용된다.
평균 정적 비트 에러 레이트(average static bit error rate)는 수신된 RF 신호 레벨의 함수이다. RF 신호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서 평균 정적 비트 에러값은 감소한다. 200bps NRZ 코딩된 동기화 워드의 소정 평균 정적 비트 에러값에 대해서, 4개 또는 그 이하의 에러를 허용하면서 성공적인 동기화 검출확률은 Psd로서,
Psd=(1-P2b)30+30P2b(1-P2b)29+435P2b2(1-P2b)28+4060P2b3(1-P2b)27+27405P2b4(1-P2b)26
동기화 워드에 대한 성공적인 동기화후에 데이타 워드가 읽어들여진다. 워드 에러의 확률은 Pword로서,
Pword=1-(1-Pb)40-40Pb(1-Pb)39
ARQ없는 메시지 에러의 확률은 Pws로서, 이것은 동기화와 BCH 워드 검출의 함수이다. Pws는 또한 제1ARQ 시도동안 발생하는 메시지 에러의 확률로서
Pws=1-(Psd)(1-Pword).
ARQ는 3개의 메시지 시도가 서로 독립적이라도 가정하여 고려된다. Pmer2nd=(Pws)2
Pmer은 3개의 메시지 시도가 고려된 메시지 에러의 확률로서,
Pmer=(Pws)3
수신된 RF 신호 레벨에 관하여, NAMPS 시스템에서 제1시도, 결합된 제1 및 제2APQ시도, 그리고 결합된 제1, 제2 및 제3시도중에 메시지 에러의 확률이 제7도에 그려져 있다.
다음의 계산에 의해 각 비트에서 처리한 후에 3개의 다수결 보우트중 2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리던던시(redundancy) 방법을 추가로 고려하여 NAMPS 메시지 에러값이 결정된다. 또한 APQ 디코더 고장과 다수결 보우트 처리간의 상호관계가 고려된다.
표준 정적 NAMPS ARQ 메시지 에러 확률은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유지된다. 3개의 (ARQ) 메시지 시도가 유효한 데이타 워드를 검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3개의 수신된 데이타 워드상에서 3개의 다수결 보우트중 2개의 다수결 보우트를 1비트씩 행함으로써 메시지를 재생시키는 시도를 마지막으로 실시할 수 있다. 모빌(the mobile)이 3개의 ARQ 시도중 어느것도 검출할 수 없었음을 인지하는 것은 비트 에러값이 개별적인 3개의 워드 시도 각각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에러를 발생시킬 정도로 충분히 크나 동기화 워드에 대한 동기화를 금지시킬 정도로는 충분히 크지 않는 특정한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각각의 40비트 데이터 워드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비트에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채널 비트 에러값이 0.05 이하인 때에 조차도 적어도 0.05이상의 비트당 에러 확률(per bit error probability ; Pbw)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계산시 Pbw의 값은 모든 Pb<0.05에 대해서 0.05로 설정된다.
3개의 40비트 워드내의 개별적인 비트들 각각에 3개의 보우팅중 2개 보우팅을 가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개선된 비트 에러값 Pb20f3으로 나타난다.
Pb20f3=3Pbw2(1-Pbw)+Pbw3
여기서, Pb>0.05에 대해서, Pbw=Pb, Pb≤0.05에 대해서, Pbw=0.05
상기 계산은 표준 ARQ 계산에서 사용된 초기 계산으로부터의 비트 에러 확률과 동일한 확률 Pb를 이용할 수 없다. 이것은 비트 에러 확률 Pbw가 지금은 사후처리(post processing)를 실행시키는 표준 ARQ 알고리즘의 장해(failure)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들 워드상의 다수결 보우트를 진행시키는 에러 제어 코딩의 결함이 Pbw를 바이어스(bias)하기 때문에 비트 에러 확률 Pbw는 채널 비트 에러 확률 Pb 보다 통계적으로 훨씬 나쁠수가 있다.
다수결 보우트된 워드에서 Pbw를 계산하면, 1비트의 에러 정정에 허용되는 워드 에러의 확률을 P'word라 하면,
P'word=1-1(Pb20f3)40-40Pb20f3(1-Pb20f3)39
표준 ARQ 및 다수결 보우팅을 이용한 결합된 메시지 에러 확률이 P'mer이라 하면,
P'mer=(Pws)3(P'word)
NAMPS 시스템에 대한 상기 향상(P'mer)을 포함하는 메시지 에러의 확률이 제7도에 표준 NAMPS 시스템의 메시지 에러값들과 비교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7도에서 처럼, 본 발명의 3중 2의 다수결 보우트를 사용하는 NAMPS 메시지 에러값은 원래의 NAMPS에 개선된 메시지 에러값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전화 또는 기타 통신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401)에 의해 수행되나, 그 프로세스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인 무선전화의 개략 블록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모토로라 마이크로 T.A.C 매뉴얼 #68P81150E49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정정불능 에러들을 가진 3개의 수신된 데이터 워드로부터 디코딩할 수 있는 데이타 워드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상기 계산과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것은 협대역 아날로그 음성 채널에서의 메시지 에러값을 향상시킨다.

Claims (6)

  1. 디지탈 수퍼바이저리(감시) 오디오 톤(DSAT)과 동기화 패턴을 가진 통신 채널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된 복수의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으로, 각각의 데이타 워드는 복수의 데이타 비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반복 카운터, 홀 시간을 결정하는 홀 타이머, 및 메시지 윈도우 시간을 결정하는 윈도우 타이머를 구비하는 전송될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에 있어서, a)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를 리세트하는 단계와, b) DSAT가 수신되고 메시지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한 DSAT를 감시하는 단계와, c) DSAT가 계속해서 수신되고 메시지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면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d) DSAT가 더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동기화 패턴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e)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 가능치 않으면 홀타이머를 가동(스타트)하여 다시 수신된 DSAT를 감시하는 단계와, f) DSAT가 소정의 손실 시간 동안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와, g) DSAT가 홀시간 전에 다시 수신되면 단계(b)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h) DSAT가 홀시간 이후에 수신되면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i)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 가능하면 데이타 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j) 데이타 워드가 하나 이하의 비트 에러로 수신되면 긍정응답 워드를 전송하고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k) 데이타 워드가 1비트 이상의 에러로 수신되면, 데이타 워드를 절약하고 메시지 반복 카운터를 증분하는 단계와, l)메시지 반복 카운터가 1이면, 윈도우 타이머를 기동(스타트)하여 복수의 데이타 워드들이 수신될때까지 단계(b)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m) 복수의 데이타 워드가 수신되고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n) 복수의 데이타 워드가 수신되고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복수의 데이타 워드상에서 비트와이즈 다수결 보우트(bitwise majority vote)를 수행하므로써 정정된 데이타 워드를 발생하는 단계와, o)정정된 데이타 워드가 하나 이하의 비트 에러를 가지면 긍정응답 워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손실 시간은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는 3개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4. 디지탈 수퍼바이저리(감시) 오디오 톤(DSAT)과 동기화 패턴을 가진 통신 채널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복수의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으로, 각각의 데이타 워드는 복수의 데이타 비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반복 카운터, 홀 시간을 결정하는 홀 타이머, 및 메시지 윈도우 시간을 결정하는 윈도우 타이머를 구비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에 있어서, a) 메시지 반복 카운터와 윈도우 타이머를 리세트하는 단계와, b) DSAT가 수신되고 메시지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한 DSAT를 감시하는 단계와, c) DSAT가 계속해서 수신되고 메시지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면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d) DSAT가 더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동기화 패턴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e)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 가능치 않으면 홀타이머를 가동(스타트)하여 다시 수신된 DSAT를 감시하는 단계와, f) DSAT가 소정의 손실 시간 동안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와, g) DSAT가 홀시간 전에 다시 수신되면 단계(b)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h) DSAT가 홀시간 이후에 수신되면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i) 동기화 패턴이 디코딩 가능하면 데이타 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j) 데이타 워드가 하나 이하의 비트 에러로 수신되면 메시지가 요구되는 명령을 수행하여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k) 데이타 워드가 1비트 이상의 에러로 수신되면, 데이타 워드를 절약하고 메시지 반복 카운터를 증분하는 단계와, l)메시지 반복 카운터가 1이면, 윈도우 타이머를 기동(스타트)하여 복수의 데이타 워드들이 수신될때까지 단계(b)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m) 복수의 데이타 워드가 수신되고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a)에서 반복하는 단계와, n) 복수의 데이타 워드가 수신되고 윈도우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비트와이즈 다수결 보우트(bitwise majority vote)를 수행하므로써 정정된 데이타 워드를 발생하는 단계와, o)정정된 데이타 워드가 하나 이하의 비트 에러를 가지면 데이타 워드가 필요로 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손실 시간은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는 3개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KR1019930700063A 1991-05-23 1994-04-17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KR950015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4508 1985-02-22
US704,508 1991-05-23
US07/704,508 US5241548A (en) 1991-05-23 1991-05-23 Method for error correction of a transmitted data word
PCT/US1992/003153 WO1992021085A1 (en) 1991-05-23 1992-04-17 Method for error correction of a transmitted data wo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790A KR930701790A (ko) 1993-06-12
KR950015190B1 true KR950015190B1 (ko) 1995-12-23

Family

ID=2482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063A KR950015190B1 (ko) 1991-05-23 1994-04-17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241548A (ko)
JP (1) JP2661368B2 (ko)
KR (1) KR950015190B1 (ko)
BR (1) BR9205293A (ko)
CA (1) CA2084884A1 (ko)
GB (1) GB2261802B (ko)
MX (1) MX9202376A (ko)
WO (1) WO1992021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548A (en) * 1991-05-23 1993-08-31 Motorola, Inc. Method for error correction of a transmitted data word
US6412094B1 (en) * 1992-01-21 2002-06-25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circuit for performing 3/5 major voting
US5987639A (en) * 1992-01-21 1999-11-16 Nokia Mobile Phones Ltd. Data decoding logic in a mobile phone
US5349588A (en) * 1992-02-06 1994-09-20 Motorola, Inc. Error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s
US5321703A (en) * 1992-03-13 1994-06-1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ata recovery after error correction failure
US5715278A (en) * 1993-05-11 1998-02-03 Ericsson Inc. Standby power saving in mobile phones
JP3229070B2 (ja) * 1993-06-01 2001-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多数決回路及び制御ユニット及び多数決用半導体集積回路
US5603013A (en) * 1993-06-03 1997-0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of cyclic signal by selecting majority logic state of corresponding portions of plural cycles
US6122767A (en) * 1993-06-03 2000-09-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of cyclic signal by selecting majority logic state of corresponding portions of plural cycles
US5426653A (en) * 1993-07-28 1995-06-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rror correction on a signal received by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5995559A (en) * 1995-08-31 1999-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using repeated words
US5819182A (en) * 1995-11-13 1998-10-06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ceiver performance in a l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5790551A (en) * 1995-11-28 1998-08-04 At&T Wireless Services Inc.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dynamic channel assignment
US5968197A (en) * 1996-04-01 1999-10-19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covery
DE19626132A1 (de) * 1996-06-28 1998-01-08 Sel Alcatel Ag System und Verfahren zur digitalen Datenübertragung
US5745502A (en) * 1996-09-27 1998-04-28 Ericsson, Inc. Error detection scheme for ARQ systems
US5703562A (en) * 1996-11-20 1997-12-30 Sandia Corporatio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n unsecured computer to a secured computer
US5870406A (en) * 1997-02-19 1999-02-09 Ericsson Inc. Automatic repeat request(ARQ) data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SE511310C2 (sv) 1997-05-20 1999-09-06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för bitdetektering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6044486A (en) * 1997-09-11 2000-03-28 Uniden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jority vote optimization ove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US6209111B1 (en) 1998-11-09 2001-03-27 Microsoft Corporation Error correction on a mobile device
US6134221A (en) * 1999-04-15 2000-10-17 Motorola, Inc. Method for evaluat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communication site
US6523148B1 (en) 1999-08-19 2003-02-18 Konin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jority decision method for improved frame error rate in the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DE10030993A1 (de) * 2000-06-30 2002-01-24 Infineon Technologies Ag Synchrones Netzwerk
KR100575710B1 (ko) * 2002-07-20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링크 동기 검출방법
JP4048094B2 (ja) * 2002-10-04 2008-0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移動局
US7426676B2 (en) * 2004-01-14 2008-09-16 Broadcom Corporation Data retrieval from a storage device using a combined error correction and detection approach
WO2007019530A2 (en) * 2005-08-04 2007-02-15 R2Di, Llc Multi-channel wireless digital audio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s
US8392810B2 (en) * 2010-01-25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Majority vote error correction
KR102050896B1 (ko) * 2013-02-19 2019-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컨트롤러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R3024932B1 (fr) * 2014-08-14 2017-12-01 Sagem Defense Securite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a robustesse amelioree et ensemble de dispositifs pour sa mise en œuvre
US9564930B2 (en) 2014-09-05 2017-02-07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controller, storage device and memory control method
US10205562B1 (en) * 2017-01-03 2019-02-12 Mbit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WO2018132219A1 (en) * 2017-01-13 2018-07-19 Everspin Technologies, Inc. Preprogrammed data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371A (en) * 1972-08-14 1973-09-18 Gte Automatic Electric Lab Inc A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over a pulse code modulation carrier
US3863215A (en) * 1973-07-03 1975-01-28 Rca Corp Detector for repetitive digital codes
US4312074A (en) * 1980-02-07 1982-01-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data signal including repeated data words
FR2498397B1 (fr) * 1981-01-16 1986-12-05 Lignes Telegraph Telephon Procede et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a la reception de signaux numeriques transmis par paquets
JPS59112783A (ja) * 1982-12-20 1984-06-29 Sony Corp デジタルデ−タ受信機
CA1230648A (en) * 1984-07-13 1987-12-22 Gerald P. Labedz Cellular voice and data radiotelephone system
JPS6170637A (ja) * 1984-09-11 1986-04-11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多数決によるエラ−検出訂正方法
EP0193332B1 (en) * 1985-02-22 1992-07-22 Nec Corporation Receive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649543A (en) * 1985-08-30 1987-03-10 Motorola, Inc. Synchronization sequence decoder for a digital radiotelephone system
FR2595522A1 (fr) * 1986-03-06 1987-09-11 Cimsa Sintr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numeriques par messages organises en trames
US4984290A (en) * 1988-08-04 1991-01-08 Motorola, Inc.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s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US5036532A (en) * 1989-08-03 1991-07-30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with power source/mode change during calls
US5241548A (en) * 1991-05-23 1993-08-31 Motorola, Inc. Method for error correction of a transmitted data wo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1802B (en) 1995-09-20
GB9301030D0 (en) 1993-03-17
WO1992021085A1 (en) 1992-11-26
JPH05508508A (ja) 1993-11-25
KR930701790A (ko) 1993-06-12
GB2261802A (en) 1993-05-26
US5463646A (en) 1995-10-31
BR9205293A (pt) 1994-06-28
CA2084884A1 (en) 1992-11-24
MX9202376A (es) 1992-11-01
JP2661368B2 (ja) 1997-10-08
US5241548A (en) 199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5190B1 (ko) 전송된 데이타 워드의 에러 정정 방법
US6977888B1 (en) Hybrid ARQ for packet data transmission
RU2216867C2 (ru) Способ расширения диапазона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нумер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отоколов избирательной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US4701923A (en) Adaptively coded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half duplex and/or full duplex function
RU2294055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шибок дл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системы
US5636230A (en) Method for eliminating a receiving data unit as a source of excessive resend requests
EP2280506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essage difference prior to decoding based on apriori knowledge of modified codeword transmission
US5497382A (en) Extended error correction of a transmitted data message
EP1357691B1 (en) A method for encoding a user identifi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8157686A1 (en) Broadcast channel signal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and receipt of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100555187B1 (ko)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
JP3284177B2 (ja) データ伝送方式
US20050198082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nerating a compressed status report that is updated to indicate later received data
WO2000067383A1 (en) Low delay decoding
US815116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rror detection and selective retransmission
US8306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ssigning traffic channel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46140B2 (ko)
US20030177436A1 (en) Transmission of encoded data packets with determination of the coding through explicit signalling by the receiver
JPH07336364A (ja)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US65811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ynchronization of transmit and receive compression dictionaries
RU223995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в системах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CN1780198B (zh) 根据译码结果判定数据包编码、译码方式的方法
CN116232542A (zh) 基于无速率编码的spma协议优化方法及系统
Gagnaire et al. An intelligent hybrid type-II ARQ/FEC 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for GS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upta et al. Design of error control schemes for wireless data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