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038B1 -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 Google Patents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038B1
KR950014038B1 KR1019930010798A KR930010798A KR950014038B1 KR 950014038 B1 KR950014038 B1 KR 950014038B1 KR 1019930010798 A KR1019930010798 A KR 1019930010798A KR 930010798 A KR930010798 A KR 930010798A KR 950014038 B1 KR950014038 B1 KR 950014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nge
cabinet
link
cabin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270A (ko
Inventor
히로시 사또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4000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캐비닛을 이용하여 빌트인 레인지를 조립한 상태의 시스템 키친의 측면도.
제 2 도는 부착캐비닛의 사시도.
제 3 도는 캐비닛본체의 측틀의 측면도.
제 4 도는 놓임틀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Ⅶ-Ⅶ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착캐비닛 2 : 캐비닛본체
3 : 놓임틀 4 : X링크
5 : 스프링 6 : 구속수단
28 : 이동축 31 : 중심축
33 : 제 2 링크 R : 빌트인 레인지
본 발명은 주로 시스템 키친에 조립되는 빌트인(Built in)형 레인지 등의 주방기구 부착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 1-112315호에서 보는 바와 같은 빌트형 레인지는 키친 시스템에 조립된 상태로 필요에 의해 사용자의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찬넬에 안내되어 미끄럼 구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것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전후방향으로만 레인지나 오븐 등이 이동되는 관계로 사용자의 조건을 감안하거나, 설치를 위해 상하로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레인지 및 오븐이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의 것을 널리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하 이동이 가능한 방식의 빌트인형 레인지를 시스템 키친에 조립하는 방법은, 레인지를 부착 캐비닛에 수납한 상태로 시스템 키친의 조리대의 하측 공간에 끼워넣음과 동시에, 부착캐비닛 내에서 레인지를 끌어 올려서 조리대에 형성한 트인구멍에 장착된 서스펜션 틀의 하면에 레인지를 체결함으로써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착캐비닛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 1-11231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부착캐비닛은 틀체로 이루어진 상자형상의 캐비닛본체의 좌우 양측에 전후로 각 1쌍의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1쌍의 스프링에, 캐비닛본체에 각각 승강이 자유롭도록 조립된 놓임틀이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하시에는, 레인지를 좌우의 놓임틀에 걸쳐지도록 얹어 놓고, 이 상태에서 놓임틀을 스프링에 저항하면서 소정의 하강단 위치까지 눌러 내리고서, 이것을 적당한 스토퍼부재로 임시로 고정하여 레인지를 안정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이것을 시스템 키친에 조립 할 때에는, 스토퍼부재를 떼어내고, 레인지를 스프링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고서 고정한다.
상기한 종래의 부착캐비닛은, 레인지를 놓임틀에 얹어놓을 때, 또는 얹어 놓은 상태에서 놓임틀을 스프링에 저항하면서 그 하강단 위치까지 눌러 내릴 때에, 레인지가 조금이라도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놓임틀이 기울어져서 캐비닛본체내에 끼워지므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레인지를 캐비닛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레인지를 좌우 각 1쌍의 합계 4개의 스프링으로 지지하게 되는데, 레인지의 중심위치에 대하여 이들 스프링의 탄지력의 균형을 맞추기가 힘들고, 들어올릴 때 레인지가 기울어지면 서스펜션 틀에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맞닿게 되므로, 서스펜션 틀에 레인지를 체결하는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 가 있었다.
본 발명은, 놓임틀을 수평자세 그대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비닛본체와, 주방기구를 얹어 놓음과 동시에, 상기 캐비닛본체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놓임틀과, 상기 캐비닛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놓임틀을 상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한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본체에, 상기 놓임틀에 연결되어 상기 놓임틀을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링크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놓임틀은 탄지수단에 의해서 탄지된 상태로 캐비닛본체내를 승강이동한다. 이 경우, 놓임틀은 평행링크기구에 연결되어, 그 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되므로 캐비닛본체내에서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 놓임틀에 놓여진 주방기구도 평행링크기구에 의해서 수평자세를 유지한 그대로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되므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한, 출하시에 주방기구를 캐비닛본체의 임의의 높이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평행링크기구의 적어도 하나의 링크의 이동축부에 수동조작이 가능한 구속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을 빌트인 레인지의 부착캐비닛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실시예의 부착캐비닛을 이용하여 빌트인 레이지를 조립한 상태의 시스템 키친의 측면도, 제 2 도는 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부착캐비닛(1)은 상당한 중량을 가진 빌트인 레인지(R)를 이른바 시스템 키친 (K)의 레인지용 설치공간(S)에 설치하기 위한 기구로서 레인지(R)와 함께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된다.
레인지(R)는 상부의 곤로(C)와 하부의 오븐(O)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품 출하시에는 본체 그대로의 상태로 부착캐비닛(1)에 각각 수납되며, 이 상태로 운반된다.
현장에서는 상기 운반된 상태 그대로의 부착캐비닛(1)을, 설치공간(S)을 구성하는 시스템 키친(K)의 조리대(T)의 하측 공간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레인지(R)를 부착캐비닛(1)내에서 소망의 설치위치까지 끌어올림과 동시에, 조리대(T)에 형성한 곤로 (C)용의 트인구멍(Ta)에 장착된 서스펜션 틀(M)에 곤로(C)의 부분을 나사고정함으로써 레인지(R)을 고정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착캐비닛(1)은 틀체로 이루어진 상자형상의 캐비닛본체(2)와, 캐비닛본체(2)의 좌우 양측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조립된 1쌍의 놓임틀(3, 3)과, 놓임틀(3)의 하측에 연결되며 평행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좌우 1쌍의 X링크(4, 4)와, 놓임틀(3)을 상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인 좌우 각 1쌍의 스프링(5, 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인지(R)는 상기 양 놓임틀(3, 3)에 걸쳐지도록 놓여지며, 좌우 각 1쌍, 합계 4개의 스프링(5, 5, 5, 5)의 탄지력에 의해서 들어 올려진다.
캐비닛본체(2)는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한 1쌍의 측틀(11, 11)과, 축틀(11, 11)을 후방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상단회보(12)와 측틀(11, 11)을 각각 전후 하단부에서 연결하는 전방하단횡보(13) 및 후방하단횡보(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틀(11)은 전후로 세워 설치된 1쌍의 지지기둥(15, 15)과, 상기 1쌍의 지지기둥(15, 15)을 상하 양단에서 각각 연결하는 상단보(16) 및 하단보(17)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틀체(11)의 1쌍의 지지기둥(15, 15)은 「C」형의 채널(channel)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채널홈이 서로 대향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15, 15)의 각 채널홈은 그 상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지지기둥(15, 15)의 채널홈에 놓임틀(3)이 상측으로부터의 끼움이 자유롭 도록 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걸어맞취지게 된다. 즉, 놓임틀(3)은 측틀 (11)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도록 조립되어 있다.
상단보(16)는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지지기둥(15)의 개널홈의 상단을 막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다. 각 상단보(16)의 하부에는 전후로 스프링(5)의 상단이 부착될 1쌍의 후크구멍(16a, 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스프링(5)은 상기 후크구멍(16a)에서 하측으로 늘어 트려져 있다.
한편, 하단보(17)는 「C」형의 채널재로 구성되며, 채널홈이 상측을 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보(17)의 측면의 앞부분에는 X링크(4)가 슬라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구멍(17a)이, 뒷부분에는 X링크(4)의 일단을 힌지 결합하기 위한 축구멍(1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구멍(17a) 및 축구멍(17b)에는, 이들 구멍에 끼워져서 하단보(17)와 X링크(4)를 연결하는 이동축(18) 및 고정축(19)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 이동축(18) 및 고정축(19)에는 롤러(20, 2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각각 지지되어 있다. 즉, 이동축(18) 및 고정축(19)은 X링크(4)의 하단부를 캐비닛본체(2)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또 롤러(20)의 지지축으로서 겸용하도록 되어 있다. 부착캐비닛(2)은 상기 롤러(20)에 의해서 공장이나 현장에서 간단하여 이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놓임틀(3)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틀(21), 하틀(22) 및 양 세로틀(23, 23)로 이루어진 장방형상의 틀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로틀(23)에 상기 각 지지기둥(15)의 채널홈에 수용되는 채널형상의 레일부(23a)를 일체로 성형하여, 놓임틀(3)이 상기 레일부(23a)에 의해서 캐비닛본체(2)의 측틀(1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걸어맞춰져 있다.
레인지(R)는, 그 곤로(C)가 놓임틀(3)의 상틀(21)에, 오븐(O)이 놓임틀(3)의 하틀(22)에 놓여지며, 이들은 놓여진 상태에서 서로 나사로 고정되어 일체화 된다(제 1 도 참조).
상틀(21)은 단면 「L」자형상으로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며, 그 일변(邊)이 캐비닛본체(2)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세로틀(23, 23)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틀(21)의 돌출된 부분에 레인지(R)의 곤로가 놓여진다.
하틀(22)은, 모두 단면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판(24)과 연결판(25)을 서로 겹쳐서 구성하고 있다(제 7 도 참조). 지지판(24)은 그 일변이 캐비닛본체(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레인지(R)이 오븐(O)이 놓여진다. 또 지지판(24)의 상부에는, 상단부(16)의 후크구멍(16a, 16a)과 대응되도록 형성한 스프링(4)의 후크구멍 (24a, 25a)이 전후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판(25)에는, 2변을 전후 2부분에서 단면 「ㄷ」자 형상으로 잘라 하측으로 구부린 전부연결편(26)과 후부연결편(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이 X링크(4)의 상단과 연결되어 전부연결편(26)의 측면에는 하단보(17)의 안내구멍(17a)에 대응시킨 동일형상의 안내구멍(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구멍(26a)에 이동축(28)이 끼워져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후부 현결편(27)의 측면에는 하단보(17)의 축구멍(17b)과 대응시킨 축구멍(2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구멍(27a)에 고정축(29)이 부착되어 있다.
각 X링크(4)는 교차부를 구성하는 중심축(31)과, 이 중심축(31)을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서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제 1 링크(32)와 제 2 링크(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놓임틀(3)의 하틀(22)에, 하단부가 캐비닛본체(27)의 하단보(17)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32)는 「C」형의 채널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링크(33)는 제 1 링크 (32)보다 약간 폭이 좁은 「C」형의 채널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링크(32)의 중감부의 배면부분은 통공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제 2 링크(33)가 끼워지므로서, 양 링크(32, 33)는 「X」자상으로 연결된다(제 2 도).
제 1 및 제 2 링크(32, 33)의 각 상단부는, 제 2 링크(33)가 이동축(28)을 통하여 놓임틀(3)의 하틀(22)의 안내구멍(26a)에 회동 또는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며, 제 1 링크(32)가 고정축(29)을 통하여 하틀(22)의 축구멍(27a)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링크(32, 33)의 각 하단부에는, 제 1 링크(32)가 이동축(18)을 통하여 캐비닛본체(2)의 하단보(17)의 안내구멍(17a)에 회동 또는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며, 제 2 링크(33)가 고정축(19)을 통하여 하단보(17)의 축구멍(17b)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링크(32, 33)가 중심축(31)을 중심으로 개폐운동(회전운동)하면, 각 이동축(18, 28)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캐비닛본체(2)의 하단보(17)에 대하여 놓임틀(3)의 하틀(22)이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놓임틀(3)에 놓여진 레인지(R)는 수평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동작을 하게 된다.
각 스프링(5)은 비교적 긴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이 캐비닛본체(2)의 상단보(16)의 후크구멍(16a)에, 하단이 놓임틀(3)의 지지판(24)의 후크구멍(24a)에 걸어 맞춰진다. 따라서, 각 놓임틀(3)은 전후 2개의 스프링(5, 5)에 의해서 상측으로 균형있게 탄지된다. 즉, 놓임틀(3)에 놓여진 레인지(R)는 상단보(16, 16)와 지지판(24)의 후크구멍(24) 사이에 부착된 4개의 스프링(5)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탄지된다. 즉, 놓임틀(3)은 전후 2개의 스프링(5, 5)에 의해서 상측으로 균형있게 탄지된다. 즉, 놓임틀(3)에 놓여진 레인지(R)는 상단보(16, 16)와 지지판(24) 사이에 부착된 4개의 스프링(5)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탄지된다. 그리고, 스프링(5)의 탄지력은, 스프링의 탄지력과 레인지(R)의 중량이 균형이 잡히는 놓임틀(3)의 상승단 위치, 즉 레인지(R)를 시스템 키친(K)에 조립하는 소망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5)의 부착은 놓임틀(3)을 캐비닛본체(2)의 측틀(11)에 조립할 때 걸어맞춘다. 즉, 미리 X 링크(4)를 놓임틀(3)에 부착한 다음, 놓임틀(3) 및 X 링크(4)를 캐비닛본체(2)의 상측에서 상단보(16)의 후크구멍(16a)과 하틀(22)의 후크구멍(24a)의 거리가 스프링(5)의 자유길이 이상으로 되지 않는 거리까지 끼워놓고서, 스프링(5)의 부착되면, X링크(4)의 하단부가 하단보(17)에 맞닿는 위치까지 놓임틀(3)을 눌러 내리고서 X링크(4)의 하단부를 하단보(17)에 부착한다. 또한, 놓임틀(3)을 측틀(11)에 조립한 다음, X링크(4)를 놓임틀(3)과 하틀(17) 사이에 조립하여도 된다.
한편, 레인지(R)를 출력할 때에는, 놓임틀(3)을 스프링(5)에 저항하면서 소망의 하강단위치로 눌러 내리고서, 각 X링크(4)의 상단부의 내측에 설치한 구속수단(6)으로 임시로 고정한 다음(제 2 도 참조), 레인지(R)를 캐비닛본체(2)에 안정적으로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속수단(6)은 제 2 링크(33)의 상단부와 놓임틀(3)의 하틀(22)의 연결부분, 즉 이동축(28)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하틀(22)의 전부연결편(26)의 안내구멍(26a)에 끼워지는 이동축(28)은 머리부(28a)와 축부(28b)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부(28b)의 선단이 캐비닛본체(2)의 내부축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28b)의 돌출된 선단에는 관통핀(41)을 통하여 수동용 레버(42)는, 그 기부(43)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관통핀(41)에 의해서 축지지되며, 열림조작에 의한 비구속 위치와 닫힘조작에 의한 구속 위치사이에서 회동된다. 비구속 위치에서는 기부 (43)의 제 1 당접면(43a)이 전부연결편(26)의 측면에 맞닿고, 구속 위치에서는 기부 (43)의 제 2 당접면(43a, 43a)과 이동축(28)의 머리부(28a) 사이에 전부연결편(26)이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당접면(43b)과 관통핀(41)과의 거리는, 제 1 당접면(43a)과 관통핀(41)과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으며, 제 2 당접면(43b)이 전부연결편(26)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전부연결편(26)을 눌러 좁히는 압축력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동축(28)을 눌러 좁히는 압축력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동축(28)은 전부연결편(26)에 지지되고, 전부연결편(26)의 내측에는 제 2 링크(33)의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기 제 2 링크(33)의 채널홈에는 스페이서(44)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레버(42)를 구속 위치로 회동하였을 경우에는, 그 압축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부연결편(26)과 스페이서(44) 사이의 마찰력으로 제 2 링크(33)의 회동운동을 구속하며, 또 레버(42)를 비구속위치로 회동하였을 경우에는 이 구속이 해제 된다.
따라서, 놓임틀(3)의 미끄럼동작을 적절히 구속함으로써, 운반시에 레인지(R)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스템 키친(K)에 조립된 레인지(R)을 캐비닛(1) 측으로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레인지(R)의 시스템 키친(K)에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출하시에 있어서, 레인지(R)을 캐비닛본체(2)에 수납할 경우에는, 우선 상기 각 구속수단(6, 6)의 각 레버(42)를 비구속위치로 조작하여 놓임틀(3)를 미끄럼동작 가능한 상태로 하고, 곤로(C)와 오븐(O)를 각각 놓임틀(3, 3)에 걸쳐지도록 얹어 놓음과 동시에 나사로 고정하여 일체화 한다. 그리고, 레인지(R)을 스프링(5)에 저장하면서 눌러서 놓임틀(3)이 소망의 하강단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내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 레버(42, 42)를 구속 위치로 조작하여 레인지(R)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가스배관이나 기타 부속품을 레인지(R)에 붙이고, 포장하여 현장까지 운반한다.
또한, 이 경우, 놓임틀(3)을 스프링(5)에 저항하면서 하강단 위치까지 내리고서 구속수단(6)으로 임시로 고정시킨 다음, 곤로(C) 및 오븐(O)를 얹어 놓는 순서로 하여 도 된다.
현장에서는, 포장을 푼 다음, 레인지(R)을 부착캐비닛(1)과 함께 시스템 키친 (K)의 레인지용 설치공간(S)에 끼워 넣는다. 설치공간(S)에 부착캐비닛(1)이 끼워 넣어지면, 레인지(R)를 위에서 누르면서 양 레버(42, 42)를 비구속 위치로 조작한다. 놓임틀 (3)의 구속을 풀으면,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서 레인지(R)가 상승한다. 그리고, 조리대(T)의 트인구멍(Ta)에 장착된 서스펜션틀(M)에 레인지(R)의 곤로(C) 부분을 나사고정한다. 여기서, 재차 구속수단(6)의 양레버(42, 42)를 구속위치로 조작하여 레인지 (R)가 놓임틀(3)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스템 키친(K)에 전면 장식판(P)을 부착하고서 작업을 끝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인지(R)를 X링크(4)에 연결한 놓임틀(3)에 얹어 놓고서 승강동작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X링크(4)의 작용에 의해서 항상 레인지(R)를 수평자세 그대로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인지(R)를 캐비닛본체(2)에 수납하는 경우 또 시스템 키친(K)에 설치하는 경우에, 레인지(R)가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들 작업을 매우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동시에 놓임틀(3)도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측틀(11)광의 끼워맞춤이 수월하며 또 원활하게 미끄럼동작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행링크기구로서 X링크기구를 이용하였으나, 그외, 예를들면 평행크랭크기구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 평행링크기구를 캐비닛본체의 상단보와 놓임틀의 하틀 사이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X링크를 상하로 2개 이상 연결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닛본체에 놓임틀을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링크기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캐비닛본체내를 승강동작하는 놓임틀이나 주방기구가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놓임틀에 주방기구를 얹어놓는 시스템 키친 등의 주방기구의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캐비닛본체(2)와, 주방기구를 얹어 놓음과 동시에 상기 캐비닛본체(2)에 승강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놓임틀(3)과, 상기 캐비닛본체(2)에 형성되며 상기 놓임틀(3)을 상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한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본체(2)에, 상기 놓임틀(3)에 연결되어 상기 놓임틀(3)을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평행링크기구(4, 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링크기구(4, 4)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의 타부재에 대한 이동축부에, 상기 링크를 상기 타부재로 눌러서 상기 링크의 요동을 구속하며 수동조작가능한 구속수단(6,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KR1019930010798A 1992-08-05 1993-06-14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KR950014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09284 1992-08-05
JP4209284A JPH0658557A (ja) 1992-08-05 1992-08-05 ビルトイン型厨房器具の取付キャビネ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70A KR940004270A (ko) 1994-03-14
KR950014038B1 true KR950014038B1 (ko) 1995-11-20

Family

ID=1657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798A KR950014038B1 (ko) 1992-08-05 1993-06-14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58557A (ko)
KR (1) KR950014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302B2 (ja) 2002-03-11 2007-08-1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金具が接合されたガラス物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
DK2708091T4 (da) 2011-05-10 2021-09-13 Saint Gobain Rude med et elektrisk tilslutning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1532A (ja) * 1983-05-31 1984-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床置型調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70A (ko) 1994-03-14
JPH0658557A (ja) 199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59528B2 (en) Pull-down shelf for furniture
US78740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a bed
US4718399A (en) Barbeque wagon
KR950014038B1 (ko)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US3150658A (en) Range door construction
EP1532403B1 (en) Shelf arrangement for ovens
US3534935A (en) Sliding display or storage units and catch mechanisms therefor
JPH08182543A (ja) 移動式収納家具
KR101932430B1 (ko)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JP5135254B2 (ja) 収納家具
JPH0658555A (ja) ビルトイン型厨房器具の取付キャビネット
CN108618655A (zh) 装配有带铰链式臂的机构的烹饪设备
JPH0380810A (ja) 室内昇降構造体
US2868190A (en) Adjustable broiler mechanism
EP0520963B1 (en) A device for slidably-partingly mounting a lining panel on the door of an embedded household appliance
JP2557776B2 (ja) ビルトイン型厨房器具の取付キャビネット
JP3161790B2 (ja) 昇降式ウオールキャビネット
KR950014037B1 (ko)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JPS59221532A (ja) 床置型調理装置
JPH0833530A (ja) 高所に設置される事の多い吊戸棚を使用する時に生じる高さの不便性を改良するための器具、及び該器具の製造方法。
JPH09295797A (ja) 物体の昇降装置
JPH06137567A (ja) ビルトイン型厨房器具の取付キャビネット
JP2734375B2 (ja) 昇降収納用ラック装置
JP3034446U (ja) 多段抽斗のセ−フティロック機構
JP6933552B2 (ja) 昇降天板付き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