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041B1 - 곤로버너 - Google Patents

곤로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041B1
KR950013041B1 KR1019930028117A KR930028117A KR950013041B1 KR 950013041 B1 KR950013041 B1 KR 950013041B1 KR 1019930028117 A KR1019930028117 A KR 1019930028117A KR 930028117 A KR930028117 A KR 930028117A KR 950013041 B1 KR950013041 B1 KR 950013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recess
flame
concave por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361A (ko
Inventor
교오쥰 이노마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4001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곤로버너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곤로버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곤로버너의 조립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곤로버너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곤로버너의 버너보디의 평면도.
제 5 도는 점화전극 및 열전대의 체결기구의 기타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곤로버너 2 : 버너보디
3 : 버너캡 21 : 버너보디의 머리부
22 : 버너보디의 몸통부 24 : 버너보디의 상면 트인 구멍
25 : 제 1 오목부 26 : 제 2 오목부
31 : 버너캡의 삿각부 32 : 버너캡의 다리부
34 : 돌조 35,36 : 불꽃구멍
S : 점화전극 T : 열전대
본 발명은 불꽃구멍간의 불꽃이동 및 가열효율을 개선한 곤로버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곤로에 이용되는 가스버너(곤로버너)는, 상면 트인구멍을 가지며, 연속한 폐환상(閉環狀)의 머리부 또는 원판상의 머리부를 갖는 버너보디와, 상기 상면 트인구멍의 외주면에 맞닿는 돌조열(突條列)이 방사방향으로 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너보디의 머리부에 얹어 놓여져서 상기 상면 트인구멍을 덮음과 동시에 각 돌조간의 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꽃구멍이 외주상으로 열을 이룬 외주 불꽃구멍열을 형성하는 버너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주 불꽃구멍열을 형성하는 불꽃구멍은, 통과가스량을 확보하는 것, 가스버너의 지름을 가능한 작게 하는 것 및 가공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돌조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연소가스의 입구와 외주측에 위치하는 출구(화구)가 동일한 폭으로 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불꽃구멍을 형성하는 돌조간의 홈폭을 일정하게 형성하였다. 이 결과, 각 돌조는 내주측이 좁고(두께가 얇고), 외주측이 넓은(두께가 두꺼운)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버너보디의 외주측에는 세로방향으로 도려내어 내주측으로 움푹 패이게 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는 버너캡의 일부에 의하여 그 상측이 덮여짐과 아울러, 점화장치의 점화전극 및 실화센서로서의 열전대가 횡으로 병렬되어 장착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보 평4-40605).
따라서, 상기 점화전극 및 열전대는 상측에 얹어놓여지는 조리남비로부터 떨어지는 국물등의 부착이 방지되어 확실하게 다이렉트 점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곤로버너에서는 병렬된 점화전극과 열전대가 버너보디의 머리부의 중심에서 동일 반경(半徑)상에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오목부의 깊이(버너보디의 머리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의 거리)가 깊게 되고, 또 오목부내의 불꽃구멍을 형성하는 돌조의 위치가 반경방향으로 깊게되는 결과, 돌조의 내부로 감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면 오목부의 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가) 오목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불꽃구멍과, 오목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불꽃구멍과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단차가 크다. 이 결과, 점화시에 단차를 사이에 둔 불꽃구멍간에서의 불꽃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나) 오목부의 폭이 넓기 때문에 오목부외측에서 원환(圓環) 형상으로 형성되는 불꽃에 대하여, 오목부내에 있어서 원환형상으로 형성되는 불꽃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는 불꽃의 비율이 증대하여, 외관 및 가열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곤로버너는, 외주벽에 제 1 오목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 2 오목부보다 얕은 제 2 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 트인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몸통부를 갖는 중공의 버너보디와 ; 상기 상면 트인구멍의 외주연에 대응하여 방사방향의 돌조열이 하면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너보디의 머리부에 얹어놓여져서 상기 트린구멍을 덮음과 동시에접합부에 외부 불꽃구멍열을 형성하고, 또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의 상측을 덮은 버너캡과 ; 상기 제 1 오목부내에 설치한 점화전극과 ; 상기 제 2 오목부내에 설치한 열전대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 2 오목부를 얕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오목부에서의 점화전극의 점화불꽃에 의하여 점화된 불꽃은 단차가 작은 제 2 오목부내의 불꽃구멍으로 불꽃이동되고, 이어서 원환형상의 외주 불꽃구멍으로 불꽃이동되기 때문에 불꽃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2) 제 2 오목부내의 불꽃이동은 원환형상의 외주 불꽃이동에 대하여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정도가 적기 때문에, 제 2 오목부내의 불꽃이동을 형성하는 돌조의 위치는 반경방향으로 그다지 깊게 되지 않는다. 이 결과,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도록 돌조의 내측부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도 오목부외 폭을 비교적 작게 할수 있어 외관이 향상됨과 아울러 가열효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제 1 도∼제 4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곤로버너는 버너본체(1)와, 상기 버너본체(1)에 장착된 점화를 위한 점화전극(S) 및 실화검출을 위한 열전대(T)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버너본체(1)는 버너보디(2)에 버너캡(3)을 얹어놓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너보디(2)는 원환형상의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의 일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또 횡측으로 연장된 몸통부(22)로 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21)의 상면에는 절결부(23)를 갖는 원환형상의 트인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21)는, 대형의 곤로버너에서는 후술하는 중앙불꽃이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소형의 버너에서는 원판상으로 되어 있다.
머리부(21)의 절결부(23)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머리부(21)를 도려낸 형상의 제 1 오목부(25) 및 제 2 오목부(26)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오목부(25)는 제 2 오목부(26)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오목부(26)는 제 1 오목부(25)의 깊이의 1/2 이하, 1/4 이상의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2 오목부(26)를 제 1 오목부(25)의 깊이의 1/2 이하, 1/4 이상으로 설정한다는 한정은, 이 범위내가 불꽃이동의 향상에 최적하다는 이유에 의한다.
버너캡(3)은 버너보디(2)의 머리부(21)에 얹어놓여져서 상기 상면 트인구멍(24)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오목부(25) 및 제 2 오목부(26)의 상측을 덮는 원환형상의 삿갓부(31)와, 이 삿갓부(31)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환형상의 머리부(21)의 내주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다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삿갓부(31)의 하면에는, 외주단으로부터 3mm 내측으로 들어간 동일 원주상에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원환형상 융기부(331)와, 상기 버너보디(2)의 제 1 오목부(25) 및 제 2 오목부(26)의 외주연을 따르는 위치에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 융기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원환형상 융기부(331) 및 오목 융기부(332)는, 근원{삿갓부(31)와의 연속부}이 6mm , 선단(하단부)이 5mm의 폭을 가지며, 하단면은, 역원추면(逆圓錐面)형상으로 경사짐과 아울러,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돌조(34)가 등간격으로 열지어 형성되어 있다.
돌조(34)는 상기 버너보디(2)의 상면 트린구멍(24)의 외주벽 상면(21a)에 접촉하고 또 상기 절결부(23)부분의 외주면 상면(23a)에 접촉하여 폭 2mm, 높이 0.5mm의 작은 불꽃이동(35)과 폭 2mm, 높이 3.6mm의 큰 불꽃이동(36)을 형성하고 있다.
불꽃이동(35,36)은, 기능적으로, 삿갓부(31)의 외주에 원환형상으로 되는 가열용 외주 불꽃구멍열과, 제 1 오목부(25)내를 향하는 점화용 불꽃구멍과, 제 2 오목부(26)내를 향하는 실화검출용 불꽃구멍으로 분류된다.
돌조(34)는, 작은 불꽃구멍(35) 및 큰 불꽃구멍(36)의 폭(2mm)이 내주측과 외주측이 일정하기때문에, 돌조(34)의 내주측이 얇고(약 1mm), 외주측이 두껍게(약 1.5mm)되어 있다.
돌조(34)는 길이가 5mm, 두께는 내주측이 약 1.0mm, 외주측이 약 1.5mm이다. 이 돌조(34)중, 제 1 오목부(25)내를 향하는 점화용 불꽃구멍과 가열용 외주 불꽃구멍과의 사이에 있는 경계돌조(341)는 길이가 15mm, 점화용 불꽃구멍과 제 2 오목부(26)내를 향하는 실화검출용 불꽃구멍과의 사이에 있는 경계돌조(342)는 길이가 11mm, 실화검출용 불꽃구멍과 가열용 외주 불꽃구멍과의 사이에 있는 경계돌조(343)는 길이가 3mm로 되어 있다. 또한, 돌조(34)의 두께는 강도상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너캡(3)의 다리부(32)의 상측에 지름이 작은 중앙불꽃구멍버너(4)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중앙볼꽃구멍버너(4)는, 다리부(32)의 내벽에서 상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며 내부가 연료가스 통로로되어 있는 연결파이프(41)와, 이 연결파이프(41)의 상단에 설치되며 외주에 중앙불꽃구멍(42)이 형성된 원판상의 중앙버너헤드(43)로 구성된다.
버너보디(2)의 내부는 연료가스와 연료용 일차공기의 혼합가스실로 되어 있으며, 몸통부(22)의 선단(11)에는 연료가스 분사노즐 및 일차공기 공급구(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곤로버너를 사용시할 때에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연료가스가 일차공기 공급구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섞여 혼합기로 되어 머리부(21)로 공급되고, 상기 불꽃구멍(35,36)을 통하여 취출된다. 혼합기의 일부는 연결파이프(41)을 통하여 상기 중앙버너(4)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오목부(25)에는 점화전극(S)이, 제 2 오목부(26)에는 열전대(T)가 모두 체결기구(5)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체결기구(5)는 상기 제 1 오목부(25) 및 제 2 오목부(26)의 하측에 상판부(5A), 측판부(5B), 저판부(5C)로 된 다듬 ''ㄷ'자 형상부를 갖는 브래킷(51)을 버너보디(2)의 머리부(21)의 하면에 체결하고 있다. 브래킷(51)에는,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26)의 중심과 동심적으로, 상기 "ㄷ'자 형상부에 상하방향의 원호상의 절결부(52,5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ㄷ'자 형상부의 양단에 훅부(54,5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점화전극(S) 및 열전대(T)의 체결은, 상기 훅부(54,55)와 절결부(52,53) 중간의 측판부(5B)의 이면과의 사이를 건너지르는 철사(57)에 의해서, 상기 철사(57)와 절결부(52,53)와의 사이에 점화전극(S) 및 열전대(T)를 끼워서 체결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너보디(2)에 버너캡(3)를 얹어놓을 때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버너보디(2)의 외주벽 상면(21a)에 위치결정용 구멍(A)을, 버너캡(3)의 삿갓부(31) 하면에 위치결정용 볼록부(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용 볼록부(B)는, 하면을 외주벽 상면(21a)의 경사(傾斜)에 맞춰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구비한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위치결정용 볼록부(B) 하면의 경사에 의해서, 볼록부(B)가 제 1 오목부(25) 및 제 2 오목부(26)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는 일이 없으며, 위치결정용 구멍(A)의 위치에서만 하측으로 끼워져서 삽입되기 때문에, 180°잘못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도는 점화전극(S) 및 열전대(T)의 체결기구(5)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결부(52,53)를 연결하는 절결부(58)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58)에 쐐기형상의 머리부(61), 그 양측에 점화전극(S) 및 열전대(T)의 압접부(62,63), 및 이 압접부(62,62) 외측에 위치한 어깨부(64,65)로 된 판스프링(6)으로 점화전극(S) 및 열전대(T)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전극(S) 및 열전대(T)를 절결부(58)의 양측에 억눌러 두고, 스프링(6)의 머리부(61)를 중간으로 압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Claims (2)

  1. 외주벽에 제 1 오목부 및 상기 제 1 오목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 1 오목부보다 얕은 제 2 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 트인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몸통부를 갖는 중공의 버너보디와, 상기 상면 트인구멍의 외주연에 대응하여 방사방향의 돌조연이 하면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너보디의 머리부에 얹어놓여져서 상기 트인구멍을 덮음과 동시에 접합부에 외주 불꽃구멍열을 형성하고, 또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의 상측을 덮는 버너캡과, 상기 제 1 오목부내에 설치한 점화전극과, 상기 제 2 오목부내에 설치한 열전대를 구비한 곤로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제 1 오목부의 깊이의 1/2 이하,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버너.
KR1019930028117A 1992-12-16 1993-12-16 곤로버너 KR950013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36310A JP2589923B2 (ja) 1992-12-16 1992-12-16 こんろバーナ
JP92-336310 1992-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61A KR940015361A (ko) 1994-07-20
KR950013041B1 true KR950013041B1 (ko) 1995-10-24

Family

ID=1829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117A KR950013041B1 (ko) 1992-12-16 1993-12-16 곤로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89923B2 (ko)
KR (1) KR950013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7482C1 (de) * 1997-10-28 1999-04-29 Bosch Gmbh Robert Gasbrenner mit einem Brennerkörper sowie einer Zünd- und/oder einer Überwachungsvorrichtung
KR100500383B1 (ko) * 2002-04-18 2005-07-12 오상묵 메탄가스연소용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361A (ko) 1994-07-20
JPH06185724A (ja) 1994-07-08
JP2589923B2 (ja) 199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8617B (zh) 改进的厨用燃气灶
US4968246A (en) Heating apparatus
US9022780B2 (en) Oval burner alignment method
JP5558054B2 (ja) コンロ用バーナ
RU96124762A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впрыском в цилиндр
KR950013041B1 (ko) 곤로버너
KR20070053914A (ko) 실드 더블 버너
JP3817075B2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US5711662A (en) Gas lighter
KR100604134B1 (ko) 가스렌지용 멀티버너
KR950013042B1 (ko) 곤로버너
JPS6224689B2 (ko)
JP2777970B2 (ja) ガスバーナ
CN109000249B (zh) 燃烧器
JP3772435B2 (ja) こんろバーナ
KR101947135B1 (ko) 가스 버너
JP3860480B2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JPH0223947Y2 (ko)
CN215637158U (zh) 燃烧器及燃气灶
KR920007902B1 (ko) 가스 곤로용 버너
CN109140444A (zh)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CN220551949U (zh) 防干烧探头组件及应用有该防干烧探头组件的燃气灶
JPS6234101Y2 (ko)
KR20030045975A (ko)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JPH0293204A (ja) コンロ用バー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