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967B1 - 가스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967B1
KR950013967B1 KR1019920011197A KR920011197A KR950013967B1 KR 950013967 B1 KR950013967 B1 KR 950013967B1 KR 1019920011197 A KR1019920011197 A KR 1019920011197A KR 920011197 A KR920011197 A KR 920011197A KR 950013967 B1 KR950013967 B1 KR 95001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mbustion
combustion cylinder
mixed gas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879A (ko
Inventor
나오유키 야마자와
Original Assignee
나카지마 도코 가부시기가이샤
나카지마 마사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지마 도코 가부시기가이샤, 나카지마 마사히코 filed Critical 나카지마 도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8Radiant burners using catalysis for flameless comb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1Flame-heated soldering irons
    • B23K3/023Flame-heated soldering irons using a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8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in association with a gaseous fuel source, e.g. acetylene generator, or a container for liquefied ga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연소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가스연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연소통과 커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제 3 도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가스연소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가스연소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혼합가스 생성부재 2 : 외기 취입구
4 : 오리피스 5 : 연소통
6 : 화구파이프 7 : 가스도관
8 : 가스확산판 9 : 가스확산기
10 : 압전점화플러그 12, 36 : 소공
13, 37 : 커버 15, 25, 35 : 가스배출기구
16, 28, 38 : 좁은 통로 17 : 연소촉매
18 : 인두선단(촉매수용부재) 20 : 통로
21 : 배기구 26, 27 : 절결부
본 발명은 예컨대 부탄가스 등의 액화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를 연소촉매를 사용하여 무염연소시키는 가스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적으로 유염연소에서 무염연소로 이행시킬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액화가스를 연료가스로서 사용하고 이 연료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를 연소촉매에 보내서 무염연소시키도록 가스연소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는 혼합가스의 유염연소에 의하여 연소촉매를 산화반응온도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으나 연소통의 용적이 작을 경우에는 혼합가스에의 점화가 쉽지 않는 동시에 연소촉매가 산화반응온도에 도달한 뒤 급속히 소연마여 무염연소로 이행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예컨대 일본국 실공평 2-27978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점화직전에는 가스배출기구를 열어서 연소 통내의 가스의 일부를 연소촉매를 통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연소촉매가 산화반응온도에 도달한 뒤는 공기량조절기구를 작동시켜서 혼합가스 생성부재의 외기취입구의 개구 면적을 영으로하든가 또는 극단적으로 크게하여 소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가동부재인 공기량 조절기구에 의하여 소염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게되어 고가로 되는 동시에 오랜 사용에 의하여 작동하지 않는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현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소통의 용적이 작은 경우에도, 혼합가스에 확실하게 점화하여 유염연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연소촉매가 산화반응온도에 도달한 뒤는 가동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소염하여 무염연소로 이행시킬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가스배출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소형의 기기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홉한가스 생성부재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가 변경하여도 확실한 점화, 소염동작을 얻을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압전 점화플러그에 의하여 확실하게 점화할 수 있는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연료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혼합가스 생성부재와 ; 혼합가스 생성부재로부터의 혼합가스를 선단에 설치한 연소통까지 안내하고, 연소통내에서 유염연소시키는 화구파이프와 ; 상기 연소통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연소촉매가 수용된 촉매수용부재와 ; 상기 연소통, 촉매수용부재, 또는 연소통과 촉매수용부재와의 사이중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형성되고 연소통내의 가스의 일부를 상기 연소촉매를 우회하고 또 좁은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기구 ; 를 각각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배출기구를 연소통의 주면에 설치된 소공과, 연소통의 외주부에 장착되고 연소통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통상의 커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구파이프내에 혼합가스 생성부재로부터의 혼합가스를 화구파이프의 도중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스도관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가스 도관의 선단에 가스확산판을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화구파이프의 선단 근방위치에 가스 확산기구를 설치하고, 이 가스확산기구의 하류단에 압전 점화 플러그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혼합가스 생성부재에서 생성된 혼합가스는 화구파이프를 통하여 연소통까지 안내되고 연소통내에서 유염연소한다. 그리고, 이때의 연소열에 의하여 연소촉매는 산화반응온도까지 가열된다.
그런데 혼합가스를 유염연소시킬때에 연소통의 용적이 적을 경우에는 연소통내의 가스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혼합가스에 점화할 수 없든가 혹은 점화할 수 있어도 유염연소가 계속하지 않는 일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배출기구에 의하여 연소통내의 가스의 일부가 연소촉매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혼합가스에 확실하게 점화하여 유염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 유염연소의 열에 의하여 연소촉매가 산화반응온도까지 가열된 뒤는 재빨리 소염하여 혼합가스를 직접연소촉매에 공급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소통내의 가스의 일부를 가스배출기구의 좁은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연소통내에 있어서의 유염연소조건이 강제적으로 무너지고 자동소염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가스배출기구의 좁은 통로는 점화시기에 연소통이 저온이기 때문에 연소통내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나, 유염연소에 의하여 연소통이 고온으로 되면 연소통내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연소통내에서 가스가 막히게 되고 유염연소조건이 무너지고 강제적으로 소염된다. 그리고 그후 혼합가스가 직접연소 촉매로 보내지고 연소촉매에 있어서 무염연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배출기구를 연소통의 주면에 설치된 소공과 연소통의 외주부에 장착되어서 연소통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산의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통상의 커버로 구성되므로써 가스배출기구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소형의 기기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또 외부기온이 변화하여도 점화후의 연소통의 온도상승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소염까지의 시간을 안정시킬 수 있게된다.
또 화구파이프내에 혼합가스 생성부재로부터의 혼합가스를 화구파이프의 도중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스도관을 배치함으로써 혼합가스 생성부재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가 변경하여도 가스도관의 지름이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연소통 내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가스도관의 선단에 가스확산판을 설치함으로써 혼합가스의 유속조절을 보다 빈틈 없이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화구파이프의 선단근방위치에 가스확산기구를 설치하고, 이 가스확산시구의 하류측에 압전점화플러그를 배치함으로써 혼합가스 생성부재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 혹은 가스 도관선단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에도 쉽게 점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거리가 긴 경우에는, 설사 혼합가스를 확산판 등으로 확산하여도 화구파이프 내를 지나는 사이에 정류되고 점화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확산기구에서 혼합가스를 다시 확산시킨 뒤 점화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점화가 쉽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스연소장치를 가스납땜인두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중 부호(1)은 축방향 중앙외주부에 외기취입구(2)를 지니는 통상의 혼합가스 생성부재이다.
이 혼합가스 생성부재(1)의 제 1 도에 있어서의 하단내부에는 필터(3) 및 오리피스(4)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부탄 혹은 프로판 등의 액화가스는 연료가스로서 필터(3)를 지나서 오리피스(4)에서 혼합가스 생성부재(1)로 분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료가스의 분사에 수반하는 에젝터 작용에 의하여 상기 외기 취입구(2)를 통하여 혼합가스 생성부재(1)내로 공기가 흡인되고, 혼합가스 생성부재(1)내에서 연료가스와의 혼합가스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혼합가스 생성부재(1)의 선단측에는 제 1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선단에 연소통(5)를 일체로 팽출성형한 화구파이프(6)이 부착되어 있고, 이 화구파이프(6)내에는 혼합가스 생성부재(1)에서 생성된 혼합가스를 화구파이프(6)의 도중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스도관(7)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스도관(7)의 선단부에는 혼합가스를 확산하기 위한 가스확산판(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화구파이프(6)의 가스도관(7) 출측위치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스확산판(8)에서 확산한 혼합가스를 재차 확산하기 위한 예컨대 편칭 플레이트제의 가스확산기구(9)가 장착되어 있고, 이 가스확산기구(9)의 출측위치에는 혼합가스가 이 압전점화 플러그(10)에 의한 점화에 의하여 상기 연소통(5)내에서 유염연소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소통(5)는 제 2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화구파이프(6)의 선단을 팽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외주부에는 플랜지(11)이 일체로 설치되고 또 연소통(5)의 주면에는 소정지름이 소공(12)가 주방향 동일한 등간격으로 예컨대 4개 설치되어 있다.
이 연소통(5)의 외주부에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선단에 내플랜지(14)를 지니는 원통상의 커버(13)이 장착되어 가스배출기구(15)를 구성하고 있고, 이 커버(13)의 내주면과 연소통(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소공(12)에서 유출한 연소통(5)내의 가스의 일부를 후술하는 연소촉매(17)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상의 좁은 통로(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좁은 통로(16)에 의하여,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유염연소의 불꽃을 자동적으로 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상기 연소통(5)의 선단측에는 제 1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촉매 수용부재로서의 인두선단(18)이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인두선단(18)내에는 혼합가스를 무염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촉매(17)이 삽입되고 고정링(19)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연소촉매(17)는 예컨대 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담체상에 r-알루미나의 피막을 시행한 후, 그 외면에 백금 및 로듐을 갖는 촉매성분을 담지시켜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통로(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소촉매(17)은 유염연소의 열에 의하여 점화후 1-2초 사이에서 산화반응온도까지 가열 승온하도록 되어 있고, 또 소염후의 혼합가스의 공급에 의하여 이후 무염연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배기는 제 1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상기 인도선단(18)에 설치한 배기구(21)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료가스로서의 액화가스를 필터(3) 및 오리피스(40)을 통하여 혼합가스 생성부재(1)내에 분사하면 분사에 수반하는 에젝터 작용에 의하여 외기취입구(2)에서 공기가 혼합가스 생성부재(1)내로 흡인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혼합가스 생성부재(1)내에 있어서 연료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가 생성된다.
이 혼합가스는 가스도관(7)을 지나서 화구파이프(6)의 도중위치까지 안내되고, 가스 확산판(8)에서 확산하여 화구파이프(6)내로 토출된다. 토출된 혼합가스는 화구파이프(6)내의 가스확산기구(9)에서 재차 환산한 뒤, 연소통(5)로 공급된다.
그런데 혼합가스 생성부재(1)에서 연소통(5)까지의 거리는 기종에 따라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이 없다. 한편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점화조건 및 소염조건은 연소통(5), 소공(12) 및 좁은 통로(16)의 치수가 일정한 경우에는 항상 일정하고 점화 및 소염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을 허용범위내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점화에 있어서는 혼합가스의 유속이 너무 빠른 경우는 물론, 너무 늦어도 좋지 않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혼합가스 생성부재(1)에서 연소통(5)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면,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이 극단적으로 저하하여 혼합가스에 점화할 수 없다는 결점이 생긴다. 그리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료가스의 압력, 오리피스(4)의 직경, 연소통(5), 소공(12) 및 좁은 통로(16)의 치수 등 다수의 개소를 설계 변형할 필요가 있어 극히 단가 높아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구파이프(6)내에 가스도관(7)을 설치하고, 이 가스도관(7)의 길이를 조절하므로써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이 최적치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문에 다른 부분을 설계 변경하지 않고 가스도관(7)의 길이 조절만으로 혼합가스 생성부재(12)에서 연소통(5)까지의 거리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확산판(8)도 동시에 변경하도록 하면 보다 빈틈없는 유속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이 최적으로 되고, 압전 점화플러그(10)으로 불꽃을 발생시킴으로서 혼합가스에 점화하여 연소통(5)내에서 유염연소시킬 수 있으나, 연소통(5)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이 최적치 일지라도 가스도관(7) 선단에서 연소통(5)까지의 거리가 길 경우에는 가스확산판(8)에서 확산판 혼합가스가 화구파이프(6)내를 흐르는 사이에 정류 되고, 1회의 점화동작으로 점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도관(7)의 선단측에 가스확산기구(9)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출측에 압전 점화플러그(10)을 설치하고, 가스확산기구(9)로 혼합가스를 재차 확산한 뒤, 압전점화플러그(10)으로 점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스도관(7) 선단에서 연소통(5) 선단까지의 거리가 길 경우에도 1회의 점화 동작으로 확실히 점화할 수 있다.
그런데 연소통(5)내로 보내진 혼합가스는 점화시의 폭발에서 유염연소로 이행하게 되는데 폭발시에는 그체적이 급격히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팽창한 가스는 기본적으로는 연소촉매(17)의 각 통로를 지나서 배기구(21)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연소통(5)의 용적이 작을 경우에는 이에 수반하여 인두선단(18)도 소형으로 되고 연소촉매(17)의 통로(20)의 총개구 면적 및 배기구(21)의 개구면적도 작아지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급격히 팽창한 폭발시의 가스를 통로(20)과 배기구(21)만으로는 배출할 수 없게되어 연소통(5)내의 가스의 흐름이 나빠지고, 폭발은 하여도 유염연소로 이행시킬 수 없게 되든가, 혹은 유염연소를 계속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배출기구(15)를 설치하고, 연소통(5)내의 가스의 일부를 소공(12) 및 좁은 통로(16)을 통하여 연소촉매(17)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소통(5)의 용적이 작을 경우에도 그 내부에 있어서의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혼합가스에 점화할 수 없든가 혹은 점화할 수 있어도 유염연소가 계속하지 않는다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점화 후 2초간 정도 경과하면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유염연소의 열에 의하여 연소촉매(17)이 가열되고 산화반응 온도까지 승온한다. 이와 평행하여 유염연소의 열에 의하여 연소통(5)도 가열된다. 그러면 좁은 통로(16)내의 가스의 흐름이 나빠지고, 가스배출기구(15)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감소한다. 이것에 의하여 연소통(5)내의 가스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고, 가스가 막히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유염연소조건이 무너지고, 유염연소의 불꽃은 강제적으로 꺼진다.
그런데 연소통(5)의 용적이 작을 경우에는 혼합가스에 확실히 점화하여 유염연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연소촉매(17)이 산화반응 온도에 도달한 후는 가동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확실히 소염하여 무염연소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경 5mm의 화구파이프(6)의 선단에 내경 9mm, 직선부의 축방향 길이 6mm, 테이퍼부의 축방향길이 4mm의 연소통(5)를 형성하였다. 또 직선부의 주면에 직경 1.2mm의 소공(12)를 동일간격으로 2개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연소통(5)의 외주부에 커버(13)를 장착하고 간극이 0.25mm의 환상의 좁은 통로(16)를 형성하고 혼합가스의 점화, 소염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1회의 점화동작으로 확실하게 혼합가스에 점화할 수 있고 점화 후 2-5초간에서 확실하게 소염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또 상기 상태에서 커버(13)를 떼내서 같은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1회의 점화동작으로 확실히 혼합가스를 점화할 수 있었으나 점화후의 소염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좁은 통로(16)은 점화에 있어서는 특히 필요없으나 소염에 있어서는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자들은 또 상기 연소통(5) 및 커버(13)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가스배출기구(15)를 구성하고 또 가스도관(7)을 떼내서 혼합가스의 점화, 소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몇번 점화동작을 하여도 혼합가스에 점화할 수 없음이 확인되고 혼합가스의 유속이 극히 늦은 경우에는 점화할 수 없음을 알았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배출기구(15) 대신에 가스배출기구(25)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가스배출기구(25)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13)의 내플랜지(14)를 둘레방향 동일간격에서 예컨대 2개소 절단하여 형성되는 절결부(26)과 연소통(5)의 플랜지(11)를 상기 절결부(26)에 대응하여 4개소 커트하여 형성되는 절결부(27)과, 커버(13)가 연소통(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의 좁은 통로(28)로 구성되어 있고 연소통(5)내에 있어서의 점화, 소염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기타의 점에 대하여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구성으로 되어 있고 작용도 동일하다.
그런데, 이 가스배출기구(25)를 사용해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가스배출기구(25)의 경우 내플랜지(14)의 절결부(26)과 플랜지(11)의 절결부(27)과의 축회전 위치를 합치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연소통(5) 및 커버(13)이 각 통상을 이루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 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배출기구(15) 대신에 가스배출기구(35)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가스배출기구(35)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두선단(18)의 연소촉매(17) 입측위치 및 고정 링에 주방향 동일한 간격으로 예컨대, 4개 설치된 소공(36)과 인두선단(18)의 외주부에 장착된 통상의 커버(37)을 구비하고 있고 인두선단(18)의 외주면과 커버(37)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연소통(5)내의 가스를 상기 소공(3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상의 좁은 통로(38)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타의 점에 대하여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구성으로 되어 있고 작용도 동일하다.
그런데 이 가스배출기구(35)를 사용해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스연소장치를 가스납땜 인두에 적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제 1 도에 도시한 배기구(21)를 인두선단(18)의 선단에 설치하고 연소촉매(17)에서의 연소배기를 배기구(21)에서 열풍으로서 토출하는 열풍가공기에 적용할 수 도 있다. 또 연소촉매(17)에서의 연소열을 사용한 핫멜트 간이나 온수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연소통내의 가스의 일부를 연소촉매를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기구를 설치토록 하고 있으나 혼합가스의 유염연소에 의하여 연소촉매를 가열할때의 연소통의 용적이 작은 경우일지라도 연소통내의 가스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혼합가스에 쉽게 점화하고 유염연소를 계속시킬 수 있다.
또, 가스배출기구는 연소통내의 가스의 일부를, 좁은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있고 좁은 통로는 유염연소에 의한 가열로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않게 되므로 연소통내의 유염연소조건이 강제적으로 무너지게 되고, 가동부재를 사용하는 일없이 자동적으로 소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배출기구를 연소통의 주면에 설치한 소공과 연소통의 외주부에 장착되어서 연소통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통상의 커버로 구성함으로써 가스배출기구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소형의 기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커버가 단열재로서 작용하므로, 점화후의 연소통의 온도상승이 외부기온이 변화해도 거의 일정하게 되고, 소염까지의 시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화구파이프내에 혼합가스 생성부재로 부터의 혼합가스를 화구파이프의 도중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스도관을 배치함으로써 혼합가스 생성부재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가 변경하여도 가스도관의 지름이나 길이는 변경하는 것 만으로 연소통 내에 있어서의 혼합가스의 유속을 점화, 소염에 최적한 값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가스도관의 선단에 가스 확산판을 설치함으로써 혼합가스의 유통을 보다 빈틈없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화구파이프의 선단근방위치에 가스확산기구를 설치하고 이 가스확산기구의 하류측에 압전점화플러그를 배설함으로써 혼합가스 생성부재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 혹은 가스도관 선단에서 연소통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일자라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점화할 수 있다.

Claims (5)

  1. 연료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가스를 생성하는 혼합가스 생성부재와 ; 혼합가스 생성부재로부터의 혼합가스를 선단에 설치한 연소통까지 안내하고, 연소통내에서 유염연소시키는 화구파이프와 ; 상기 연소통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연소촉매가 수용된 촉매수용부재와 ; 상기 연소통, 촉매수용부재, 또는 연소통과 촉매수용부재와의 사이중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형성되고 연소통내의 가스의 일부를 상기 연소촉매를 우회하고, 또 좁은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기구 ;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배출기구는 연소통의 주면에 설치된 소공과, 연소통의 외주부에 장착되고 연소통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좁은 통로를 형성하는 통상의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구파이프내에는 혼합가스 생성부재로부터의 혼합가스를 화구파이프의 도중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스도관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스도관의 선단에는 가스확산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5. 제1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구파이프의 선단근방 위치에는 가스확산기구가 설치되고, 이 가스확산기구의 하류측에는 압전점화 플러그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KR1019920011197A 1991-06-29 1992-06-26 가스연소장치 KR950013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82862 1991-06-29
JP3182862A JPH0510512A (ja) 1991-06-29 1991-06-29 ガス燃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879A KR930000879A (ko) 1993-01-15
KR950013967B1 true KR950013967B1 (ko) 1995-11-18

Family

ID=1612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197A KR950013967B1 (ko) 1991-06-29 1992-06-26 가스연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510512A (ko)
KR (1) KR950013967B1 (ko)
DE (1) DE4220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822A (ja) * 1993-11-06 1995-05-16 Nakajima Doukou Kk ガス燃焼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9718898C1 (de) * 1997-05-03 1998-10-22 Bosch Gmbh Robert Gasbrenner mit einem porösen Brennkörper
US11619386B2 (en) 2021-02-12 2023-04-04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calibrating an ignition process of a digital gas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1981B1 (fr) * 1987-10-20 1990-02-09 Applic Gaz Sa Appareil chauffant avec bruleur catalytique
JP2701339B2 (ja) * 1988-07-22 1998-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気相成長装置
JPH0330665U (ko) * 1989-08-04 1991-03-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0512A (ja) 1993-01-19
DE4220749A1 (de) 1993-01-14
KR930000879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7237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rning oxygenic constituents in process gas
JPH0755113A (ja) 蒸発式バーナ
KR950702690A (ko) 관 버너(Tube burner)
KR100229964B1 (ko) 유체연료 연소방법 및 연소장치
US4641632A (en) Heating iron using liquefied gas
US41243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reaction between streams of fluid
CA10483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reaction between streams of fluid
KR950013967B1 (ko) 가스연소장치
KR910004989A (ko)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동시 소각로 기구 및 방법
US4688551A (en) Heat processing device using a liquefied gas
GB1298781A (en) A metallurgical burner
DK145394B (da) Braender for flydende braendstof
JPH01114607A (ja) 内燃機関の排ガスの固形粒子を燃焼させる装置のための点火バーナ
US4470798A (en) Method of operating a burner without using a fuel pump, and burner assemb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such method
CA1103574A (en) Burner for very low pressure gases
EP0594988B1 (en) A vaporizing type burner
US5507438A (en) Fuel gas and oxygen mixer for cutting torches
RU20562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оструйной резки материалов
JP3407228B2 (ja) 燃焼器
JPH02223709A (ja) 接触バーナを備えた加熱装置
RU2117216C1 (ru) Резак для кислородной резки стали на жидком горючем
JPS61259014A (ja) 保炎筒の過熱防止装置を有するバ−ナ
SU1698571A1 (ru) Газова горелка
RU2044221C1 (ru)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192584C1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