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047B1 -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047B1
KR950014047B1 KR1019880001810A KR880001810A KR950014047B1 KR 950014047 B1 KR950014047 B1 KR 950014047B1 KR 1019880001810 A KR1019880001810 A KR 1019880001810A KR 880001810 A KR880001810 A KR 880001810A KR 950014047 B1 KR950014047 B1 KR 95001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eat exchanger
support plate
flux
exchang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305A (ko
Inventor
히로시 에노키도
타카유키 하타나카
타카시 고조노
Original Assignee
니혼 라지에타 가부시끼가이샤
야마구치 타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444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120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78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42468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라지에타 가부시끼가이샤, 야마구치 타다시 filed Critical 니혼 라지에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의 평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의 납땜공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요부 단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의 납땜 공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2 :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
3 : 튜브 4 : 핀(Fin)
5 : 받침판 6 : 고리형상요홈
7 : 걸림부재 8 : O형상 링
9 : 탱크 10 : 탱크(9)의 걸림부
20 :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21 : 스프레이
22 : 탱크 30 :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31 : 튜브 32 : 핀(Fin)
33 : 받침판 34 : 고리형상 요홈
35 : 끼워맞춤구멍
40 :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임시로 조립된 코어)
41 : 스프레이 노즐 42 : 분말체 도포건(Gun)
본 발명은, 튜브와 핀(Fin)과 받침판과를 임시로 조립한 후에, 비부식성 플러그를 도포하고, 가열로중에서 납땜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개량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이러한 종류의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는, 경량이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9-95397호 공보등에 의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의 라디에터나, 콘덴서 또는 증발기등의 열교환기에, 동합금 재료를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1)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2)의 양끝단에 설치된 받침판(5)의 고리형상요홈(6)내에 O형상링(8)를 배치한 후에, 합성수지제 탱크(9)의 걸림부(10)를 O형상링(8) 위에 얹어놓고, 소망하는 압력을 가하여 O형상링(8)을 압축한 상태에서, 받침판(5)의 바깥둘레부에 형성된 걸림부재(7)를 구부려서 합성수지에 탱크(9)와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2)와를 일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2)는, 예를들면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알루미늄재료로 구성되는 튜브(3)와 핀(4)을 교호로 배치함과 동시에 각 튜브(3)의 양끝단부에,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는 받침판(5)을 배치하여 임시로 조립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 (20)를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 5 도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부식성 플럭스를 도포하는 공정에서부터 납땜공정으로 보내진다.
또한, 튜브(3)와 핀(4)과는, 상기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와, 튜브(3) 또는 핀(4)의 어느쪽인 가의 표면에만 가열로 중에서 납땜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처리공정을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5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로 조립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20)에, 예를들면 KAIFj-K3AIF6의 조성인 비부식성 플럭스와 물과의 혼합액(3 내지 5%농도)을 스프레이(21)를 통하여 살포한다.
다음에, 제 5 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가 다른 비부식성 플럭스와 물과의 혼합액(12 내지 15%농도)이 들어있는 탱크(22)에, 받침판(5)과 튜브(3)의 접합부를 담근다.
이것은, 튜브(3)와 판(4)과의 각 접합부의 접합구조와, 튜브(3)와 받침판(5)의 접합부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낮은 농도의 혼합액만을 살포하면, 튜브(3)와 핀(4)은 긴밀하게 접합하지만, 받침판(5)과 튜브(3)의 접합부는 긴밀하게 접합되지 못하며, 좋지 않은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5도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시킨다.
그리고, 이 건조공정후에, 제 5 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600도 C로 온도를 상승시킨 가열로에서 5분간 정도 가열 하고, 튜브(3), 핀(4) 및 받침판(5)의 각 접합부를 납땜한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는, 비부식성 플럭스와 물과의 혼합액을 도포할때에, 샤워도포공정과 담금공정을 필요로 하지만, 이와 같이 농도가 다른 비부식성 플러스의 농도관리가 매우 곤란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튜브(3)와 받침판(5)의 접합부에 비부식성 플럭스를 부착할때에, 받침판 (5) 근처의 핀(4)에 비부식성 플럭스가 남게되어, 핀(3)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방열성능이 저하되거나, 외관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받침판(5)의 고리형상 요홈(6)에 비부식성 플럭스가 부착하면, 납땜후에 잔존하여, 고리형상 요홈(6)의 표면을 거칠게 한다.
이것은, 합성수지제 탱크(9)를 조립할때에, O형상링(8)에 의한 기밀성을 손상시킨다. 이로인하여, 납땜후에 잔존하는 비부식성 플럭스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의목적은, 받침판의 고리형상 요홈내에 비부식성 플럭스가 잔존하지 않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O형상링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켜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비부식성 플럭스의 회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받침판의 고리형상 요홈내에 비부식성 플럭스가 고이지 않도록 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은, 비부식성 플럭스의 소비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는 알루미늄제 열교한기 코어의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받침판의 고리형상 요홈에 비부식성 플럭스의 남아있는 찌꺼기가 없기 때문에, 면이 거칠게되지 않고, 여기서 O형상링을 끼워서 삽입하여도, O형상링 과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이 위에 합성수지에 탱크의 걸림부를 얹어놓고 압축하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수축하여 소망하는 압축율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O형상링에 의한 기밀한 구조를 확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시로 조립된 코어에 물을 살포한 후에,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를 살포하기 때문에, 비부식성플럭스는 물이 살포되어 있는 부위에만 부착된다.
따라서, 물의 살포시에 받침판의 고리형상 요홈에 물이 고리지 않도록 처치하면, 비부식성 플럭스가 받침판의 고리형상 요홈내에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비부식성 플럭스가 분말체로서 살포되기 때문에, 물과의 혼합액이 살포시에서와 같이 물이 흘러내려감에 따라 밀려서 흘러가게 되어, 비부식성 플럭스의 분포를 불균일하게 하거나, 외관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단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분말체로서 살포되기 때문에, 부착되지 않은 비부식성 플럭스는, 회수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30)의 평면도로서, 받침판(33)의 고리형상요홈(34)에는 비부식성 플러스가 존재하지 않고, 튜브(31)와 받침판(33)의 끼워맞춤 구멍(35)의 부분에만 비부식성 플럭스를 개재하여 납땜된 납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30)는, 예를들면 다음에서와 같이하여 제조된다.
먼저,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알루미늄제 튜브(31)와, 알루미늄제 핀(32)과, 알루미늄제 받침판(33)과를 임시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40)를 준비한다.
다음에, 제 2 도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임시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40)에, 복수의 스프레이 노즐(41)로부터 물을 안개형상으로 살포한다.
이때에, 알루미늄제 튜브(31)와 알루미늄제핀(32)과의 접합부분에는, 전체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살포한다.
또한, 각 알루미늄제 튜브(31)와 알루미늄제 받침판(33)과의 접합부에는, 알루미늄제 받침판(33)이 세워져 있기 때문에 스프레이 노즐(41)을 경사지게하여 살포하면, 양쪽의 접합부에 충분하게 물을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제 튜브(31)와 알루미늄제 받침판(33)과의 접합부는, 튜브(31)가 눌려 끼워져 있기 때문에, 각 접합부의 간격은 작아서, 알루미늄제 받침판(33)의 고리형상 요홈(34)면 쪽으로 침입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제 2 도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임시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40)에, 분말체 도포건(42)에 의하여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를 살포한다.
이와 같은 살포에 의하여,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는 상기의 공정에서 살포된 물이 묻은 장소에 부착되고, 물이 살포되지 않는 장소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알루미늄제 튜브(31)와 알루미늄제 핀(32)과의 접합부에는, 물의 살포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거리에서 균일하게 살포한다.
그리고, 알루미늄제 튜브(31)와 알루미늄제 받침판과의 접합부에서는, 양쪽의 끼워맞춤부에 충분하게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가 골고루 퍼지도록 경사지게 살포한다.
또한, 이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의 살포는, 제 2 도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말체 도포건(42)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이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의 살포는, 흡입 블로우어(blower)를 설치한 실내에서 행한다.
즉, 도포시에는 흡인블로우어를 작동하여, 분말체 도포건에서 날라흩어지는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를 회수한다. 회수된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는, 체틀로 걸러서 먼지등을 제거한 후에 다시 사용된다.
다음에, 제 2 도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의 도포가 종료되면,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건조한다.
이 건조공정의 완료후에, 제 2 도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로중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납땜처리된다.
이 납땜처리에 의하여, 제 2 도의 e 에 나타낸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30)가 얻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물 및 미부식성 플럭스가 알루미늄제 받침판(33)의 고리형상요홈(34) 내에 부착되지 않도록 처리하기 때문에, 납땜후에 고리형상 요홈(34)의 안쪽면에 비부식성 플럭스가 남아있게 될 염려가 없다.
이로인하여, 이 고리형상 요홈(34)의 안쪽면을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다음 공정에서 끼워 맞추어지는 O형상링과 합성수지성 탱크와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비부식성 플럭스의 도포가, 물의 살포후에 분말체로서 살포되기 때문에, 물과의 혼합액의 경우에 가장 문제로 되었던 비부식성 플럭스의 회수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더욱이, 이 회수는 흡인 블로우어를 설치한 방을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확실하면서도 저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비부식성 플럭스가 분말체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착된 것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과의 혼합액의 경우에서와 같이 물이 흘러내릴때에 비부식성플럭스를 아래쪽으로 밀려서 흘러가게 하여, 비부식성 플럭스의 분포를 불균일하게 하는 문제가 없게 된다.
즉, 비부식성 플럭스의 분포가 안정되기 때문에, 납땜시에 뭉쳐짐이 일어난다던가, 접합불량이 일어나는 등의 나쁜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받침판(33)의 고리형상 요홈(34)에 비부식성 플럭스의 찌꺼기기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물 및 비부식성 플럭스의 살포시에 받침판(33)의 고리형상 요홈(34)을 차폐하던가, 받침판(33)의 고리형상 요홈(34)을 마스킹 재료로써 입히던가, 점착함으로써 비부식성 플럭스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2 도의 a 의 물살포공정후에, 물공급을 중단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튜브와 핀과의 어느 쪽에도 표면에 가열로 중에서 납땜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튜브 또는 핀의 어느쪽만의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조방법도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법에 의하여도 좋다.

Claims (6)

  1.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튜브(31)와 핀(32)을 교호로 배치함과 동시에, 각 튜브(31)의 양끝단부에,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는 받침판(33)을 배치하여 임시로 조립되는 코어를 형성한 후에, 비부식성 플럭스를 도포하고, 다음에 가열로중에서 가열하여 튜브재(31)과 핀재(32)와 상기 받침판재(33)와의 각 접합부를 납땜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30)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33)의 고리형상 요홈(34)에 비부식성 플럭스의 찌꺼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
  2. 알루미늄재료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가열로중에서 납땜되는 땜납재료를 피복한 튜브(31)와 핀(32)과를 교호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 튜브(31)의 양끝단부에, 표면에 가열로 중에서 납땜되는 땜잡재료를 피복한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는 받침판(33)을 배치하여 임시로 조립되는 코어(40)를 형성한 후에, 비부식성 플럭스를 도포하고, 다음에 가열로 중에서 가열하여 상기 튜브재(31)와 핀재(32)와 상기 받침판(33)과의 각 접착부를 납댐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30)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 임시로 조립된 코어(40)에 물을 살포한 후에,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를 살포하고, 다음에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받침판(33)의 탱크쪽이 고리형상 요홈(34)에 물이 고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노즐(41)로써 물을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받침판(33)의 탱크쪽의 고리형상 요홈(34)에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를 살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노즐(41)로써 분말체의 비부식성 플럭스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제 열교환기 코어의 납땜 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시 도포방법.
KR1019880001810A 1987-02-27 1988-02-22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KR950014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44421 1987-02-27
JP62044421A JPS63212066A (ja) 1987-02-27 1987-02-27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コア
JP62078749A JPS63242468A (ja) 1987-03-30 1987-03-30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コアのろう付け工法に於けるフラツクス塗布方法
JP87-78749 1987-03-30
JP62-78749 198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05A KR880010305A (ko) 1988-10-08
KR950014047B1 true KR950014047B1 (ko) 1995-11-20

Family

ID=2638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810A KR950014047B1 (ko) 1987-02-27 1988-02-22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01907A (ko)
KR (1) KR950014047B1 (ko)
AU (1) AU59747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949B2 (ja) * 1990-07-26 1998-11-18 サンデン株式会社 ろう付け方法
EP0787967B1 (en) * 1996-02-05 2000-08-09 Sanden Corporation Heat exchanger formed by brazing a provisiona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366945A1 (en) 1999-03-05 2000-09-08 Alcoa Inc. A method of depositing flux or flux and metal onto a metal brazing substrate
US6317913B1 (en) 1999-12-09 2001-11-20 Alcoa Inc. Method of depositing flux or flux and metal onto a metal brazing substrate
GB2360007A (en) * 2000-03-10 2001-09-12 Chen Yang Shiau Welded heat sink/heat pipe for CPU
JP2002243395A (ja) 2001-02-15 2002-08-28 Sanden Corp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00016B1 (ko) * 2002-05-01 2005-07-12 오주희 알루미늄 부품의 연속 브레이징 방법
US6755339B2 (en) * 2002-06-21 2004-06-29 Delphi Technologies, Inc. Fluxing apparatus for applying powdered flux
EP1452260A1 (de) * 2003-02-26 2004-09-01 Behr GmbH &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s Flussmittels für das Hartlöten von Teilen
US7293602B2 (en) * 2005-06-22 2007-11-13 Holtec International Inc. Fin tube assembly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CN105880767A (zh) * 2014-12-04 2016-08-24 重庆普致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散热器的焊接工艺
CN108613588A (zh) * 2018-05-28 2018-10-02 江苏雪旺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可提高蒸发器制冷效率的铜铝接头
US10939600B2 (en) 2018-11-28 2021-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ux residu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0174A1 (fr) * 1979-07-02 1981-01-23 Louyot Comptoir Lyon Alemand Procede de fluxage permettant l'assemblage de pieces metalliques par brasage
JPS6149771A (ja) * 1984-08-15 1986-03-11 Nippon Radiator Co Ltd 熱交換器
JPS62140677A (ja) * 1985-12-13 1987-06-24 Taiheiyo Kiko Kk 粉粒体の塗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162988A (en) 1988-09-01
AU597475B2 (en) 1990-05-31
KR880010305A (ko) 1988-10-08
US4901907A (en) 199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047B1 (ko)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코어 및 그 납땜공법에 있어서의 플럭스 도포방법
US5251374A (en) Method for forming heat exchangers
US4196923A (en) Adhesive bonding of aluminum coils
US4934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der mounted electronic components
US5098010A (en) Process using protective flux coatings for delaying joining and soldering operations
US4774106A (en) Method of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o objects by using a liquid
US20020023947A1 (en) Method of brazing metal work
KR19990028643A (ko) 열교환기 성형
US4061263A (en) Method of bonding a dielectric substrate to a metallic carrier in a printed circuit assembly
JPS63212066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コア
US7159758B1 (en) Circuit board processing techniques using solder fusing
JPH0420794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2816218B2 (ja) ろう付け方法
KR100422059B1 (ko)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 접합방법과 그 접합재
JPS63242468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コアのろう付け工法に於けるフラツクス塗布方法
JPH0334391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半田コーティング方法
KR100417954B1 (ko) 알루미늄 제품의 접합재와 그 코팅방법 및 장치
JPH0612219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0450126B1 (ko)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 접합방법과 그 접합재
JP2002144078A (ja) 線状アルミニウムろう材
KR19990086401A (ko) 열교환기의 튜브-핀어셈블리의 브레이징접합법.
JPH0612218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6232547A (ja) 電子部品のリプレース方法とリプレースヘッド
JPH05169247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0343684B1 (ko) 열교환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