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879B1 -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879B1
KR950012879B1 KR1019930007782A KR930007782A KR950012879B1 KR 950012879 B1 KR950012879 B1 KR 950012879B1 KR 1019930007782 A KR1019930007782 A KR 1019930007782A KR 930007782 A KR930007782 A KR 930007782A KR 950012879 B1 KR950012879 B1 KR 95001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ller
truck
wir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101993000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79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발췌 참고 사시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된 구동전달기구의 단면 개략도.
제 4 도는 적치물을 상,하강 시키는 구동전달기구의 참고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보조부 B : 적치물운반 이송기
T : 트럭적재함 1 : 가이드레일
3 : 힌지 4 : 보조프레임
7 : 간격조절공 8 : 간격높이고정구
21 : 구동회전로울러 22 : 피동회전로울러
24 : 동력전달체인 25 : 구동회전축
본 발명은 창고, 야적장, 작업장 등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적치물(積置物)을 반출(搬出)하기 위해 트럭의 적재함에 싣거나 간편하게 하역하기 위한 적치물 운반 이송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치물 특히 건축자재로 흔히 사용되는 벽돌, 블록 등의 건축자재는 야적장(작업장)에서 직접, 제조, 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완제품화하여 일정한 부피만큼 야적하게 된다.
이렇게 야적된 건축자재는 건축작업장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흔히 트럭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트럭의 적재함에 건축자재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포크 리프트카아(Fork lift car) 또는 작업자가 직접 적재하여 왔다.
이러한 경우 특히 포크리프트카아는 가격이 고가이여서 일반소규모 업체에서는 이용할 수 없어 결국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져 왔기 패문에 인력과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적재된 건축자재를 건축작업장에서 하역시키고자 할때에는 트럭의 펌프 실린더 작동에 의해 그대로 쏟아버렸기 때문에 많은 건축자재 특히 벽돌, 블록이 훼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1986년 6월 17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86-1206호에서는 창고의 지붕 하부에 통상의 안내레일을 설치하여 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로울러상에 현수간을 장착하고, 다시 현수간에는 다수의 걸고리가 있는 쇠사슬이 장착된 승강판을 장치하여서, 상기 걸고리에 나무깔판상에 적치된 적치물을 현가시킨 다음, 로울러의 구동력에 따라 레일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므로서 트럭의 위치까지 적치물을 이송시켜 주는 장치가 제공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통상의 안내레일을 일정한 공간상에 항상 설치하여야 하고, 또한 트럭의 적재함과 동일한 위치를 가진 별도의 야적창고 등의 필요한 단점이 있어서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트럭의 적재함상에 설치하여 주어 야적장, 창고, 작업장 등의 장소에 구애없이 적치물을 트럭의 적재함상에 용이하게 운반시킬 뿐만 아니라 트럭 적재함의 끝단까지 차례로 이송시켜 주고, 하역시에는 간단하게 하역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트럭의 적재함상에 레일을 장착하되, 적재함의 일끝단에는 연장되는 레일을 구비하여 주고, 상기한 레일을 따라 자체구동하는 구동력에 의해 레일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적치물 운반이송기를 구비하고, 상기 적치물 운반이송기에 의해 적치물을 숭강시켜서 트럭의 적재함까지 이동시킨다음, 다시 자체 구동력에 의해 적재함의 일정한 위치까지 이동시켜 적재하고, 다시 적치물을 승강시켜서 트럭의 적재함에 재적재하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야적장에 야기된 적치물을 트럭의 적재함에 차례로 적재하고, 또한 적재함에서 적재물을 하역하여 야적장 또는 건축작업장에 적치하고자 할때에도 간단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트럭 적재함(T)에 설치되는 보조부(A)와, 상기 보조부(A)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상에 위치하는 적치물 운반이송기(B)로 대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A)는 트럭의 적재함(T)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가이드레일(1)을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정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과 연장되는 별도의 보조가이드레일(2)은 상기 트럭적재함(T)의 후미에서 힌지(3)결합되는 보조프레임(4)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보조프레임(4)의 끝단에는 간격조절공(7)이 천공된 간격높이 고정구(8)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 간격높이 고정구(8)에는 간격높이조절공(9)이 천공된 간격높이조절구(10)가 내삽입되어서 높이를 조절 또는 보조프레임(4)을 지지고자 할때 상기 간격조절공(7)과 간격높이조절공(9)을 일치시켜 핀(11)으로 삽입시켜 주어 조절하여 고정하고, 상기 간격높이 고정구(8)의 후면에는 각각 끼움공(6)이 설치고정되어 간격조정간(5)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져서 필요에 따라 보조프레임(4)과의 사이 간격을 힌지(3)를 중심으로 벌릴수도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과 보조가이드레일(2)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4)을 고정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바 있는 보조부(A)의 상부, 즉 이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 또는 보조가이드레일(2)상에는 상기한 적치물이송기(B)가 위치하게 되는바, 이러한 본 발명장치를 구성하는 적치물이송기(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다리꼴 형태의 기체(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한쌍씩 전후방에 설치된 구동회전로울러(21)와 피동회전로울러(22)가 상기 가이드레일(1) 또는 보조가이드레일(2)상에서 이동함 수 있도록 놓여지게 되고, 상기한 구동회전로울러(21)에는 각각 텐숀유지로울러(23)에 압압된 동력전달체인(24)이 치합되고, 이동력전달체인(24)은 구동회전축(25)의 양단에 고정된 구동전달스프로켓(26)에 각각 치합되어서 구동회전축(25)의 회전 구동력을 동력전달체인(24)을 통해 구동회전로울러(2l)에 각각 전달하여 구동회전로울러(21)가 상기한 가이드레일(1) 또는 보조가이드레일(2)을 따라 이동하게되므로 결국 하기에서 설명되는 일련의 구성과 함께 이루어지는 적치물운반이송기(B)자체가 구동회전축(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이송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전진 또는 후진을 취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회전축(25)에 구동회전력을 전달하여 주는 것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엔진(E)의 가동에 의해 발생하는 로오크가 유압펌프(P)에서 유압을 로출시켜 주면 유압작동유저장통(T-1)에서 도출되는 유압이 유압수동조작밸브(V)에 설치된 운반조작밸브(V1)의 작동에 의해 유압모터(M)을 작동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유압모터(M)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은 폴리벨트(P.B)를 통해 기어박스(G.B)에 내장된 워엄(W)을 회전시켜주게되고, 이러한 워엄(W)은 이에 치합된 워엄기어(W.G)를 구동회전 시켜주게 되면 워엄기어(W.G)가 다시 감속기어군(R.G)에 의해 감속된후 상기한 바 있는 구동회전축(25)을 회전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유압수동조작밸브(V)에는 이송조작밸브(V2)의 작동에 의해 적치물(X)은 승,하강하는 작동을 취하게 되는테, 이는 상기한 이송조작밸브(V2)의 작동에 의해 유압을 유압실린더(S)에 공급시켜 주게되면, 이 유압실린더(S)의 유압실린더로드(S.R)의 작동에 의해 가능해지게 된다.
이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유압실린더로드(S.R)의 끝단에는 4조의 로을러(31)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브라킷(30)의 고정되어서 상기 각각의 로울러(31)에 와이어(32)(33)(34)(35)의 일단은 상기 기체(20)에 고정된 고정구(36)상에 고정되어지는바, 상기 와이어(32)는 기체(20)에 고정된 브라킷(4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3조 로울러(41)를 통하여 로울러(61)에서 하향되어서 기체(20)내에 위치하는 좌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6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4)는 상기 3조 로울러(41)를 통하여 로울러(62)에서 하향되어 상기 와이어(32)의 대향위치에서 좌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6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32)는 상기 3조로울러(41)와 기체(20)에 고정된 브라켓(69)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2로 로울러(70)을 통하여 로울러(71)에서 하향되어서 상기 기체(20)내에 위치하는 우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9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5)는 상기 3조 로울러(41),2조 로울러(70)와 로울러(72)에서 하향하여 상기 와이어(32)의 대향위치에서 우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9)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 적치물 상,하강 파지구(60)(90)의 하부에는 다수의 요홈(9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각각 걸고리(93)가 필요한 만큼 설치되고 그 걸고리(93)의 끝단에는 고정봉(99)에 적치물 파지봉(95)의 양단이 각각 필요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끼워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한 바와같이 적치물(X)를 승,하강 시키고자 하는데 사용되는바 이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부피로 적치된 블록 등과 같은 적치물(X)에 형성되는 구멍(X) 또는 파렛트(나무깔판)의 하부에 다수의 적치물 파지봉(95)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이 적치물 파지봉(95)의 양단에 각각 요홈(92)에걸러 설치된 걸고리(93)의 고정봉(99)를 끼워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에서와 같이 이송조작밸브(V2)를 작동시켜 주게되면 수축된 상태와 유압실린더(9)의 유압실린더로드(5.R)가 인장되는 작동을 하게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로드(S.R)의 인장 작동에 의해 브라켓(30)에 축설된 4조 로울러(31)에 걸쳐져 있는 와이어(32)(33)(34)(35)의 끝단이 고정구(36)상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와이어(32)(33)(34)(35)가 각각 상기한 4조 로울러(31) 3조 로울러(41) 및 2조 로울러(70)을 통하여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로드(S.R)의 인장길이에 따라 결국 상기한 와이어(32)(33)(34)(35)역시 그 인장길이만큼 당겨지게 되는 것이므로, 좌,우측 적치물상, 하강파지구(60),(90)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좌,우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60)(90)의 상승에 의해 이에 형성된 요홈(92)에 걸려 설치된 걸고리(93)의 고정봉(99)에 끼워져 있는 적치물 파지붕(95)이 결국 적치물(X)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적치물(X)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운반조작밸브(V1)을 작동시켜 주게되면 유압모터(M)의 작동에 의해 결국 구동회전로울러(21)이 회전 구동하는 작동을 하게 되므로 결국 적치물 운반이송기(B)가 보조가이드레일(2)와 가이드레일(1)을 따라 이송하게되는 것이다.(제 5 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함(T)의 안쪽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송시킨 다음 다시 상기한 바와같이 인장된 유압실린더로드(S.R)을 수축케 하는 이송조작밸브(V2)를 작동시켜주게되면 유압실린더로드(S.R)의 수축에의해 와이어(32)(33)(34)(35)가 수축되는 길이만큼 늘어지는 효과에 의해 적치물(X)이 하강하여 적재함(T)에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치물파지봉(95)를 걸고리(93)의 고정봉(99)에서 탈거시켜준 다음 적치물(X)의 구멍(X') 또는 파렛트에서 적치물 파지봉(95)을 빼내주면 결국 적재함(T)에 적치물(X)가 적재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다시 운반조작밸브(V1)을 다시 작동하여 후진시켜서 적치물운반이송기(B)를 보조가이드레일(2)상에 위치시킨 다음, 다시 이송조작밸브(V2)를 작동시켜주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야적장, 작업장에 위치한 적치물(X)를 다시 적치물 파지봉(95)으로 파지시켜서 상승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취하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럭을 이동시켜 적재함(T)에 적재된 적치물(X)를 다시 건축작업장에 하역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와 동일한 수단에 의거하면 극히 용이하게 적치물을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적치물이 적치된 위치에 관계없이 트럭의 적재함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함에 적치물을 적재한 후에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적재함에 적재된 적치물을 파손 등의 훼손없이 용이하게 하역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고,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굳이 건축자재에만 그 이용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종 이삿짐, 반출생산품 등의 공산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추언한다.

Claims (1)

  1. 기존의 트럭의 적재함(T)에 보조부(A)와, 상기 보조부(A)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상에 적치물운반이송기(B)를 위치시키되, 상기 보조부(A)는 트럭의 적재함(T)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가이드레일(1)을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정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과 연장되는 별도의 보조가이드레일(2)은 상기트럭적재함(T)의 후미에서 힌지(3)결합되는 보조프레임(4)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보조프레임(4)의 끝단에는 간격조절공(7)이 천공된 간격높이 고정구(8)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 간격높이 고정구(8)에는 간격높이조절공(9)이 천공된 간격높이조절구(10)가 내삽입되어 핀(11)으로 조절고정하고, 상기 간격높이 고정구(8)의 후면에는 각각 끼움공(6)이 설치고정되어 간격조정간(5)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치물 운반이송기(B)는 사다리물 형태의 기체(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한쌍씩 전후방에 설치된 구동회전로울러(21)와 피동회전로울러(22)가 상기 가이드레일(1) 또는 보조가이드레일(2)상에 이동할 수 있도록 놓여지게되고, 상기 구동회전로울러(21)에는 각각 텐숀유지로울러(23)에 압압된 동력전달체인(24)이 치합되고, 이 동력전달체인(24)은 구동회전축(25)의 양단에 고정된 구동전달스프로킷(26)에 각각 치합되어지고, 유압실린더로드(S.R)의 끝단에는 4조의 로울러(31)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브라켓(30)이 고정되어서 상기 각각의 로울러(31)에 와이어(32)(33)(34)(35)의 일단은 상기 기체(20)에 고정된 고정구(36)상에 고정되어지는바, 상기 와이어(32)는 기체(20)에 고정된 브라킷(4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3조 로울러(41)를 통하여 로울러(61)에서 하향되어서 기체(20)내에 위치하는 좌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6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4)는 상기 3조 로울러(41)를 통하여 로울러(62)에서 하향되어 상기 와이어(32)의 대향위치에서 좌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6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33)는 상기 3조로울러(41)와 기체(20)에 고정된 브라켓(69)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2조 로울러(70)을 통하여 로울러(71)에서 하향되어서 상기 기체(20)내에 위치하는 우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9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5)는 상기 3조 로울러(41),2조 로울러(70)와 로울러(72)에서 하향하여 상기 와이어(32)의 대향위치에서 우측적치물 상,하강 파지구(9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적치물 상,하강파지구(60)(90)의 하부에는 다수의 요홈(9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각각 걸고리(93)가 필요한 만큼 설치되고 그 결고리(93)의 끝단에는 고정봉(99)에 적치물 파지봉(95)의 양단이 각각 필요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치물 운반.
KR1019930007782A 1993-05-06 1993-05-06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KR950012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782A KR950012879B1 (ko) 1993-05-06 1993-05-06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782A KR950012879B1 (ko) 1993-05-06 1993-05-06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79B1 true KR950012879B1 (ko) 1995-10-23

Family

ID=1935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782A KR950012879B1 (ko) 1993-05-06 1993-05-06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8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0122A (en) Cable reel assembly
US4764074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CN213567905U (zh) 一种配备传输机构的仓储搬运小车
US5088783A (en) Load handling apparatus
CN1131799C (zh) 集装箱装卸装置或吊架
CN2761549Y (zh) 一种升降装卸台
CN212151384U (zh) 一种适用于基坑作业的起吊设备
AU2004276114B2 (en) Cab slide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KR950012879B1 (ko) 적치물(積置物)운반 이송적재 장치
CN212864004U (zh) 液压自动码垛机
US1615813A (en) Method of handling material
CN210313105U (zh) 快速装卸吊篮
CN114014216A (zh) 一种细长型材电磁吊装自动堆放设备
CN111846835A (zh) 一种手推式传送升降机
CN220115737U (zh) 一种上方导轨吊装式装车码垛设备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CN215097198U (zh) 一种自装卸建材运输车
CN117698929B (zh) 一种具有吊装功能的运输船舶
CN216833375U (zh) 一种卷帘式上货装置
CN219384684U (zh) 一种配件加工卸料装置
CN219689257U (zh) 超长超重型材库固定式巷道堆垛机
CN214269891U (zh) 一种钢管批量打包辅助装置
KR910000497Y1 (ko) 블럭 상하차 장치
CN212655359U (zh) 一种地铁施工用运输起重设备
CN215438113U (zh) 一种新型带推拉机构的堆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