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043B1 -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043B1
KR950014043B1 KR1019920023914A KR920023914A KR950014043B1 KR 950014043 B1 KR950014043 B1 KR 950014043B1 KR 1019920023914 A KR1019920023914 A KR 1019920023914A KR 920023914 A KR920023914 A KR 920023914A KR 950014043 B1 KR950014043 B1 KR 95001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fresh water
war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256A (ko
Inventor
아아처 존
호오칸슨 스벤
Original Assignee
쓰보가와 쓰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보가와 쓰네오 filed Critical 쓰보가와 쓰네오
Publication of KR93001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9/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moved successively into contact with each heat-exchang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열교환장치의 한 유니트의 일부를 생략한 종단면도.
제 2 도는 동 횡단면도.
제 3 도는 동 열교환장치의 각 유니트의 접속부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동 열교환장치의 복수의 유니트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5 도는 동 순환장치를 갖춘 복수의 유니트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경계판
3 : 온배수관 4 : 청수관
5 : 돌기물 6 : 보강링
7 : 위크 9 : 가용 플러그
10 :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 11 : 따뜻한 배수
12 : 슬리브 13 : 접속관
15 : 단열재 16, 16a, 16b, 16c : 열교환장치의 유니트
17a, 17b : 온배수관 18 : 청수의 유입구
19 : 청수의 유출구 20a, 20b : 저장조
21a, 21b : 순환펌프
23a, 23b, 23c, 24a, 24b, 24c : 열교환장치의 유니트
26 : 얇은 위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히이트 파이프의 원리를 사용하여 고온배수와 저온청수와의 사이에서 위생상 안전하게 열교환을 하게 하는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깨끗한 고온배수와 청수와의 사이의 열교환뿐만 아니라, 특히 협잡물 등을 함유한 각종의 더러워진 공장배수나 각종의 더러운 배수와 청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경우에 유효한 열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각종 오물 또는 섬유 등 각종의 협잡물을 함유한 온배수는 주택, 호텔, 레스토랑, 공중욕탕, 온천, 세탁공장, 종이ㆍ펄프공장 등 각종의 건물이나 각종의 공장으로부터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 이들의 매우 더러운 온배수로부터 열을 유효 회수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때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열교환기를 더러운 온배수로부터의 열회수에 사용하면, 열교환기내의 배수관이나 배수통로 등이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거나, 상기의 관이나 배수의 통로에 스케일이 부착하여 효율이 저하하거나, 또한 온배수가 청주중에 새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열교환기를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에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히이트 파이프의 원리를 사용하면, 더러운 온배수로부터 청수로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온배수와 청수가 완전히 차단되어 접촉하지 않는 위생상 안전한 열교환장치를 만들 수 있다.
히이트 파이프는 비점이 낮은 각종의 작동액의 작용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는 작동액의 증발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작동액의 응축부에 열이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폐쇄계의 열전달시스템이다.
열을 흡수하는 응축부에서 열을 전달하여 액화된 작동액은 중력 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는 증발부로 되돌아간다.
스웨덴 특허 제7613962-5호 및 제7910472-5호에는 온배수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히이트 파이프의 원리를 사용한 열교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발명의 열교환장치는 온배수의 저장조와 그 윗쪽에 청수의 저장조를 설치하고, 하부의 온배수의 저장조와 상부의 청수의 저장조와의 사이에 히이트 파이프를 설치하여, 온배수로부터 청수에 열을 전달하는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스웨덴 특허 제7910472-5호에 기재되어 있는 열교환장치는, 1호 건축주택에서는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실증되었다.
그러나, 화장실의 오수를 이 열교환장치에 유입시킬 수는 없으므로, 화장실의 오수관을 다른 배수관과는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설비비가 증대한다.
또, 온배수의 저장조를 설치하기 때문에, 이 조에 오물이 고여서, 냄새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본 저장조는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원 발명은 히이트 파이프의 원리를 사용한 더러운 온수로부터 청수에 열을 전달하는 열교환장치로서, 온배수의 저장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위생상 안전하게 열교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온배수의 저장조를 설치하지 않고 온배수관을 직접 열을 방출하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증발부로 하고, 또 상기 온배수관의 윗쪽에 부착된 창수관을 직접 열을 흡수하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응축부로 하여, 간단한 장치로 효과가 높은 온배수의 열화수장치를 제공한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개선을 한 것이다.
즉, 첫째로, 땅속에 매설하는 등 배수관의 일부로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온배수관과 그 윗쪽에 부착한 청수관을 설치하고, 이들 관을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과 그 증기를 함유한 외통에 기밀하게 봉입하여, 온배수의 저장조를 불필요하게 한 것이다.
장기간 사용한 수많은 배수관을 조사한 결과, 배수가 흐르는 관의 바닥부에는 오물의 부착이나 퇴적이 거의 없고, 비교적 깨끗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 통상 배수가 흐르는 것은 배수관의 직경이 1/3이하의 바닥부분이다.
따라서 배수관을 열을 방출하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증발부로서 사용할 수가 있으면, 특히 배수관의 하부를 상기 증발부로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면, 온배수의 저장조가 불필요하게 되어, 보수가 간단한 열교환장치를 만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열교환은 효율을 높이기 우하여 대향류식으로 한다.
둘째로, 히이트 파이프는 대략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기능한다. 그러나, 온배수의 온도는 15~50℃ 정도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원 발명의 열교환 장치에 있어서는 히이트 파이프가 이러한 온도범위에서 기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열교환장치는 봉입한 작동액의 비점이 다른 몇개의 히이트 파이프의 유니트(이하, 유니트라고 함)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열교환은 각 유니트마다 몇개의 온도범위 부분으로 나누어 행하여진다.
셋째로, 온배수의 온도는 일정하지 않고, 통상 변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온배수의 열교환장치는 배수의 온도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열교환장치는 온배수관의 재질을 얇은 금속파이프(통상 스테인레스 스틸)로 하고, 이 온배수관에 작동액을 침투시키는 열용사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구성되는 다공성의 위키를 설치함으로써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양을 적게하여, 배수의 온도변화에 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넷째로, 배수의 온도는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주택의 경우에는 욕실, 식기씻는 싱크대, 온수사용의 세탁기 등으로부터 따뜻한 배수가 배출되면 온배수가 열교환장치를 지나서 흐르며, 그리고 온배수관의 주위의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이 증발하여 청수관쪽으로 이동하여, 거기서 응축함으로써 열은 즉시 청수관에 전달된다. 그런데, 온배수가 배출된 직후에 차거운 배수가 배출되어, 이것이 열교환장치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수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한 경우 이미 청수관 쪽에 전달된 열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히이트 파이프는 열을 1방향으로만 전달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청수관의 주위에는 증발된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이 없어지므로, 청수관쪽으로부터의 열의 손실은 자동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배수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여도, 고온의 온배수쪽으로부터 저온의 청수쪽에 일단 전달된 열이 그후 청수쪽으로부터 상실되는 일은 없다.
다섯째로, 소규모의 건축물이나 소규모의 공장 등에서는 온배수의 배출과 가온된 청수의 사용이 동시에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직렬로 접속된 몇개의 유니트마다 저저장조와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가온된 청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가온된 청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그 가온된 청수는 몇개의 유니트마다 순환하고, 온배수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순환하고 있는 가온된 청수의 온도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작용]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의 외주에 열용사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등으로 구성되는 다공성의 위크를 설치하고, 이 다공성의 위크는 관의 외주 하부쪽에서는 기타의 부분보다 두껍게 설치되어 있는 온배수관과, 그 윗쪽에 배치된 청수관을 외통속에 부착하여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을 넣고 밀폐한 유니트를 복수개 직렬로 접속하고, 온배수와 청수가 대향류로 흐르는 온배수와 청수의 열교환장치에서, 온배수로부터 청수에의 열전달은 작동액의 증발과 응축에 의한 히이트 파이프의 원리를 사용한 열교환장치이다.
상기 본원 발명의 장치에는 온배수의 저장조가 없고, 따라서 냄새가 발생하거나, 자주 조를 청소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불필요하며, 또한 위생상 매우 청결하다.
다음에, 온배수관과 청수관은 떨어져 있고, 그리고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을 매체로 하여 열전달을 행하므로, 더러운 온배수가 청수중에 혼힙될 염려는 전혀 없다.
이 때문에 병원균을 함유한, 예컨대 병원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온배수로부터도 위생상 안전하게 열을 회수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가 흐르는 관의 바닥부는 비교적 깨끗이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가 흐르는 것은 통상 배수관의 직경이 1/3이하의 바닥부분이고, 이것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의 하면 약 120˚의 부분에 상당한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열교환장치에 있어서는, 온배수관의 외주에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을 침투시키는 열용사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구성되는 다공성의 위크를 설치하는 것이지만, 이 다공성의 위크의 두께는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 약 120˚의 범위의 부분에 설치되는 위크의 두께의 쪽이 기타의 부분에 설치되는 위키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구성한 쪽이 온배수관으로부터 청수관에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통상 온배수가 온배수관내를 흐르는 부분에 상당하는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 약 120˚의 범위의 부분에 설치되는 다공성의 위크가 비교적 두꺼우면, 이 위크 안에 들어가서 함유되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양도 비교적 많아져서, 작동액이 온배수관을 통하여 온배수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는 동작이 더욱 효과적을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 약 120˚의 범위의 부분에 설치되는 다공성의 위크의 두께는 대체로 1~2㎜의 범위인 것이 좋다.
발명자의 많은 실험에 의하면, 이 부분에 설치되는 위크의 두께가 대략 1~2㎜의 범위에 있을 때에 온배수관으로부터 청구관에의 열전달이 가장 효과적으로 행하여졌다. 이보다 위크가 얇으면 열전달의 효율이 저하하였다.
반대로 이보다 두꺼워지면 위크 내부의 온배수관의 외주에 가까운 쪽에 존재하고 있는 작동액의 증발이 위크의 바깥쪽 근방의 작동액의 존재에 의하여 방해되어, 도리어 열전달의 효율이 저하하였다. 그래서 제조비상의 관점 및 장치의 효율상의 관점에서,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 약 120˚의 범위의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의 위크의 두께의 상한을 약 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 120˚의 범위 이외의 부분은 통상 온배수가 흐르지 않으므로, 이 부분에 두꺼운 위크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상기의 범위 이외의 부분에는 대략 두께 0.1~0.5㎜의 얇은 다공성의 위크를 설치한다.
이 비교적 얇은 다공성의 위크의 존재에 의하여 청수관으로부터 낙하하는 작동액이 온배수관에 부딪쳐 흩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그리고 온배수관에 낙하한 작동액이 이 얇은 위크를 지나 온배수관의 외주표면을 아래쪽으로 흘러서 온배수관의 외주하면의 비교적 두꺼운 위크내로 들어갈 수가 있다.
배구관은 배수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통상 약간 경사지게 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외통내의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은 항상 온배수관의 하부에 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단에 다공성의 위크를 설치한 세로방향의 돌기물을 설치하고, 외통하부의 작동액이 상기 돌기물의 위크에 의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온배수관의 외주하면의 위크까지 상승하도록 하고 있다.
온배수관은 열을 빨리 전달하므로, 될 수 있는대로 얇은 금속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온배수관내를 고온의 배수가 흐르는 경우, 급격히 다량의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이 증발하여, 외층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때문에 온배수관을 이 압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강링(6)을 설치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열교환장치의 하나의 유니트의 외통(1), 경계판(2), 온배수관(3), 청수관(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배수관(3)은 통상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온배수관(3)에는 위크를 갖춘 세로방향의 돌기물(5)의 부착되어 있고, 또 외통(1)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강링(6)을 부착하고 있다.
온배수관(3)의 외주의 하면 약 120˚의 부분에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이 침투하는 두께 약 1~2㎜의 다공성의 위크(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온배수관(3)의 외부의 기타부분에는 두께 약 0.1~0.5㎜의 얇은 다공성의 위크(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크(7)는 열용사한 금속, 특히 열용사한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청수관(4)은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고, 열의 전달을 좋게하기 위하여 핀 또는 열전달면적을 크게하는 다른 유사한 것을 부착할 수 있다.
본 열교환장치는 금속으로 제작하고, 각 부분은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열교환장치내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고, 그리고 외통내의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 대비하여 외통(1)에는 안전밸브 또는 가용 플러그(9)를 부착하고 있다.
외통(1)에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10)이 봉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온배수관(3)과 2개의 청수관(4)에 의하여 열교환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나, 온배수관과 청수관의 개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개수의 조합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열교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뜻한 배수는 온배수관(3) 속을 흐른다. 온배수관은 배수로 만관상태가 되는 일은 거의 없고, 통상 온배수관(3)의 바닥부(3)를 따뜻한 배수가 흐르고 있다.
차거운 청수는 청수관(4)을 제 1 도의 화살표와 같이 따뜻한 배수와 반대방향으로 흐른다.
온배수관(3)내의 따뜻한 배수(11)의 열은 온배수관(3)의 벽을 통하여 다공성의 위크(7)에 전달된다. 그 결과, 위크(7)안에 침투되어 있는 작동액(10)은 온배수(11)의 열을 빼앗아 증발한다.
작동액(10)의 증기는 온배수관(3)의 윗쪽에 있는 청수관(4)으로 이동하여, 거기서 응축되어 액체가 되며, 이때 증발할 때에 얻은 잠열을 청수관(4)에 공급하여 청수를 가온한다.
응축되어 액화한 작동액(10)은 온배수관(3)의 상부의 얇은 다공성의 위크(26) 및 외통(1)의 하부에 흘러 떨어져서, 다시 다공성의 위크(7)속으로 침투한다.
이 작동액(10)의 증발 즉 온배수로부터의 열의 방출과, 즉 청수에 의한 열의 흡수는 온배수의 쪽이 청수보다 온도가 높은한, 계속하여 행하여진다.
한편, 따뜻한 배수가 배구관(3)을 통과한 직후에 차거운 배수가 배수관(3)을 통과하여 배수의 온도가 급격히 변환한 경우, 먼저 통과한 따뜻한 배수의 열에 의하여 가온된 청수관(4)의 주위에는 증발한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청수관(4)으로부터의 열의 손실은 일어나지 않는다.
온배수관(3)의 바닥부의 작동액(10)은 그 액면 레벨이 낮은 경우, 돌기물(5)의 위크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온배수관(3)의 외주하면의 위크(7)내에 침투한다.
제 3 도는 본 열교환장치의 2개의 유니트의 접속부를 도시한 것이다.
온배수관(3)은 슬리브(12)로 접속되고, 청수관(4)은 접속관(13)을 청수관(4)의 접속부(8)에 부착하여 접속된다.
접속관(13)이 청수관내의 수압으로 본 열교환장치로부터 밀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관(13)은 로크판(14)으로 본 열교환장치로 로크되어 있다.
본 열교환장치는 단열재(15)로 보온된다.
제 4 도는 본 열교환장치 전체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열교환정치의 각 유니트(16, 16a, 16b, 16c)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각 유니트내를 지나는 온배수관(17a, 17b)은 그 건물이나 공장 등의 배수의 배수관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청수는 유입구(18)로부터 청수관에 공급되고, 본 열교환장치의 각 유니트내에서 가온되어 유출구(19)로부터 나온다.
여기서, 각 유니트내에 봉입하는 하이트 파이프의 작동액(10)을 각각 비점이 다른 것으로 해두면, 통과하는 온배수의 온도가 다르더라도, 각 온도에 따라 어느 유니트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열교환이 행하여져서, 열교환장치 전체로서는 온배수가 다른 온도 범위에서도 기능할 수 있다.
제 5 도는 청수관에 순환장치를 갖춘 본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소규모의 건축물이나 소규모의 공장등에서는, 온배수의 배출과 가온된 청수의 사용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청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청수는 몇개의 유니트의 열교환장치마다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도의 실시예에서는, 배수는 17a로부터 본 열교환장치의 유니트(23a, 23b, 23c)를 지나고, 다음에 유니트(24a, 24b, 24c)를 지나서 흐른다.
한편, 청수는 화살표(22)와 같이 본 열교환장치의 유니트(24c, 24b, 14a)로 들어가 흐르고, 다음에 화살표(25)와 같이 유니트(23c, 23b, 23a)로 들어가 흘러서, 화살표(26)와 같이 나온다.
본 열교환장치의 유니트(24a, 24b, 24c)의 그룹에서 가온된 청수는 순환펌프(21a)로 저장조(20a)를 거쳐 본 열교환장치의 유니트(24c)로 복귀한다.
또, 열교환장치의 유니트(23a, 23b, 23c)의 그룹에서 가온된 청수는 순환펌프(21b)로 저장조(20b)를 거쳐 본 열교환장치의 유니트(23c)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온된 청수를 본 열교환장치내에 순환, 저장시킬 수 있고, 또, 온배수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가온된 청수를 더욱 가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의 온배수의 저장조를 설치하지 않고, 온배수관 그 자체를 열 방출하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증발부로 하고, 또 상기 온배수관의 윗 에 부착된 청수관 그자체를 열을 흡수하는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의 응축부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장치로 효율적이고 또 위생상 안전하게 온배수로부터 청수에 열을 전달 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열을 흡수하는 쪽이 1개 또는 복수개의 대략 수평으로 부착된 청수관(4)으로 구성되고, 열을 방출하는 쪽이 상기 청수관(4)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부착된 1개 또는 복수개의 온배수관(3)으로 구성되며, 열을 방출하는 쪽의 온배수관(3)의 외주의 하단에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을 침투시키는 다공성의 위키가 설치되어 있는 세로방향의 돌기물을 설치하고, 열을 흡수하는 쪽의 청수관과 열을 방출하는 쪽의 온배수관이 상기 작동액과 그 작동액의 증기를 함유한 기밀한 외통(1)내에 봉입되어 있으며, 그리고 복수의 상기 외통을 직렬로 접속하여, 협잡물 등을 함유한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를 대향류로 흐르게 하며, 그리고 온배수관으로부터 청수관으로의 대향류식의 열의 전달이 히이트 파이프의 원리를 사용하여 행하여지는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에 있어서, 열을 방출하는 쪽의 온배수관의 외주에 히이트 파이프의 작동액을 침투시키는 열용사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동으로 구성되는 다공성의 위크를 설치하고, 상기 다공성의 위크는 상기 열을 방출하는 쪽의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쪽이 기타부분의 상기 다공성 위크보다 두껍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함유한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의 위크의 두께는 상기 열을 방출하는 쪽의 온배수관의 외주의 하면 약 120˚의 부분에서는 약 1~2㎜, 기타의 부분에서는 약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함유하는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열을 흡수하는 청수관(4)의 양단(8)에 보강체(1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함유한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된 열교환장치의 복수의 외통마다 순환펌프와 저장조를 설치하여 청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함유한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KR1019920023914A 1992-02-17 1992-12-11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KR950014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200449-8 1992-02-17
SE9200449A SE469355B (sv) 1992-02-17 1992-02-17 Anordning foer vaermevaexling mellan vaetskor med anvaendning av vaermeroersprinci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56A KR930018256A (ko) 1993-09-21
KR950014043B1 true KR950014043B1 (ko) 1995-11-20

Family

ID=2038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914A KR950014043B1 (ko) 1992-02-17 1992-12-11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548667B2 (ko)
KR (1) KR950014043B1 (ko)
SE (1) SE469355B (ko)
TW (1) TW207001B (ko)
WO (1) WO1993016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8857Y1 (it) * 1999-06-25 2003-02-20 Elio Carta Sistema di scambio termico acqua calda-latte nella vasca dicoagulazione per latte nella polivalente
KR200302876Y1 (ko) * 2002-11-26 2003-02-05 (주) 루이테크 이중관형 히트 파이프
US20090020263A1 (en) * 2006-01-26 2009-01-22 Akihiro Ohsawa Cooling Apparatus for Fluid
JP5326302B2 (ja) * 2008-03-07 2013-10-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沸騰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FR2959300B1 (fr) * 2010-04-21 2014-08-08 Lyonnaise Eaux France Procede pour extraire de la chaleur d'un effluent circulant dans une conduite, echangeur de chaleur et installation mettant en oeuvre un tel procede.
FR2959301B1 (fr) * 2010-04-21 2014-08-08 Lyonnaise Eaux France Installation pour extraire de la chaleur d'un effluent circulant dans une conduite, et echangeur de chaleur pour une telle installation.
FR3043758B1 (fr) * 2015-11-18 2019-06-07 Commune De Paris Installation de recuperation d'energie d'eaux usees
CN110068237B (zh) * 2019-04-30 2023-03-07 张国华 一种可储存能量的反补给散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01168A1 (de) * 1967-12-14 1970-06-18 Bosch Gmbh Robert Waermeaustauscher,insbesondere fuer Fahrzeugheizungen
SE396465C (sv) * 1975-01-10 1980-02-04 Euroc Dev Anordning for atervinning av verme ur varmt avloppsvatten
JPS63123993A (ja) * 1986-11-13 1988-05-27 Fujikura Ltd 原子炉用ヒートパイプ式熱交換器
US5027891A (en) * 1988-03-30 1991-07-02 Alca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for transferring heat between process liquor str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16344A1 (en) 1993-08-19
JP2548667B2 (ja) 1996-10-30
JPH05240589A (ja) 1993-09-17
SE469355B (sv) 1993-06-21
TW207001B (ko) 1993-06-01
SE9200449A (ko) 1993-06-21
KR930018256A (ko) 1993-09-21
SE9200449D0 (sv) 199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857A (en) Heat Recovery and storage system
KR100971774B1 (ko) 폐온수를 이용한 폐열회수 장치
KR950014043B1 (ko) 더러운 온배수와 청수와의 열교환장치
EP3532775B1 (en)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of thermal energy from waste water
GB2060864A (en) Method and plant for heat recovery from sewage water
WO2005073474A1 (en) Waste water piping with heat exchanger for bathing installations
NO132425B (ko)
WO2018193320A1 (en) Sewage heat recovery unit
US10775113B2 (en) Heat recovery unit for gray water
JPH0658624A (ja) 浴室廃水の熱回収装置
NL2028220B1 (en) A thermal energy recovery system and house or building equipped with such a thermal energy recovering system
CN110433520A (zh) 一种高效冷凝可循环利用的污泥汽化设备
CN211595318U (zh) 一种餐厨污水处理装置
US3057602A (en) Condenser contamination removal arrangement
CN204115236U (zh) 一种家用热水器洗浴废水热量回收装置
JP3226167U (ja) 仕切り板
JPS5849773B2 (ja) 太陽熱利用装置
CA2217972C (en) Greywater heat recovery device using a combined thermosyphon/heat pipe principle
CN210568339U (zh) 锅炉定排疏水系统
JPS6315723Y2 (ko)
JP2004177043A (ja) 潜熱回収型熱源機のドレン利用システム
JP2512802B2 (ja) 住居用水再利用装置
Lienau et al. Klamath falls geothermal field, Oregon: case history of assessm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FI65487C (fi) Anordning foer tillvaratagning av vaerme av avfallsvatten
KR200373295Y1 (ko) 스팀보일러의 응축수 재활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