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040B1 -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040B1
KR950014040B1 KR1019930009416A KR930009416A KR950014040B1 KR 950014040 B1 KR950014040 B1 KR 950014040B1 KR 1019930009416 A KR1019930009416 A KR 1019930009416A KR 930009416 A KR930009416 A KR 930009416A KR 950014040 B1 KR950014040 B1 KR 95001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redetermined
freezing
pipe
pip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동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040B1/ko
Priority to CNB941077322A priority patent/CN1138104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40B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제 1 도는 일반적인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수단의 배관온도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따른 본 발명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에 대한 제어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내기 100a : 수신수단
100b : 실내온도감지부재 100c : 제 1 마이콤
101 : 리모콘 200 : 실외기
200a : 제 2 마이콤 200b : 인버터 압축수단
200c : 송풍수단 200e : 배관온도 감지부재
본 발명은 냉/난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실외기측의 열교환기 결빙상태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기의 결빙상태를 난방운전중 열교환기의 배관온도의 변화율로서 판정하여 난방운전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냉/난방 모드 선택에 따라 실외기의 인버터 압축수단과 제 2 열교환수단 및 실내기의 제1 열교환수단이 구동하여 냉매 흐름의 전환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난방 운전을 하게 된다.
즉, 인버터 압축수단에서 고온, 고압기체 냉매로 압축하고, 상기 인버터 압축수단에서 공급된 고온, 고압의 가스는 응축수단을 통해 열을 방출시켜 상온 고압액체 냉매로 변환되 후 이 상온 고압액체 냉매가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화된다.
상기 저온, 저압의 액체냉매는 증발수단에서 송풍수단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실내외의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 온기로 열교환시킨 후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되고, 아울러 그 액체 냉매는 기체로 변환된 후 상기 압축수단으로 다시 흡입되어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과정을 연속, 반복적으로 행하면서 냉, 난방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냉/난방 공기조화기는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과 실외기(200)로 구분되고, 상기 실내기(100)는 리모콘(101)으로부터의 모드선택에 따른 광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는 수신수단(100a)과,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 감지부재(100b)와, 상기 수신수단(100a) 및 실내온도감지부재(100b)에서 얻어진 모드선택신호 및 실내온도에 따라 실외기(200와 데이타 통신을 하고 실내기(100)의 부하 구동을 제어하는 제 1 마이콤(100c)로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기(200)는 상기 실내기(100)의 제 1 마이콤(100c)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따라 실외기(200)의 부하 구동을 제어하는 제 2 마이콤(200a)과, 상기 제2 마이콤(200a)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냉매의 압축 사이클을 전환하는 인버터 압축수단(200b)과, 상기 제 2 마이콤(200a)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제 2 열교환수단(도면에 미도시)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200c)과,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마이콤(200a)에 입력하는 실외온도감지부재(200d)와, 상기 제 2 열교환수단의 열교환에 의해 변화되는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 2 마이콤(200a)에 입력하는 배관온도감지부재(200e)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난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리모콘(101)을 통해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실내기(100)의 수신수단(100a)은 냉방운전 모드에 따른 리모콘(101)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지적 신호로 처리한 후 제 1 마이콤(100c)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 1 마이콤(100c)은 수신수단(100a)으로부터 입력된 냉방운전 모드에 따른 데이타를 판독한 후 통신라인을 통해 실외기(200)의 제 2 마이콤(200a)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실외기(200)의 제 2 마이콤(200a)은 실내기(100)의 제 1 마이콤(10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의해 인버터 압축수단(200b)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송풍수단(200c)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인버터 압축수단(200b)은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고, 상기 압축수단(200b)에서 공급된 고온, 고압 기체상의 냉매는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즉, 응축수단)을 통해 송풍수단(200c)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실외의 공기와의 열교환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면서 실외의 공기를 높은 온도로 변화시킴과 아울러 제 2 열교환수단에서 상온, 고압의 액체상으로 변화된 냉매는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어 실내기 (100)의 제 1 열교환수단(즉, 증발수단)에 공급된다. 상기 제 1 열교환수단에 공급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송풍수단에 의행 강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낮은 온도로 변화시키고 그 변화된 기체상의 냉매는 다시 인버터 압축수단(200b)으로 회수되어 상기와 같은 사이클 과정을 연속 반복하게 되므로써, 실내는 냉방, 실외는 난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난방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버터 압축수단(200b)은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데, 이때는 상기 냉방모드와 역순으로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인버터 압축수단(200b)으로부터 고온, 고압 기체상으로 변화된 냉매가 실내기(100)의 제 1 열교환수단(즉 응축수단)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에 흡열되어 있는 열을 방출시켜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높은 온도로 변화시키고, 아울러 제 1 열교환수단에서 상온, 고압의 액체상으로 변화된 냉매는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어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즉 증발수단)에 공급된다.
상기 제 2 열교환수단에 공급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송풍수단(200c)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면서 실외의 공기를 낮은 온도로 변화시키고 기체상으로 변화된 냉매는 다시 인버터 압축수단(200b)으로 회수되어 상기와 같은 사이클 과정을 연속 반복함으로써, 실내는 난방, 실외는 냉방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냉/난방 운전을 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난방 운전시에는 난방운전 개시 일정시간 후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의 열교환에 의해 배관온도가 거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다가 제 2 열교환수단에 결빙이 시작되면 배관온도는 급격히 하강을 하게 된다.
이때 실외기(200)측의 제 2 마이콤(200a)은 배관온도감지부재(200e)로부터 감지한 배관온도가 3℃ 이하가 되면 타이머를 인에이블시켜서 60분 이후 배관온도가 영하 12℃ 이하이거나, 90분 이후 배관온도가 영하 10℃ 이하일때, 또는 120분 이후 배관온도가 영하 8℃ 이하일때, 또는 150분 이후 배관온도가 영하 6℃ 이하가 되면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200b)이 결빙상태임을 판정하여 제상운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조건에 의해 결빙상태로 판정되면 인버터 압축수단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냉방모드로 전화후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을 응축수단으로 동작하게 하여 결빙을 해빙시키게 되고, 이후 제상이 완료되어 배관온도가 3℃ 이상이 되면 타이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다시 난방운전에 의해 배관온도가 3℃이하이고 인버터 압축수단이 운전중이면 타이머를 재차 동작시켜 난방중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여 제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냉/난방 공기조화기는 인버터 압축수단이 운전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배관온도를 측정하여 일정온도 이하이면 제 2 열교환수단이 결빙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제 2 열교환수단이 결빙되지 않은 상태인데도 결빙으로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실시하므로 난방운전 효율이 저하될뿐 아니라, 실외온도가 낮아 영하의 온도상태에서는 제 2 열교환수단의 온도도 낮은 상태에서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면 제 2 열교환수단의 온도는 더욱 낮아져 일정시간 후에는 무조건 제상운전으로 들입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실온 온도가 영하 0℃ 이하의 조건에서는 포화 수증기압이 매우 낮아서 결빙이 되기가 힘들며, 결빙도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한 결빙판정 방법은 난방운전 효율을 저하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제품의 잦은 싸이클 변동으로 열화가속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시간 난방운전에 따른 열교환수단의 결빙상태를 열교환수단의 배관온도의 변화율로서 판정하여 난방운전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운전 개시 후 싸이클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인버터 압축수단이 연속하여 일정시간 운전한 후 열교환수단의 결빙상태를 검출하여 제상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방운전시 열교환수단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에서만 열교환수단의 결빙상태를 판정하여 제상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버터 압축수단의 연속 운전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 한 후에는 매 소정시간마다 열교환수단의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이전의 온도값과 이후의 온도값과의 온도차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결빙시작임을 판단하고 연속하여 소정시간 후의 배관온도와 이전의 배관온도와의 온도차가 소정온도 이상이면 완전 결빙상태를 판정하여 제상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난방운전시 인버터 압축수단이 연속하여 일정시간 운전하면 매 소정시간 마다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결빙판정 초기화과정과, 상기 감지한 배관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일시 매 소정시간 전의 배관온도와 소정시간 후의 배관온도와의 온도차를 설정된 소정온도와 비교하여 결빙 시작임을 판단하는 결빙 예비판단과정과, 상기 연속하여 소정시간 후의 배관온도와 소정시간 전의 배관온도와의 온도차를 소정온도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결빙상태임을 판정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결빙 판정과정으로 이루어진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따른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수단 결빙검출에 대한 제어 신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 운전시 실외기(200)의 인버터 압축수단(200b)이 연속하여 일정시간(t1) 동안 운전하면 매 소정시간(m)마다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결빙판정 초기화 과정과, 상기 감지한 배관온도가 설정되 기준온도(Tm) 이하일때 매 소정시간(m)전의 배관온도(T1)와 소정시간 후의 배관온도(T2)와의 온도차(T1)을 소정온도(T11)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결빙 시작임을 판단하는 결빙 예비판단과정과, 상기 연속하여 소정시간(m) 후의 배관온도(T3)와 소정시간 전의 배관온도(T2)와의 온도차(T2)를 소정온도(T22)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결빙 상태임을 판정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결빙판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결빙판정 초기화과정은 난방운전모드시 인버터 압축수단이 운전중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1)(ST2)와, 상기 운전중이 아니면 연속운전시간을 클리어시키는 단계(ST3)와, 상기 운전중이면 그 연속 운전시간이 일정시간(t1) 경과 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ST4)와, 상기 일정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배관온도를 매 소정시간 마다 감지하는 단계(ST5)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결빙 예비판단과정은 결빙판정 초기화과정에서 감지한 배관온도가 기준온도(Tm) 이하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6)와, 상기 기준온도(Tm) 이상이면 소정시간(m)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었으면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ST5)로 피드백하는 단계(ST7)와, 상기 기준온도(Tm) 이하이면 그 감지한 배관온도 (T1)를 세팅하는 단계(ST8)와, 상기 배관온도(T1) 감지 후 소정시간(m)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었으면 그때 감지한 배관온도(T2)를 세팅하는 단계(ST9)(ST10)와, 상기 소정시간(m)전에 세팅한 배관온도(T1)와 소정시간(m) 후에 세팅한 배관온도 (T2)와의 온도차(T1)가 소정온도(T11) 이상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11)와, 상기 소정온도(T11) 이상이면 결빙시작임을 판정하기 위한 결빙시작 비트의 세팅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ST1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결빙판정과정은 결빙시작 비트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결빙이 시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결빙시작 비트를 세팅하는 단계(ST13)와, 상기 비트 세팅 후 배관온도(T2) 감지 후의 소정시간(m)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었으면 그때 감지한 배관온도(T3)를 세팅하는 단계(ST14)(ST15)와, 상기 소정시간(m)전에 세팅한 배관온도(T2)와 소정시간(m)후에 세팅한 배관온도(T3)와의 온도차(T2)가 소정온도(T22) 이상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16)와, 상기 소정온도(T22) 이하이면 세팅된 결빙시작 비트를 클리어시키는 단계(ST17)와, 상기 소정온도(T22) 이상이고 결빙시작 비트가 세트되어 있으면 열교환수단의 결빙판정을 완료하고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ST18)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콘(101)을 통해 냉방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실외기(200)의 인버터 압축수단(200b)은 실내기(100)의 제 1 마이콤(100c)을 통하고 실외기(200)의 제 2 마이콤(200a)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 압축수단(200b)으로부터 공급된 고온, 고압 기체상의 냉매는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즉, 응축수단)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에 흡열되어 있는 열과 송풍수단(200e)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실외의 공기와의 열교환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면서 실외의 공기를 높은 온도로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제 2 열교환수단에서, 상온, 고압의 액체상으로 변화된 냉매는 모세관을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변화되어 실내기(100)의 제 1 열교환기(즉, 증발수단)에 공급된다.
상기 제 1 열교환수단에 공급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는 송풍수단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낮은 온도로 변환시키고 그 변화된 기체상의 냉매는 다시 인버터 압축수단(200b)으로 회수되어 상기와 같은 사이클 과정을 연속 반복하게 되므로써, 실내는 냉방, 실외는 난방을 이루게 되고, 또한 난방운전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100)의 제 1 열교환수단은 응축수단으로 기능동작을 하고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은 증발수단으로 동작하여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게 실내는 난방, 실외는 냉방을 이루게 된다.
이때 난방운전시 인버터 압축수단(200b)의 연속운전에 의해 실외기(200)의 열교환수단의 배관온도는 압축수단의 운전과 함께 온도가 하강하다가 열사이클의 안정시간 후에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실외 열교환수단의 배관온도는 거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다가 제 2 열교환수단에 결빙이 시작되면 배관온도가 급격히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결빙이 시작되어 배관온도의 급격한 하강을 근간으로 제 3 도와 같은 흐름과정을 통해 결빙상태를 판정한 후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리모콘(101)으로부터의 난방모드의 입력 유, 무를 검색하여(ST1) 난방모드가 선택되면 인버터 압축수단(200b)이 운전중인가를 검색하게 된다(ST2).
상기 검색결과 인버터 압축수단(200b)이 운전중이 아니면 즉 운전 구동이 정지되면 내부 타이머를 통해 인버터 압축수단(200b)의 연속운전시간을 클리어시키게 되고(ST3), 운전을 하면 인버터 압축수단(200b)의 연속운전시간을 스타트시킨다.
이후 인버터 압축수단(200b)의 연속운전시간이 일정시간(t1)을 경과했는지를 검색하여(ST4) 경과했으면 실외기(200)의 배관온도감지부재(200d)를 통해 배관온도를 감지하여(ST5) 기준온도(Tm)와를 비교하게 된다(ST6).
상기 단계(ST6)에서 비교한 결과 현재 감지된 배관온도가 기준온도(Tm) 이상이면 배관온도를 무시하고 소정시간(m) 경과후(ST7) 배관온도를 다시 감지하게 된다.
상기 단계(ST6)에서 비교한 결과 배관온도가 기준온도(Tm) 이하가되면 그 감지한 배관온도(T1)를 세팅하고(ST8), 배관온도(T1) 감지 후 소정시간(m)이 경과했는지를 검색하여(ST9) 소정시간(m)이 경과했으면 다시 배관온도(T2)를 감지하여 세팅한다(ST10).
이후 상기 단계(ST8)(ST10)에서 세팅한 소정시간(m)전의 배관온도(T1)와 소정시간(m) 후의 배관온도(T2)와의 온도차(T11)를 구하여 그 온도차(T1)가 설정된 설정온도(T11) 이상인가를 비교하게 된다(ST11).
상기 단계(ST11)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가 전, 후의 배관 온도차(T1)가 소정온도(T11) 이상이면 제 2 열교환수단의 결빙이 시작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결빙시작 비트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ST12).
상기 검색 결과 결빙시작 비트가 세팅되어 있으면 결빙시작으로 판정하여 (ST18) 제상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ST12)에서 상기 검색한 결과 결빙시작 비트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결빙은 시작되었는데 확실한 결빙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결빙시작 비트를 세팅시키고(ST13), 배관온도(T2) 후의 소정시간(m)이 경과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ST14).
상기 단계(ST14)에서 검색한 결과 소정시간(m)이 경과되면 다시 배관온도(T3)를 감지하여 세팅한다(ST15).
이후 상기 단계(ST10)(ST15)에서 세팅한 소정시간(m)전의 배관온도(T2)와 소정시간(m) 후의 배관온도(T3)와의 온도차(T2)를 구하여 그 온도차(T1)가 설정된 소정온도(T22) 이상인가를 비교하여(ST16) 소정온도(T22) 이하이면 결빙시작 비트를 클리어시키고(ST17), 소정온도(T22) 이상이면 제 2 열교환수단의 결빙시작으로 판단하고(ST18), 제상운전으로 돌입하여 실외기(200)의 제 2 열교환수단에 결빙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난방사이클에서 냉방싸이클로 전환운전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온도가 영하 0℃ 이하일때도 실외 열교환수단의 결빙상태를 명확히 파악하여 실제로 결빙이 진행되었을때만 제상운전을 실시하므로 난방운전의 효율이 증가되고, 이러한 난방 효율의 증가로 인해 소비자에게 최적의 난방 운전을 제공하여 쾌적감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난방운전모드시 인버터 압축수단이 운전중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1)(ST2)와, 상기 운전중이 아니면 연속운전시간을 클리어시키는 단계(ST3)와, 상기 운전중이면 그 연속운전시간을 스타트시켜 그 연속운전시간이 일정기간(t1)을 경과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ST4)와, 상기 일정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배관온도를 매 소정 분마다 감지하는 단계(ST5)로 이루어져 난방운전시 압축수단이 연속하여 일정시간 운전하면 매 소정분마다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결빙판정 초기화과정과, 상기 결빙판정 초기화과정에서 감지관 배관온도가 기준온도(Tm) 이하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6)와, 상기 기준온도(Tm) 이상이면 소정분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었으면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T5)로 피드백하는 단계(ST7)와, 상기 기준온도(Tm) 이하이면 그 감지한 배관온도(T1)를 세팅하는 단계(ST8)와, 상기 배관온도(T1) 감지 후 소정분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었으면 그때 감지한 배관온도(T2)를 세팅하는 단계(ST9)(ST10)와, 상기 소정분전에 세팅한 배관온도(T1)와 소정분 후에 세팅한 배관온도(T2)와의 온도차 (T1)가 소정온도(T11) 이상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11)와, 상기 소정온도(T11) 이상이면 결빙시작임을 판정하기 위한 결빙시작 비트의 세팅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ST12)와, 상기 검색 결과 결빙시작 비트 세팅이면 결빙으로 판정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T18)로 이루어져 상기 감지한 배관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일때 매 소정분 전의 배관온도와 소정분 후의 배관온도와의 온도차를 소정온도와 비교하여 결빙 시작임을 판단하는 결빙 예비판단과정과, 상기 결빙 예비판정과정에서 결빙시작 비트가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결빙이 시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결빙시작 비트를 세팅하는 단계(ST13)와, 상기 비트 세팅 후 배관온도(T2) 감지 후의 소정분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었으면 그때 감지한 배관온도(T3)를 세팅하는 단계(ST14)(ST15)와, 상기 소정분 전에 세팅한 배관온도(T2)와 소정분 후에 세팅한 배관온도(T3)와의 온도차(T2)가 소정온도(T22) 이상인가를 검색하는 단계(ST16)와, 상기 소정온도(T22) 이하이면 세팅된 결빙시작 비트를 클리어시키는 단계(ST17)와, 상기 소정온도(T22) 이상이면 열교환수단의 결빙판정을 완료하고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T18)로 이루어져 상기 연속하여 소정분 후의 배관온도와 소정분 전의 배관온도와의 온도차를 소정온도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결빙상태임을 판정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결빙판정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방법.
KR1019930009416A 1993-05-29 1993-05-29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KR95001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416A KR950014040B1 (ko) 1993-05-29 1993-05-29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CNB941077322A CN1138104C (zh) 1993-05-29 1994-05-27 检测冷却/加热空调器结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416A KR950014040B1 (ko) 1993-05-29 1993-05-29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40B1 true KR950014040B1 (ko) 1995-11-20

Family

ID=1935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416A KR950014040B1 (ko) 1993-05-29 1993-05-29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50014040B1 (ko)
CN (1) CN113810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9531A (zh) * 2014-05-30 2014-09-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除霜方法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44B1 (ko) * 2003-10-20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및 에어컨 제어방법
JP3786133B1 (ja) * 2005-03-03 2006-06-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2129297B1 (ko) * 2013-07-29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571245B (zh) * 2016-01-28 2017-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结霜的判断方法、判断装置及空调系统
CN108592299B (zh) * 2018-05-03 2020-09-2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化霜控制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9531A (zh) * 2014-05-30 2014-09-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除霜方法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711A (zh) 1995-04-19
CN1138104C (zh)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836B2 (en) Refrigerating air conditioning system
EP15986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operation in heat pump system
JP5641875B2 (ja) 冷凍装置
WO1995013510A1 (en) Tandem refrigeration system
WO2010070932A1 (ja) 冷凍装置
KR950014040B1 (ko)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결빙검출 방법
JP5558132B2 (ja) 冷凍機及びこの冷凍機が接続された冷凍装置
US2004010367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heating of heat pump system
JPH11344265A (ja) 多段圧縮式ターボ冷凍機
JPH0933146A (ja) 空気調和機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629900B2 (en) Demand defrost with frost accumulation failsafe
CN114440401B (zh) 一种空气源热泵机组
JP2003106615A (ja) 空気調和装置
CN114484975B (zh) 化霜控制方法及冰箱
JPH08303903A (ja) 空気調和機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349714B1 (ko)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CN110940138B (zh) 冰箱化霜控制方法及冰箱
KR100309281B1 (ko) 히트 펌프식 에어컨의 제상 제어 방법
JP2003148803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3063746B2 (ja) 冷凍装置
KR100329269B1 (ko) 인버터냉난방기의제상장치와제상방법
JP2007093127A (ja) 冷却貯蔵庫
KR20230081788A (ko) 냉동 제상 사이클 장치
JPH0739897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H04363536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