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618B1 -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618B1
KR950014618B1 KR1019920702534A KR920702534A KR950014618B1 KR 950014618 B1 KR950014618 B1 KR 950014618B1 KR 1019920702534 A KR1019920702534 A KR 1019920702534A KR 920702534 A KR920702534 A KR 920702534A KR 950014618 B1 KR950014618 B1 KR 95001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cylindrical
flip element
hinge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025A (ko
Inventor
이. 폴락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사를리 2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사를리 2세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70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6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 E05Y2900/6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for electronic devic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플립요소의 벨소리요소와 송화기로부터 본체요소로의 종래기술의 와이어접속법을 도시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플립요소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각각 도시된 종래의 캠기구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을 이용한 휴대식 무선전화기의 사시도.
제4도는 플립요소가 폐쇄위치의 근처에 있는 무선전화기의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선전화기의 힌지조립체를 도시하는 본체요소와 플립요소의 분해도.
제5a도는 직립리브에 배치된 둥근 구멍을 도시하는 본체요소의 힌지공동부의 일부절결도.
제bB도는 제5도에 도시된 힌지샤프트와 힌지너클의 바닥쪽의 사시도.
제6A도와 제6B도는 플립요소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각각 도시된 멈치구비형 힌지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7도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힌지샤프트의 상세단부도.
제8도는 플립요소의 송화기로부터 본체요소로의 와이어를 접속하는 수단의 도면.
제9도는 힌지축을 따라 취한 무선전화기의 힌지부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 분야]
본발명은 소형 전자장비(miniature electronic equipment)용의 힌지식 하우징(hinged housings)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요소들을 절첩하는 힌지식 하우징을 이용하는 절첩식 무선 전화기(foldable radiotelephones)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휴대용 셀룰라폰(cellular phone)은 거의 모든 장소에서의 무선시스템에 의한 전화통화용으로서 짐진적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는 낮은 와트량의 라디오파신호를 종래의 진화시스템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수신소(a receiving station)로 전송한다. 일정한 지역의 전반에 결쳐 위치가 변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용하기 위해 수많은 수신소가 그러한 지역에서 여기 저기에 떨어져 있게 정해진 장소에 편재되어 있다.
어떤 종루의 힌지기구로 연결된 두개의 하우징요소를 이용하는 전화기는 유선전화기세트 및 지상통신선에 의한 전화기의 무선구내전환기에서는 흔한 것이며, 휴대용 셀룰라형 무선전화기에서는 좀더 보편적인 것이다. 이러한 절첩설비는 두개의 하우징이 서로 접혔을 때 좀더 소형으로 되게 한다.
이러한 종류의 형태를 이용하는 일부의 무선전환기는 두개의 하우징 중 큰 쪽의 하우징내에 대부분의 전자부품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플립(flip)요소라고 부르기로 하는 작은 쪽의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송화기(microphone)와 벨소리요소(ringing element)를 포함한다. 양호한 음향성능을 위해 플립요소는 무선전화기의 본체요소에 대한 최적위치에 유지되어야 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송화기는 이용자의 입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다. 송화기의 벨소리요소가 무선전화기의 본체요소내의 전자부품에 대한 전기접속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힌지구역을 통한 접속수단이 필요해진다. 그러한 접속은 미국 특허 제4,897,873호에 기재되어 있고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플립요소(101)내의 송화기와 벨소리요소는 힌지너클(107)을 통하고 샤프트(111)의 슬롯(109)을 통며 이어서 본체요소(103)로 이어지는 와이어(105)를 경유하여 본체요소(103)내의 전자부품에 접속된다. 힌지샤프트(111)는 본체요소(103)에 고정되고 플립요소(l01)의 힌지너클(107)이 그러한 샤프트(l11)의 둘레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심각한 문제는 와이어(105)가 플립요소(101)의 회전에 따라 힌지샤프트(111)와 힌지너클(107)의 내면의 사이에서 끼어눌린다는 것이다. 끼어눌려지는 힘은 결국 와이어를 단절시켜 플립요소(101)내에 배치된 송화기나 벨소리요소에 대한 전기접속을 단절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형태를 이용하는 또다른 무선전화기는 두개의 하우징 중의 큰 것에 모든 전자부품을 갖는다. 플립요소는 아무런 전자부품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종류의 플립요소는 플립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온-훅 조건을, 플립요소가 "개방" 위치로 회전될 때에는 오프-훅 조건을 발생시킬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스위치제어의 목적을 위해 플립요소의 위치를 이용하는 무선전화기는 미국 특허 제4,845,772호에 기재되어 있다. 플립요소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무선전화기는 오는 전화를 받을 대기상태에 있다. 플립요소는 무선전화기의 본체상의 키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외부물질에 의한 우연한 키누름이나 키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키를 차폐한다. 플립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송화기에 대한 주변으로부터의 소음 중의 일부는 플립요소에 의해 차단된다.
플립요소를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이 이용된다. 힌지요소들을 고정하는 하나의 샤프트의 오목부를 따라 종동되게 내장된 캠요소를 이용하여 플립요소를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유지하는 무선전화기가 미국 특허 제4,897,873호에 기재되어 있다. 캠기구의 상세는 제2A도 및 제2B도에서 알 수있다. 제2A도는 플립요소(101)가 폐쇄위치, 즉, 온-훅 위치에 있을 때의 오목부(201,203)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2B도는 플립요소가 개방위치, 즉, 오프-훅 위치에 있을 때의 오목부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플립요소(101)의 개방시에 덤치캠(205)은 힌지샤프트(207)의 오목부(203)의 밖으로 이동해서 힌지샤프트(207)의 완전한 직격면상으로 이동한다. 벽(211)과 덤치캠(205)의 사이에 비치된 스프링(209)은 샤프트(207)에 대해 덤치캠(205)을 꾸준히 밀고 있다. 플립요소가 개방위치, 즉, 오프-훅 조건쪽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덤치캠(205)은 샤프트(207)를 꾸준히 밀다가, 이어서, 그 자체가 오목부(201)속으로 밀려들어간다. 그러한 오목부(201)에서의 멈치캠(205)의 힘은 플립요소(101)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게 한다. 플립요소(101)가 개방위치나 폐쇄위치 중에서 어디에 있든지간에 멈치캠(205)은 힌지샤프트(207)의 중심을 향해 똑바로 돌출된다. 힌지 샤프트(207)의 중심이 플립요소(101)의 평면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므로 멈치캡(205)은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배치되어야 한다. 플립요소(101)의 평면에 대해 멈치캠(205)의 위치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실은 플립요소(101)의 두께(215)를 제한한다. 무선전화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짐으로써 무선전화기는 좀더 작은 크기의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기재된 힌지조립체의 크기는 플립요소(l01)의 두께감소를 제한하는 일종의 제한요소이다.
그러므로, 힌지조립체의 설계에 있어서는 플립요소가 좀더 작은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힌지너클을 통해 플립요소로부터 본체요소로 이어지는 와이어를 보호할 것이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힌지장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 원통형 힌지 샤프트와 오목부와 종동기구 및 편향수단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은 힌지공동을 포함하고 있다. 제2하우징은 힌지공동내에 배치되어 있고 원통형 구멍을 갖는 힌지너클을 포함하고 있다. 원주형 힌지샤프트는 주위면과 세로축을 갖는다. 원주형 힌지샤프트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을 세로축의 둘레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도록 제1하우징에 대해 연결되어 있고 힌지너클의 원통형 구멍속에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는 힌지너클의 원통형 구멍내에 배치되어 있고 원주형 힌지샤프토의 주위면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축을 갖는 종동기구는 제2하우징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있고 힌지너클의 원통형 구멍속으로 연장되어 있다. 편향수단은 원주형 힌지샤프트의 세로축에 대해 거의 직각이지만 편심된 종동기구의 세로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원주형 힌지샤프트의 주위면을 향해 종동 기구를 밀어붙입으로써 제1하우징에 대한 제2하우징의 상대적인 회전시에 종동기구가 원주형 힌지샤프트의 제1호목부에 접촉하면서 원주형 힌지샤프트상에 토크를 가함으로써 제2하우징을 제1하우징에 대한 제1회전위치에 유지하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3도에는 무선전화시스템에 이용하는 휴대식 무선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유니트(300)는 명확히 구별되는 두개의 요소, 즉, 본체요소(301)와 플립요소(303)로 구성된다. 제3도는 휴대유니트의 이용자가 수화기를 통해 들으면서 송화기(마이크로폰)에 대고 말할 수 있는 개방위치에서의 플립요소를 도시한다. 키패드(309)에서 1부터 0까지의 숫자와 # 및 *의 부호가 새겨진 다수의 버튼들이 흔히 불 수 있는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키패드(309)는 또한 음향 제어 등과 같은 부가적 기능의 버튼 및 전화번호의 기억 및 호출에 관련한 기타의 버튼 등을 갖는다. 안테나(311)는 휴대유니트와 베이스스테이션의 사이의 무선통신을가능하게 한다.
플립요소(303)가 제3도에서처럼 개방위치에 있을때 그러한 휴대식 무선전화기는 전화를 받거나 걸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한 상태를 흔히 "오프-훅" 상태라 한다. 통화 완료시에 이용자는 플립요소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휴대유니트의 전화를 끊는다. 이러한 통화종료는 플립요소(303)를 힌지부분(312)의 축의 들레로 회전시켜 플립요소(303)가 키패드위에 겹쳐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작은 통화를 종료시키게 "훅-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휴대유니트는 걸려오는 전환를 받을 수 있는 준비상태에 있다. 플립요소(303)의 폐쇄는 제4도에서 양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훅스위치는 플립요소(303)의 사이의 각이 약 45°가량 될 때 훅스위치가 작동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플립요소(303)는 제5도에 도시된 소자의 조합에 의해 개방위치나 폐쇄위치 중의 하나에 유지된다.
제1힌지너클(503)내에 배치된 멈치용 종동기구(501)는 스프링(509)등과 같은 탄성 매개체에 의해 원주형인 제1힌지샤프트(505)를 향해 눌려져 있다. 스프링(509)은 플립요소(303)의 돌기(513)에 대해 걸려 있는 제1단부(511)를 갖는 강재의 평활한 곡면편으로 형성된다. 스프링(509)의 중심부는 스프링의 제2단부(517)가 멈치용 종동기구(501)를 구멍(519)을 통해 제1힌지너클(503)속으로 밀어넣도록 일종의 포스트(515)로 받쳐진 채로 가압한다. 제1힌지샤프트(505)의 형태는 플립요소(303)가 키패드(109)에 대해 온-훅위치, 즉, 폐쇄위치에 유지되거나 오프-훅 위치, 즉, 개방위치에서 둔각(일례로θ=150°)으로 유지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힌지샤프트(505)의 한쪽의 단부(521)는 본체(301)의 전방하우징부(525)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는 약간 큰 구멍(523)속에 끼워지는 기다란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1힌지샤프트(505)는 전방하우징부(525)에 대해 회전운동상 고정적이며 제1힌지너클(503)이 그러한 제1힌지샤프트(505)의 둘레로 회전할 것이다.
제 2 힌지너클(529)내에 배치된 제 2 힌지샤프트(527)는 송화기(533)에 부착된 도선(531)을 플립요소(303)로부터 본체요소로 안내하는 수단을 제공하면서 플립요소(30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플립요소내의 자석(801)은 플립요소(303)의 회전위치에 대해 응답하는 본체요소내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덮개(535)가 스프링(509)과 송화기(533) 및 그 와이어와 플립요소(303)내의 자석(801)을 덮는다.
힌지샤프트(527,505)가 그 각각의 힌지너클(529,503)의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너클(552)내에 클립(550)이 배치된다.
제5A도는 전방하우징부(525)의 단면도이다. 직립 리브(539)를 통해 둥근 구멍(537)이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제2힌지샤프트(527)의 원통형 단부(541)가 둥근 구멍(537)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힌지샤프트(527)는 전방하우징부(52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5B도는 제5A도에 도시된 제2힌지샤프트(527)의 다른 측부를 도시한다. 제2힌지샤프트(527)는 샤프트의 전장을 따라 채널(527)속으로 예정된 길이만큼 연장하는 3개의 면을 갖는 채널(543)을 갖는다. 제2힌지너클(529)은 그러한 제2힌지너클의 내측면에 비치되고 그 길이를 따라 예정된 거리만큼 연장하는 3개의면을 갖는 안내레일(545)을 갖는다.
제2힌지샤프트(527)는 플립요소(303)의 회전과 함께 그러한 제2힌지샤프트의 축(axis)의 둘레로 회전할수 있다. 제2힌지너클(529)에 대한 제2힌지샤프트(527)의 회전운동상의 상호고정특성은 힌지샤프트의 둘레로의 힌지너클의 회전시에 와이어가 씹히던 종래기술(제1도)에서 조우되는 문제를 극복한다.
멈치용 힌지장치의 좀더 상세한 도면은 제6A도와 제6B도에 도시된다. 제6A도는 플립요소(103)가 폐쇄위치, 즉, 온훅위치에 있을 때 멈치용 종동기구(501)에 대한 오목부(601,603)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6B도는 플립요소가 개방위치, 즉, 오프-훅 위치에 있을 때 멈치용 종동기구(501)에 대한 오목부(601,603)의 위치를도시한다. 플립요소(303)의 개방시에 멈치용 종동기구(501)는 제1힌지샤프트(505)의 오목부(601)의 외부및 제1힌지샤프트(505)의 완전한 직경면상으로 이동한다. 스프링(509)은 멈치용 종동기구(501)를 제1힌지샤프트(505)에 대해 지속적으로 민다. 에 대해 지속적으로 민다. 플립요소가 개방위치, 즉, 온-훅 상태로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멈치용 종동기구(501)는 제1힌지샤프트(505)를 지속적으로 밀고 이어서 그 자체가 오목부(603)속으로 밀려들어간다. 오목부(603)에서의 멈치용 종동기구(501)의 힘은 플립요소(303)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본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은 플립요소가 그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의 어디에 있든지간에 멈치용 종동기구(501)는 제1힌지샤프트(505)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그 중심축의 둘레로 토크를 가하는 것이다. 제1힌지샤프트(505)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토크는 멈치용 종동기구(501)가 제1힌지샤프트(505)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은 채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배치되는 오목부(601,603)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형태의 장점은 멈치용 종동기구(501)가 플립요소(303)와 동일평면이나 그 근처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얇은 플립요소도 이용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멈치용 종동기구(501)는 플립요소(303)의 평면에 대해 일례로 10。인 작은 각(ψ)으로 배치되므로 멈치용 종동기구(501)가 배치되는 슬롯(519)의 성형이 용이하다. 여러 가지의 성형적 관점에서의 고찰에 따른 선택사양적 실시예에서는 플립요소(303)와 동일평면에 멈치용 종동기구(501)를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얇은 플립요소는 휴대유니트의 중량감소에 기여한다. 이러한 주요특성은 제2A도 및 제2B도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플립요소의 두꺼운 두께에 기인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한다.
제7도를 보면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제1힌지샤프트(505)의 단부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601)는 두개의 평면(701,703)을 가지며, 그러한 평면(701,703)의 면은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교차한다. 멈치용 종동기구(501)은 플립요소(303)가 폐쇄위치, 즉, 온-훅 위치에 있을 때 오목부(601)에서의 평면(701,703)의 각각에 접촉하는 두개의 평면(705,707)을 갖는다. 오목부(601)의 평면(701)과 멈치용 종동기구(501)의 평면(705)의 사이에 가해지는 힘 F1에 의한 제1힌지샤프트(505)의 중심축에 대한 1차 토크는 플립요소(303)에 예비부하를 줌으로써 플립요소를 폐쇄위치에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오목부(603)는 두개의 평면(709,711)을 갖는다. 멈치용 종동기구(501)는 플립요소가 그 개방위치, 즉, 오프-훅 위치에 있을때 오목부(603)의 평면(709,711)의 각각에 접촉하는 두개의 평면(713,715)을 갖는다. 오목부(603)의 평면(709)과 멈치용 종동기구(501)의 평면(713)의 사이에서 힌지샤프트(505)의 중심축에 대해 힘 F2의 1차 토크가 가해짐으로서 플립요소를 그 개방위치에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오목부(601)의 평면(701)과 또다른 오목부(603)의 평면(711)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은 플립요소(303)의 구멍의 각(θ)에 대해 예각(∮)으로 교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두개의 각(θ,∮)은 플립요소(303)가 제6b도에 보이듯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 약 180°가량의 합각을 갖는다. 힌지샤프트(505)의 그러한 형태는 플립요소(303)가 그러한 두개의 위치 중에서 어느 위치에 대해서든지 45°내에 있을 때는 아무런 도움이 없어도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게 한다. 플립요소는 또한 힘을 가하면 개방위치를 약 30° 정도까지 지나칠 수 있고 힘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본래의 개방위치로 복귀한다.
제8도는 힌지너클내에서 보호되는 송화기의 와이어의 단부도이다. 송화기(533)의 와이어(531)는 아암(805)에 의해 힌지샤프트(527)의 중심을 향해 당겨진다. 본발명의 그러한 양호한 실시예의 장점은 힌지샤프토(527)의 중심의 근처에 배치된 와이어(531)들이 플립요소가 회전될 때의 회전이동거리가 좀더 짧아지게함으로써 와이어에 가해지는 비틀림력(a twisting force)을 최소화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훅스위치는 플립요소(303)내에 배치되며 그 배치는 제8도에서 알 수 있다. 훅스위치의 작동은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본체요소(301)와 플립요소(303)의 사이의 각(θ)이 약 45°열 때 행해진다. 종래의 자석(801)은 플립요소(303)내의 위치에 배치되었다. 종래의 리드스위치(803 : read switch)는 자석(801)과 거의 대향하는 본체(301)내의 위치에 배치돤다. 플립요소(303)가 힌지부의 축의 둘레로 그 폐쇄위치를 향해 회전함에 따라 자석(801)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리드스위치(803)내의 접점을 폐쇄함으로써 온-훅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플립요소(303)가 힌지부(312)의 둘레로 그 개방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자석(80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리드스위치(803)의 근처에서 제거됨으로써 리드스위치의 접점이 개방되게 하면서 오프-훅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체(301)의 하우징은 후방하우징(551)과 전방하우징(525)으로서의 제5도에 도시된 두개의 부품으로부터 조립된다. 제9도는 제5도의 요소들이 조립된 후의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플립요소(303)는 위에 언급된 제1 및 제2의 힌지샤프트(505,527)에 의해 본체요소에 연결된다.
본체요소(301)의 후방하우징(551)과 본체요소의 전방하우징(525)이 서로 스냅식으로 결합될 때 후방하우징(551)의 리브(901,903)는 전방하우징의 각각의 리브(539,524)내에 안착된다. 후방하우징의 리브(901,903)의 구멍들은 전방하우징(525)에 있는 대응구멍(537,523)들과 동심적으로 일치된다.
제2 및 제1의 힌지샤프트(527,505)는 제2 및 제1의 힌지너클(529,503)의 구멍들과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리브의 구멍들을 관통한다. 그 후에 클립(550)일 중심너클(552)내에 배치되어 제2 및 제1의 힌지샤프트(527,505)가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힌지샤프트들은 플립요소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만 제거될 수 있다.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는 상기와 같다. 이러한 신규의 장치는 휴대유니트의 중량감소라는 장점을 갖는 플립요소의 두께감소로 귀결되며 플립요소로부터 본체까지의 와이어를 둘러싸서 와이어의 절손을 방지하고 회전응력을 최소화한다.

Claims (6)

  1. 본체요소(30l : a body portion)와 플립요소(303 : a flip element portion)를 갖는 절첩식 무선전화기(300 : a foldable radiotelephone)를 위한 것이고, 그러한 플립요소(303)는 원통형 구멍(a cylindrical hole)을 갖고 힌지공동속에 배치되는 제1힌지너클(503 : a first hinge knuckle)을 포함하며, 또한, 그러한 플립요소(303)를 그러한 본체요소(301)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회전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주위면(a clrcumferential surface)과 세로축(a longitudinal axis)을 갖는 제1원주형 힌지샤프트(505 : a first cylindrical hinge shaft)는 제1힌지너클(503)의 원통형 구멍속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플립요소(303)와 본체요소(301)를 세로축의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본체요소(301)에 대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러한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05)의 주위면에 형성된 제1오목부(601 : a first recess)가 제1힌지너클(503)의 원통형 구멍대에 비치되어 있고, 세로축을 갖는 종동기구(501 : a follower)는 플립요소(303)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제1힌지너클(503)의 원통형 구멍속으로 연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절첩식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a hinge apparatus for a foldable radiotelephone)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구(501)를 상기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05)의 세로축에 대해 거의 직각이면서도 편심(offset)된 상기 종동기구의 세로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05)의 주위면을 향해 밀어붙입으로써 상기 본체요소(301)에 대한 상기 플립요소(303)의 회전시에 상기 종동기구(501)가 상기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05)의제1오목부(601)와 접촉해서 상기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05)상에 제1토크(a first torque)를 가하여 상기 플립요소(301)를 상기 본체요소(303)에 대한 제1회전위치에 유지하게 하는 편향수단(509 : bisaing 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요소(303)를 상기 본체요소(301)에 대한 제2회전위치(a second position fo rotation)에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이고, 주위면에 배치된 제2오목부(603)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요소(301)에 대한 상기 플립소자(303)의 회전시에 상기 종동부가 상기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토(505)의 상기 제2오목부(603)와 접촉해서 상기 제1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05)상에 제2토크(a second torque)를 가하여 상기 플립요소(303)를 상기 본체요소(301)에 대한 제2회전위치에 유지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절첩식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요소(303)와 본체요소(301)가 그 사이에 연결된 유연한 도선(531)을 가지며, 주위면(a circumferential surface)을 갖고 상기 플립요소(303)와 상기 본체요소(301)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게 할 수 있는 제 2 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27 : a second cylindrical hinge shaft)와, 제 2 주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연한 도선(531)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오목부(a reces) 및, 상기 플립요소(301)에 대해 상기 제2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27)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원주형 힌지샤프트의 오목부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상기 유연한 도선(531)들을 가두어두고, 그럼으로써, 상기 플립요소(30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연한 도선(531)들의 회전거리를 감소시키는 한정수단(805 : means for confining)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무선전환기용 힌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제2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27)의 원주형 표면상에 배치된 채널(543)과, 상기 플립요소(303)의 단부에 대해 부착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제2힌지너클(529)과, 상기 제2의 원주형 힌지샤프트(527)가 상기 플립요소(303)의 회전과 관련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채널(543)속에서 상기 원통형 내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레일(545)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805)이 상기 제2의 원주형 힌지샤프트의 오목부의 표면에 대해 부착되어 상기 제2의 원주형 힌지샤프트의 오목부위로 적어도 일부가 연장하게 되어 있는 아암(805 : an a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무선전화기용 힌지장치.
KR1019920702534A 1991-03-28 1992-03-03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KR950014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065491A 1991-03-28 1991-03-28
US680,654 1991-03-28
PCT/US1992/001718 WO1992017974A1 (en) 1991-03-28 1992-03-03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025A KR930701025A (ko) 1993-03-16
KR950014618B1 true KR950014618B1 (ko) 1995-12-11

Family

ID=2473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534A KR950014618B1 (ko) 1991-03-28 1992-03-03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JP (1) JPH05506768A (ko)
KR (1) KR950014618B1 (ko)
CN (1) CN1026841C (ko)
AU (1) AU655027B2 (ko)
CA (1) CA2078233A1 (ko)
DE (1) DE4290923T1 (ko)
FR (1) FR2675327B1 (ko)
GB (1) GB2260571B (ko)
IT (1) IT1253960B (ko)
MX (1) MX9201332A (ko)
SE (1) SE503806C2 (ko)
WO (1) WO1992017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114Y2 (ja) * 1991-09-30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電子機器の構造
US5465401A (en) * 1992-12-15 1995-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information transfer
JP3036275B2 (ja) * 1993-01-12 2000-04-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833964B2 (ja) * 1993-06-28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携帯電話機
AU7920994A (en) * 1993-11-08 1995-05-29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coupling apparatus
DE4408098A1 (de) * 1994-03-10 1995-09-14 Aeg Mobile Communication Elektronisches Handgerät mit Klappe
US5499292A (en) * 1994-05-06 1996-03-12 At&T Corp. On hook/off hook mechanism for wrist telephone
KR0145879B1 (ko) * 1995-07-20 1998-08-17 김광호 전화기의 버튼 커버 개폐장치
KR200141099Y1 (ko) * 1995-09-19 1999-05-1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DE19609232C2 (de) * 1996-03-09 2001-07-12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iversellen und gesicherten Zugang zu angebotenen Multimediadiensten über das Telefonnetz
US5918188A (en) * 1996-09-30 1999-06-29 Ericsson Inc. Flip on/off detector
AU4919297A (en) * 1996-10-29 1998-05-22 Ericsson Inc.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GB2322906B (en) * 1996-12-23 2001-04-04 Nokia Mobile Phones Ltd Spring biased hinge for a foldable radiotelephone
US6011699A (en) * 1997-10-15 2000-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US6352434B1 (en) 1997-10-15 2002-03-05 Motorola, Inc. High density flexible circuit el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5996178A (en) * 1997-10-15 1999-12-07 Motorola, Inc. Hinge suitable for use in a foldable device
JP3713378B2 (ja) * 1998-02-19 2005-11-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電話機
KR100266516B1 (ko) * 1998-05-18 2000-09-15 한영수 힌지장치
GB2337790B (en) 1998-05-29 2002-12-31 Nokia Mobile Phones Ltd Hinge mechanism
JP2000165511A (ja) 1998-11-26 2000-06-16 Nec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のダイヤルロック方法
JP4637332B2 (ja) * 2000-08-0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装置
KR100665709B1 (ko) 2001-04-26 2007-01-1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JP2011124964A (ja) * 2009-12-14 2011-06-23 Shinji Abiru 携帯電話
CN107385772A (zh) * 2017-08-02 2017-11-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装置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7540A (en) * 1978-02-10 1979-12-11 Ajax Hardware Corporation Self-closing concealed hinge
JPS56119347A (en) * 1980-02-26 1981-09-18 Toyoda Mach Works Ltd Machine tool provided with plurality of tool magazine
US4424606A (en) * 1981-08-10 1984-01-10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ust cover
JPS59135960A (ja) * 1983-01-25 1984-08-04 Fujitsu Ltd 電話機等における折りたたみ型送受話器のフツクスイツチ切替装置
US4845772A (en) * 1988-06-13 1989-07-04 Motorola, Inc.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control switch disabling
IT1192109B (it) * 1985-10-22 1988-03-31 Otlav Spa Cerniera con posizioni stabili predeterminate
FR2614953B1 (fr) * 1987-05-06 1989-08-04 Chevassus Charniere a double action elastique
US4839939A (en) * 1988-03-24 1989-06-20 Brien Ii James A O Security hinge with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with the electrical wires located along the pivot axis of the knuckles
US4897873A (en) * 1988-11-04 1990-01-30 Motorola, Inc. Multipurpose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tele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224734D0 (en) 1993-02-10
CN1026841C (zh) 1994-11-30
CA2078233A1 (en) 1992-09-29
AU1763192A (en) 1992-11-02
KR930701025A (ko) 1993-03-16
IT1253960B (it) 1995-09-05
FR2675327B1 (fr) 1997-11-28
GB2260571B (en) 1995-09-27
AU655027B2 (en) 1994-12-01
JPH05506768A (ja) 1993-09-30
SE9203110D0 (sv) 1992-10-23
ITRM920203A1 (it) 1993-09-20
SE503806C2 (sv) 1996-09-09
ITRM920203A0 (it) 1992-03-20
DE4290923T1 (ko) 1993-04-01
MX9201332A (es) 1992-10-01
FR2675327A1 (fr) 1992-10-16
SE9203110L (sv) 1992-10-23
WO1992017974A1 (en) 1992-10-15
CN1070781A (zh) 1993-04-07
GB2260571A (en)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618B1 (ko) 절첩식 무선 전화기용 힌지 장치
KR930009847B1 (ko) 접는 전화기용 힌지장치
KR100442598B1 (ko)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RU2201038C2 (ru) Крепление микрофон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икрофона и звуковой цепи радиотелефона с откидной крышкой и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онтакт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0630139B1 (ko)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43386A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20020086700A1 (en)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100283185B1 (ko)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200211457Y1 (ko) 플립형 휴대전화기
KR100442595B1 (ko)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264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0137985Y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200168344Y1 (ko) 폴더형 휴대폰의 각도조절 장치
KR1006087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50075517A (ko) 전자석을 이용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오픈 장치
KR200188130Y1 (ko) 덮개 회전식 휴대폰
KR200330186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보호구조
JP3276811B2 (ja) 携帯電話装置
KR960006946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34253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0032444A (ko) 무선 단말기의 전자파 비 흡수율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